KR20040040483A - 기체 확산 전극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체 확산 전극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483A
KR20040040483A KR10-2004-7004773A KR20047004773A KR20040040483A KR 20040040483 A KR20040040483 A KR 20040040483A KR 20047004773 A KR20047004773 A KR 20047004773A KR 20040040483 A KR20040040483 A KR 2004004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s
catalyst
rolling
roll
gas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불란
프릿츠 게스터만
한스-디터 핀터
피터 보이타
발터 클레스퍼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4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5Methods for shaping the electrode into free-standing bodies, like sheets, films or grids, e.g. moulding, hot-pressing, casting without support, extrusion withou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25B11/031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4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전해 셀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체 확산 전극은 1종 이상의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분말 혼합물을 압연하여 제조되는 평판 구조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롤러의 형체력은 분말 혼합물의 압연 공정 중에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로써 형체력은 0.2 kN/cm와 15 kN/cm사이에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롤러의 직경은 15 cm이하이다. 세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평판 구조물은 촉매 지지체에 0.1 kN/cm 내지 2 kN/cm의 범위의 선형 힘에 의한 압연에 의해서 전기 전도 방법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기체 확산 전극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GAS DIFFUSION ELECTRODES}
본 발명은 적어도 전기 전도 촉매 지지체와 분말 혼합물을 압연하여 제조되는 박판형 구조물로 구성된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말 혼합물은 1종 이상의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한다.
DE-A 37 10 168 및 EP-A 297 377은 촉매 물질의 화합물, 예를 들면 산화 은(I) 및 결합제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 혼합물을 압연하여 기체 확산 전극을 제조하는 것을 개시한다. 분말 혼합물을 압연하여 박판형 구조물을 만든 후, 후자는 기계적 지지체에 적용되거나 압연되어 전극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거나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전도하게 된다. 기계적 지지체는, 예를 들면, 금속 네트, 금속 부직포 또는 금속 직물 또는 탄소 네트, 탄소 부직포 또는 탄소 직물일 수 있다. 기계적 지지체에 박판형 구조물의 적용은 예를 들어, 압착이나 압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분말 혼합물을 압연하여 제조되는 박판형 구조물의 성질은 다수의 파라미터에 좌우된다. 분말 성질 자체 이외에, 이러한 파라미터는, 특히, 롤의 형상과 표면 성질, 롤의 속도, 사용된 베어링의 정밀도, 한편의 베어링과 다른 편의 롤의 러닝의 정확성, 롤 닙 (roll nip) 및 롤의 형체력 (clamping forc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만일 롤 닙이 압연 공정 중에 크게 변화하면, 특히 두께와 밀도가 충분히균질하지 않은 박판형 구조물이 얻어진다. 반면, 만일 롤 닙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특히 지나치게 높은 형체력에 의해서, 전극은, 작동 중에 특히, 전류 밀도 증가에 따른 매우 불균형한 전압 증가 및 불량한 전기 화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게다가, 지나치게 두껍고 기계적으로 불안정한 박판형 구조물은 그 이상의 공정에 사용될 수 없다. 기술적인 취급 적성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염화 알칼리 금속 수용액으로부터 염소를 전기화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기체 확산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러한 박판형 구조물은 길이가 2 내지 3 미터이고, 폭이 30 내지 40 cm이어야 한다.
안정성의 이유에 있어서, 폭이 40 cm인 상용되는 롤은 적용되는 최대 형체력에 따라서 직경이 약 15 cm이상이다. 그러한 롤에 의해서 제조되고 기체 확산 전극으로 사용되는 박판형 구조물은 충분한 전기화학적 활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특히, 전해 셀 등의 작동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전극이 4 ㎄/㎡의 전류 밀도에서 2.5 V가 넘는 셀 (cell) 전압을 갖는다면, 전기화학적 활성은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도가 매우 균질하고 두께 변화가 작은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체 확산 전극은 더욱이 우수한 전기화학적 활성과 기계적인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압연 공정의 파라미터는 분말 혼합물을 압연하여 박판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중에, 최적의 전기화학적 활성이 얻어지고, 상기 활성이 박판형 구조물을 압연에 의해 촉매 지지체에 적용하는 중에 불리하게 영향받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 또는 2 또는 3의 특징에 의해 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박판형 구조물은 1 종 이상의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분말 혼합물을 압연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의 형체력은 분말 혼합물의 압연 공정 중에 0.2 kN/cm 내지 15 kN/cm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0.2 kN/cm 내지 10 kN/cm, 바람직하게는 0.2 kN/cm 내지 5 kN/c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kN/cm 내지 2 kN/cm의 형체력을 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형체력이 0.3 kN/cm 내지 0.6 kN/cm로 유지될 때 특히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형체력은 수력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공압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는 형체력이 매우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직경이 8 cm 이상 15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c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cm 이하인 롤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세번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압연에 의해 제조된 박판형 구조물은 또한 전기 전도 지지체에 압연에 의해 연결된다. 압연은 0.1 kN/cm 내지 2 kN/cm의 닙 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세가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소는 롤의 직경이 보다 작은 경우에 압연 중에 보다 작은 형체력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형체력 및 박판형 구조물의 결과적인 두께와 밀도에 관해서는 각각의 롤 직경에 대한 유일한 특정 작동 범위가 있다. 예를 들면, 13 cm의 롤 직경 및 1.5 kN/cm의 형체력을 사용하여 0.35 mm의 두께 및 4.4 g/ml의 밀도를 갖는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보다 작은 롤 직경의 경우에만 가능하다.
분말 혼합의 압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조건 하에서는, 박판형 구조물은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활성을 가진 전극이 제조될 수 있을 경우로부터 얻어진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움으로 제조된 기체 확산 전극의 박판형 구조물은 높은 균질성을 가진다. ±0.2 내지 ±0.5 g/㎥ 범위의 밀도 변화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움으로 두께 변화 범위가 ±0.05 내지 ±0.2 mm인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전극의 전기화학적 활성은, 특정 전류 밀도에서의 전압 이외에, 높은 전류 밀도에서의 전압의 변화 및 작동 중의 기체와 액체의 투과성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우수한 전극은, 높은 전류 밀도와 낮은 전압에서 전기 분해가 작동될 수 있으며, 전류 밀도가 증가할 때 전압의 증가가 매우 작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애노드에서 염소가 발생하고 캐소드에서 산소가 소비되고 수산화 나트륨 용액이 생성되는 염화 나트륨 용액의 전기분해는 2.5 V미만의 전압으로 4 kA/㎡의 전류 밀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전극은 기체가 기체 측에서 액체 공간으로, 역으로,액체가 기체 공간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박판형 구조물의 재료를 위한 바람직한 건조 분말 혼합물은 결합제,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와 같은 중합체,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말 혼합물의 성분 중의 하나로 탄소 또는 탄소-함유 화합물도 가능하다. 분말 혼합물은 또한 첨가제, 예를 들면, 특히 공극 형성제로 작용하는 중탄산 암모늄을 함유한다.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은, 예를 들어, 촉매를 형성하는 금속의 비금속성 화합물 또는 금속 및 촉매를 형성하는 금속의 비금속성 화합물의 혼합물로 구성될 것이다. 다른 금속의 혼합물 또는 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귀금속을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산화 은(I) 또는 산화 은(I) 및 은 금속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촉매로서 사용된다. 디네온 (DYNEON)에서 나온 테프론 (Teflon) 분말, 유형 2053이 바람직하게 결합제로 사용된다. 결합제 및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의 혼합물은, 예를 들면, DE-A 2 941 774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비터 나이프 (beater knives)가 있는 고속 밀을 사용하여 밀링될 수 있다. 분말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H2O 0.5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H2O 0.3 중량% 이하이다.
분말 혼합물의 압연은, 상기 박판형 구조물의 제조 또는 분말의 압축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상용하는 롤 쉘 (shell)을 사용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개별의 롤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롤은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롤 표면은 분말 혼합물이 여전히 균일한 속도로 끌어질 수 있는 조도를 가져야 한다. 균일한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롤의 표면 조도는 분말 혼합물의 성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매끄러운 롤 표면, 다시 말하면 거친 구조를 가지지 않은 표면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Ra 넘버 (Ra number)로 측정된 롤의 표면 조도는 바람직하게는 0.05 ㎛ 내지 1.5 ㎛이다.
분말 혼합물의 끌기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외의 파라미터는, 분말 혼합물 자체의 성질 이외에도, 예를 들면, 롤 또는 롤 닙 세트의 속도 또는 다수의 파라미터의 조합이 있다.
건조 분말 혼합물의 압연은 두 롤 사이의 간격이 특정한 수치, 예를 들면 0.2 mm로 압연 공정 전에 조절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롤 닙 세트는, 제조된 박판형 구조물이 0.05 내지 0.7 mm의 두께를 갖도록 분말 성질, 롤의 표면 조도, 롤의 속도 및 롤의 직경에 따라서 선택되어야 한다. 박판형 구조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6 mm이다. 분말 및 분말 성질에 의존하여, 박판형 구조물의 상기 두께를 얻기 위한 롤 닙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30 mm, 상세하게는 0.005 내지 0.2 mm이다. 그 후, 건조 분말 혼합물은 롤 닙으로 계량되고, 롤은 분말을 끌어 들이고, 그것을 박판형 구조물로 압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체력이 압연 공정 중에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끌어 들여진 분말 재료의 양과 성질에 따라서, 미리 조절된 롤 닙은 분말 재료를 끌어들일 때 약간 팽창하고 압연 공정 중에 약간 변화한다. 롤 닙은 ±0.05 내지 ±0.2 mm의 범위로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롤을 잡고 있는 베어링의 베어링 움직임이 작은 경우, 예를 들면, 사용된 베어링이 바람직하게는 0.06 mm보다 작은 베어링 움직임과 50 ㎛ 보다 작은 러닝 정확성을 가진 경우 및 롤이 바람직하게는극도로 높은 정밀도가 보장되는 생산 계열에서 유래된 경우에 유리하다. 이는 그것들이 롤 닙에 영향을 미친다면, 사용된 베어링과 베어링 블록 (bearing blocks)의 베어링 움직임 뿐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이 롤 스탠드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도 역시 적용된다.
만일 박판형 구조물이 전기 전도 지지체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연결되었다면, 한편으로는 박판형 구조물이 지지체에 매우 단단하게 연결되어서 지지체에 저항성이 낮게 접촉되어 있고 그것으로부터 더이상 분리될 수 없으며, 한편으로는 박판형 구조물의 공극 시스템이 파괴되지 않으므로, 충분한 전기화학적 활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전기 전도 지지체는, 예를 들면, 금속 네트, 금속 부직포, 금속 직물 또는 금속 폼 (foam)이다. 철판망 (expanded metal)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니켈 또는 니켈-도금의 금속 화합물 또는 비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탄소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는 전류 분배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박판형 구조물을 전기 전도 지지체에 적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압착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압연이 기체 확산 전극이 연속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힘이 균일하게 분배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압연 중에 적용되는 힘은 지지체에 좌우된다. 금속 네트의 메쉬 크기가 크고 금속 와이어의 두께가 작을 수록, 작은 힘이 필요하다. 동일한 것이 철판 망에 적용되고, 거기서 요구되는 힘은 메쉬 크기와 메쉬 폭이 증가하고 웹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서 감소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전기 전도 지지체는 특히 기체 확산 전극의 기계적인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기계적으로 및 전기 전도 방법으로 기체-투과성 금속 기저판에 연결된다. 기저판은 특히 니켈 또는 니켈 합금, 예를 들어 니켈-은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반응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오리피스 (orifice), 예를 들면 슬롯 (slot) 또는 홀 (hole)을 가지고 있다. 지지체 또는 기저판이 장치된 지지체가 보다 안정할수록, 압연 공정 중에 변형되는 정도가 크다. 만일, 바람직하게는, 두 롤에 대해 다른 원주 속도를 선택한다면, 변형을 피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압연 공정 중의 박판형 구조물 및/또는 전기 전도 촉매 지지체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이다. 이러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온도조절가능한 롤 쉘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롤 쉘은 냉각 또는 가열 매질의 통과를 위해서 비어 있다. 분말 압축은 마찰열에 의해서 분말을 가온하기 때문에 만일 롤이 압연 공정 중에 냉각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롤은 경우에 따라서는 작동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압연 공정을 시작할 때 가열되거나, 상승한 온도에서 온도조절될 수 있다. 롤 쉘이 고체 물질로 제조되었고 온도조절될 수 없다면, 압연될 분말 혼합물은 압연 공정 전에 목적 온도로 도달되어야 한다.
롤의 속도는, 분말이 롤에 의해서 균일하게 끌어 들여진다면,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롤의 원주 속도가 0.05 내지 19 m/분, 특히 0.1 내지 15 m/분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기체 확산 전극은 전기 분해 공정, 특히 염화 나트륨 수용액의 전기 분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기체 확산 전극을 위한 박판형 구조물은 클로르 알칼리 전기 분해에서 사용되었다. 애노드 공간과, 이온 교환 막으로 분리된 캐소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셀이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었다. 농도가 200 g/l이고 루테늄 옥시드-코팅된 티타늄 전극에서 반응하여 염소를 내는 염화 나트륨 용액이 애노드 공간에서 사용되었다. 캐소드 공간은 듀폰 (DuPont)에서 나온 양이온 교환 막, 나피온 (Nafion) (등록 상표) 982 유형에 의해서 애노드 공간과 분리되었다. 기체 확산 전극과 양이온 교환 막 사이에는 대략 32% 강도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이 펌핑 (pumping)에 의해서 순환되는 전해질 갭 (gap)이 있었다. 기체 확산 전극 뒤에는, 함량이 99.9%인 순수한 산소가 캐소드 반쪽 셀로 통과하였다. 애노드 면적, 막 면적 및 기체 확산 전극 면적은 각 100 ㎠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산화 은 (I) 및 PTFE의 중량비가 9:1인 혼합물을 IKA에서 나온, 유형 M20 고속 비터 밀 (high speed beater mill)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각 경우에 15초의 간격으로 밀링하였다. 이 혼합물은 형체력이 0.075 kN/cm에서 20 cm의 폭 위에 0.18 mm의 롤 닙을 가지고, 폭이 40 cm이고 직경이 13 cm인 두개의 롤 쉘을 포함하는, 웨젤 (Wetzel)에서 나온 롤 밀 상에서 압연하였다. 원주 속도는 1.35 m/분이고 롤 표면의 조도는 Ra 넘버가 25-30 ㎛이었다. 압연 공정 중의 온도는 22 ℃이었다. 얻어진 박판형 구조물은 두께가 1.1 mm이고 기계적으로 매우 불안정했다. 박판형구조물은, 니켈 와이어 두께가 0.14 mm이고 메쉬 크기가 0.5 mm인 니켈 네트인 기계적 지지체에 파손없이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는 불가능했다.
실시예 2 (비교예)
산화 은 (I) 및 PTFE의 중량비가 9:1인 혼합물을 IKA에서 나온, 유형 M20 고속 비터 밀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각 경우에 15초의 간격으로 밀링하였다. 이 혼합물은 형체력이 18 kN/cm에서 20 cm의 폭 위에 0.18 mm의 롤 닙을 가지고, 폭이 40 cm이고 직경이 13 cm인 두개의 롤 쉘을 포함하는, 웨젤에서 나온 롤 밀 상에서 압연하였다. 원주 속도는 1.35 m/분이고 롤 표면의 조도는 Ra 넘버가 25-30 ㎛이었다. 압연 공정 중의 온도는 22 ℃이었다. 얻어진 박판형 구조물은 두께가 0.19 mm이고 기계적으로 안정했다. 박판형 구조물은, 와이어 두께가 0.14 mm이고 메쉬 크기가 0.5 mm인 니켈 네트인 기계적 지지체에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었다. 전해 셀의 전압은 4 kA/㎡의 전류 밀도에서 2.45 V였다. 이 전압은 기술적인 용도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너무 높다.
실시예 3
산화 은 (I) 및 PTFE의 중량비가 9:1인 혼합물을 IKA에서 나온, 유형 M20 고속 비터 밀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각 경우에 15초의 간격으로 밀링하였다. 이 혼합물은 형체력이 1.0 kN/cm에서 20 cm의 폭 위에 0.13 mm의 롤 닙을 가지고, 폭이 20 cm이고 직경이 10.8 cm인 두개의 롤 쉘을 포함하는, 웨젤에서 나온 롤 밀 상에서 압연하였다. 원주 속도는 1.35 m/분이고 롤 표면의 조도는 Ra 넘버가 25-30 ㎛이었다. 압연 공정 중의 온도는 22 ℃이었다. 얻어진 박판형 구조물은 두께가 0.35 mm이고 기계적으로 안정했다. 박판형 구조물은, 와이어 두께가 0.14 mm이고 메쉬 크기가 0.5 mm인 니켈 네트인 기계적 지지체에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었다. 전해 셀의 전압은 4 kA/㎡의 전류 밀도에서 2.35 V였다.
실시예 4
산화 은 (I) 및 PTFE의 중량비가 9:1인 혼합물을 IKA에서 나온, 유형 M20 고속 비터 밀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각 경우에 15초의 간격으로 밀링하였다. 이 혼합물은 형체력이 0.5 kN/cm에서 15 cm의 폭 위에 0 mm의 롤 닙을 가지고, 폭이 40 cm이고 직경이 10.8 cm인 두개의 롤 쉘을 포함하는, 자체-설계한 롤 밀상에서 압연하였다. 원주 속도는 1.35 m/분이고 롤 표면의 조도는 Ra 넘버가 25-30 ㎛이었다. 압연 공정 중의 온도는 22 ℃이었다. 얻어진 박판형 구조물은 두께가 0.35 mm이고 기계적으로 안정했다. 박판형 구조물은, 와이어 두께가 0.14 mm이고 메쉬 크기가 0.5 mm인 니켈 네트인 기계적 지지체에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었다. 전해 셀의 전압은 4 kA/㎡의 전류 밀도에서 2.15 V였다.
실시예 5
산화 은 (I) 및 PTFE의 중량비가 9:1인 혼합물을 IKA에서 나온, 유형 M20 고속 비터 밀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각 경우에 15초의 간격으로 밀링하였다. 이 혼합물은 30 cm의 폭 위에 롤 닙이 0 mm이고 형체력이 0.5 kN/cm에서 폭이 40 cm이고 직경이 10.8 cm인 두개의 롤 쉘을 포함하는, 웨젤에서 나온 롤 밀 상에서 압연하였다. 원주 속도는 1.35 m/분이고 롤 표면의 조도는 Ra 넘버가 25-30 ㎛이었다. 압연 공정 중의 온도는 22 ℃이었다. 얻어진 박판형 구조물은 두께가 0.42 mm이고 기계적으로 안정했다. 박판형 구조물은 상기 롤 밀에서 메쉬 크기가 0.5 mm이고 와이어 두께가 0.14 mm인 니켈 네트에 압연되어, 얻어진 닙 힘이 1 kN/cm가 되었다. 원주 속도는 1.3 m/분이었다. 전해 셀의 전압은 4 kA/㎡의 전류 밀도에서 2.28 V였다.

Claims (11)

  1. 먼저 1종 이상의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분말 혼합물을 한 쌍의 롤에 의해 압연하여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하고, 그 후 박판형 구조물을 한 쌍의 롤에 의해 압연시켜 전기 전도 촉매 지지체에 연결하며, 롤의 형체력을 0.2 kN/cm 내지 15 kN/cm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전해 셀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 방법.
  2. 먼저 1종 이상의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분말 혼합물을 한쌍의 롤에 의해 압연하여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하고, 그 후 박판형 구조물을 한 쌍의 롤에 의해 압연시켜 전기 전도 촉매 지지체에 연결하며, 롤의 직경이, 서로 독립적으로, 8 cm 이상이고 15 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제1항에 따른, 특히 전해 셀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 방법.
  3. 먼저 1종 이상의 촉매 또는 촉매 혼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분말 혼합물을 한쌍의 롤에 의해 압연하여 박판형 구조물을 제조하고, 그 후 박판형 구조물을 한 쌍의 롤에 의해 압연시켜 전기 전도 촉매 지지체에 연결하며, 박판형 구조물이 압연에 의해 촉매 지지체에 적용되고, 0.1 kN/cm 내지 2 kN/cm의 닙 힘으로 압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특히 전해 셀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체 확산 전극의 제조 방법.
  4.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 혼합물의 압연 중의 롤의 형체력이 0.2 kN/cm 내지 10 kN/cm, 바람직하게는 0.2 kN/cm 내지 5 kN/c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kN/cm 내지 2 k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의 직경이, 서로 독립적으로, 8 cm이상 내지 13 cm 이하, 특히 11 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 혼합물의 압연 중에 롤의 원주 속도가, 서로 독립적으로, 0.05 m/분 내지 19 m/분, 바람직하게는 0.1 m/분 내지 15 m/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판형 구조물을 지지체에 연결하는 중에 롤의 원주 속도가, 서로 독립적으로, 0.1 m/분 내지 12 m/분, 바람직하게는 0.8 m/분 내지 2 m/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판형 구조물이 0.05 mm 내지 0.7 mm, 바람직하게는 0.15 mm 내지 0.6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연 공정 중의 박판형 구조물 및/또는 촉매 지지체의 온도가 5 ℃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이, 서로 독립적으로, 0.05 ㎛ 내지 1.5 ㎛의 표면 조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 촉매 지지체가 기체-투과성의 금속 기저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04773A 2001-10-02 2002-09-19 기체 확산 전극 제조 방법 KR20040040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8599A DE10148599A1 (de) 2001-10-02 2001-10-02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aus trockenen Pulvermischungen mittels Walzen
DE10148599.9 2001-10-02
PCT/EP2002/010493 WO2003032417A2 (de) 2001-10-02 2002-09-19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483A true KR20040040483A (ko) 2004-05-12

Family

ID=770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773A KR20040040483A (ko) 2001-10-02 2002-09-19 기체 확산 전극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38408B2 (ko)
EP (1) EP1446849B1 (ko)
JP (1) JP4498738B2 (ko)
KR (1) KR20040040483A (ko)
CN (1) CN1269246C (ko)
AU (1) AU2002329279A1 (ko)
BR (1) BR0213008A (ko)
DE (1) DE10148599A1 (ko)
HU (1) HUP0401685A2 (ko)
PL (1) PL369434A1 (ko)
WO (1) WO200303241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303A (ko) 2015-05-12 2016-11-22 황태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7521A1 (de) * 2001-11-23 2003-06-05 Bayer Ag Behandlung der Walzen bei der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NO320029B1 (no) 2003-07-07 2005-10-10 Revolt Technology As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gassdiffusjonselektroder
JP4154315B2 (ja) * 2003-11-21 2008-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DE102005023615A1 (de) 2005-05-21 2006-11-23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DE102010024053A1 (de) * 2010-06-16 2011-12-22 Bayer Materialscience Ag Sauerstoffverzehrelektr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10030203A1 (de) 2010-06-17 2011-12-22 Bayer Materialscience Ag Gasdiffusionselektr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10042004A1 (de) * 2010-10-05 2012-04-05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ansport- und lagerstabilen Sauerstoffverzehrelektroden
DE102010042730A1 (de) * 2010-10-21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Sauerstoffverzehrelektrode
DE102010042729A1 (de) 2010-10-21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Sauerstoffverzehrkath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11005454A1 (de) * 2011-03-11 2012-09-13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auerstoffverzehrelektroden
EP2573210B1 (de) * 2011-09-23 2016-10-26 Covestro Deutschland AG Sauerstoffverzehrelektr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EP2573213B1 (de) * 2011-09-23 2017-10-25 Covestro Deutschland AG Sauerstoffverzehrelektro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808512B2 (en) 2013-01-22 2014-08-19 GTA, Inc. Electrolyze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it
US9222178B2 (en) 2013-01-22 2015-12-29 GTA, Inc. Electrolyzer
JP2015025174A (ja) * 2013-07-26 2015-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水電解用の多孔質導電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機能水生成器
JP2015050023A (ja) * 2013-08-30 2015-03-16 東芝燃料電池システム株式会社 燃料電池触媒層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触媒層の製造装置
JP6277490B2 (ja) 2014-02-10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塗膜物の製造装置
DE102015215309A1 (de) 2015-08-11 2017-02-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äparationstechnik von kohlenwasserstoffselektiven Gasdiffusionselektroden basierend auf Cu-haltigen-Katalysatoren
DE102017204096A1 (de) 2017-03-13 2018-09-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mit Ionentransport-Harzen zur elektrochemischen Reduktion von CO2 zu chemischen Wertstoffen
DE102017208220A1 (de) * 2017-05-16 2018-11-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rockenfilms sowie Trockenfilm und mit dem Trockenfilm beschichtetes Substrat
EP3418429A1 (de) 2017-06-21 2018-12-26 Covestro Deutschland AG Gasdiffusionselektrode zur reduktion von kohlendioxid
CN110869537A (zh) 2017-07-03 2020-03-06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制备碳酸芳基烷基酯或碳酸二芳基酯的电化学方法
KR20200026916A (ko) 2017-07-03 2020-03-11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디아릴 카르보네이트를 합성하기 위한 전기화학적 방법
DE102018210458A1 (de) 2018-06-27 2020-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diffusionselektrode zur Kohlendioxid-Verwert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Elektrolysezelle mit Gasdiffusionselektrod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08623A (en) * 1972-02-11 1977-04-19 Gould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an electrode
DE2812040C2 (de) * 1978-03-20 1985-02-28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uftsauerstoffelektrode
US4350608A (en) * 1978-04-24 1982-09-21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Oxygen cathode for alkali-halide electrolysis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941774C2 (de) 1979-10-16 1985-03-21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gebundenen Aktivkohleschicht für dünne Gasdiffusionselektroden
FR2468218A1 (fr) * 1979-10-18 1981-04-30 Alsthom Cgee Procede de fabrication par calandrage de bandes minces poreuses et produits obtenus, notamment electrodes pour piles a combustible
JPS56142881A (en) * 1980-04-04 1981-11-07 Asahi Glass Co Ltd Preparation of cathode for preparing alkali hydroxide
US4339325A (en) * 1980-10-31 1982-07-13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One pass process for forming electrode backing sheet
US4529672A (en) * 1983-03-29 1985-07-16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electrochemical electrodes and electrodes made thereby
DE3342969A1 (de) * 1983-11-28 1985-06-05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Poroese gaselektrode
JPS6122570A (ja) * 1984-07-09 1986-01-31 Toshiba Corp 空気電極の製造方法
JPS6293388A (ja) * 1985-10-17 1987-04-28 Asahi Glass Co Ltd 電解槽
DE3710168A1 (de) * 1987-03-27 1988-10-13 Varta Batter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gebundenen gasdiffusionselektrode mit metallischen elektrokatalysatoren
DE3722019A1 (de) 1987-07-03 1989-01-12 Varta Batter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gebundenen gasdiffusionselektrode, die einen manganoxidkatalysator der ueberwiegenden zusammensetzung mno(pfeil abwaerts)2(pfeil abwaerts)o(pfeil abwaerts)3(pfeil abwaerts)* x mn(pfeil abwaerts)5(pfeil abwaerts)o(pfeil abwaerts)8(pfeil abwaerts) enthaelt
JPH07249415A (ja) * 1994-03-10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亜鉛電池用触媒層の製造法
KR100201572B1 (ko) * 1997-04-18 1999-06-15 최수현 코팅 및 롤링의 혼합법에 의한 연료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US6203940B1 (en) * 1998-03-06 2001-03-20 Rayovac Corporation Tubular air depolarized cell
JP3002974B2 (ja) * 1998-05-20 2000-01-24 長一 古屋 ガス拡散電極の製造方法
US6368365B1 (en) * 2000-03-23 2002-04-09 The Gillette Company Method of making a battery
US6780388B2 (en) * 2000-05-31 2004-08-24 Showa Denko K.K. Electrically conducting fine carbon composite powder, catalyst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battery and fuel battery
US6627035B2 (en) * 2001-01-24 2003-09-30 Gas Technology Institute Gas diffusion electrode manufacture and MEA fabrication
DE10157521A1 (de) * 2001-11-23 2003-06-05 Bayer Ag Behandlung der Walzen bei der Herstellung von Gasdiffusionselektrod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303A (ko) 2015-05-12 2016-11-22 황태호 골프용 자세보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5065A (zh) 2005-01-12
JP2005505692A (ja) 2005-02-24
WO2003032417A2 (de) 2003-04-17
AU2002329279A1 (en) 2003-04-22
WO2003032417A3 (de) 2004-03-25
CN1269246C (zh) 2006-08-09
BR0213008A (pt) 2004-10-05
HUP0401685A2 (hu) 2005-02-28
PL369434A1 (en) 2005-04-18
EP1446849B1 (de) 2016-11-02
DE10148599A1 (de) 2003-04-10
US6838408B2 (en) 2005-01-04
JP4498738B2 (ja) 2010-07-07
US20040182695A1 (en) 2004-09-23
EP1446849A2 (de)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0483A (ko) 기체 확산 전극 제조 방법
JP7101690B2 (ja) 流通電極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流通電極ユニットの製造方法、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システムの動作方法
EP2548246B1 (en) Gas diffusion electrode, method of producing sam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US4551220A (en) Gas diffusion electrode material
JP6125144B2 (ja) ガス拡散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654626C (en) Process for produc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JP3549241B2 (ja) 高分子固体電解質燃料電池用電極及びそれと高分子固体電解質との接合体
US4585711A (en) Hydrogen electrode for a fuel cell
CZ195998A3 (cs) Kontinuální způsob výroby membránových elektrodových spojení
WO2001028011A1 (en) Electrochemical electrode for fuel cell
WO2020158719A1 (ja) 電極付きアルカリ水電解用隔膜、その製造方法、及び水電解装置
RU229045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азодиффузионных электродов
JP2018115393A (ja) 改良されたガス拡散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213889A1 (en)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with efficient gas handling properties
KR20170029570A (ko)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US20130078537A1 (en) Oxygen-consuming electrod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20090032179A1 (en) Process for produc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KR20070046074A (ko) Co₂함유성 공기에 사용하기 위한 은 기체 확산 전극 및그 제조 방법
JPH0248632B2 (ko)
Abdelkareem et al. Effect of the ratio carbon nanofiber/carbon black in the anodic microporous layer on the performance of passive direct methanol fuel cell
Tomida et al. Spongy Raney nickel hydrogen electrodes for alkaline fuel cells
US20040076753A1 (en) Impregnation of porous substrates
US20240076787A1 (en) Gas diffusion electrode suitable for use in carbon dioxide electrolyzer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aramia et al. Anodic deposition of compact, freely-standing or microporous polypyrrole films from aqueous methanesulphonic acid
Strub et al. Summary of the Relevant Discu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