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39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399A
KR20040039399A KR10-2004-7004211A KR20047004211A KR20040039399A KR 20040039399 A KR20040039399 A KR 20040039399A KR 20047004211 A KR20047004211 A KR 20047004211A KR 20040039399 A KR20040039399 A KR 2004003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ar
pulley
elevator apparatus
maintenanc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349B1 (ko
Inventor
야스에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6Maintenance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카실은 카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카실 본체와, 카실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를 소유하고 있다. 천정부는 카실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위치와, 카실 본체내에서 통상 운전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보수작업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종래 승강로내의 상부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상에 작업원이 올라가서 보수점검작업이 실시된다. 따라서, 승강로내의 상부에는 보수점검작업을 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고, 그 스페이스분 만큼 승강로의 상부 극간치수(오버헤드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즉, 카상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가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성스페이스화의 방해가 되고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 2001-106459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에 점검도어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점검도어를 열어줌으로써 승강로내의 기기가 카 실내에서 보수점검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에 점검도어를 설치하기 위해 카실내의 의장성이 저하해 버린다.
또, 점검도어에 대향한 기기에 대해서만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범위가 좁다.
또,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기기에 대해 작업하기 위해서는 점검도어를 여러개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의장성은 더욱 저하해 버린다.
또, 승강로내의 최상부 근방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카실벽의 상부에 점검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발판 등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승강로내의 기기에 대해 카상에서 용이하게 보수점검을 할 수가 있고, 또 카실내의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승강로의 오버헤드치수를 축소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카실 본체와 카실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를 소유하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실을 구비하고, 천정부는 카실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위치와 카실 본체내에서 통상 운전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보수작업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에 설치된 기기의 보수점검작업을 카상에서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반입 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점검 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 및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 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에는 지지부재(6)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6)에는 카(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7)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장치(7)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8)와 구동장치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9)를 소유하고 있다.
구동시브(9)에는 여러개의 주삭(10)이 감겨져 있다. 카(4) 및 균형추(5)는 주삭(10)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카(4)의 하단부에는 주삭(10)이 감겨진 한쌍의 카매다는 차륜(11)이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단부에는 주삭(10)이 감겨진 균형추 매다는 차륜(12)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카 가이드레일(2)의 상단부에는 제1의 로프고정부(13)가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 근방에는 제2의 로프고정부(14)가 고정되어 있다. 주삭(10)은 제1의 로프고정부(13)에 접속된 제1의 단부(10a)와 제2의 로프고정부(14)에 접속된 제2의 단부(10b)를 가지고 있다.
또, 주삭(10)은 제1의 단부(10a)로부터 카 매다는 차륜(11), 구동시브(9) 및 균형추 매다는 차륜(12)의 순으로 감겨 제2의 단부(10b)에 이르고 있다.
다른쪽의 카 가이드레일(2)의 상단부에는 구동장치(7)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5)이 고정되어 있다.
카(4)는 카틀(도시않음)과 이 카틀에 지지되어 있는 카실(16)을 가지고 있다. 카실(16)은 카 출입구(17a)가 설치되어 있는 카실 본체(17)와, 카실 본체(17)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18)와, 카 출입구(17a)를 개폐하는 카의 도어 (19)와, 카의 도어(19)를 지지하고 개폐구동하는 도어장치(20)를 가지고 있다.
또, 카실 본체(17)는 카바닥(저면), 전면, 후면, 좌즉면 및 우측면을 가지고 있다. 카 출입구(17a)는 카실 본체(17)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천정부(18)는 카실 본체(17)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위치(도 1)와, 카실 본체(17)내에서 통상 운전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보수작업위치(도 2)와의 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천정부(18)는 작업바닥면을 겸하고 있다. 또, 보수작업위치의 높이는 작업원의 신장이나 작업대상의 기기(구동장치(7) 및 제어반(15) 등)의 높이 등에 따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반입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18)는 카실 본체(17)내에서 보수작업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반입위치까지 하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천정부(18)를 반입위치까지 내림으로써 승차장과 천정부(18)상과의 사이의 이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반입위치의 높이도 작업원의 이동이나 공구의 반입, 반출에 용이한 높이로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천정부(18)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카실 본체 (17)의 상단부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회전이 자유로운 제1 내지 제4의 카실 본체풀리(21 ~ 24)가 배치되어 있다.
천정부(18)상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회전이 자유로운 제1 내지 제4의 천정부 풀리(25 ~ 28)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의 카실 본체 풀리(21 ~ 24) 및 제1 내지 제4의 천정부 풀리(25 ~ 28)에는 와이어로프(29)가 감겨져 있다.
천정부(18) 상부에는 와이어로프(29)를 감아주는 감는장치(30)가 탑재되어 있다. 감는장치(30)에는 와이어로프(29)의 감기, 풀어주기를 수동으로 실시하기 위한 핸들(3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천정부(18) 상부에는 와이어로프(19)를 감는장치(30)에 유도하는 제1 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32a),(32b)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로프(29)는 그 일단부에서 제1의 방향전환풀리(32a), 제1의 천정부 풀리(25), 제1의 카실 본체 풀리(21), 제2의 카실 본체 풀리(22), 제2의 천정부 풀리 (26), 제3의 천정부 풀리(27), 제3의 카실 본체 풀리(23), 제4의 카실 본체 풀리 (24), 제4의 천정부 풀리(28) 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32b)의 순으로 감기고, 양단부가 감는장치(30)와 감겨져 있다.
천정부(18)는 감는장치(30)에서 와이어로프(29)를 풀어줌으로써 하강되어 감는장치(30)에 와이어로프(29)를 감아줌으로써 상승된다.
카실 본체(17)의 내벽면에 대향하는 천정부(18)의 단면에는 천정부(18)의 상하이동에 의해 내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보호부재(33)로는 예를들면 벨트 등의 천 또는 카실 본체(17)의 내벽면을 따라 전동되는 롤러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천정부(18)에는 조명기구나 환기장치 등의 다수의 전기기기(도시 않음)가 지지되어 있다. 이들의 전기기기에는 급전 및 제어용의 전기배선(도시 않음)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기배선에는 천정부(18)가 통상 운전위치에 위치할 때에 접속되고, 천정부(18)가 보수작업위치에 위치할 때에 분리되는 커넥터부(도시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조합 등도 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천정부(18)는 통상 운전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보수점검시에는 천정부(18)상에 작업원이 올라타고, 감는장치(30)를 수동조작함으로써 천정부(18)가 보수작업위치까지 하강된다.
그후 카(4)가 최상층까지 이동된다.
이때, 기구나 공구를 반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천정부(18)가 반입위치까지 하강되고, 승차장으로부터의 반입작업이 실시된 후 천정부(18)가 보수작업위치까지 상승된다.
이와 같은 반입작업은 최상층의 승차장에서 실시해도 다른층의 승차장에서 실시해도 된다.
이후, 천정부(18)상의 작업원에 의해 구동장치(7) 및 제어반(15) 등의 기기에 대한 보수점검작업이 실시된다. 작업종료후는 상기한 역의 순서에 의해 천정부 (18)가 통상 운전위치에 되돌려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천정부(18)가 통상 운전위치와 보수작업위치 사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내의 기기에 대해 카 (4)상에서 용이하게 보수점검작업을 할 수가 있고, 또 카실(16)내의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승강로(1)의 오버해드치수를 축소할 수가 있다. 또, 카실(16)내에 작업대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도 없다.
또, 천정부(18) 전체가 상하이동하도록 하면 카실(16)내에서 본 천정부(18)의 의장에 제약을 받는 일도 없다.
또, 천정부(18)는 카실 본체(17)내에서 보수작업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한 반입위치까지 하강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승차장과 천정부(18) 사이에서의 작업원의 이동이나 공구의 반입,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천정부(18)는 와이어로프(29)에 의해 매달려 있고, 와이어로프(29)를 감는 감는장치(30)에 의해 상하이동되므로 카실(16)내의 의장에 영향이 없이 간단한 구조로 천정부(18)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정지보존할 수가 있다.
또, 천정부(18)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고, 작업에 적합한 위치에 천정부(18)를 정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카실 본체(17)의 내벽면에 대향하는 천정부(18)의 단면에는 보호부재 (3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천정부(18)를 원활하게 상하이동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천정부(18)와의 접촉에 의해 카실 본체(17)의 내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있다.
또, 천정부(18)에 설치된 전기기기에 접속된 전기배선에는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기배선을 길게 할 필요없이 천정부(18)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가 있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카(4)상에서 승강로(1)내의 기기를 보수점검할 때에는 통상 천정부(18)에 탑재된 전기기기를 사용하는 일은 없으므로 보수점검 작업시에 커넥터부를 분리해도 하등의 문제는 없다.
또, 카실 본체(17)의 상단부의 네 귀퉁이에 제1 내지 제4의 카실 본체 풀리 (21 ~ 24)를 배치하고, 천정부(18)상의 네 귀퉁이에 제1 내지 제4의 천정부 풀리 (25 ~ 28)을 배치하였으므로 천정부(18)를 안정하게 상하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수동조작되는 감는장치(30)를 사용하였으므로 감는장치(30)에 전기배선을 접속할 필요가 없고, 상하이동하는 천정부(18)상에 감는장치(30)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는 와이어로프(29)를 감는 전동의 감는장치(34)가 도어장치(20)상에 탑재되어 있다. 감는장치(34)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소유하고,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와이어로프(29)의 감기, 풀어주기를 한다.
와이어로프(29)는 그 일단부에서 제2의 카실 본체 풀리(23), 제3의 천정부 풀리(27), 제2의 천정부 풀리(26), 제2의 카실 본체 풀리(22), 제1의 카실 본체 풀리(21), 제1의 천정부 풀리(25), 제4의 천정부 풀리(28) 및 제4의 카실 본체 풀리 (24)의 순으로 감겨지고, 양단부가 감는장치(34)에 감겨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천정부(18)상이 아니고, 카실 본체(17)에 대해 고정된 도어장치(20)상에 감는장치(34)를 탑재하였으므로 전원의 공급이 쉽고, 전동에 의해 천정부(18)를 상하이동시킬 수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카(4)는 카실(16)의 카실(16)을 지지하는 카틀(35)을 소유하고 있다. 카틀(35)은 카실(16)의 위쪽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위보(36)와 카실(16)의 아래에 배치되고, 카실(16)이 올려 놓아진 아래보(도시않음)와, 카실(16)의 양쪽에서 위보(36)와 아래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세로틀(도시않음)을 가지고 있다.
위보(36)의 일단부에는 제1 및 제4의 위보풀리(37),(40)가 탑재되어 있다.
위보(36)의 타단부에는 제2 및 제3의 위보풀리(38),(39)가 탑재되어 있다.
와이어로프(29)는 그 일단부로부터 제1의 방향전환풀리(32a), 제1의 천정부 풀리(25), 제1의 위보풀리(37), 제2의 위보풀리(38), 제2의 천정부 풀리(26), 제3의 천정부 풀리(27), 제3의 위보풀리(39), 제4의 위보풀리(40), 제4의 천정부 풀리 (28) 및 제2의 방향전환풀리(32b)의 순으로 감기고, 양단부가 감는장치(30)에 감겨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4의 위보풀리(37 ~ 40)를 위보 (36)에 탑재하였으므로 카실 본체(17)에 풀리를 탑재하는 경우에 비해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천정부의 승강기구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는 위보(36)상에 감는장치(30)가 탑재되어 있다. 천정부(18)는 제1 및 제2의 와이어로프(41),(42)에 의해 매달려 있다.
제1의 와이어로프(41)는 그 일단부로부터 제2의 위보풀리(38), 제2의 천정부 풀리(26), 제3의 천정부 풀리(27) 및 제3의 위보풀리(39)의 순으로 감겨져 양단부가 감는장치(30)에 감겨져 있다.
한편, 제2의 와이어로프(42)는 그 일단부에서 제1의 위보풀리(37), 제1의 천정부 풀리(25), 제4의 천정부 풀리(28) 및 제4의 위보풀리(40)의 순으로 감겨져 양단부가 감는장치(30)에 감겨져 있다.
천정부(18)는 감는장치(30)로부터 제1 및 제2의 와이어로프(41),(42)를 동시에 풀어서 하강되고, 제1 및 제2의 감는장치(30)에 와이어로프(41),(42)를 동시에 감아줌으로써 상승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는장치(30)가 위보(36)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천정부를 매달았으나, 예를들면 벨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천정부를 매달아도 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천정부를 상하이동시켰으나, 예를들면 유압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천정부를 상하이동시켜도 된다.
또, 천정부가 통상 운전위치에 있을 때 천정부에 기계적으로 계합해서 천정부의 하강을 규제하는 록수단을 카실 본체와 천정부와의 사이에 설치해도 된다.
또, 충전식의 배터리를 천정부상에 배치해 둠으로써 감는장치 등의 천정부의 구동원을 천정부상에 배치하는 경우에 전동식의 구동원을 쉽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천정부가 통상 운전위치에 있을 때에 배터리가 충전되고,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해서 천정부가 상하이동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천정부의 전체가 상하이동되나, 천정부의 일부만을 상하이동가능으로 해도 된다.

Claims (3)

  1. 카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카실 본체와, 상기 카실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부를 소유하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실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써 상기 천정부는 상기 카실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통상 운전위치와, 상기 카실 본체내에서 상기 통상운전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보수작업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는 상기 카실 본체내에서 상기 보수작업위치 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반입위치까지 하강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에는 전기기기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기기기에 접속된 전기배선에는 상기 천정부가 상기 통상 운전위치에 위치 했을 때에 접속되고, 상기 천정부가 상기 보수작업위치에 위치 했을 때에 분리되는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04211A 2002-08-23 2002-08-23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72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8518 WO2004020322A1 (ja) 2002-08-23 2002-08-23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399A true KR20040039399A (ko) 2004-05-10
KR100572349B1 KR100572349B1 (ko) 2006-04-18

Family

ID=3197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211A KR100572349B1 (ko) 2002-08-23 2002-08-2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33265A4 (ko)
JP (1) JP4353898B2 (ko)
KR (1) KR100572349B1 (ko)
CN (1) CN1323921C (ko)
WO (1) WO2004020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10012A (en) * 2005-06-03 2007-03-16 Inventio Ag Lift cage with lowerable cage roof
DE502006007011D1 (de) * 2005-08-30 2010-07-08 Inventio A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Wartungs- und Inspektionsarbeiten an einer Aufzugsanlage
EP1760026B1 (de) * 2005-08-30 2010-05-26 Inventio A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Wartungs- und Inspektionsarbeiten an einer Aufzugsanlage
EP1760029A1 (de) * 2005-08-30 2007-03-07 Inventio Ag Aufzugskabine mit Wartungsplattform und Verfahren zur Wartung einer Aufzugsanlage
SE530278C2 (sv) * 2005-10-21 2008-04-15 Alimak Ab Säkringsanordning för en i en hiss ingående hissvagn
CH698910B1 (de) * 2006-12-20 2009-12-15 Henseler H Ag Liftkabine für reduzierte Liftschachtköpfe.
CH699369B1 (de) * 2006-12-20 2010-02-26 Henseler H Ag Liftkabine mit Wartungsfenster.
CH700501B1 (de) * 2007-09-17 2010-09-15 Henseler H Ag Liftkabine für reduzierte Liftschachtköpfe.
DE112015006696T5 (de) * 2015-07-15 2018-03-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vorrichtung
ES2865161T3 (es) * 2016-07-15 2021-10-15 Kone Corp Disposición de ascensor y ascensor
EP3309101B1 (en) 2016-10-17 2020-06-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hecking, maintaining and/or repairing an elevator system
WO2019043949A1 (ja) * 2017-09-04 2019-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の製造方法
EP3546412A1 (en) 2018-03-27 2019-10-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eiling access system
EP3560878B1 (en) * 2018-04-27 2020-10-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lay systems
EP3604197B1 (en) 2018-07-30 2022-05-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S2941919T3 (es) * 2019-11-26 2023-05-26 Otis Elevator Co Cabina de ascensor con asistencia mecánica para plataforma de trabajo
US11427441B2 (en) 2020-07-23 2022-08-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with foldable working platform
EP4303164A1 (en) 2022-07-04 2024-01-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with foldable working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973A (ja) * 1993-03-30 1994-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室天井装置
JPH06340386A (ja) * 1993-05-31 1994-12-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かご天井救出口蓋
JPH09263372A (ja)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かご天井昇降装置
US6691833B1 (en) * 1999-02-05 2004-02-17 Inventio Ag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JP2002020062A (ja) * 2000-07-07 2002-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DE10104351A1 (de) * 2001-02-01 2002-08-22 Ingenieurgesellschaft Foerder Aufzug mit auf der Aufzugskabine mitfahrender Antriebseinheit und Steue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3265A4 (en) 2011-03-30
WO2004020322A8 (ja) 2004-07-29
KR100572349B1 (ko) 2006-04-18
WO2004020322A1 (ja) 2004-03-11
CN1323921C (zh) 2007-07-04
JP4353898B2 (ja) 2009-10-28
EP1533265A1 (en) 2005-05-25
JPWO2004020322A1 (ja) 2005-12-15
CN1568280A (zh)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3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AU2013201162B2 (en) A method and an elevator arrangement
KR10041574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AU1491800A (en) Machine-room-less elevator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43234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4829288A (zh) 电梯装置和方法
JP200005334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EP422898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guide rail installation apparatus, guide rail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guide rail of an elevator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3201074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WO2022230140A1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昇降行程延伸方法
US11993484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11890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10011023A (ko)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WO2024003438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