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280A -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280A
KR20040037280A KR10-2004-7000364A KR20047000364A KR20040037280A KR 20040037280 A KR20040037280 A KR 20040037280A KR 20047000364 A KR20047000364 A KR 20047000364A KR 20040037280 A KR20040037280 A KR 2004003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housing
relay cable
connector
ce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란키요히코
수야마타카시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9Electrical connectors with grounding to metal mounting pane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입력 및/또는 출력을 위한 회로기판(3), 및 도전성 보디(9)를 갖는 전자기기(1)내에 배치되는 전송장치(A)가 제공된다. 전송장치(A)는 제1 및 제2단부(7a,7b)를 갖는 중계케이블(7)을 구비한다. 중계케이블(7)의 제1단부(7a)는 회로기판(3)에 접속된다. 중계케이블의 제2단부(7b)에 상기 보디(9)의 이면(9a)에 부착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11)가 설치된다. 중계케이블(7)로부터의 복사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셉터클형 커넥터(11)의 금속셀이 보디(9)에 접지된다.

Description

전송장치{TRANSMISSION APPARATUS}
디지털 동화상데이터와 같이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는 고속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으므로, 최근, 리얼타임전송의 기능을 갖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고속 시리얼버스 규격 IEEE1394(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에 준거한 케이블이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수상기 등의 AV(Audio-Visual)기기에 있어서는, 기기의 전면 및 후면의 각각에 리셉터클형 커넥터가 배치되고, 이들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대해서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에 접속되어 있는 대응하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기기내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각에 I/O(input-output)기판을 설치하고, 각 기판에 전면 및 후면의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각각 장비한다고 하면,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그래서, 기판을 기기내의 후방부에만 배치하고, 이 후방부의 기판으로부터, 전면에 배치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까지를 중계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 경우, 중계케이블로부터 복사되는 노이즈가 기기내의 부품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중계케이블의 실드선을 기판의 그라운드라인에 접속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 기판의 그라운드라인에 노이즈가 복사되어, 기판내에서의 각 라인의 임피던스의 매칭이 붕괴될 우려가 있다.
화상형성을 행하는 게임기기 등에 있어서, 기기내에 배치되는 I/O기판으로부터 리셉터클형 커넥터까지를 중계케이블로 접속하는 경우에도, 동종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기내에서의 복사노이즈를 적게 할 수 있는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계케이블을 이용하는 전자기기내의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데이터전송에 이용되는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송장치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2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3은 커버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4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커넥터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5는 제1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6은 제2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7은 제3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8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셀이 전자기기의 보디에 접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송장치의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입력 및/또는 출력을 위한 회로기판, 및 도전성의 보디를 갖는 전자기기내에 배치되는 전송장치가, 제1 및 제2단부를 갖고, 제1단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중계케이블과, 상기 중계케이블의 제2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보디의 이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는 복수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의 금속셀을 포함하고, 상기 셀은 상기 보디에 접지된다.
본 형태에서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금속셀을 보디에 접지시키므로, 전자기기내의 부품에 영향을 주는 중계케이블로부터의 복사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노이즈를 전자기기에의 입구에서 차단시킬 수 있고, 또, 회로기판의 그라운드라인에의 영향도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송장치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1을 참조해서, 본 전송장치(A)는 전자기기(1)내의 후방부(2)의 회로기판(3)에 실장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4)와, 이 리셉터클형 커넥터(4)로부터기기(1)의 전방부(5)까지 연장되는 중계케이블유닛(6)을 구비한다.
중계케이블유닛(6)은 제1 및 제2단부(7a,7b)를 갖는 중계케이블(7)과, 중계케이블(7)의 제1단부(7a)에 설치되어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4)에 접속되는 플러그형 커넥터(8)와, 중계케이블(7)의 제2단부(7b)에 설치되어, 전자기기(1)의 전방부(5)에 있어서 전자기기(1)의 도전성 보디(9)의 외벽의 이면(9a)에 나사(10)를 이용해서 부착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11)를 구비한다.
리셉터클형 커넥터(11)는 전자기기(1)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로부터 대응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2)를 접속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속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리얼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IEEE1394 고속 시리얼버스 규격)에 준거한 전송이 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전자기기(1)의 후방부(2)에 있는 회로기판(3)으로부터 전자기기(1)의 전방부(5)까지 연장되는 중계케이블유닛(6)의 리셉터클형 커넥터(11)를 전자기기(1)의 전방부(5)에 부착하고, 이 리셉터클형 커넥터(11)의 후술하는 도전성 셀(15)(도2참조)을 전자기기(1)의 전방부(5)의 보디(9)에 도통시켜서 접지를 확보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기기내 접속으로서의 중계케이블유닛(6)으로부터의 복사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자기기(1)내의 다른 부품으로의 악영향을 방지하도록 한 점에 있다.
도2를 참조해서, 리셉터클형 커넥터(11)는 복수의 컨택트(13)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커넥터하우징(14)과, 이 커넥터하우징(14)의 주위를 둘러싸는 도전성의 금속셀(15)과, 커넥터하우징(14) 및 셀(15)을 수용유지해서 전자기기(1)의 보디(9)(도8참조)의 이면에 부착되는 커버하우징(16)을 구비하고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해서, 커버하우징(16)은 한쌍의 분할하우징(16A,16B)을 조합해서 구성된다. 분할하우징(16A,16B)은 각각 홈통형상을 이루는 세로로 2등분된 주체부(51,52)와, 주체부(51,52)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플랜지(53,54)를 구비한다. 각 부착플랜지(53,54)에는 도8에 나타내듯이 보디(9)에의 부착용 나사(10)를 관통시키기 위한 나사관통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분할하우징(16B)의 부착플랜지(54)의 부착면(56)(보디(9)의 이면(9a)과 대향하는 면)에는 후술하는 접지용 탄성 설편(舌片)(32)이 보디(9)의 이면(9a)에 접촉해서 탄성변형할 때, 이 탄성 설편(32)을 수용하는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해서, 중계케이블(7)은 예를 들면 4극의 피복된 신호선(17)(도면에서는 2극만을 나타내고 있다)과, 이들 피복된 신호선(17)을 포위하는 예를 들면 망상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실드(18)와, 이 도전성 실드(18)를 포위하는 피복부(19)를 구비한다. 각 컨택트(13)의 후단의 리드부(13a)와 중계케이블(7)의 대응하는 신호선(17)의 표면이 벗겨진 단부가 납땜부(20)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2 및 커버하우징(16)을 분리한 상태의 서브어셈블리(SA)의 사시도인 도3을 참조해서, 상기 셀(15)은, 각각 판금에 의해 형성되는 제1셀부재(21), 제2셀부재(22) 및 제3셀부재(23)에 의해 구성된다. 셀(15)전체로서의 주된 기능은 전자실드이지만, 각 부위를 구성하는 제1,제2 및 제3셀부재(21,22,23)마다 다른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각 셀부재(21,22,23)는 각각의 요구기능에 따른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셀부재(21)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착을 위한 배럴부(27)를 가지므로, 압착성이 우수한 황동이 이용된다. 제2셀부재(22)로서는 접지를 위한 탄성 설편(32)을 가지므로, 강도확보를 위해 스텐레스가 이용된다. 제3셀부재(23)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축부를 가지므로, 교축부형성에 적합한 연질의 강이 이용된다.
도5 및 도6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셀부재(21,22)는 홈형의 본체부(24,25)를 각각 포함하고, 도2에 나타내듯이, 이들 본체부(24,25)끼리가 서로 조합되어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공간(S)내에 상기 납땜부(20)가 수용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듯이,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의 전단에는 커넥터하우징(14)에 결합하는 하우징결합부(26)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의 후단에는 배럴부(27)가 형성된다. 배럴부(27)는 중계케이블(7)의 피복부(19)를 상기 피복부(19)상에 노출시키는 도전성 실드(18)와 함께 압착한다.
제1 및 제2셀부재(21,22)의 본체부(24,25)는 구획되는 상기 공간(S)을 중계케이블(7)의 연장되는 영역에 대해서 차폐하기 위한 전자실드용 벽부(28,29)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벽부(28,29)에는 신호선(17)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의 벽부(28)는 커버하우징(16A)의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수용부(30)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리셉터클형커넥터(11)로부터 중계케이블(7)을 뽑아내고자 하는 하중이 작용할 때, 이 하중이 제1셀부재(21)의 결합부로서의 벽부(28)를 통해서 분할하우징(16A)의 수용부(30)에 의해 수용되고, 그 결과, 납땜부(20)에 불필요한 인발하중이 미치게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2 및 도6을 참조해서, 제2셀부재(22)의 본체부(25)로부터 전방으로 제3셀부재(23)를 따르는 연장부(31)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31)의 선단은 커버하우징(16B)의 부착플랜지(54)의 외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선단에는 절곡형상의 탄성 설편(32)이 연장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내듯이, 탄성 설편(32)은 전자기기(1)의 보디(9)의 이면(9a)과 커버하우징(16)의 분할하우징(16B) 사이에 개재되어, 보디(9)의 이면(9a)에 압압접촉되어 확실한 접지가 달성된다.
연장부(31)를 통해 제1셀부재(21)와 제2셀부재(22) 사이의 도통이 확보됨과 아울러, 서로 조합되는 제1셀부재(21)와 제2셀부재(22) 사이의 도통도 확보되므로, 탄성 설편(32)을 통해 셀(15)전체가 보디(9)에 확실하게 접지되게 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해서, 리셉터클형 커넥터(11)는 대응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2)의 삽입볼록부(도시생략)를 삽입·분리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삽입오목부(33)를 가지고 있다. 삽입오목부(33)에의 삽입개구(34)는 제3셀부재(23)에 의해 구획되는 한편, 삽입오목부(33)의 내부는 커넥터하우징(14)의 제1,제2 및 제3벽부(36,37,38)(도4참조)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해서, 제2벽부(37,38)는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제1벽부(36)가 제2 및 제3벽부(37,38)의 단부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또, 커넥터하우징(14)은 제1벽부(36)에 평행한 중간벽부로서의 컨택트유지벽(39)을 가지고 있다. 컨택트유지벽(39)은 복수의 컨택트(13)를 옆으로 나란히 유지하고 있으며, 각 컨택트(13)의 후단의 리드(13a)가 커넥터하우징(14)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및 제3벽부(37,38)의 후방부로부터는 각 분할하우징(16A,16B)을 향해서 돌출하는 결합돌기(40,41)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돌기(40,41)는 도2에 나타내듯이, 커버하우징(16)의 대응하는 분할하우징(16A,16B)의 결합홈(42,43)에 결합함으로써, 커넥터하우징(14)이 커버하우징(16)에 대해서 중계케이블(7)이 연장하는 방향의 전후로 상대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제2 및 제3벽부(37,38)는 제1벽부(36)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1벽부(36)에 평행한 가장자리부(44)를 형성함으로써 단면이 앵글형을 이루고 있다. 또, 각 가장자리부(44)에 근접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2 또는 제3벽부(37,38)에도 근접하는 상태로, 제1벽부(3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획벽(45)이 형성되고, 각 구획벽(45)과 대응하는 벽부(37,38)와 그 가장자리부(44) 사이에 앵글형의 슬라이드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및 제3벽부(37,3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셀부재(23)의 하우징결합부로서의 돌조(84)와 관련되는 노치상의 결합홈(47)을 각각 가지며, 또 제1셀부재(21)를 상기 커넥터하우징(14)에 슬라이드장착할 때 가이드가 되는 안내홈(48)을 가지고 있다.
도5를 참조해서, 제1셀부재(21)의 홈형의 본체부(24)는 주벽부(60)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61,62)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측벽(61,62)에는 상기 제1셀부재(21)를 제2셀부재(22)와 조합할 때 이용되는 각 한쌍의 결합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6을 참조해서, 제2셀부재(22)의 홈형의 본체부(25)는 주벽부(64)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65,66)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측벽(65,66)은 제1셀부재(21)의 대응하는 측벽(61,62)의 외측면을 각각 따르도록 씌워진다. 또, 제2셀부재(22)의 본체부(25)의 한쌍의 측벽(65,66)에는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의 한쌍의 측벽(61,62)의 결합구멍(63)에 결합하는 탄성클로(67)가 내향으로 잘라 세워져 있다.
또, 제2셀부재(25)의 한쌍의 측벽(65,66)에는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외측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돌기(68)가 각 한쌍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 제2셀부재(22)의 본체부(25)를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에 씌워 가면, 각 탄성클로(67)가 대응하는 결합구멍(63)에 자동적으로 결합함과 아울러, 각 돌기(68)가 제1셀부재(21)의 대응하는 측벽(61,62)의 가장자리부에 결합한다. 돌기(68)의 결합에 의해, 도6에 있어서, 제2셀부재(22)의 하방(X1)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탄성클로(67)의 결합에 의해, 도6에 있어서, 제2셀부재(22)의 상방(X2) 및 전후방향(Y)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셀부재(21,22)가 도통을 확보하면서 강고하게 조합된다. 도6에 있어서, 도면부호 69는 각 측벽(65,66)에 형성된 내향의 돌기이며, 상기 돌기(69)는 리브형상을 이루어 강도향상에 기여한다.
다시 도5를 참조해서, 제1셀부재(21)의 하우징결합부(26)는커넥터하우징(14)의 제1,제2 및 제3벽부(36,37,38)와 협동해서 컨택트유지벽(39)을 둘러싸는 둘레벽부를 구성하는 주벽부(70)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71,72)을 가지고 홈형을 이루고 있다.
본체부(24)의 주벽부(60)와 하우징결합부(26)의 주벽부(70)사이에는 커버하우징(16)의 분할하우징(16A)의 스토퍼부(73)에 결합하는 결합단차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70)의 전단에는 삽입오목부(33)내에 삽입되는 플러그형 커넥터(12)의 삽입볼록부를 컨택트유지벽(39)측에 가압하기 위해 경사상으로 꺾여진 탄성돌기(7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주벽부(70)는 대응하는 측벽(71,72)의 아래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돌기(76)를 가지고 있다. 또, 주벽부(70)의 양측가장자리에는 돌기(76)와 결합단차부(74) 사이에서 측벽(61,62)과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기(7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측벽(71,72)의 전단가장자리에는 외측 뒤쪽방향으로 꺾여진 결합편(7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해서, 제1셀부재(21)의 하우징결합부(26)를 커넥터하우징(14)에 장착할 때에는 하우징결합부(26)를 커넥터하우징(14)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장착하지만, 이 때, 측벽(71,72) 및 돌기(76)가 커넥터하우징(14)의 슬라이드홈(46)내에 도입됨과 아울러, 결합편(78)이 커넥터하우징(14)의 안내홈(48)에 도입되어 슬라이드가 안내된다. 결합편(78)의 후단이 안내홈(48)의 가장 안쪽부에 접촉함으로써, 양자(14,21)의 슬라이드방향의 위치결정이 달성된다. 또, 이 때, 돌기(77)는 커넥터하우징(14)의 대응하는 결합돌기(40)의 내측면을 따르는 상태로 된다.
커넥터하우징(14)의 결합돌기(40), 제1셀부재(21)의 돌기(77) 및 제3셀부재(23)의 결합돌기(85)는 커버하우징(16)의 분할하우징(16A)의 결합홈(42)에 끼워지며, 마찬가지로 커넥터하우징(14)의 결합돌기(41) 및 제3셀부재(23)의 결합돌기(86)는 분할하우징(16B)의 결합홈(43)에 끼워진다(도2에서는 커넥터하우징(14)의 결합돌기(40,41)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7을 참조해서, 제3셀부재(23)는 리셉터클형 커넥터(11)의 삽입오목부(33)의 삽입개구(34)를 구획하는,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인 통형상부(34)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35)를 둘러싸도록 사각의 환형을 이루는 단차부(4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부(49)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제2 및 제3측벽(81,82, 및 83)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제2 및 제3측벽(82,83)은 내향으로 돌출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결합부로서의 돌조(84)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및 제3측벽(82,83)의 후단으로부터는 각 분할하우징(16A,16B)을 향해서 돌출하는 결합돌기(85,86)가 각각 연장되어 있다.
또, 제1측벽(81)의 후방부에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탄성편(87)이 잘라세워져 있다.
제3셀부재(23)는 커넥터하우징(14)의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장착되지만, 이때, 제2 및 제3측벽(82,83)의 돌조(84)가 커넥터하우징(14)의 결합홈(47)에 도입되고, 양자(23,14)의 상대슬라이드가 안내된다. 이 슬라이드의 종단에 있어서, 제3셀부재(23)의 단차부(49)의 후면이 커넥터하우징(14)의 각 벽부(36,38,38)의 전단에 접촉함과 아울러, 제3셀부재(23)의 제1측벽(81)의 탄성편(87)이 커넥터하우징(14)의 제1벽부(36)의 뒤가장자리에 결합함으로써, 양자(14,23)의 전후방향의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3셀부재(21,23)가 커넥터하우징(1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3셀부재(23)의 제1, 제2 및 제3측벽(81,82,83)과, 제1셀부재(21)의 하우징결합부(26)의 주벽부(70)가 박스형상을 이루어, 커넥터하우징(14)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어 실드효과를 높이고 있다.
중계케이블(7)의 단부에서 리셉터클형 커넥터(11)를 조립할 때에는 하기의 1)∼5)의 순서대로이다.
1)먼저, 커넥터하우징(14)에 유지된 각 컨택트(13)의 후단의 리드부(13a)에 중계케이블(7)의 대응하는 신호선(17)의 표면이 벗겨진 단부를 납땜하여 남땜부(20)를 형성한다.
2)계속해서, 커넥터하우징(14)에 제1셀부재(21)를 장착한 후, 제1셀부재(21)의 배럴부(27)에 의해, 중계케이블(7)의 피복부(19)를 상기 피복부(19)상에 노출시키는 도전성 실드(18)와 함께 압착한다.
3)계속해서, 제3셀부재(23)를 커넥터하우징(14)의 전방으로부터 장착한다.
4)계속해서, 제2셀부재(22)의 본체부(25)를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에조합함과 아울러, 제2셀부재(22)의 연장부(31)를 제3셀부재(23)의 제1측벽(81)을 따르게 함으로써, 제2셀부재(22)를 장착하여, 도3에 나타낸 서브어셈블리(SA)를 제작한다.
5)계속해서, 서브어셈블리(SA)를 양 분할하우징(16A,16B)의 주체부(51,52) 사이에 끼우는 상태로, 양 주체부(51,52)를 소켓·플러그식 끼워맞춤으로 끼워맞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자기기(1)내로의 입력의 입구가 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11)에 있어서, 그 금속셀(15)을 전자기기(1)의 보디(9)에 접지시키므로, 전자기기(1)내의 부품에 영향을 주는 중계케이블(7)로부터의 복사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노이즈를 전자기기(1)로의 입구에서 차단시킬 수 있고, 또, 회로기판(3)의 그라운드라인으로의 영향도 없다.
또, 중계케이블(7)의 인발하중을 셀(15)을 통해 커버하우징(16)에 의해 수용하므로, 중계케이블(7)의 신호선(17)의 납땜부(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셀(15)로서, 분할된 복수의 셀부재(21,22,23)를 서로 조합해서 박스형상으로 되도록 하므로,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실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커넥터하우징(14)에 각 셀부재(21,22,23)를 조합하기 전에 주위가 개방된 상태에서, 컨택트(13)와 대응하는 신호선(17)의 납땜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 납땜후에 중계케이블(7)의 피복부(19) 등을 제1셀부재(21)의 배럴부(27)에 압착할 때에도, 제2 및 제3셀부재(22,23)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중계케이블(7)을 처리하기 쉽고, 따라서, 중계케이블(7)을 제1셀부재(21)의 정확한 위치에압착시킬 수 있다.
또, 셀(15)을 제1,제2 및 제3셀부재(21,22,23)로 분할해서 구성하므로, 셀(15)의 각 부위를 구성하는 제1,제2 및 제3셀부재(21,22,23)로서, 각각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재료를 설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3셀부재(23)의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된 통형상부(35)에 의해 삽입개구(34)를 구획하므로, 판재를 구부려서 환형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삽입개구(34)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셀부재(21,23)의 본체부(24,25)의 전자실드용 벽부(28,29)에 의해 후방으로의 차폐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중계케이블(7)의 인발하중을 제1셀부재(21)의 본체부(24)의 벽부(28)를 통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확실히 수용할 수 있어, 강도상 바람직하다.
또, 서로 조합한 각 셀(21,22,23) 사이에서 서로의 도통을 확보하면서 제2셀부재(22)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설편(32)을 보디(9)의 이면(9a)에 압압해서 접촉시키므로, 확실하게 접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듯이, 커버하우징(16)을 부착플랜지를 가지지 않는 분할하우징(16C)과, 부착플랜지(53,54)를 일체로 갖는 분할하우징(16D)을 조합해서 구성하고, 또한 부착플랜지(53,54)가 양 분할하우징(16C,16D)의 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의 내용을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클레임과 그 균등의 범위로 해야할 것이다.

Claims (15)

  1. 입력 및/또는 출력을 위한 회로기판, 및 도전성 보디를 갖는 전자기기내에 배치되는 전송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며, 제1단부가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중계케이블; 및
    상기 중계케이블의 제2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보디의 이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는 복수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성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도전성 금속셀을 포함하며,
    상기 셀은 상기 보디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 및 셀을 유지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보디의 이면에 부착되는 커버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케이블은, 복수의 피복된 신호선과, 상기 피복된 신호선을 포위하는 도전성 실드와, 상기 도전성 실드를 포위하는 피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각 컨택트와 중계케이블의 대응하는 신호선의 표면이 벗겨진 단부가 납땜부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과 중계케이블의 피복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로부터 중계케이블을 뽑아내고자 하는 하중이 작용할 때, 이 하중을 셀을 통해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셀에 형성되는 배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럴부는 중계케이블의 제2단부의 피복부를 상기 피복부로부터 노출시키는 도전성 실드의 단부와 함께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수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형 커넥터로부터 중계케이블을 뽑아내고자 하는 하중이 작용할 때, 이 하중이 셀의 결합부를 통해 커버하우징의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전자기기의 보디의 이면과 커버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보디의 이면에 압압접촉되는 탄성 설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제1, 제2, 제3셀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셀부재는 홈형의 본체부를 각각 포함하고, 제1 및 제2셀부재의 본체부끼리가 서로 조합되어 상기 납땜부를 수용하는 박스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부재의 본체부의 전단에 커넥터하우징에 결합하는 하우징결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셀부재의 본체부의 후단에 상기 배럴부가 형성되고,
    제3셀부재는 커넥터하우징에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장착되며, 제1셀부재의 하우징결합부와 협동해서 박스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셀부재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삽입개구를 구획하는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형상부는 드로잉가공에 의해 프레스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셀부재 중 2개이상은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셀부재의 본체부는 전자실드용 벽부를 각각 포함하고, 이들 전자실드용 벽부는 서로 조합되는 제1 및 제2셀부재의 본체부에 의해 구획되는 박스형상의 공간을 중계케이블의 연장되는 영역으로부터 실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의 수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는 상기 제1셀부재의 본체부의 전자실드용 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부재는 그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3셀부재를 따르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설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설편은 전자기기의 보디의 이면과 커버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보디의 이면에 압압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15.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서로의 사이에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커넥터하우징 및 셀을 수용하도록 서로 조합되는 한 쌍의 분할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KR10-2004-7000364A 2001-09-17 2002-09-13 전송장치 KR20040037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1917A JP2003092171A (ja) 2001-09-17 2001-09-17 伝送装置
JPJP-P-2001-00281917 2001-09-17
PCT/JP2002/009413 WO2003026077A1 (fr) 2001-09-17 2002-09-13 Appareil de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280A true KR20040037280A (ko) 2004-05-06

Family

ID=1910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364A KR20040037280A (ko) 2001-09-17 2002-09-13 전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74057B2 (ko)
EP (1) EP1429427A4 (ko)
JP (1) JP2003092171A (ko)
KR (1) KR20040037280A (ko)
CN (1) CN1309123C (ko)
TW (1) TW564577B (ko)
WO (1) WO2003026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079B2 (ja) 2002-05-07 2008-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2005108623A (ja) 2003-09-30 2005-04-21 Jst Mfg Co Ltd 高速伝送用コネクタ
CN100429829C (zh) * 2003-11-19 2008-10-29 西蒙公司 电缆屏蔽层接触件
DE102005029384A1 (de) * 2005-06-24 2006-12-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US7244146B2 (en) * 2005-07-26 2007-07-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density RF connector system
JP2007087754A (ja) * 2005-09-21 2007-04-05 Funa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取り付け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716107B2 (ja) * 2005-11-30 2011-07-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N200941509Y (zh) * 2006-08-02 2007-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转接器
US7479036B2 (en) * 2007-01-15 2009-01-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ovable connector bracket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TW200841536A (en) * 2007-04-04 2008-10-16 Asustek Comp Inc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973386B2 (ja) * 2007-08-22 2012-07-11 船井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ケーブル
US8202149B2 (en) * 2008-02-12 2012-06-19 Steven Gedling Fantasy league game and model
JP5304676B2 (ja) * 2010-02-05 2013-10-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5878740B2 (ja) * 2011-06-02 2016-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付き電線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938212B2 (ja) * 2011-12-28 2016-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装置
TWM445798U (zh) * 2012-07-02 2013-01-21 Nai-Chien Chang 具有雙面接觸式連接器的傳輸線(二)
JP5657714B2 (ja) 2013-01-11 2015-01-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アースピンとボディの容易な導通と高い防水性を有したコネクタ構造
FR3013157B1 (fr) * 2013-11-12 2015-10-30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Connecteur electrique a reprise de blindage
JP6422675B2 (ja) * 2014-06-03 2018-11-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16937B4 (de) * 2016-09-09 2019-10-02 HARTING Electronics GmbH Schirmblech
JP7206906B2 (ja) * 2018-12-28 2023-01-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JP6999624B2 (ja) * 2019-11-06 2022-01-18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WO2022019875A1 (en) 2020-07-20 2022-01-27 Abb Schweiz Ag Electrical power cable
CN112636097A (zh) * 2020-12-11 2021-04-09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电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895Y2 (ko) * 1986-03-31 1991-06-25
FR2648627B1 (ko) * 1989-06-15 1991-10-11 Bull Sa
JP2513946Y2 (ja) * 1991-06-26 1996-10-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5162000A (en) * 1991-09-27 1992-11-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dielectric housing retention
JPH06132690A (ja) * 1992-10-20 1994-05-13 Fujitsu Ltd 電子装置および該電子装置に接続される外線コネクタ
JP2580724Y2 (ja) 1993-01-22 1998-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US5667407A (en) * 1994-05-11 1997-09-16 Itt Corporation Shielded cable plug
JP3054808B2 (ja) * 1996-02-06 2000-06-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772471A (en) * 1996-10-31 1998-06-30 The Whitaker Corporation Panel mount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
JPH10312856A (ja) * 1997-05-15 1998-11-24 Yazaki Corp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TW421307U (en) * 1999-08-06 2001-02-0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231385B1 (en) 1999-12-29 2001-05-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6786742B2 (en) * 2001-04-12 2004-09-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ield cable connector with latch lo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64577B (en) 2003-12-01
US20040266230A1 (en) 2004-12-30
WO2003026077A1 (fr) 2003-03-27
JP2003092171A (ja) 2003-03-28
CN1543696A (zh) 2004-11-03
EP1429427A4 (en) 2006-05-10
CN1309123C (zh) 2007-04-04
EP1429427A1 (en) 2004-06-16
US7074057B2 (en)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7280A (ko) 전송장치
KR100811579B1 (ko) 리셉터클 타입의 중계용 커넥터
US6210223B1 (en) Shielded connector, a set of shielded connector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hielded connector with a shielded cable
US6042394A (en) Right-angle connector
US10243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188876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136933B2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6666719B1 (en) Connectors with shroud having internal grounded shield
US20180076579A1 (en)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CN108352661B (zh) 连接器
JP2015216444A (ja) 撮像装置
CN110661130B (zh) 电连接器
KR20090050005A (ko) 기판 어셈블리
KR20110041980A (ko) 실드 커버, 실드 케이스 및 기판 모듈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423203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090227138A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r for connecting with two rows of cables
US11031712B2 (en)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equipped with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line conducting enclosure
CN117546374A (zh) 基板用连接器及机器
CN109698441B (zh) 同轴线缆用连接器
JP2010282895A (ja) 電気コネクタ
US11769966B2 (en) Anti-attenuation apparatus and plug
JP5549072B2 (ja) 回路基板内蔵コネクタ
CN117616646A (zh) 基板用连接器及机器
JP2022149019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