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110A - 쉽게 조립되는 그립요소 - Google Patents

쉽게 조립되는 그립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110A
KR20040037110A KR10-2004-7004305A KR20047004305A KR20040037110A KR 20040037110 A KR20040037110 A KR 20040037110A KR 20047004305 A KR20047004305 A KR 20047004305A KR 20040037110 A KR20040037110 A KR 2004003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rip element
cap
outer diameter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947B1 (ko
Inventor
헨리케이. 레오
크레이그엠. 스티븐스
Original Assignee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그립면(58) 및 그립면에서 돌출한 걸림면을 포함하는 그립물체(20)의 자유단(32)에 부착하기 위한 그립요소(50). 걸림면(70)은 걸림을 위하여 푸시장치가 상기 걸림면(70)을 추가 푸시장치 없이 밀어서 걸리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립요소(50)는 물체(20)에 대하여 푸시장치가 윤활 또는 그립요소(50)의 별도의 확장 없이 그립요소(50)를 물체(20)로 거의 완전히 움직이게 구성된다. 그립요소(50) 또는 물체(20)의 조립을 개선하는 다양한 형태는 분리 또는 조합되어 제공된다. 그립요소(50)를 물체(20)에 조립하는 방법도 표시된다.

Description

쉽게 조립되는 그립요소{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인간공학설계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손에 들거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의 잡는 부분은 파지성능을 보다 높이도록 설계된다. 예로, 핸들은 종종 잡기 용이한 외형 및/또는 질감을 가진다. 이런 핸들의 형태는 수년간 알려져 왔다. 핸들 부분과 다른 소재로 형성된 그립요소를 사용하여 파지감을 높이는 것이 점차 요구되고 있다. 다른 소재는 핸들의 몸체의 소재가 줄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제공한다. 예로, 손으로 들거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는 미끄러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나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립요소를 하부에 있는 물체와 다른, 고무 또는 스펀지 등의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점차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런 그립요소는 미끄럼을 줄이고(마찰을 늘리고), 단열효과(잡는데 차갑지 않은 요소), 및/또는 완충의 이점을 제공한다.
하부의 물체와 다른 소재로 형성된 다양한 그립요소가 알려져 있다. 예로, 스펀지 및 고무 그립요소는 손에 들거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에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추가로, 손에 들거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는 물체와 다른 소재의 그립요소와 함께 판매되고 있다. 이런 그립요소는 몰딩으로 물체에 형성된다.
반대로, 이런 그립요소를 물체와 별도로 형성하여 물체에 조립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은 보다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분리된 그립요소의 실제 형성이 물체에 하나로 성형하는 방법보다 간단하지만, 그립요소를 물체에 조립하는 것은 어렵다. 그립요소가 마찰을 증가시키거나 탄성소재로 제작되면(탄성 및 완충효과를 위하여), 그립요소가 물체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기술이 이용되어 이런 그립을 물체에 용이하게 조립되게 한다. 예로, 공기를 관상의 그립요소의 내부에 불어넣어 그립요소가 팽창하게 한다. 따라서 그립요소는 물체의 그립부분에 쉽게 삽입된다. 공기공급이 차단되면 그립요소는 원래의 크기로 돌아가고, 이는 내경이 물체의 외경보다 작아서 그립요소가 물체에 고정된다. 반대로, 광물성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같은 윤활제가 사용되어 그립요소와 물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모두 단점이 있다. 공기주입방식은 비용이 높아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미 알려져 있듯이, 그립요소를 기계적으로 팽창시키는 장치는 비쌀 뿐만 아니라, 조작하고 부착하는데 정확도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알콜 또는 다른 형태의 윤활제는 화재 및 흡입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그립요소를 물체에 부착하는 방법에는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의 속도 및 효율을 높이는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손에 들고 및/또는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를 위한 그립요소(grip element)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손에 들거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과 같은 물체에 쉽게 조립하기 위한 그립요소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하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립물체의 실시예로 필기구를 도시한 투시도.
도 2는 도 1의 그립물체의 평면도.
도 3은 그립물체의 자유단으로 덮인 캡(cap)이 있는 도 1의 그립물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그립물체의 그립요소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그립요소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그립물체의 몸체의 평면도.
도 7은 도 3의 캡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캡의 단면도.
도 9는 그립요소가 그립물체에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한 간략도.
*부호설명*
20 : 그립물체36 : 그립단면
30 : 몸체50 : 그립요소
32 : 제 1자유단70 : 걸림면
34 : 제 2자유단
본 발명은 손에 들거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의 자유단에 조립하기 위한 그립요소에 관한 것이다. 그립요소의 한 응용은 필기구, 면도기, 칫솔 및 기구와 같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물체의 파지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립요소는 공구(해머), 스포츠기구(라켓, 야구방망이, 골프채), 모터작동장치(드릴, 오토바이)와 같은 손바닥으로 잡는 큰 물체에도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립요소가 부착된 다양한 물체는 본 서에서 "그립물체"(gripped article)라고 하며, 이는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미는 아니다.
그립요소는 그립면 및 그립면에서 돌출한 걸림면이 있다. 걸림면은 푸시장치(pushing device)에 걸리고 푸시장치는 그립요소를 그립물체에 윤활 또는 팽창 없이 밀어 넣는다. 예로, 걸림면은 경사진 평면 또는 그립면에 수직면일 수 있다. 걸림면은 그립요소의 단부에 제공되어, 근단부, 물체의 자유단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다. 따라서, 푸시장치는 걸림면을 그립물체로 밀어서, 그립요소의 나머지를 효과적으로 끌어당긴다.
그립요소를 그립물체에 쉽게 조립하기 위하여, 그립요소의 내경을 근단부(푸시장치 근처)에서 원단부(푸시장치에서 가장 먼 곳)로 증가하는 테이퍼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추가로, 그립요소의 원단부의 내경은 근단부의 외경보다 크고 따라서 그립요소가 잘 미끄러지게 된다. 더욱이, 근단부의 그립요소의 내경은 원단부의 그립단면 보다 작아서 그립요소가 그립물체에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립요소와 함께 하는 그립물체에 관한 것이다. 물체는 상기그립요소를 수납하는 그립단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립요소를 그립물체에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그립요소의 걸림면에 접촉하는 단계 및 걸림면을 밀어서 그립요소를 물체에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걸림면은 그립요소의 먼 단부에 위치하여 걸림면을 밀어서 그립요소와 물체를 조립하게 한다. 캡(cap)(필기구에 사용되는 그립요소)과 같은 관상(管狀)부재는 그립요소에서 미끄러져 걸림면에 접한다. 이 방법은 나아가 그립의 단부에 접촉 및 미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와 그 밖의 특성 및 장점은 후술하는 설명으로 명확해지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으로 정해진다.
본 발명은 그립요소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 면도기, 칫솔, 도구와 같은 어떠한 형태의 그립물체에 응용된다. 그립요소는 파지감 및 충격흡수를 제공하여 임팩트툴(해머), 다양한 스포츠 기구(골프채, 라켓), 모터작동 장치(동력드릴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곳에 이용된다. 각 응용예에서, 그립 요소는 주어진 물체에 부착된다. 예시적 목적만을 위하여, 본 서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필기구만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의 그립물체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립요소를 포함하여 물체(20)로 표시된다. 그립물체(20)는 일반적으로 그립요소(50)를 가진 긴 몸체(30)를 포함한다. 몸체(30)가 일반적으로 원형 단부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및 자유형 등 다른 형태가 포함된다.
도 2 및 6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제 1자유단(32), 제 2자유단(34), 및 그립요소(50) 위의 그립단면(36)을 가진 긴 부재가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몸체(3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제작된다. 도시된 대로, 그립단면(36)은 제 1자유단(32) 및 제 2자유단(34) 사이에 위치하고, 대개 제 1자유단(32)에 가깝게 위치한다. 제 2단부(34)는 그립요소에 따라서 자유단이거나 아닐 수 있다. 그립요소(50)는 제 1자유단의 근처에 위치하여 그립면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캡(90)이 제 1자유단(도 3에는 숨어있음) 위에 위치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그립요소(50)가 도시된다. 그립요소(50)는 고무 또는 스펀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적합한 다른 소재도 사용 가능하다. 예로, 그립요소(50)는 폴리프로필렌에 기초한 열가소성 탄성소재, Rhode Island의 Teknor Apex사에서 판매하는 쇼아 A경도 60의 QX60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립요소(50)는 대개 관상(管狀)이고 근단부(54)와 원단부(56) 사이의 긴 축(52)을 구성한다. 그립요소(50)의 인접한 곳에 조립(푸시장치 근처)을 위한 근단부가 있고, 원단부는 그립요소(50)가 물체(30)에 결합하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다(푸시장치에서 떨어진 곳).
도 4 및 5에 도시된 대로, 그립요소(50)는 파지를 위한 그립면(58)을 포함한다. 그립면(58)은 표면에 결을 줄 수 있어서(음각 또는 양각 또는 매끄럽지 않은 면) 파지감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그립요소(50)는 또한 걸림면(70)을 포함하여, 조립도구에 걸려서, 그립요소를 몸체로 움직인다. 걸림면(70)은 그립면(58)에 대해서 경사지고 외경(71)(도 4)이 그립면(58)(도 4)의 외경(68) 보다 충분히 커서 조립도구에 단단히 연결된다. 대개 걸림면(70)은 그립면(58)에 수직으로 접하는 면이고, 몸체(30)에 대해 움직여서 그립요소(50)를 밀어준다. 조립도구 또는 푸시장치가 결함되는 걸림면(70)은 충분하여 다른 장치의 추가가 필요 없다. 그립요소(50)는 걸림면(70)이 그립면(58) 앞의 몸체(30)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방향으로 되어있고(걸림면(70)이 그립요소(50)의 원단부에 위치할 때), 걸림면(70)이 몸체(30)에 밀려지고, 그립면(58)이 효과적으로 몸체(30)으로 당겨진다. 대부분의 그립요소(50)는 몸체(30)에서 밀려지는 것이 아니라 당겨지므로, 변형 및 구부러짐을 피할 수 있다.
도 5의 밴드(60)는 걸림면(70)에 인접한 그립요소(50)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밴드(60)가 제공된 경우, 걸림면(70)에서 멀리 뻗는다. 밴드(60)는 대개 외경(66)(도 4)이 걸림면의 외경(71)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대로, 그립요소(50)는 전체 길이(62)를 같고 밴드(60)는 전체 길이(62)의 절반인 길이(64)를 같는다. 대개, 밴드길이(64)는 전체길이(62)의 20%이다.
그립면(58) 및 밴드(60)는 하나로 형성 또는 별개로 형성되어 접착, 용접,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그립면(58) 및 밴드(60)가 별개로 형성될 경우, 다른 소재, 경도,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립단면(36)이 도시된다. 그립단면(36)은 근단부(38) 및 원단부(40)를 포함한다. 그립요소(50)는 그립단면(36)에 대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도 5 및 6에서, 그립요소 내경(78)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그립단면(36)에서 간섭 없이 미끄러진다. 이는 그립요소(50)의 원단부(54)에서의 내경(78)이 근단부(38)의 그립단면(38)의 외경(38) 보다 크게 하여 가능하다. 간단히, 그립단면의 외경(42)은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점차로 커져지거나 또는 테이퍼져 있다.
추가로, 그립단면 외경(42)은 그립요소 원단부(56)에서 그립요소 내경(78) 보다 작을 수 있다. 원단부(40)에서의 그립단면 외경(42)은 그립요소 원단부(36)에서의 그립요소 내경(78) 보다 대개 크다. 따라서, 그립요소(50)는 그립단면(36)에 위치하고 그립요소 원단부(56)가 그립단면 원단부(40)에 도달할 때까지 간섭이 없다. 조립도구는 걸림면(70)에 걸리고 밀어서 그립요소 원단부(56)를 그립단면 원단부(40)로 움직인다. 그립요소 원단부(56) 및 그립단면 원단부(40)는 그립요소(50)를 그립단면(36)에 고정한다. 이런 그립요소(50) 및 그립단면(36)의 구성은 윤활제 또는 공기주입 팽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5 및 6과 같이 홈(74)은 그립요소(50)를 형성하고 그립면의 내경(78)보다 큰 내경(76)을 구성한다. 홈(74)은 그립요소 원단부(56)를 제공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추가로 또는 반대로, 자리(44)는 그립단면 원단부(40)의 근처에 제공되고, 그립단면 외경(42)보다 큰 자리 외경(46)을 갖는다. 자리 외경(46)은 홈 내경(76) 보다 같거나 약간 커서 그립요소(50)를 그립단면(36)에 고정한다. 자리(44)는 홈길이(75)와 같은 자리길이(48)를 갖는다(도 5).
그립요소(50)는 조립 중에 찌그러지지 않는다. 추가로 또는 반대로, 그립요소(50)는 조립 중에 변형에 저항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그립요소(50)를 충분한 경도 또는 유연성 감소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하고, 및/또는 충분한 벽두께(80)(도 5)를 갖게 하여 얻을 수 있다. 쇼아A 경도 50에서 70 사이의 소재는 변형방지에 적합하다. 추가로, 밴드(60)의 두께는 찌그러지거나 변형하지 않게 선정한다. 예로,밴드(60)의 두께(61)(도 5)는 대개 두께 1 mm의 쇼아A 경도 60의 열가소성 고무가 적합하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캡(90)이 몸체(30)의 자유단(32)에 위치한다. 캡(90)은 대개 그립부분(58)(도 4)의 외경(68) 보다 큰 내경(94)(도 8)을 갖고, 따라서 캡(90)이 몸체(30)의 제 1자유단(32)을 자유로이 미끄러진다. 캡(90)이 몸체(30)에 완전히 안착되면, 최소한 그립요소(50)의 부분이 캡(90)의 외부로 뻗는다. 예로, 도 2에 도시된 대로, 밴드(60)는 캡(90)의 외부로 돌출하고 사용자가 보고 만질 수 있다.
캡(90)은 그립요소(50)에 결합되지 않고 제 1자유단에 결합하여 몸체(30)에 고정된다. 예로,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대로, 탄력부재(97)(단지 예로서 탄력고리(97)로 도시됨)는 캡(90)과 결합하여 끼울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라서, 캡의 내경(94)(도 8)은 그립부(58)(도 4)의 외경(68) 보다 크다. 따라서, 캡이 제거되고 몸체(30)가 대체될 때 그립요소(50)가 마모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이 특성은 탄력부재(97) 및 캡 수납부(98)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 제 1자유단(32)의 캡(90)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증발씰(96)은 선택적으로 그립물체(20)의 제 1자유단(32)을 밀폐하기 위하여 캡(90)이 제공된다. 이는 필기요소(100)가 휘발성 도료를 포함할 때 필요하다. 증발씰(96)이 제공된 곳에, 탄력부재(97)가 증발씰(96) 위에 드러나고, 증발씰(96)이 캡수납부(98)에 연결되고 캡을 고정한다. 증발씰 및 탄력부재는 개별적으로 제공된다.(탄력림(97)은 캡(90)에 직접 제공되고, 증발씰은캡이 제 1자유단이 아닌 곳에서 캡에 제공된다.)
몸체(30)의 내경 및/또는 외경, 그립요소(50), 밴드(60), 및 캡(90)은 선택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그립물체(20)의 비교적 완만한 테이퍼 외면으로 구성된다. 예로, 캡의 외경(92)은 밴드의 외경(66)과 거의 같고, 두 부분의 접하는 곳에서, 캡과 밴드의 부드러운 변화를 제공한다. 추가로, 몸체는 외경(49)을 제 2자유단에서 가지고, 캡은 미끄러져서 결합한다. 밴드는 몸체의 근단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그립단면을 포함하여), 캡은 제 2자유단(34) 뿐만 아니라 이런 근단부에도 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립요소(50)를 그립물체의 그립단면(36)에 조립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그립물체(20)를 조립하기 위하여, 그립요소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그립단면에 부착되고 적합한 배치로 그립단면에 힘들이지 않고 안착된다. 따라서 선도를 제공한다. 이는 예로, 그립요소를 제 1자유단(32)에 정렬하고 그곳에 떨어뜨린다. 그립요소는 최소한 그립단면의 절반을 자유롭게 미끄러지고(그립요소와 그립단면의 상대적 크기에 의해) 움직이기 위하여 걸림면(70)에 작용하는 힘이 필요 없고, 따라서 빠르게 조립하기 위한 긴 선도를 제공한다. 이 긴 선도는 신속한 조립에 유용하다. 다음, 조립도구는 걸림면에 걸리고 밀어서 그립단면에서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그립면(58)은 그립단면에 당겨진다. 조립도구는 관상부분을 포함하여 그립면에 덮여지고 걸립면(70)에 접한다. 그립단면의 근단부(38)에서의 외경(42)의 경우는, 제 1자유단(32)에 가깝고, 그립요소의 근단부(54)에서의 내경(78) 보다 크다(도 6). 이는 그립요소의 근단부(54)에 접하여 그립단면으로 밀고, 몸체에 그립요소를 완전히 안착시킨다.
변형예에 따르면, 캡(90)은 그립요소(50)를 그립단면(36)에 조립하는데 이용된다. 예로, 캡(90)은 벽두께 및/또는 내경(94)의 치수가 걸림면(70)에 충분히 접하여 그립요소를 그립단면에 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그립요소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그립단면에 부착된 후, 캡(90)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그립요소에 위치하고 걸림면에 접한다. 캡(90)은 더욱 밀려서 그립요소(50)가 그립단면(36)에 완전히 조립된다. 만약 캡에 증발씰(96)이 제공되면, 도 7 및 8과 같이, 증발씰(96)은 그립요소의 근단부(54)에 걸리도록 설계되고 그립요소를 몸체에 완전히 안착시킨다. 캡을 조립도구에 사용하여, 그립요소 및 캡을 몸체에 한번에 조립하여 그립물체(20)의 조립 효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방법이 필기구의 부분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 목적만이 있고,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립요소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그립물체에 조립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조립된다.
더욱이, 상기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다양한 변형예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 및 핵심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치, 비례, 및 다른 요소, 소재, 및 부분, 특수한 환경 및 작동 요구조건에 응용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다. 포함된 실시예는 예시적 의미이고 제한적 의미가 아니다. 청구항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그립요소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 면도기, 칫솔, 도구와 같은 어떠한 형태의 그립물체에 응용된다. 그립요소는 파지감 및 충격흡수를 제공하여 임팩트툴(해머), 다양한 스포츠 기구(골프채, 라켓), 모터작동 장치(동력드릴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곳에 이용된다.

Claims (31)

  1. 물체에 부착하기 위한 그립요소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의 긴축으로 구성된 그립면; 및 상기 그립면에 수직으로 뻗어있고 푸시장치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시장치가 걸림면에 충분히 걸려서 추가되는 조립도구의 도움이 필요 없이 상기 그립요소를 물체에 밀어주어, 상기 기 그립요소를 상기 그립요소의 추가 조작 없이 거의 완전히 물체로 움직이게 하는 걸림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이 충분히 평면이고 상기 그립면에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이 그립면에 충분히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4. 제 1항에 있어서,
    밴드가 상기 걸림면에서 상기 긴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밴드가 밴드 외경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면이 그립면 외경으로 구성되고; 및
    상기 밴드 외경이 상기 그립면 외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5. 제 4항에 있어서,
    홈이 상기 밴드 근처의 상기 그립요소에 구성되고,
    상기 홈이 홈 내경을 구성하고;
    상기 그립단면이 그립면 내경을 구성하고; 및 상기 홈 내경이 상기 그립단면 내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서로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있는 근단부 및 원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요소 근단부가 자유단이고;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가 상기 자유단에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있고; 및 상기 걸림면이 상기 원단부 근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물체로 움직일 때 변형에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8. 제 7항 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물체로 움직일 때 변형에 저항하는 벽두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물체로 움직일 때 변형에 저항하는 충분한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이 관상 푸시장치에 걸리기 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요소.
  11. 물체에 있어서,
    긴 몸체가 제 1 자유단을 갖고;
    그립단면이 상기 긴 몸체에 배치되고; 및
    그립요소가 긴축, 근단부 및 원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요소가 그립면 및 상기 그립면에 수직한 걸림면을 갖고, 상기 걸림면이 푸시장치에 걸리게 구성되고, 상기 푸시장치가 상기 걸림면에 충분히 걸려서 추가 조립도구의 도움 없이 상기 그립요소를 밀고, 상기 그립요소가 상기 그립단면에 대해서 구성되어 상기 긴 몸체의 제 1자유단 위에서 상기 그립단면으로 상기 그립요소를 추가로 조작하지 않고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 근단부가 상기 긴 몸체 제 1자유단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가 상기 긴 몸체 제 1자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및
    상기 걸림면이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에 거의 근접하여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밴드가 상기 걸림면에서 상기 긴축 방향으로 뻗어있고;
    캡이 상기 긴 몸체 제 1자유단 위로 수납되고; 및
    상기 캡이 상기 긴 몸체의 제 1자유단 위로 완전히 수납될 때 최소한 상기 밴드의 한 부분이 상기 캡에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밴드외경을 구성하고;
    상기 캡이 캡 외경을 구성하고; 및
    상기 밴드가 상기 캡을 만나는 곳에서 상기 밴드외경이 상기 캡 외경과 거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 내경이 상기 그립요소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그립단면에서 상기 그립요소 및 상기 그립단면의 간섭 없이 미끄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상기 긴 몸체 제 1자유단 위에 수납되고;
    상기 그립단면이 상기 긴 몸체 제 1자유단의 근처에 위치한 그립단면 근단부 및 상기 그립단면 근단부에서 상기 긴 몸체 제 2자유단으로 배치된 그립단면 원단부에 위치한 그립단면 근단부를 갖고;
    상기 그립단면이 그립단면 외경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요소가 그립요소 내경으로 구성되고; 및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에서의 상기 그립요소 내경이 상기 그립단면 근단부에서의 상기 그립단면 외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단면 근단부에서의 상기 그립단면 외경이 상기 그립요소 근단부에서의 상기 그립요소 내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단면 원단부에서의 상기 그립단면 외경이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에서의 상기 그립요소 내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단면 외경이 상기 그립단면 근단부에서 상기 그립단면 원단부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 내경이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에서 상기 그립요소 근단부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상기 그립요소 근단부 및 원단부 사이에 그립요소 길이를 구성하고, 최소한 상기 그립요소 길이의 절반을 따라서 상기 그립요소 내경이 상기 그립단면 위경 보다 커서 상기 그립요소가 상기 그립단면 위에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22. 근단부 및 원단부를 갖는 그립요소를 물체에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 원단부에 위치한 걸림면이 푸시장치에 접하고; 및
    상기 걸림면을 상기 물체 위로 상기 걸림면을 푸시장치로 밀어서 움직이고, 상기 그립요소를 상기 물체로 거의 완전히 끌어당기고, 추가 조립도구의 도움이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 근단부를 상기 물체에 접하고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를 상기 물체 위에 낙하하여 그립요소가 상기 걸림면에 이미 접해있는 상기 물체 위에 자리잡고 고정되고 상기 걸림면이 상기 물체 위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상기 그립단면 위를 최소한 절반만큼 미끄러지고 그립요소를 움직이기 위한 추가 힘이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에 접하는 것이 상기 그립요소 위에서 관상부재가 미끄러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요소가 상기 물체 위를 움직일 때 변형에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물체에 있어서;
    제 1자유단을 가진 긴 몸체;
    상기 긴 몸체 제 1자유단에 위치하고 그립요소 외경으로 구성된 그립요소;
    상기 그립요소의 최소한 한 부분을 덮기 위하여 제 1자유단 위로 수납 가능한 캡, 상기 그립요소 외경 보다 큰 캡 내경으로 구성된 상기 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캡을 상기 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자유단에 걸리도록 구성된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가 탄력고리이고 상기 제 1자유단이 상기고리에 걸리기 위한 고리모양의 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증발씰을 포함하고, 상기 탄력부재가 상기 증발씰 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KR1020047004305A 2001-09-25 2001-10-05 쉽게 조립되는 그립요소 KR100764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61,348 2001-09-25
US09/961,348 US6485211B1 (en) 2001-09-25 2001-09-25 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PCT/US2001/031405 WO2003026902A1 (en) 2001-09-25 2001-10-05 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110A true KR20040037110A (ko) 2004-05-04
KR100764947B1 KR100764947B1 (ko) 2007-10-08

Family

ID=2550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305A KR100764947B1 (ko) 2001-09-25 2001-10-05 쉽게 조립되는 그립요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85211B1 (ko)
EP (1) EP1436150A4 (ko)
JP (1) JP4339115B2 (ko)
KR (1) KR100764947B1 (ko)
CN (1) CN100532128C (ko)
AU (1) AU2002213056B2 (ko)
BR (1) BR0117134B1 (ko)
CA (1) CA2461161C (ko)
MX (1) MXPA04002699A (ko)
WO (1) WO2003026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931A1 (en) * 2001-07-17 2004-08-26 Cooper Kenneth R. Writing instrument with gripping device
US6485211B1 (en) * 2001-09-25 2002-11-26 Bic Corporation 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US7294110B2 (en) * 2002-11-20 2007-11-1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instruments
US20050247178A1 (en) * 2004-04-15 2005-11-10 Hetcher Jason D Power tool having an elastomeric material
US7600285B2 (en) 2005-04-12 2009-10-1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decorating
JP4788380B2 (ja) * 2006-02-15 2011-10-05 ぺんてる株式会社 軟質部材の軸体への挿着装置
US8408831B2 (en) * 2009-07-31 2013-04-02 Peter A. Paradise Writing instrument casing and methods of use
US9354729B2 (en) * 2012-03-22 2016-05-31 Safewrites, LLC Protective device
US8844099B2 (en) 2012-10-12 2014-09-30 Sp Industries Holdings, Inc. Handle device
DE202015004739U1 (de) * 2015-07-02 2016-10-05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Schoner für einen Stift
JP6707375B2 (ja) * 2016-03-22 2020-06-10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US10376762B2 (en) 2017-04-07 2019-08-1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Tapered grip and method of installing a tapered grip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985A (en) 1904-01-19 1904-08-30 Byron R Goldsmith Finger-hold for penholders.
US2173451A (en) 1938-05-11 1939-09-19 Lorber Charles Finger fitting holder
US2236194A (en) 1940-04-01 1941-03-25 Lorber Charles Finger cushion pencil holder
DE2414678A1 (de) 1974-03-27 1975-10-09 Mutschler Fa Philipp Schutzkappe fuer schreibgeraete
US4259780A (en) * 1979-04-09 1981-04-07 Genevieve I. Hanscom Parts assembler for ballpoint pens
USD287603S (en) 1983-12-19 1987-01-06 Koh-I-Noor Rapidograph, Inc. Writing pen
US4635338A (en) * 1984-12-18 1987-01-13 Walsh William H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 automatic and disposable pencil
USD328919S (en) 1990-08-10 1992-08-25 Bulgari Time (Switzerland) S.A. Fountain pen
USD327912S (en) 1990-08-20 1992-07-14 Chan-Yuan Tsai Marking pen
USH1050H (en) * 1990-11-02 1992-05-05 The Gillette Company Writing instrument
US5186564A (en) 1991-11-13 1993-02-16 Bic Corporation Vented removable cap
US5230578A (en) 1991-11-13 1993-07-27 Bic Corporation Cap for writing and marking instruments
JP2607457Y2 (ja) 1992-10-29 2001-09-04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における軸筒
JP2906391B2 (ja) 1994-10-03 1999-06-21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用キャップ
JP3010277U (ja) 1994-10-18 1995-04-25 ゼブラ株式会社 把持軸用滑り止め具
US5555602A (en) * 1994-12-14 1996-09-17 Leamond; William T. Eraser assembly
JPH09175077A (ja) 1995-12-26 1997-07-08 Kotobuki:Kk 筆記具のグリップ
JP3796287B2 (ja) * 1996-02-15 2006-07-12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JP3543045B2 (ja) 1996-04-03 2004-07-14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の軸
JPH10203077A (ja) 1997-01-21 1998-08-04 Mitsubishi Pencil Co Ltd 弾性グリップ付き筆記具軸
JPH10217673A (ja) 1997-01-31 1998-08-18 Pentel Kk 筆記具のグリップ
USD404426S (en) 1997-11-19 1999-01-19 Mitsubishi Pencil Co., Ltd. Ball-point pen
JP3901325B2 (ja) 1998-01-28 2007-04-04 三菱鉛筆株式会社 軸筒にグリップゴムを装着した筆記具
US6056462A (en) * 1998-01-28 2000-05-02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Writing instrument with grip rubber
US6164855A (en) * 1998-03-26 2000-12-26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JPH11334272A (ja) 1998-05-25 1999-12-07 Pentel Kk 軸筒へのグリップ取付け構造
JPH11334273A (ja) 1998-05-28 1999-12-07 Pentel Kk 筆記具の把持部材取り付け構造
JP3943242B2 (ja) 1998-05-29 2007-07-11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用被覆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203225B1 (en) * 1998-09-29 2001-03-20 Sanford, L. P. Writing implement having an ergonomic grip
CN2380398Y (zh) * 1999-04-16 2000-05-31 王建朝 一种方便使用的铅笔套
USD433446S (en) 1999-08-24 2000-11-07 Advance Watch Company, Ltd. Writing instrument with bulbous grip
USD433447S (en) 1999-08-24 2000-11-07 Advance Watch Company, Ltd. Writing instrument with perforated grip
US6254293B1 (en) * 2000-03-28 2001-07-03 Mathew Citrenbaum Writing instrument and hand tool grip
DE20009728U1 (de) 2000-05-30 2000-09-14 Heri Geraete Produktions Gmbh Handschreibgerät
US6390704B1 (en) * 2000-11-10 2002-05-21 Berol Corporation Writing implement
US6485211B1 (en) * 2001-09-25 2002-11-26 Bic Corporation 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17134A (pt) 2004-10-13
JP4339115B2 (ja) 2009-10-07
CN100532128C (zh) 2009-08-26
BR0117134B1 (pt) 2010-11-16
JP2005511341A (ja) 2005-04-28
US6485211B1 (en) 2002-11-26
EP1436150A1 (en) 2004-07-14
WO2003026902A1 (en) 2003-04-03
KR100764947B1 (ko) 2007-10-08
CA2461161C (en) 2008-09-02
CN1558832A (zh) 2004-12-29
AU2002213056B2 (en) 2007-05-31
MXPA04002699A (es) 2004-07-05
CA2461161A1 (en) 2003-04-03
EP1436150A4 (en)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947B1 (ko) 쉽게 조립되는 그립요소
US5556092A (en) Ergonomic handle
US5129157A (en) Sphere shaver
US20060252571A1 (en) Grip
US20080163463A1 (en) Tool handle
EP1147724A2 (en) Easy grip paint applicator
US9314909B2 (en) Dismantleable tubular gripping element
ES2109934T3 (es) Mango universal para utensilios manuales.
US6203225B1 (en) Writing implement having an ergonomic grip
CA2159747A1 (en) Denture brush
US20180133890A1 (en) Ergonomic Handle Device for Holding Tools
US6848184B2 (en) Single blade foldable knife
US7288036B2 (en) Grip for a hockey stick with a hollow-ended shaft
US5729864A (en) Hand gripping device
US20070101547A1 (en) Tool handle with finger positioning guide
AU2002213056A1 (en) 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JPS5926311B2 (ja) テニスラケツト等のグリツプ
US20060083575A1 (en)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US20030229970A1 (en) Shock-absorbing protective cover for pneumatic tool handle
US20030192395A1 (en) Handle grip cover for use on bicycle
US20020029664A1 (en) Comfort grip hammer
US20020052248A1 (en) Golf club grip
KR200486113Y1 (ko) 공구용 손잡이
JP2012040322A (ja) 卓球ラケット
GB2202153A (en) Handle for sporting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