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018A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018A
KR20040037018A KR1020030083779A KR20030083779A KR20040037018A KR 20040037018 A KR20040037018 A KR 20040037018A KR 1020030083779 A KR1020030083779 A KR 1020030083779A KR 20030083779 A KR20030083779 A KR 20030083779A KR 20040037018 A KR20040037018 A KR 2004003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glass
display
stacked
glass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604B1 (ko
Inventor
박원규
김영택
김준한
임상재
김성철
김중한
이범로
이충길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604B1/ko
Priority to TW092136496A priority patent/TWI228475B/zh
Priority to CNB2003101215977A priority patent/CN1314569C/zh
Publication of KR2004003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각도 기울어진 'L' 자형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대량 적재하고,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복수로 분할 형성된 분할 케이스를 씌워 포장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재면 및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구비하는 적재 프레임과,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 그리고 적재된 전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면, 양측면 및 상면에 접촉하면서 씌워져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노출되는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차단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PACKING CONTAINER FOR FLAT DISPLAY GLAS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L' 자형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대량 적재하고,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복수로 분할 형성된 분할 케이스를 씌워 포장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액정 모니터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재료로서 이용되는 평면유리 또한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및 이송을 위하여 종래와 같이 수평적재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평판유리 간의 상호 접촉이나 외부 오염물질로 인하여 평판유리가 오염 또는 손상될 수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유리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들이 대두되었는데, 그 실례로서 일본국 특개평 2000-203679호(유리판의 수납 방법, 이하 '공개특허'라 한다.)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평판유리 수납체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수납체는, 평판유리(G)를 수직방향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면(14a)과 적재면의 후단부로부터 수직방향에 연장되는 등받이면(14b)이 'L' 자형 지지대 위에 형성되며, 적재면이 등받이면을 향해서 2 내지 20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평판유리(G)를 등받이면(14b)에 기대어 세움으로써 적재하게 된다. 또한, 각 평판유리(G)의 테두리 부분과 각 평판유리 사이에는 적층되는 평판유리의 테두리부에만 둘러지는 이간부재(15)를 넣도록 하며, 최전방에 위치하는 평판유리 외측 및 최후방에 위치하는 평판유리와 등받이면(14b) 사이에는 보강판(16, 17)을 배치시키고 평판유리(G)와 보강판 사이에도 이간부재(15)를 넣어 평판유리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적재된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등받이면(14b)과 최전방의 보강판(16)에 고무밴드(18, 19)를 걸어 고정하였으며, 그 위로 포장자루(20)를 씌운 뒤 다시 고무밴드(21) 등으로 묶어 밀봉하였다.
또한, 평판유리(G)를 이송할 때에는 포장자루(20)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또는 그 위에 별도의 박스 등을 씌운 상태로 이송한 후, 박스와 포장자루를 해체하고 고무밴드를 풀어 적재된 유리를 내려놓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 적재된 평판유리를 포장하기 위하여 포장자루나 박스와 같은 외부포장재로 일일이 포장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인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전 수작업으로 마무리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다칠 위험이 있으며 작업실수로 인해 적재된 평판유리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경우 유리의 가로×세로 크기가 1m×1m 이상이 되므로 작업자가 혼자서 포장작업을 할 수가 없어서, 포장작업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포장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기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적재되는 평판유리의 테두리부만을 이간시키는 이간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평판유리가 대형화됨에 따라 비록 수직으로 세워서 적재되더라도 적재된 유리의 중간부분이 처지는 현상(새깅(sagging) 현상)이 발생되어 새로운 이간부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포장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포장하기 위한 외부포장재를 분리된 케이스 형태로 제작하여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단순히 씌우는 것만으로 포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수를 현저하게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일본국 특개평 2000-203679호에서 제시된 평판유리 수납체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10 : 적재 프레임 112 : 적재면
114 : 등받이면 113, 115 : 완충재
120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2 : 이간재
124 : 보강재 130a, 130b : 평판유리 고정장치
140 : 분할 케이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재면 및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구비하는 적재 프레임;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 및 적재된 전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면, 양측면 및 상면에 접촉하면서 씌워져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노출되는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차단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케이스는, 적재 프레임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면을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하면서 적재된 전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외부로 각기 씌워지는 복수의 분할 케이스로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적재면의 상면과 등받이면의 정면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를 더 구비하도록 하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배치되고 적재되는 평판유리의 전체면 또는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의 면과 접촉되는 이간재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중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앞에 적재되는 보강재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아울러, 평판유리 고정장치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등받이면의 일측단에 돌출 형성된 바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다른 일측면을 고정하기 위하여 등받이면의 다른 일측단에 수직으로 접히고펴질 수 있는 클램프로 구성하거나, 좌우 한쌍의 신축성 있는 밸트와, 각 밸트의 고정되지 않은 일단으로 상호 결속을 이루는 결속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후 분할 케이스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포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는,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 적재면(112)이 형성되고 적재면과 수직방향으로는 등받이면(114)이 형성되는 적재 프레임(110),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면에 배치되는 보강재(124),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 및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분할 케이스(1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00)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며, 수평방향으로는 하단에 적재면(112)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등받이면(114)이 형성된다. 적재면(112)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20) 적재시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면에 완충재 (113)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자체의 하중과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또한, 등받이면(114)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적재시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정면에 완충재(115)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자체의 하중과 외부로부터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이때, 적재면(112)과 등받이면(114)에 부착되는 완충재(113, 115)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적재면 및 등받이면의 접촉면과 완충재의 일면을 벨크로(Velcro) 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적재면(112)과 등받이면(114)은 상호 수직을 이루어 'L'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적재면과 등받이면의 결합체가 전체적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 프레임(110)에 장착되도록 한다. 즉, 적재면(112)은 상부를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등받이면(114) 또한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적재면과 등받이면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24)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중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면에 배치된다. 또한, 보강재(124)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고정할 때 평판유리 고정장치(130)가 보강재의 정면에서 결착 및 조여지도록 하여 평판유리 고정장치로 인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적재 프레임(1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면(114)의 양 측단에 좌우 한쌍을 이루며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면(114)의 일측단으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측면을 지지하는 바(130a)와 등받이면의 다른 일측단으로 헤드부가 접히고 펴지면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눌러 고정시키는 클램프(130b)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면의 양 측단 모두에 클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고정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30b)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직접 접촉하여 누르지 않고 보강재(124)에 접촉하여 누르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 과 같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좌우를 고정하는 것이 아닌 상하를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는 클램프 이외에도 밸트 또는 지지막대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밸트로 구성할 경우 신축성 있는 고무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등받이면(114)의 좌우 양단에 양 밸트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양 밸트의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에는 상호 결속을 이룰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양 밸트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및 보강재(124)를 감싼 후 결속수단을 상호 결속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케이스(140)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 프레임(110)에 적재된 전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며 각기 커버하며, 도 3 에서는 4개로 분리된 케이스(140a 내지 140d)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각 분할 케이스(140a 내지 140d)는 각기 씌워질 위치에 따라 상이한 모양으로 제작되는데, 예를 들어 분할 케이스 140a는 정면, 상면 및 좌측면만으로 이루어지며 분할 케이스 140c는 정면과 좌측면만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각 분할 케이스(140a 내지 140d)는 최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에 걸릴 수 있도록 상면 및/또는 측면에 각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작은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 분할 케이스(140a 내지 140d)를 씌운 후 이송시에는 분할 케이스와 적재 프레임(110)을 별도의 포장재로 랩핑하여 고정시킨 후 이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및 이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클린룸에서 검사가 끝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이송하기 위하여 적재 프레임(110)에 적재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하단은적재면(112)에 의해 지지되며 배면은 등받이면(114)에 기대어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적재면과 등받이면의 결합체가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적재함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적재되는 평판유리의 전체면 또는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의 면과 접촉되는 이간재(122)을 넣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간에 상호 접촉으로 인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등받이면(114)에 장착된 완충재(115)와 최후방에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도 이간재(122)를 넣을 수 있다. 한편, 이간재(122)와는 별도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정면과 배면에 각기 필름을 입혀 오염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간에는 필름이 코팅되고 이간재(122)가 배치되거나 또는 필름의 코팅없이 이간재 (122) 만이 배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모두 적재한 후에는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정면으로 보강재(124)를 적재한 후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를 이용해 고정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와 보강재(124) 사이에도 이간재(122)를 넣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적재 및 고정이 끝나면 각 분할 케이스(140a 내지 140d)를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씌우고 별도의 포장재로 랩핑한 후 이동장소로 이송한다.
또한, 이송 후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내릴 때에는, 랩핑된 포장재를 제거한 후 분할 케이스(140a 내지 140d)를 떼어낸다. 다음으로, 평판유리 고정장치(130a, 130b)를 푼 뒤, 보강재(124)를 꺼내고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하나씩 내리면 된다.
도 3 에서는 분할 케이스(140)가 네개의 분리된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다양한 모양과 수량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는 다양한 형태의 분할 케이스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분할 케이스(150)를 좌우 두개의 케이스(150a, 150b)로 구성하거나, 도 4(b)와 같이 하나의 분할 케이스(1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포장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 및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첫째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포장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모양과 크기로 제작된 분할 케이스를 정해진 위치에 씌우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과 안전을 제고할 수 있고,
둘째로, 종래의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재되는 평판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이간부재로 평판유리의 테두리 부위만 이간시키도록 하는 이간재를 삽입함으로써 큰 사이즈의 유리(대체로 가로 세로의 길이가 1m가 넘는 유리)의 경우 새깅 (sagging)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으로 적재되는 평판유리와 평판유리 사이에 전체면 또는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의 면이 접촉하도록 하는 이간재를 사용함으로써 새깅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셋째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접촉하는 전면에 완충재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고, 완충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마모되거나 손상된 완충재를 교체할 수 있으며,
넷째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이간재를 넣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간 접촉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정면에는 보강재를 적재하여 외부 충격이나 평판유리 고정장치로 인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분할 케이스의 모양 및 수량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평판유리 고정장치로 클램프 이외에도 밸트나 지지막대 등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여 응용의 폭이 넓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적재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재면 및 상기 적재면의 후단부에 상기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구비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평판유리 고정장치; 및
    상기 적재된 전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면, 양측면 및 상면에 접촉하면서 씌워져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노출되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차단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적재 프레임에 적재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면을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하면서 상기 적재된 전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외부로 각기 씌워지는 복수의 분할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유리 고정장치가,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면의 일측단에 돌출 형성된 바; 및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다른 일측면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면의 다른 일측단에 수직으로 접히고 펴질 수 있는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유리 고정장치가,
    좌우 한쌍의 신축성 있는 밸트; 및
    상기 각 밸트의 고정되지 않은 일단으로 상호 결속을 이루는 결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면의 상면과 상기 등받이면의 정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체면의 적어도 90% 이상의 면과 접촉되는 이간재; 및
    상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중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앞에 적재되는 보강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2003-0083779A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043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79A KR100439604B1 (ko)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TW092136496A TWI228475B (en) 2003-11-24 2003-12-23 Packaging container of flat glass plate for display device
CNB2003101215977A CN1314569C (zh) 2003-11-24 2003-12-29 显示器用平面玻璃板的包装箱-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779A KR100439604B1 (ko)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018A true KR20040037018A (ko) 2004-05-04
KR100439604B1 KR100439604B1 (ko) 2004-07-12

Family

ID=3479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79A KR100439604B1 (ko) 2003-11-24 2003-11-24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39604B1 (ko)
CN (1) CN1314569C (ko)
TW (1) TWI22847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5B1 (ko) * 2006-09-18 2007-11-21 (주)천하테크 패널적치장치
KR101231162B1 (ko) * 2005-04-12 2013-02-0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200465373Y1 (ko) * 2011-05-17 2013-02-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엘시디 원판 유리의 밀림 방지 장치 및 이 밀림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원판 유리 운반 장치
KR20160016169A (ko) * 2014-08-04 2016-02-15 (주) 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CN110498142A (zh) * 2019-08-28 2019-11-26 袁舜 一种集装箱玻璃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6326B2 (ja) 2005-06-16 2011-08-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梱包装置
JP5168720B2 (ja) * 2007-04-03 2013-03-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およびガラス板梱包体
AU2013237061B2 (en) * 2012-03-22 2015-11-26 Apple Inc. Gimbaled scanning mirror array
US9715107B2 (en) 2012-03-22 2017-07-25 Apple Inc. Coupling schemes for gimbaled scanning mirror arrays
CN104442939B (zh) * 2013-09-23 2017-09-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周转车
CN103693092B (zh) * 2013-12-11 2016-05-04 芜湖欣荣管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吊架式平板玻璃周转车
US9784838B1 (en) 2014-11-26 2017-10-10 Apple Inc. Compact scanner with gimbaled optics
US9835853B1 (en) 2014-11-26 2017-12-05 Apple Inc. MEMS scanner with mirrors of different sizes
US9798135B2 (en) 2015-02-16 2017-10-24 Apple Inc. Hybrid MEMS scanning module
US9703096B2 (en) 2015-09-30 2017-07-11 Apple Inc. Asymmetric MEMS mirror assembly
US9897801B2 (en) 2015-09-30 2018-02-20 Apple Inc. Multi-hinge mirror assembly
US10488652B2 (en) 2016-09-21 2019-11-26 Apple Inc. Prism-based scanner
US11604347B2 (en) 2019-08-18 2023-03-14 Apple Inc. Force-balanced micromirror with electromagnetic actu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07930U1 (de) * 1981-03-18 1981-07-09 HEGLA Fahrzeug- und Maschinenbau GmbH & Co KG, 3472 Beverungen Transportgestell fuer flaechige Gegenstaende
DE3621988C1 (de) * 1986-07-01 1987-05-14 Flachglas Ag Transportgestell fuer Glasscheiben
JP2000203679A (ja) * 1998-11-13 2000-07-2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収納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162B1 (ko) * 2005-04-12 2013-02-0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0777655B1 (ko) * 2006-09-18 2007-11-21 (주)천하테크 패널적치장치
KR200465373Y1 (ko) * 2011-05-17 2013-02-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엘시디 원판 유리의 밀림 방지 장치 및 이 밀림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원판 유리 운반 장치
KR20160016169A (ko) * 2014-08-04 2016-02-15 (주) 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CN110498142A (zh) * 2019-08-28 2019-11-26 袁舜 一种集装箱玻璃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498142B (zh) * 2019-08-28 2024-04-05 甘肃赛陆达物流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集装箱玻璃运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4094A (en) 2004-11-16
CN1314569C (zh) 2007-05-09
TWI228475B (en) 2005-03-01
CN1621322A (zh) 2005-06-01
KR100439604B1 (ko) 2004-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604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US7341151B2 (en) Cushioning material and packing material for display module and transport method for display module
JP3643838B1 (ja)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及び包装方法
KR100807960B1 (ko) 유리기판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JP5382027B2 (ja) 板状体梱包箱及び板状体搬送方法
JP4911276B2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
KR101478682B1 (ko) 유리판 곤포체
JP2000203679A (ja) ガラス板の収納方法
KR101097077B1 (ko) 유리판 곤포 상자, 곤포 방법 및 개곤 방법
KR100438201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US6997318B2 (en) Pack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JP4228326B2 (ja) ガラス板の収納方法
JP328433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搬送方法
CN101712392A (zh) 捆包装置
CN201109542Y (zh) 液晶面板包装容器
CN216402093U (zh) 包装防护内衬和包装盒
TWI722134B (zh) 捆包用構件、捆包體及捆包體之製造方法
JP2012246038A (ja) 梱包容器
KR100760239B1 (ko) 엘시디 패널 포장용 패킹
JP2003182736A (ja) 被梱包物体載置用のパレット、パレット用被梱包物体固定方法、パレット用梱包方法、パレット用被梱包物体固定装置、パレット用梱包装置、被梱包物体保管方法、パレット用被梱包物体固定部材および被梱包物体輸送方法
JP4075479B2 (ja) ガラス乾板収納用スペーサ
JP2005075428A (ja) 梱包容器
JPH072281U (ja) 板状物の収納用具
JP4176451B2 (ja) 表示パネルの輸送方法
JPH10268421A (ja) 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