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624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624A
KR20040026624A KR1020030065777A KR20030065777A KR20040026624A KR 20040026624 A KR20040026624 A KR 20040026624A KR 1020030065777 A KR1020030065777 A KR 1020030065777A KR 20030065777 A KR20030065777 A KR 20030065777A KR 20040026624 A KR20040026624 A KR 20040026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ata
liquid crystal
cryst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구찌게이지
사사마사아끼
이또노리오
기따우라류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2D 및 3D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의해, 용이하게 볼 수 있는 2D 화면 및 즐길수 있는 3D 화면은 간단한 키 조작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제1 표시부(5)는 2D 화상 표시 시에는 시차 광학계를 생성하지 않고, 용이하게 볼 수 있는 2D 화면의 표시를 인에이블시킨다. 전자 기기는 데이터를 공유하여, 2D 이미지 표시를 3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차원(이하, "2D") 및 3차원(이하, "3D")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휴대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기기와,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 및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발전된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3D 표시 기능을 구비하고 2D/3D 표시의 전환이 가능한 3D 표시 휴대 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런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2D/3D 표시의 전환을 위해, 2D 표시부와 3D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변경 가능하도록 표시체인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배치된 렌티큘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공보 제2001-251403호의 1-12쪽 및 도 9).
도 9 내지 14를 참조하여, 2D 표시로 전환가능한 3D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표준 타입의 액정 디바이스(LCD)의 픽셀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LCD는 컬러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픽셀로 구성된다. 픽셀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픽셀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하는 Col0 내지 Col5에 배치된다. 픽셀의 가장 좌측의 열 Co10은 표시되는 이미지의 가장 좌측의 스트립에 대응하고, 우측 이웃의 열 Col1는 이미지의 다음 스트립에 대응하며, 이하도 마찬가지다.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는, 입체 3D 디스플레이에 사용된다. 3D 디스플레이는, 표시하여야 할 화상 내용에 따라서 백 라이트(102)로부터의 빛을 조절하기 위한 공간 광 변조기로서 작용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편광판을 포함함)(10l)를 구비한다. 시차 광학계는 뷰잉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와 협조하여 동작한다. 하기에, 시차를 일으키는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학 구성을 "시차 광학계"로 부른다. 도 10은 시차 광학계로서 시차 배리어(103)를 구비하는 전면 시차 배리어 타입의 3D 자동 입체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고 있다. 시차 배리어(103)는 수직 방향으로는 신장하며 가로 방향으로는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한 복수의 슬릿(104)을 구비한다. 각 슬릿(104)은 상이한 색의 한쌍의 픽셀 열의 중심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10의 슬릿(104)은 청색 픽셀의 열 105 및 녹색 픽셀의 열 106에 정렬된다.
좌측 및 우측 뷰잉 윈도우의 올바른 배치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좌측 및 우측의 이미지 데이터는 도 11에 도시되는 방법으로, 도 10에 도시되는 타입의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에 공급된다. 도 11에서, 좌측 이미지의 가장 좌측의 스트립의 색 이미지 데이터는, "Co10 좌측"으로 지정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 열에 의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우안 뷰의 가장 좌측의 스트립의 색 데이터는, "Co10 우측"으로 지정되는 픽셀의 열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좌측 및 우측의 뷰의 이미지 데이터가 적절한 좌측 및 우측 뷰잉 윈도우로 확실하게 송신된다. 또한, 이 배치는 3개의 픽셀색 R, G 및 B 모두가 각 뷰 스트립을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되는 레이아웃과는 상이한, 도 11에 도시되는 레이아웃은, 가장 좌측의 열에서의 적색 및 청색 픽셀은 좌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가장 좌측의 열에서의 녹색 픽셀은 우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 다음 열에 있어서, 적색 및 청색 픽셀은 우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녹색 픽셀은 좌측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타입의 표준 액정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GB 픽셀 열 사이에서 서로서로 녹색 콤포넌트를 "교환"하면서, 좌측 및 우측의 뷰의 이미지 데이터를 인터레이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의 설정에 의해서, 녹색 콤포넌트 대신에, 적색 혹은 청색 콤포넌트가 교환되더라도 좋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일부를 도시한다. 표시될 데이터는 데이터버스(120)상에 직렬로 공급된다. 스크린 상의 픽셀의 위치를 정의하는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버스(121) 상에 공급된다. 데이터 버스(120)는 메모리(VRAM; 122 및 123)와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도면에 2개 도시됨)의 수개의 뱅크의 입력에 접속된다. 어드레스 버스(121)는 메모리 관리 시스템(124)에 접속된다. 이 메모리 관리 시스템(124)은 스크린 어드레스를 메모리(122 및 123)의 어드레스 입력에 공급될 메모리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메모리(122 및 123)의 출력 포트는, 래치 회로(130)를 통하여 비디오 컨트롤러(126)의 선입 선출(FIFO) 레지스터(125)에 접속된다. 메모리(122 및 123) 및 레지스터(125)는 개개의 픽셀 데이터가 메모리(122 및 123)로부터 교대로 판독되어 올바른 순서로 표시용 메모리(VRAM; 127)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표시용 메모리(127)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드라이버 회로와 FIFO 레지스터(125)와의 사이에 제공되어, 배열된 표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도 13은 더 상세히 래치 회로(130)를 도시한다. 래치 회로(130)는 메모리(122 및 l23)의 출력 포트에 각각 접속되는 래치(140 및 141)를 구비한다. 래치(140 및 141) 각각은, 대응 메모리로부터의 R, G 및 B 데이터를 래치하는 8개의 래치로 그룹화되어 배치되어 있는 24개의 1 비트 래치를 구비한다. 래치(140 및 141)는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을 공급하는 타이밍 생성기(128)의 출력에 통합적으로 접속된 래치 인에이블 입력을 갖는다.
래치 회로(130)는 3개의 스위칭 회로(142, 143 및 144)를 더 구비한다. 스위칭 회로는 각각, 스위칭 신호 SW를 공급하는 타이밍 생성기(128)의 출력에 통합적으로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는 8개의 스위칭 엘리먼트를 구비한다. 타이밍 생성기(128)는 기입 인에이블 신호 F를 레지스터(125)에 공급하는 출력을 더 갖는다.
G 데이터에 대응하는 스위칭 회로(143)는, 래치 회로(140, 141)에 대한 나머지 스위칭 회로(142, 144)가 전환하는 것과는 상이한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표시 데이터가 메모리(122 및 123)의 출력 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은 "하이" 레벨이 된다. 이와 같이, 래치(140 및 141)는 표시 데이터를 래치한다.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이 "로우" 레벨로 되돌아간 즉시, 스위칭 신호 SW는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다음에, 스위칭 회로(142, 143 및 144)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되고, 래치(140)의 R, G, B 출력이 레지스터(125)에 접속된다. 그 다음에, 기입 인에이블 신호 F가 레지스터(125)에 공급되어, 래치(140)로부터의 RGB 데이터가 레지스터(125)에 기입된다. 다음에, 기입 인에이블 신호 F는 다음의 기입 인에이블 신호의 입력까지 또 다른 데이터가 레지스터(l25)에 기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디스에이블 상태로 된다.
다음에, 스위칭 신호 SW가 "로우" 레벨이 되어, 스위칭 회로(142, 143 및 144)는 래치(141)의 출력을 레지스터(125)에 접속한다. 그 다음 기입 인에이블 신호 F가 발생하여, 래치(l41)로부터의 데이터가 레지스터(125)에 기입된다. 동시에 레지스터(125)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는 표시용 메모리(127)에 기입된다. 다음의 래치 인에이블 신호 L이 "하이" 레벨이 되어,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는 메모리(122 및 123)로부터 교대로 레지스터(125)에 기입된다. 레지스터(125)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가 표시용 메모리(127)에 순차 기입된다. 1화면분의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가 표시용 메모리(127)에 기입될 때까지 처리는 반복된다.
관찰자의 양안에 대해 표시되어야만 하는 2D 혹은 모노스코프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다. 시차 배리어(3)에 의한 시차 광학계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광로상에서 제거된다. 모노스코프의 픽셀 데이터는 도 12에 도시되는 표시용 메모리(127)에 직접 입력되고 기억됨으로써 실행된다. 3D 표시 모드에 있어서, 좌안 및 우안의 이미지의 각각은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수평 공간 해상도의 반의 해상도를 갖는다. 2D 혹은 모노스코프 모드로 디스플레이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3D 표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서의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가로 방향 해상도의 2배의 해상도를 갖는 것이 된다.
도 14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행함으로써, 2D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표시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 디바이스에서, 관찰자의 양안 사이의 시차를 일으키는지의 여부가 전기적 방식으로 선택가능한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차 광학계는, 예를 들면 상기한 액정 디바이스, 즉 2D/3D 전환용의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LCD; 150)와 패턴화 위상 차판(151)을 사용하고 있다.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는 3D와 2D 화상 사이의 에 전면을 전환하기 위해서 매트 전극을 갖는다. 패턴화 위상 차판(151)은 액정 디바이스의 2매의 편광판중 한쪽의 편광판으로 치환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10과 실질적으로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시차 배리어(103')를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배면, 또는 백 라이트(102)측에 배치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디바이스(101)의 전면측에 배치해도 좋다.
도 14에 도시한 배치에 있어서, 3D 이미지를 표시할 때는,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내부의 액정 분자는 회전 상태를 유지한다. 패턴화 위상 차판(151)에 대한 광의 편광 특성에 의해, 패턴화 위상 차판(151)의 패턴에 따라 도 10의 시차 배리어(103)의 슬릿(104)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슬릿을 형성한다. 2D 이미지를 표시할 때는,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액정 분자의 회전이 해제된다. 따라서, 패턴화 위상 차판(151)은 패턴의 유무에 관계없이 패턴 입사광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슬릿의 형성이 해소된다.
그 대안으로서, 일본공개공보5-122733호 또는 7-236174호 등에 기재와 같이, 시차 배리어(103)의 패턴과 마찬가지인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 패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2D와 3D 사이의 전환하기 위한 한쌍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디바이스가 채용될 수도 있다.
시차 배리어(103)를 부착하여 표시되는 좌우의 스크린 영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기구적인 시차 광학계를 갖는 도 10에 도시된 3D 자동 입체 디스플레이 상에 2D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자체에는 시차 광학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2D 이미지를 표시할 때에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볼 때에는 이 시차 광학계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시차 광학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면, 2D 이미지의 표시에 있어서 시차의 영향을 없애는 이점이 있다. 즉, 도 14와 같은 배치인 경우는, 2D 이미지의 표시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시차 광학계가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액정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디바이스 구조가 된다. 따라서, 좌우 양안의 시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서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그런데, 3D 입체 표시는 흔들리는 차량의 안 또는 계속하여 장시간 보면 지친다. 또한, 선천적으로 3D 이미지를 보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3D 이미지 표시를 2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D 이미지 표시를 입체감이 있는 표시 즉 3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할 수 있으면, 사용자에게 임팩트를 주는 즐거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절첩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화면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좌안용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모식도.
도 7은 좌안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의 둘다를 사용하여,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모식도.
도 8a-8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액정의 픽셀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3D 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3D 표시를 위한 픽셀의 배열을 설명하는 픽셀 레이아웃을 나타내는의 도면.
도 12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2D/3D 전환가능한 표시 디바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제1 표시부
20 : 제2 표시부
101 : 액정 표시 디바이스
102 : 백라이트
150 :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
151 : 패턴화 위상 차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선택에 의해서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의 2D 이미지와 시차 광학계를 따르는 3D 이미지와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는 표시 전환부를 구비하여, 3D 이미지와 보기 쉬운 2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선택에 의해서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시차 광학계를 따르는 3D 이미지와 2D 이미지간의 표시 전환을 지시한다. 제어부는 이 지시에 기초한 공유 데이터로부터 2D 표시를 위한 데이터 및 3D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시차를 생성하는 상태와 광학 시차를 생성하지 않는 상태는 2D 표시 및 3D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부에서 형성된다. 또한, 표시를 위한 데이터는 공유 데이터로부터 생성되고, 이는 각 차원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필요성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유 데이터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중의 하나에 기초하는 2D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유 데이터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추출되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중의 하나에 기초하는 2D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유 데이터는 2D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3D 표시를 위한 데이터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2D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시차 광학계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바이스는 2D/3D 전환용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와 패턴화 위상 차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 표시를 선택적으로 행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자 기기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의 표시를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광학 시차가 생성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2D 이미지와 3D 이미지 중의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한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메모리와 표시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 중의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지시에 따른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3D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와 2D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제어부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 중의 하나의 표시 및 표시 제어부에 표시를 위해 생성된 데이터를 인에이블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복수의 표시 엘리먼트와 이 복수의 표시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해 시차 광학계가 선택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시차 광학계가 생성되는 않은 상태를 스위칭부가 얻은 경우에, 2D 이미지는 표시된다. 공유 데이터는 각 표시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일부에 기초한 2D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에 기초한 2D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데이터 중의 하나를 복제함으로써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에 기초한 2D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사전 결정된 시차를 초과하는 시차를 발생시키는 제1 데이터 및 사전 결정된 시차를 초과하지 않는 시차를 발생시키는 제2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전 결정된 원칙에 따라 제1 데이터를 복제함으로써 복제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제1 데이터, 복제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크램 쉘 타입의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기(1)의 개방한 상태에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힌지(4)를 통해 서로 접속된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하우징은 힌지(4)를 축으로 자유롭게 각 변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어, 절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는 제1 하우징(2)내에 제1 표시부(5)를 구비한다. 제1 표시부(5)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었을 때에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표시부(5)는 시차 광학계의 형성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2D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 디바이스이다. 제1 표시부(5)는 후술하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를 통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제1 표시부(5)의 상부에는 통화 시에 사용하는 제1 스피커(6)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 전화기(1)의 제2 하우징(3)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버튼군(7)은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로 구성된다. 기능 버튼군(8)은 휴대 전화기(1)의 각종 설정/기능 전환을 위한 버튼으로 구성된다. 특히, 전원의 ON/OFF 전환을 행하는 전원 버튼(9), 후술하는 카메라 기능의 제1 셔터 버튼(10), 메일 기능과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는 메일/가이던스용 버튼(11), 스피커를 사용하여 통화를 개시하는 개시/스피커-온 버튼(12), 기능 선택 화면에서의 상하 좌우 선택을 위한 4 방향 버튼과 결정 버튼으로 구성된 멀티 가이드 버튼(13)으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3)의 하부에는 마이크(14)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1)의 제2 하우징(3)에서 힌지(4), 기능 버튼군(8), 입력 버튼군(7), 마이크(14)의 순서대로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절첩 상태의 휴대 전화기(1)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2)의 배면은, 힌지(4)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카메라부(21)와 라이트부(22)가 배치된다. 제2 표시부(20), 제2 셔터 버튼(23) 및 제2 조작 버튼군(24)이 힌지(4)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된다.
제2 표시부(20)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될 때 이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제2 표시부(2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EL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된다. 후술하는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를 통하여 수신된 촬상 화상과 시각 정보, 전파 강도, 메일 수신 등을 나타내는 캐릭터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제2 표시부(20)가 이들 화상을 표시할 때에,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로부터 제2 표시부(20)에 보내여져 오는 화상 데이터는, 힌지(4) 방향이 위가 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힌지 방향이 위이면 휴대 전화기(1)를 절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전화기(1)가 개방 또는 절첩에 관계없이 제2 하우징(3)의 방향이 변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바꿔 말하면,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하거나 닫을 때마다, 휴대 전화기(1)의 방향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2 표시부(20) 상에 표시되는 화상은 촬상 화상을 포함한다. 촬상 화상을 보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1)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
카메라부(21)는 촬상 렌즈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 0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와 RGB의 3개의 컬러 필터를 구비한다. 카메라부(21)는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촬상 렌즈에 입사한 빛을 컬러 필터를 통해 RGB의 3색광으로 분리하고, 이들 광은 각각 촬상 소자에 입력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21)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었을 때에 외측에서, 힌지(4)와 제2 표시부(20)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하여 촬영할 때에는, 제2 하우징(3)을 잡고 촬영한다.
라이트부(22)는 카메라부(21)로 촬상할 때의 보조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크세논관을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최근에 RGB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동시 발광시켜, 백색광을 얻어서 보조 광원에 이용하는 것도 있다.
제2 셔터 버튼(23)은 제1 하우징(2)의 배면 중앙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를 절첩한 상태에서는 제2 셔터 버튼(23)은 제2 표시부(20)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 제2 셔터 버튼(23)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절첩한 상태에서 간단히 셔터 버튼 위치를 확인하여,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제2 조작 버튼군(24a, 24b)은 제2 표시부(20)를 이용하여 각종 설정/조작을 행하기 위해 제2 셔터 버튼(23)의 각 측에 설치된다. 제2 조작 버튼군은 각종 기능 설정, 어드레스장의 표시/검색, 메일의 확인/표시/발신을 조작하기 위해 제2 표시부(20)와 연동된다. 또한, 촬영 시의 줌 조작이나 복수의 촬상 화상의 순방향/역방향 표시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의 배면에는 안테나부(25)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헤리컬부(26), 배터리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도시하지 않음)와 착신음을 울리는 제2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하우징(2)은 힌지(4)를 통해서 제2 하우징(3)과 기구적으로 접속된다.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기판이 힌지(4) 내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내부 회로 구성예를 나타낸다.
제어부(40)는 휴대 전화기(1)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셔터 버튼 제어부, 백 라이트 제어부, 라이트 제어부 및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부(41)는 증폭부,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신호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증폭부는, 카메라부(21)로부터 송신된 RGB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A/D 변환부에 보낸다. A/D 변환부는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RGB에 대응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신호 처리부에 송신한다. 신호 처리부는 A/D 변환부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픽셀의 보간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는 제어부(40)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를 실시한 화상 데이터를 제1 메모리(42)에 송신한다. 촬상부로 기능하는 카메라부(21) 및 화상 처리부(41)는 입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제1 메모리(42)는 신호 처리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고, 예를들어 오래된 화상 데이터는 소거하거나, 혹은 가장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덧씌우기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제어부(40)는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제1 메모리(42)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제1 및 제2 표시 드라이버부(43, 44)에 송신한다. 제1 및 제2 드라이버부(43, 44)는 제1 및 제2 표시부(5, 20)에 표시하려고 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제1 및 제2 표시부(5, 20)의 각 픽셀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제1 및 제2 백 라이트(45, 46)는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표시부(5, 20)에 빛을 조사하여 휘도를 증가시킨다.
제어부(40)는 제1 및 제2 백 라이트(45, 46)의 온/오프 제어 및 휘도를 조정한다. 제1 조작 버튼군(47)은 상술한 제2 하우징(3)의 입력 버튼군(7)과 기능 버튼군(8)으로 구성된다. 제2 조작 버튼군(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메모리(42)에 연속적으로 송신되고,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중 사용자가 특정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3 메모리(52)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제어부(40)에 출력하기 위하여 제1 또는 제2 셔터 버튼(10, 23)을 조작한다. 제어부(40)는 제1 또는 제2 셔터 버튼(10, 23)으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제3 메모리(52)에 저장한다. 제2 메모리(48)는 제1 메모리(42)와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개폐 상태 검출부(49)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힌지(4) 내부에 검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40)에 송신되고, 제어부(40)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안테나부(25)는 무선 전파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할 때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무선부(50)는 수신 시에, 안테나부(25)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한다. 송신 시에는, 통신 제어부(51)로부터 송신되는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사전 결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어부(40)에 송신한다. 무선부(50) 및 통신 제어부(51)를 통해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3 메모리(52)에 기억된다.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에 일시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개폐 상태 검출부(4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환한다. 개폐 상태 검출부(49)가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제2 표시 드라이버부(44)에 출력하여, 제2 표시부(20)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개폐 상태 검출부(49)가,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40)는 제1 메모리(4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제l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출력하여, 제1 표시부(5)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카메라부(21)는 휴대 전화기(1)가 절첩된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의 촬영자 이외의 피사체를 촬상할 때는, 촬영자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메라부(21)를 사용자와 반대측에 있는 피사체측로 향하여 촬상한다. 이 경우에서는, 개폐 상태 검출부(49)는 휴대 전화기(1)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카메라부(2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제1 표시부(5)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제1 표시부(5)를 촬상 시의 뷰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촬영자 자신을 촬상할 때는, 촬영자는 휴대 전화기(1)를 절첩한 상태로 카메라부(21)를 사용자쪽으로 향하여 촬상한다. 이 경우에서는, 개폐 상태 검출부(49)는 휴대 전화기(1)의 절첩 상태를 검출하고, 카메라부(2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제2 표시부(2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2표시부(20)를 촬영 시의 뷰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 전화기(1)는 휴대 전화기(1)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 자신을 촬영 가능하다.
제1 표시부(5)는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2D 이미지 및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제2 표시부(20)는 2D 이미지만 표시되는 통상의 표시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제1 표시부(5)에 접속되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는 도 12에서 설명한 메모리(122, 123) 및 비디오 컨트롤러(126)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뷰파인더로서 제1 표시부(5)를 사용하여 카메라부(21)로 촬영하는 경우, 제1 표시부(5)는 2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가 키 조작 등에 의해 촬상 모드로 설정될 때는, 제1 표시부(5)는 2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설정된다. 카메라부(21)로 촬상되는 화상은, 통상 3D 이미지용으로 특별히 변환할 때까지는 좌안 및 우안의 이미지로 구별되는 것이 없는 2D의 이미지로 생성된다. 따라서, 제1 표시부(5)에 있어서, 2D/3D 전환용 액정 디바이스(150)가 2D 이미지용으로 전환되고, 카메라부(21)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제1 메모리(42)로부터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내의 비디오 컨트롤러(126)의 표시 메모리(127)에 직접 입력된다. 이로 인해, 카메라부(21)로 촬상되는 화상은 2D 표시를 위해 뷰파인더로서 셔터 버튼을 조작할 때까지는 리얼타임으로 표시된다.
본 휴대 전화기(1)에서, 특히 주된 표시체인 제1 표시부(5)는 사이즈도 크고, 또한 고정밀 액정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술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제1 표시부(5)에 보다 아름다은 2D 이미지의 표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제1 표시부(5)에 있어서 3D 이미지의 표시는, 예를들면 Web 사이트나 메일을 통해 3D 이미지 데이터의 콘텐츠로서 송부되어,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로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는 애니메이션이나 풍경 사진, 기타, 2D보다 3D 이미지에서의 표시가 적절한 것, 혹은, 2D보다는 3D 쪽이 보다 즐길 수 있는 것 등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되는 데이터는 표시 디바이스의 특성상,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분할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구조인 것이 필요하다. 또는, 휴대 전화기(1)에 3D 변환 기능을 내장할 수도 있고, 휴대 전화기(1)의 카메라부에서 찍은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대응하는 분할된 3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 후, 표시할 수도 있다. 혹은, 휴대 전화기(1)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휴대 전화기로부터 송신된 3D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대기 화면은 통상, 휴대 전화기를 전화기로서 미사용 시에 디폴트 화면으로서 설정되어 있지만,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혹은 Web 사이트나 메일 등 브라우저로 다운로드한 화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사용자는 어떤 한방향으로만 3D 표시를 볼 수 있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 3D 표시를 보거나, 또는 장시간 계속해서 보면 지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천적으로 3D를 입체로 인식 못하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3D 이미지 표시를 2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D 이미지의 표시가 입체감이 있는 즉 3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임팩트를 제공하여 즐거움을 주는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4는 3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동작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제어부(40)와 임의의 메모리부는 3D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계수하는 계수부로 구성된다.
이하의 예에서, Web 사이트나 메일로부터 수신된 3D 이미지 데이터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혹은 휴대 전화에 내장된 카메라부에 의해 찍은 영상을 표시를 위해 3D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나, 촬영한 화상을 기록한 메모리로부터 재생하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3D 이미지를 임의의 화면이 표시를 하는 것이다.
임의의 3D 화면이 통상 디폴트 화면으로서 설정된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폴트 화면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화상이나,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혹은 Web 사이트나 메일등 브라우저로 다운로드한 화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디폴트 화면으로서의 설정시, 3D 화면용의 3D 데이터가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l 메모리(42)에 판독된다(S21). 제1 메모리(42)에 판독된 3D 데이터는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되어, 제1 표시부(5) 상에 3D 이미지 화면이 표시된다(S22).
설정 화면의 표시시, 키(도 1의 키 군(7, 8) 등)를 통해 지시가 입력되면(S23),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가 3D 표시 모드에서 2D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S24). 2D 이미지에 대한 표시 데이터가 생성되어(S25),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되어, 2D 이미지 화면이 표시된다(S26).
상기한 예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키가 조작될 때마다 화면 표시는 2D 이미지 표시로 전환된다. 임의의 키 조작으로 2D 이미지 표시로 전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물론, 임의의 선택된 키의 조작만으로 2D 이미지의 표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키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상술한 3D 이미지의 표시 시간 계수부에 의해서 사전 결정된 타이머 설정 시간이 임의의 키 입력없이 되면(S34), 마찬가지로, 표시 모드를 2D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24). 2D 이미지용의 표시 데이터가 생성되어(S25)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되어, 2D 이미지 화면은 제1 표시부(5)에 표시된다(S26). 타이머 설정 시간에 대한 임의의 디폴트가 설정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키 조작 등으로 임의로 그 타이머 설정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화상의 콘텐츠에 최대의 허용 시간 정보를 넣어 놓고, 이 정보는 3D 이미지가 표시될 때, 화상의 표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판독된다.
또한 다른 임의의 키 조작에 의해, 제1 표시부(5) 상의 화면 표시는 2D 이미지에서 3D 이미지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가 3D 이미지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3D 이미지의 화면용의 3D 데이터가 판독되는 것에 의해 제1 표시부(5) 상에 3D 이미지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 5는 2D 이미지의 표시로부터 3D 이미지의 표시에 전환하는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어떤 키 입력이 있고(S21), 그 키가 예를들면 3D 키이면(S22), 제1 표시부(5)의 표시 모드가 3D 표시 모드로 전환된다(S23).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3D 이미지의 화면용의 3D 데이터가 판독되는 (S24) 것에 의해, 제1 표시부(5) 상에 3D 이미지 화면이 표시된다(S25).
상술된 바와 같이, 3D 이미지 표시는 키 조작 혹은 소정의 시간의 경과에 의해 시차의 영향이 없는 2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2D 이미지 표시는 키 조작에 의해 간단히 3D 이미지의 표시로 복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임팩트가 있는 3D 표시를 즐길 수 있다.
도 6은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D 이미지 데이터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좌안용 화상 데이터 L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로 형성된다. 좌안용 화상 데이터 L을 가로 1 픽셀로 이루어지는 스트립 형상의 블록 L1, L2, L3로 분할한다. 우안용 화상 데이터 R를 마찬가지의 블록 R1, R2, R3으로 분할한다. 2D 이미지 데이터는,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도 6의 굵은 테의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2배 확대하여 작성한다. 확대를 위해, 각 스트립 형상 블록을 단순하게 복사하는 방법(Ll'= L1 등)이나, 주위의 픽셀의 값을 이용하여 픽셀을 보간(Ll'=(L1+ L2)/2 등)한다. 보간은 단순한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안용 화상 L에서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우안용 화상R에서도 상기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우측 및 좌측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2D 이미지를 작성하는 방법은 2개의 뷰 이상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갖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배경 등의 적은 시차를 생성하는 3D 이미지의 일부에 대응하는 2D 이미지 데이터는 좌안용 및 우안용 화상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2D 이미지 데이터 작성 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7은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3D 이미지 데이터는 좌안용 화상 데이터 l과 우안용 화상 데이터 r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의 경우와 같이, 좌안용 화상 데이터 1을 수직 방향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분할한 블록을 l1, 12, l3, 우안용 화상 데이터 r를 수직 방향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분해한 블록을 r1, r2, r3로 한다. 3D 이미지 데이터의 좌안용 화상 데이터 l 중 굵은선의 부분에 대응하는 블록 11, l2가 시차가 있는 전경 영역에 대응하고, 블록 l3이 거의 시차가 없는 배경 영역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도 6과 마찬가지로 우선 블록 11, l2을 수평 방향으로 2배로 확대하여 2D 이미지 데이터의 전경 영역을 작성한다. 다음에 블록 l3과 r3를 그대로 복사하여 2D 이미지 데이터의 배경 영역을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차가 적은 부분의 수평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2D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차의 유무의 결정은 예를들면 제3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시차와 이미지 데이터의 각 영역의 시차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또한, 2D 이미지 데이터의 전경 영역도 우안용 화상 데이터 r로부터 형성되지만,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이므로, 좌안용 화상 데이터 1의 방법으로 대신한다.
또한, 보간에 의해서 수평 방향에 앨리어싱이 발생하거나, 보간 필터에 의한 화상 불선명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방법으로 작성한 2D 이미지 데이터에 필터링을 할 수도 있다. 도 6의 경우에서는, 2D 이미지 데이터의 전경 영역(l1, l1,12,12의 부분)과 배경 영역(13, r3의 부분)에 대하여, 서로 다른 성질의 필터를 사용하여 따로따로 필터링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경 영역에는 엣지 강조인 선예화(sharpening) 필터를 사용하고, 배경 영역에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사용한다.
3차원에서 3D 이미지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2D와 3D의 각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1 표시부(5)는 3D 이미지 표시 모드로 설정된다. 좌안 및 우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 내의 비디오 컨트롤러(126)에 입력한다. 재배열을 행한 뒤의 데이터를 표시 메모리(127)에 입력한다.
3D 표시는 비트맵에 의한 사진, 회화 혹은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데 적합하여, 즐길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표시부(5)를 2D 이미지의 표시 모드로 전환하여, 상술한 도 6 또는 도 7에 따라서 생성된 데이터를 비디오 컨트롤러(126) 및 표시 메모리(127)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 2D 이미지의 화면은 표시된다. 제1 표시부(5)가 2D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액정 분자의 회전이 해제된다. 그 결과, 패턴화 위상 차판(151)은 패턴의 유무에 관계없이 패턴 위상 차판에 대한 입력광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슬릿의 형성이 해소되게 된다.
즉, 2D 이미지의 표시가 선택되었을 때는, 시차 광학계가 전혀 형성되지 않고, 통상에 사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디바이스 구조가 된다. 따라서, 좌우의 시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어떤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표시체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타이머 설정 시간 전에, 하기의 처리가 실행될 수도 있다. 알람 설정 시각이나 혹은 전화 및 메일을 착신하는 경우(S27)는, 표시가 3D 모드로부터 2D 모드로 전환된다(S28). 알람 화면 데이터 혹은 착신 화면 데이터를 판독하여(S29), 제1 표시 드라이버부(43)에 입력된다. 제1 표시부(5) 상에 데이터가 표시된다(S30). 이 경우, 알람 내용 혹은 착신 전화/메일 내용을 사용자가 시간을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2D 이미지 표시가 용이하다.
도 5의 경우에서, 어떤 키 입력이 없이 알람 설정 시각이나 혹은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인 경우는, 제3 메모리(52)로부터 제1 메모리(42)에 알람 화면 또는 착신 화면 데이터를 판독하고(S27), 제1 표시부(5) 상에 2D 이미지의 알람 화면 또는 착신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S28). 이와 같이 3D 이미지로 표시하면서, 알람 설정 시각이 되었는지 혹은 전화 착신 또는 메일 착신이 있는 경우, 이들 알람 화면이나, 착신 화면은 2D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는 문자 표시를 포함하는 화면을 시차의 영향이 없이 그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8의 (a) 내지 (c)는 전환되는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8(b)는 제1 표시부(5) 상에 3D 이미지 화면 및 2D 이미지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8(c)는 예를들어 메일 착신 시에 표시되는 문자가 많은 경우의 2D 이미지에 의한 착신 화면 표시 예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3D 이미지의 표시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공유하였지만, 대신 2D 이미지의 표시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공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부(21)에서 찍은 화상을 3D 이미지로 표시시키기 위해서, 카메라 화상(2D 화상 데이터)으로부터 좌안 및 우안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변환 기능을 내장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화면이 내장형 3D 변환 기능을 사용하는 3D 이미지 표시로 전환할 시에, 2D 표시용 데이터를 공유 데이터로서 해당 데이터로부터 3D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제1 표시부(5)를 도 14에 도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로 이용하고, 시차 광학계의 형성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로서, 2D/3D 전환용의 스위칭 액정 디바이스(150)와 패턴화 위상 차판(151)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 대안으로는, 한쌍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 슬릿으로 실질 동작하는 표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 3D/2D 의 전환은 패턴의 표시의 온/오프에 의해서 행해진다.
특히 전자의 예에서, 액정 디바이스의 전극 형성과는 관계없이, 패턴 위상 차판으로서 별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하게 시차 배리어 슬릿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표시부의 고정밀화(고정밀의 2D 이미지의 표시를 달성)에 대응하여 3D 이미지에서의 고정밀화를 실현하여, 더욱 임팩트가 있는 즐거운 표시가 달성될 수 있다.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가 없는 경우에서도, 2D 및 3D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3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로, 현재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3D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실제로 3D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해도 좋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힌지(4)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하우징이 1개이더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휴대 전화기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나 데스크 탑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 및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 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고 예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닌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입체 3D 표시는 흔들리는 차량의 내부에서 보거나 또는 장시간 계속해서 보면 지치는 경우가 있다. 혹은 본질적으로 3D의 입체를 선천적으로 볼수 없는 사람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세히 상술한 바와같이, 2D 표시시에는, 시차 광학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3D 이미지를 2D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제1 표시부(5) 상에 보기 쉬운 2D 이미지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D와 3D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에 의해, 즐거운 3D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2D 용의 화면 데이터를 기억할 필요도 없다.

Claims (20)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시차 광학계의 형성의 선택에 의해서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차 광학계가 관련하는 상기 2D 이미지와 상기 3D 이미지와의 표시의 전환을 지시하고, 상기 지시에 기초한 공유 데이터로부터, 2D 표시용 데이터 및 3D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차 광학계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2D/3D 전환 액정 디바이스 및 패턴화 위상 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 표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 중 하나에 기초한 2D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차 광학계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2D/3D 전환 액정 디바이스 및 패턴화 위상 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 표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추출된 상기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 중 하나에 기초한 2D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차 광학계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2D/3D 전환 액정 디바이스 및 패턴화 위상 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 표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2D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3D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차 광학계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2D/3D 전환 액정 디바이스 및 패턴화 위상 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바이스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 표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전자 기기에 있어서,
    2D 화상 및 3D 화상의 표시를 위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공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시차 광학계가 생성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2D 화상 및 3D 화상 중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입력 신호에 기초한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 제어부의 동작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화상 및 상기 3D 화상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를 검출하고, 상기 2D 화상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공유 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3D 화상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2D 화상 및 3D 화상 중 하나의 표시 및 표시를 위해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인에이블시키는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표시 엘리먼트와 상기 시차 광학계에 의해 상기 복수의 표시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전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시차 광학계가 생성되지 않는 상태를 얻는 경우에, 상기 2D 화상이 표시되고,
    상기 공유 데이터는 몇개의 눈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개별적인 상기 표시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몇개의 뷰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의 위치에 기초한 상기 2D 화상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2D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기 몇개의 뷰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중의 하나를 복제함으로써 상기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2D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 엘리먼트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사전 결정된 시차를 초과하는 시차를 발생시키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사전 결정된 시차를 초과하지 않는 시차를 발생시키는 제2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전 결정된 원칙에 따라 제1 데이터를 복제함으로써 복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복제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사전 결정된 양의 표시를 위한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30065777A 2002-09-24 2003-09-23 전자 기기 KR20040026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7149A JP3973525B2 (ja) 2002-09-24 2002-09-24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JP-P-2002-00277149 2002-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624A true KR20040026624A (ko) 2004-03-31

Family

ID=3198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777A KR20040026624A (ko) 2002-09-24 2003-09-23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79174B2 (ko)
EP (1) EP1406163A3 (ko)
JP (1) JP3973525B2 (ko)
KR (1) KR20040026624A (ko)
CN (1) CN122514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77B1 (ko) * 2010-06-17 2013-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1285A1 (ja) * 2002-08-27 2004-03-11 Sharp Kabushiki Kaisha 最適な再生モードでコンテンツを再生できる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100554991B1 (ko) * 2002-09-17 2006-02-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7619686B2 (en) * 2003-03-24 2009-11-17 Kantan Inc.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JP2005026868A (ja) *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音声信号記録装置
US7113182B2 (en) * 2003-07-17 2006-09-26 Seiko Eps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general purpose data lines between a display panel and non-display devices
US7450977B2 (en) * 2003-07-31 2008-11-11 Vodafone K.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50338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124151B1 (ko) * 2003-11-26 2012-03-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US20050130709A1 (en) * 2003-12-16 2005-06-16 Muszkiewicz Robert 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andestine mode of operation
US8384773B2 (en) * 2004-04-01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in three dimensions
KR101113235B1 (ko) * 2004-11-29 2012-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9153B1 (ko) * 2005-02-07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06100951A1 (ja) * 2005-03-22 2006-09-2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JP4913356B2 (ja) * 2005-04-05 2012-04-11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視覚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視覚情報処理方法
CN1933706B (zh) * 2005-09-16 201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及其盖体与滑动结构
ATE434343T1 (de) * 2005-09-28 2009-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2d/3d umschaltbare anzeigevorrichtung
US7299016B2 (en) * 2006-01-11 2007-11-20 Invente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adjustable brightness
EP1816508A1 (en) * 2006-02-02 2007-08-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20070247477A1 (en) * 2006-04-21 2007-10-25 Lowry Gregory 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ing and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KR101191195B1 (ko) * 2006-05-04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US8358273B2 (en) * 2006-05-23 2013-01-22 Apple Inc.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US7589629B2 (en) 2007-02-28 2009-09-15 Apple Inc. Event recorder for portable media device
JP2009048000A (ja) * 2007-08-21 2009-03-0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US20090174624A1 (en) * 2008-01-03 2009-07-09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1299843B (zh) * 2008-01-10 2012-05-30 常州津通视频技术有限公司 3d显示手机及3d图像显示方法
KR20110036882A (ko) * 2008-06-24 2011-04-12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집적회로, 재생방법, 프로그램
JP4915459B2 (ja) * 2009-04-03 2012-04-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09107B2 (ja) * 2009-05-13 2014-02-05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021399B2 (en) 2009-06-24 2015-04-28 Lg Electronics Inc. Stereoscopic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3D user interface
JP5227910B2 (ja) * 2009-07-21 2013-07-0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画像表示方法及びゲー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8531452B2 (en) 2009-07-21 2013-09-10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Video game machine, gaming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JP5438412B2 (ja) * 2009-07-22 2014-03-1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ゲーム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035592A (ja) * 2009-07-31 2011-02-17 Nintendo Co Ltd 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405264B2 (ja) 2009-10-20 2014-02-05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ライブラリ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754031B2 (ja) * 2009-11-04 2011-08-24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立体表示の制御に利用されるプログラム
KR20110057629A (ko) * 2009-11-24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634388B1 (ko) * 2009-12-07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9218644B2 (en) * 2009-12-17 2015-12-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2D video display based on 3D video input
EP2355526A3 (en) 2010-01-14 2012-10-3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908015B2 (en) 2010-03-24 2014-12-09 Appcessor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KR101699740B1 (ko) * 2010-04-14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2d/3d 변환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와 그 동작제어방법
US9693039B2 (en) 2010-05-27 2017-06-27 Nintendo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073013B2 (ja) * 2010-06-11 2012-11-14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
KR20120017228A (ko) * 2010-08-18 201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US9727128B2 (en) 2010-09-02 2017-08-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activation of an augmented reality mode
KR20120056929A (ko) * 2010-09-20 2012-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33336B1 (ko) * 2010-10-01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62131B2 (ja) * 2010-10-29 2014-04-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20120169711A1 (en) * 2011-01-05 2012-07-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artifacts in display related mode changes
US9983685B2 (en) 2011-01-17 2018-05-29 Mediatek Inc. Electroni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an-machine interface (MMI)
US8670023B2 (en) * 2011-01-17 2014-03-11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3D man-machine interface (MMI)
WO2012117703A1 (ja) * 2011-03-02 2012-09-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三次元画像処理装置、三次元画像処理方法、三次元画像視聴用眼鏡装置、三次元画像処理装置用集積回路、光ディスク再生装置、三次元映像信号再生装置および三次元映像信号表示装置
KR101831652B1 (ko) * 2011-09-07 2018-0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EP2615834A1 (en) * 2012-01-16 2013-07-17 Thomson Licensing Dealiasing method and device for 3D view synthesis
CN102763961A (zh) * 2012-05-14 2012-11-07 东莞市晋源祥塑胶五金电子有限公司 手机保护套
KR101992163B1 (ko) * 2012-11-23 2019-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3198799B (zh) * 2013-03-20 2015-1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驱动板以及液晶显示器
US8760500B1 (en) * 2013-10-23 2014-06-24 Google Inc. Depth map generation
CN109710166A (zh) * 2018-12-26 2019-05-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35173A (zh) * 2019-02-28 2019-07-1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2733A (ja) * 1991-10-28 1993-05-18 Nippon Hoso Kyokai <Nhk> 3次元画像表示装置
JPH07236164A (ja) 1994-02-24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立体映像表示装置
JP3091629B2 (ja) * 1994-04-12 2000-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2951264B2 (ja) * 1995-05-24 1999-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US6584219B1 (en) * 1997-09-18 2003-06-24 Sanyo Electric Co., Ltd. 2D/3D image conversion system
GB2336963A (en) * 1998-05-02 1999-11-03 Sharp Kk Controller for three dimensional display and method of reducing crosstalk
TW496043B (en) * 2000-01-27 2002-07-21 Kyocera Corp Portable wireless equipment
JP2001251403A (ja) 2000-03-07 2001-09-14 Sony Corp 電話装置
US6765568B2 (en) * 2000-06-12 2004-07-20 Vrex, Inc. Electronic stereoscopic media delivery system
KR20020027415A (ko) 2002-02-21 2002-04-13 김완수 3d 입체동영상 구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77B1 (ko) * 2010-06-17 2013-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6183A (zh) 2004-05-12
CN1225143C (zh) 2005-10-26
US20040058715A1 (en) 2004-03-25
US7079174B2 (en) 2006-07-18
EP1406163A3 (en) 2007-04-04
JP2004120058A (ja) 2004-04-15
JP3973525B2 (ja) 2007-09-12
EP1406163A2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3525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KR100554991B1 (ko) 2d(2차원) 및 3d(3차원)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EP1387582B1 (en) Portable device displaying an image provided by photographing
JP3967251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GB2384384A (en) Portable equipment with camera devices
JP5348687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35821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KR20040104777A (ko) 듀얼 카메라 장착 단말기
JP5331751B2 (ja) 携帯電話機
JP2004109330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5151162A (ja) 撮像装置
JP4297653B2 (ja) 立体画像の表示機能を備える情報機器
JP4093832B2 (ja) 携帯機器
JP2011055043A (ja) 情報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35812B2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GB2398696A (en) Combination and display of camera ouputs for superposition of images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4112175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5039400A (ja) 電子機器
JP2004112174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携帯機器
JP2005323188A (ja) 携帯電話機
JP4205141B2 (ja) 携帯機器
JP4156653B2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09

Effective date: 2007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