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151B1 -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151B1
KR101124151B1 KR1020067012379A KR20067012379A KR101124151B1 KR 101124151 B1 KR101124151 B1 KR 101124151B1 KR 1020067012379 A KR1020067012379 A KR 1020067012379A KR 20067012379 A KR20067012379 A KR 20067012379A KR 101124151 B1 KR101124151 B1 KR 10112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display
display screen
scre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342A (ko
Inventor
유이치 다네야
가즈오 나카모토
고헤이 도쿠야마
요시유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휴대 통신 기기가 열린 상태에서 제 1 표시부에 표시한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 내용을 닫힌 상태에서 제 1 표시부보다 화면 사이즈가 작은 제 2 표시부에 재차 통신에 의해 컨텐츠를 취득하는 일 없이 표시한다. 제어부(304)는 외부의 웹 사이트로부터 취득한 컨텐츠를 기억부(305)에 기억시킨다. 표시 제어부(308)는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열린 상태가 통지되고 있으면, 제 1 표시부(106)의 사이즈와 대응한 제 1 기억 영역에 기억부(305)로부터 원하는 페이지를 독출하고, 비트맵 데이터에 전개하고,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한다.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닫힌 상태가 통지되면, 제 1 표시부(106)의 표시를 소거하고,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페이지를 기억부(305)로부터 독출하고, 문자 사이즈를 최소로 하여 제 2 표시부(201)의 사이즈와 대응한 제 2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를 전개하고,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CREEN SWITCH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 통신 기기에 관한, 특히 화면 사이즈가 다른 두 화면의 화면 전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 통신 기기인 휴대 전화기의 발달은 눈부시며, 통화 기능에 더하여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그 홈페이지를 메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는 절첩식이 주류가 되고 있다. 절첩식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메인 화면 외에 플립을 닫은 상태로 그 표면에도 서브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메인 화면은 예를 들면 240×320 dot 의 크기를 가지지만, 서브 화면에서는 120×160 dot 의 크기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홈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은 메인 화면에 한정되어 있다. 만일, 서브 화면에 취득한 홈페이지를 표시하고자 하면, 메인 화면에 표시한 문자 사이즈를 작게 변경한 문자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재차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홈 페이지를 취득하고, 서브 화면에 작게 변경한 문자 사이즈로 표시해야 한다. 이것은 브라우저가 표시하는 화면 사이즈에 대응한 표시밖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의 표시 제어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10-1328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3-298703호 공보
그러나, 종래와 같이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에 동일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면,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으로 그 화면 사이즈, 즉 해상도가 차이가 날 때는 재차 컨텐츠의 취득을 필요로 하므로, 웹 사이트와의 통신이 필요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차 컨텐츠를 취득하는 일 없이, 메인 화면에도 서브 화면에도 원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휴대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화면 사이즈가 다른 제 1 표시 화면과 제 2 표시 화면을 갖는 개폐 자재(自在)인 휴대 통신 기기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열린 상태에서 제 1 표시 화면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고, 닫힌 상태에서 제 1 표시 화면과 다른 화면 사이즈의 제 2 표시 화면에 동일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메인 화면인 제 1 표시 화면에 표시한 것과 동일한 데이터를 서브 화면인 제 2 표시 화면에도 휴대 통신 기기의 개폐 상태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표시 화면에 표시한 데이터의 정보를 재차 통신에 의해서 취득하는 일 없이 제 2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통신비의 낭비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표시 화면은 상기 제 1 표시 화면보다 화면 사이즈가 작은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서브 화면인 제 2 표시 화면에도 제 1 표시 화면과 동일한 데이터를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또, 휴대 통신 기기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 1 기억부와, 제 2 표시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 2 기억부를 갖고,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열린 상태라는 통지를 받았을 때,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원하는 1 페이지를 독출하고, 제 1 기억부에 비트맵(bitmap)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1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닫힌 상태라는 통지를 받았을 때,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원하는 1 페이지를 독출하고, 제 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2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휴대 통신 기기의 개폐 상태에 따른 제 1 표시 화면 또는 제 2 표시 화면에 취득한 데이터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휴대 통신 기기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 2 표시 화면에 원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는 문자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의 표시 정보로 지정되는 사이즈로 하고, 상기 제 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는 문자를 상기 표시 정보로 지정되는 최소 사이즈로 변경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화면 사이즈가 작은 제 2 표시 화면에도 제 1 표시 화면의 문자보다 작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 정보로 지정되는 사이즈는 36×36 dot 또는 26×26 dot 또는 18×18 dot 또는 12×12 dot 이고, 상기 최소 사이즈는 12×12 dot 인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제 2 표시 화면에는 12×12 dot 의 문자가 표시된다. 또,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한다 화상의 사이즈가 제 2 기억부의 사이즈보다 클 때, 제 2 기억부에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의 화상으로 축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화면 사이즈가 작은 제 2 표시 화면에도 제 1 표시 화면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취득되는 웹 사이트의 홈 페이지의 컨텐츠인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외부의 웹 사이트에 한 번의 액세스를 하는 것만으로 콘티트를 취득하고, 제 1 표시 화면 또는 제 2 표시 화면 중 어느 하나에 원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쓸데 없는 통신비를 부담하는 것을 면한다.
또, 상기 제 2 표시 화면과 동일면에는 제 2 표시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상의 링크(link)를 지정하는 5 접점 키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휴대 통신 기기를 닫은 상태에서도 제 2 표시 화면에서 이른바 넷 서핑을 즐길 수 있다.
또, 화면 사이즈가 다른 제 1 표시 화면과 제 2 표시 화면을 갖는 개폐 자재의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단계와, 열린 상태로 제 1 표시 화면에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고, 닫힌 상태로 제 1 표시 화면과 다른 화면 사이즈의 제 2 표시 화면에 동일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메인 화면인 제 1 표시 화면에 표시했다면 동일한 데이터를 서브 화면인 제 2 표시 화면에도 여분의 통신을 하는 일 없이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일 실시 형태의 열린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도.
도 4에서 (a)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열린 상태에서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상기 실시 형태의 닫힌 상태에서 제 2 표시부에 표시된 (a)와 동일한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중 첫번째.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중 두번째.
<부호의 설명>
101 휴대 전화기
102 본체
103 플립
104 조작 키군(群)
105 마이크
106 제 1 표시부
107 스피커
201 제 2 표시부
202 조작 키
203 안테나
204 본체 측면
205 사이드 키
301 듀플렉서(duplexer)
302 수신부
303 송신부
304 제어부
305 기억부
306 조작부
307 폐 검출부
308 표시 제어부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휴대 통신 기기인 휴대 전화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일 실시 형태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휴대 전화기(101)는 본체(102)와, 본체(102)에 절첩 자재인 플립(103)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2)에는 조작 키군(104)과 마이크(105)가 설치되어 있다. 플립(103)에는 제 1 표시부(106)와 스피커(107)가 설치되어 있다.
플립(103)의 배면에는 제 1 표시부(106)보다 화면 사이즈가 작은 제 2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플립(103)을 절첩한 휴대 전화기(101)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립(103)에는 제 2 표시부(201)와 조작 키(20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02)의 위쪽에는 안테나(203)가 신축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 측면(204)에는 사이드 키(20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이 휴대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휴대 전화기(101)는 안테나(203)와, 듀플렉서(301)와, 수신부(302)와, 송신부(303)와, 제어부(304)와, 마이크(105)와, 스피커(107)와, 기억부(305)와, 조작부(306)와, 개폐 검출부(307)와, 제 1 표시부(106)와, 제 2 표시부(201)와 표시 제어부(308)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203)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과 통신을 행한다. 안테나(203)로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301)에 출력된다. 듀플렉서(3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듀플렉서(301)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수신부(302)에 출력하고, 송신부(30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203)에 출력한다.
수신부(302)는 듀플렉서(3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304)에 통지한다.
송신부(303)는 제어부(304)로부터 통지된 신호를 변조하여 듀플렉서(301)에 출력한다. 제어부(304)로부터의 통지가 웹 서버에의 액세스 지시일 때는 지시된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컨텐츠의 송신 요구를 한다.
제어부(304)는 수신부(302)로부터 통지된 신호를 해석하고, 음성 신호는 스피커(107)에 출력하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취득된 컨텐츠는 기억부(305)에 기억시킨다. 제어부(304)는 마이크(10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고,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송신부(303)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304)는 조작부(306)로부터 통지되는 조작 키의 조작 신호를 해석하고, 송신부(303)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4)는 조작부(306)로부터 선택 항목의 통지를 받으면, 표시 제어부(308)의 항목을 통지한다. 표시 제어부(308)로부터, 링크 정보의 통지를 받으면, 송신부(303)에 그 링크 정보로 나타나는 외부의 웹 서버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304)는 휴대 전화기(101)의 각 부를 제어하고 있다. 마이크(105)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집음(集音)하고, 제어부(304)에 출력한다.
스피커(107)는 휴대 전화기(101)의 통화 상대로부터 수신한 통화 내용을 음성 출력한다. 또, 제어부(304) 등으로 생성된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305)는 RAM 등으로 구성되고,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컨텐츠를 기억하고 있다. 이 컨텐츠에는 홈 페이지의 각 페이지를 기재한 HTML 문서나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는 첨부 파일의 형식으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조작부(306)는 조작 키군(104)과 조작 키(202)와 사이드 키(205)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지시를 조작 키의 조작으로서 수용한다. 조작부(306)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304)에 통지한다.
또, 조작부(306)는 제 1 표시부(106) 또는 제 2 표시부(201)에 표시된 내용으로부터 선택 항목의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받으면, 제어부(304)에 통지한다.
또한, 제 2 표시부(201)에서의 선택 항목의 선택은 5 접점 키인 조작 키(202)에 의해 이루어진다.
개폐 검출부(307)는 휴대 전화기(101)의 플립(103)이 닫힌 상태인 닫힌 상태인지(도 2의 상태), 플립(103)이 열린 상태인 열린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표시 제어부(308)에 통지한다. 또한, 열린 상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전하게 플립(103)이 열린 상태뿐만이 아니라, 절첩된 중간 상태(도 2의 상태 이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제어부(308)는 제 1 표시부(106)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 1 기억 영역과, 제 2 표시부(201)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제 2 기억 영역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억 영역은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페이지를 제 1 표시부(106) 또는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할 때, 그 페이지의 내용을 독출하고, 비트맵 데이터로 서 전개하기 위한 영역이다.
표시 제어부(308)는 조작부(306)로부터 항목의 통지가 제어부(304)를 통하여 통지되면,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중인 페이지의 해당 항목의 링크가 해당 페이지가 포함되는 컨텐츠내인지, 외부의 컨텐츠인지를 판단한다. 컨텐츠내일 때는 링크처의 페이지를 기억부(305)로부터 독출한다.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열린 상태로 통지되고 있을 때는 제 1 기억 영역에 독출한 페이지를 비트맵 데이터에 전개하고,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한다.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닫힌 상태로 통지되고 있을 때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문자를 최소의 문자 사이즈, 예를 들면 12×12 dot 으로 변경하고, 제 2 기억 영역에 독출한 페이지를 비트맵 데이터에 전개하고,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한다.
또한, 독출한 페이지에 포함되는 문자의 사이즈는 표시 화면의 사이즈에 의해서, 컨텐츠의 표시 정보로서 상대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극대, 대, 소, 극소로 하여, 예를 들면 36×36 dot, 26×26 dot, 18×18 dot 또는 12×12 dot 로 각각 규정되어 있다. 제 1 표시부(106)로의 표시는 이 표시 정보에 따라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된다.
표시 제어부(308)는 링크가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이외라고 판단했을 때는 제어부(304)에 링크 정보를 통지한다. 링크 정보에는 링크처의 컨텐츠의 URL가 포함된다.
또, 표시 제어부(308)는 독출한 페이지 중에 화상이 포함될 때,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할 경우에는 그 화상의 사이즈 그대로 전개하고, 제 2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할 경우에는 그 화상의 사이즈가 제 2 기억 영역보다 클 때에, 제 2 기억 영역에 수용할 수 있도록 축소하여 비트맵 데이터에 전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308)는 제 1 표시부(106)에 컨텐츠의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을 때,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닫힌 상태의 검출이 통지되면, 제 1 표시부(106)의 표시를 소거하고, 기억부(305)로부터 동일한 페이지를 독출하고, 제 2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한다.
동일하게, 표시 제어부(308)는 제 2 표시부(201)에 컨텐츠의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을 때,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열린 상태의 검출이 통지되면, 제 2 표시부(201)의 표시를 소거하고, 기억부(305)로부터 동일 페이지를 독출하고,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여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한다.
제 1 표시부(106)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240×320 dot 의 화면 사이즈이다. 표시 제어부(308)의 제어에 의해서, 웹 사이트로부터 취득된 컨텐츠의 각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101)의 본래의 기능인 통화시에는 조작부(306)로부터 조작된 전화 번호 등이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표시부(201)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서브 화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표시부(201)는 제 1 표시부(106)보다 해상도가 낮고, 화면 사이즈는 예를 들면 120×160 dot 이다. 표시 제어부(308)의 제어에 의해서, 기억부(305)에 기 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각 페이지를 표시한다.
도 4(a), 도 4(b)는 제 1 표시부(106)와 제 2 표시부(201)로 표시된 동일한 페이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1 표시부(106)의 화면(401)에는 컨텐츠의 표시 정보에 따라, 「꽃 쇼핑」의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제 2 표시부(201)의 화면(402)에는 동일 페이지의 문자 사이즈가 작게 표시되어 있다. 「꽃 쇼핑」의 문자(403)는 최소 사이즈의 문자로 변경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402)의 나팔꽃의 화상(404)은 화면(402)에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이므로, 화면(401)과 동일한 사이즈로 표시되고 있다.
표시 제어부(308)는 화상(404)이 화면(402)의 사이즈보다 클 때에는 화상(404)이 화면(402)에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에 축소하고, 제 2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에 전개하고,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5,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308)는 제어부(304)를 통한 조작부(306)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 키의 조작이 항목에 링크된 URL의 지정인 것을 대기하고(S502), 제어부(304) 등을 통하여 외부의 웹 사이트에 액세스한다. 제어부(304)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부(302) 등을 통하여 컨텐츠를 취득한다(S504). 취득한 컨텐츠를 기억부(305)에 기억시킨다(S506).
표시 제어부(308)는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의 원하는 1 페이지 를 독출하고,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한다(S508).
표시 제어부(308)는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플립(103)이 절첩된 상태인 닫힌 상태의 검출이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10), 닫힌 상태이면 S602로 이행한다.
열린 상태이면, 조작부(306)로부터의 사용자의 키 조작을 대기하고(S512), 선택된 항목의 링크처가 기억부(305)에 기억된 컨텐츠 이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514), 다른 컨텐츠이면 S504로 돌아온다.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내이면, 링크처의 페이지를 독출하고,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한다(S516).
다음에, 표시 제어부(308)는 개폐 검출부(307)로부터 플립(103)이 절첩된 닫힌 상태의 통지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518), 닫힌 상태이면 S602로 이행하고, 열린 상태이면 제어부(304)를 통하여 조작부(306)로부터 조작 종료의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520), 종료 지시를 받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없으면 S512로 돌아온다.
S602에 있어서, 닫힌 상태가 통지되어 있는 표시 제어부(308)는 제 1 표시부의 표시를 소거한다.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페이지를 기억부(305)로부터 독출하고(S604), 그 페이지에 문자를 포함할 때, 문자 사이즈를 최소 사이즈로 변환한다(S606). 그 페이지에 포함되는 화상이 제 2 기억 영역의 사이즈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608), 클 때는 화상을 제 2 기억 영역의 사이즈 이하로 축소한다(S610).
표시 제어부(308)는 제 2 기억 영역에 기억부(305)로부터 독출한 페이지를 변환하고,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한다(S612).
이와 같이,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내용의 페이지를 제 2 표시부(201)에 표시할 때, 재차 컨텐츠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쓸데 없이 통신비나 시간을 소비하는 일이 없다.
표시 제어부(308)는 제어부(304)를 통하여 조작부(306)의 조작 종료의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614), 종료 지시가 있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없으면 플립(103)이 절첩된 닫힌 상태의 통지를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16).
열린 상태의 통지를 받고 있으면, 제 2 표시부(201)의 표시를 소거하고(S618), 제 2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페이지를 기억부(305)로부터 독출하고, 제 1 기억 영역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제 1 표시부(106)에 표시하고(S620), S512로 돌아온다.
표시 제어부(308)는 제어부(304)를 통하여 조작부(306)로부터의 사용자의 키 조작을 기다린다(S622). 항목의 통지를 받으면, 항목의 링크처가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이외의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24).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이면, 링크처의 페이지를 기억부(305)로부터 독출하고(S626), S606으로 돌아온다.
제어부(304)는 기억부(305)에 기억되어 있는 컨텐츠 이외일 때, 외부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취득하고, 기억부(305)에 기억시키고(S628), S626으로 돌아온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제어부(308)가 URL의 지정을 대기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제 1 표시부(106) 또는 제 2 표시부(201)에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예를 들면 항목 「Ezweb」의 선택에 의해, Ez 메뉴를 표시하고, 다시 항목 「톱 메뉴」의 선택에 의해, URL의 지정된 포털 사이트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그 구성도를 나타내었으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컴퓨터에 발휘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재하고, 휴대 전화기에 내장된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305)에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취득된 컨텐츠가 기억되어 있다고 하여 설명하였으나, 수신된 전자 메일의 내용을 기억해도 괜찮다. 이 전자 메일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제 1 표시부(106)에서는 그대로의 사이즈의 화상을 표시하고, 절첩되어 있을 때는 제 2 표시부(201)에 축소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화면 사이즈가 다른 표시 화면을 갖는 휴대 통신 기기이면 좋고, 휴대 전화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통신 기기는 정보 통신 분야에 있어서 활용된다.

Claims (9)

  1. 화면 사이즈가 다른 제 1 표시 화면과 제 2 표시 화면을 갖는 개폐 자재(自在)인 휴대 통신 기기로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열린 상태에서 제 1 표시 화면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고, 닫힌 상태에서 제 1 표시 화면과 다른 화면 사이즈의 제 2 표시 화면에 동일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2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는 화상의 사이즈가 상기 제 2 기억부의 사이즈보다 클 때, 상기 제 2 기억부에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의 화상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화면은 상기 제 1 표시 화면보다 화면 사이즈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휴대 통신 기기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표시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 1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열린 상태라는 통지를 받았을 때,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원하는 1 페이지를 독출하고, 상기 제 1 기억부에 비트맵(bitmap)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상기 제 1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닫힌 상태라는 통지를 받았을 때,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원하는 1 페이지를 독출하고, 상기 제 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고, 상기 제 2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는 문자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의 표시 정보로 지정되는 사이즈로 하고,
    상기 제 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는 문자를 상기 표시 정보로 지정되는 최소 사이즈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로 지정되는 사이즈는 36×36 dot 또는 26×26 dot 또는 18×18 dot 또는 12×12 dot이고,
    상기 최소 사이즈는 12×12 d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공중 회선망을 통하여 취득되는 웹 사이트의 홈 페이지의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화면과 동일 면에는 제 2 표시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 상의 링크(link)를 지정하는 5 접점 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9. 화면 사이즈가 다른 제 1 표시 화면과 제 2 표시 화면을 갖는 개폐 자재의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단계와,
    열린 상태로 제 1 표시 화면에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고, 닫힌 상태로 제 1 표시 화면과 다른 화면 사이즈의 제 2 표시 화면에 동일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가지며,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제 2 표시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한 제2 기억부에 비트맵 데이터로서 전개하는 화상의 사이즈가, 상기 제 2 기억부의 사이즈보다 클 때, 상기 제 2 기억부에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의 화상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KR1020067012379A 2003-11-26 2004-11-26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KR101124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6303 2003-11-26
JP2003396303 2003-11-26
PCT/JP2004/017545 WO2005053281A1 (ja) 2003-11-26 2004-11-26 携帯通信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の画面切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342A KR20060117342A (ko) 2006-11-16
KR101124151B1 true KR101124151B1 (ko) 2012-03-21

Family

ID=3463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379A KR101124151B1 (ko) 2003-11-26 2004-11-26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8783B2 (ko)
JP (1) JPWO2005053281A1 (ko)
KR (1) KR101124151B1 (ko)
CN (1) CN1883182A (ko)
WO (1) WO20050532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4596B2 (en) 2013-03-13 2016-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6684A1 (ja) * 2004-04-30 2005-11-10 Access Co., Ltd. ブラウジング時の動的画像拡大/縮小表示のための方法、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310517A1 (en) * 2005-03-29 2008-12-18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KR100686159B1 (ko) * 2005-06-13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FI20055330A0 (fi) * 2005-06-20 2005-06-20 Nokia Corp Menetelmä, laite ja tietokoneohjelmistotuote elektronisen laitteen käyttöliittymän kontrolloimiseksi
US8054513B2 (en) * 2005-07-20 2011-11-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ing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facsimile apparatus for displaying effective data on display screen
KR101186530B1 (ko) * 2006-10-13 2012-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100782509B1 (ko) *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JP4680273B2 (ja) * 2008-02-05 2011-05-11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端末
EP2346230A4 (en) * 2008-10-27 2014-07-23 Nec Corp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ON THE SCREEN DISPLAY
JP5434552B2 (ja) * 2009-12-11 2014-03-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0425297B1 (en) * 2013-11-12 2019-09-24 Amazon Technologies, Inc. Adaptive polling based upon demand
KR20200140609A (ko) * 2019-06-07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248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3198676A (ja) * 2001-12-28 2003-07-11 Kenwood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6093A (ja) * 1996-04-23 1997-11-04 Seiko Epson Corp 地模様印刷画像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13288A (ja) 1996-06-21 1998-01-16 Nec Corp 携帯無線機
KR100303793B1 (ko) 1998-11-05 2001-11-22 윤종용 폴더타입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2182638A (ja) 2000-12-11 2002-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3122339A (ja) * 2001-10-11 2003-04-25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JP2003150145A (ja) * 2001-11-09 2003-05-23 Nec Corp 画像表示方法および携帯情報機器
JP2003244301A (ja) * 2002-02-18 2003-08-29 Nec Corp 携帯情報端末
JP2003298703A (ja) 2002-04-04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
JP4071568B2 (ja) * 2002-07-30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4080395B2 (ja) * 2002-08-02 2008-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3973525B2 (ja) * 2002-09-24 2007-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248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3198676A (ja) * 2001-12-28 2003-07-11 Kenwood Corp 携帯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4596B2 (en) 2013-03-13 2016-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ultiple operation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48783B2 (en) 2010-12-07
WO2005053281A1 (ja) 2005-06-09
KR20060117342A (ko) 2006-11-16
JPWO2005053281A1 (ja) 2007-12-06
US20070081638A1 (en) 2007-04-12
CN1883182A (zh)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51B1 (ko) 휴대 통신 기기 및 휴대 통신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EP0678987B1 (en) Portable radio with display
US7366547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that displays data in a standby screen
KR101176532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키입력 방법
KR1004595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html문서 표시방법
EP1942400A1 (en) Mobile terminal, and its menu display method
JP5928436B2 (ja) 遠隔制御装置、遠隔操作装置、画面送信制御方法、画面表示制御方法、画面送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面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126907B2 (en) Emulation of multifunction peripheral via remote control device based on display aspect ratios
US20070255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EP1781000A1 (en) Method for analyzing information and execu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nalyzed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JPH02120974A (ja) 情報処理装置
JP2005198235A (ja) 携帯用端末器の表示部及びバックライト動作装置及び方法
WO2008032486A1 (fr) Terminal portable, procédé d&#39;affichage, programme de détermination de mode d&#39;affichage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lisible par ordinateur
CN100559815C (zh) 具有显示部的便携终端及其显示方法
JP2005150936A (ja) 通信装置
US8219150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apable of displaying candidate of scene based on frequency information
JP4436943B2 (ja) 受信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524677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85618A (ja) 携帯通信端末
KR1003811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JP2006229471A (ja) 携帯型装置
JP2019186766A (ja) 画像処理装置、操作支援方法および操作支援プログラム
KR100425322B1 (ko) 지도 디스플레이 휴대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4103486B2 (ja) 折畳み型携帯無線端末
JP2009225455A (ja) 携帯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