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933A - 로프 - Google Patents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933A
KR20040025933A KR10-2004-7001272A KR20047001272A KR20040025933A KR 20040025933 A KR20040025933 A KR 20040025933A KR 20047001272 A KR20047001272 A KR 20047001272A KR 20040025933 A KR20040025933 A KR 20040025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ating
covering
coating material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272B1 (ko
Inventor
나까무라이찌로
오오미야아끼히로
이와꾸라쇼따
구스다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2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07B5/0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by the properties of an outer surface polymeric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28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 D07B2201/1036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nine or more strands respectively forming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65Reducing wear
    • D07B2401/207Reducing wear internally

Abstract

유연, 적정 마찰계수이고 또한 긴 수명의 로프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제 소선(21)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구조체(20)를 피복재(23)에 의해 피복한 복수개의 피복 구조체(20)를 서로 꼬아서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로프{ROPE}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기계에 사용되고 있는 로프는 중심에 윤활유를 함침시킨 섬유 로프를 코어로서 배치하고, 그 주위에 강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복수개의 구조체를 서로 꼰 구조이다. 이 로프에서는 소경의 시브나 풀리에 권취하여 사용하는 경우, 굴곡에 수반하는 소선의 피로나 마모에 의해 로프의 수명이 극단적으로 짧아진다. 또한, 시브와의 사이의 마찰계수가 작아지므로, 소경 시브가 될수록 구동 마찰력의 확보가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마찰 구동을 행하는 시브의 직경은 로프 직경의 40배 이상을 채용하고 있다. 즉 시브 직경이 크기 때문에 구동 토오크가 커지고, 따라서 구동 장치의 치수도 커져 있다. 지금까지는, 이 토오크는 필요하다고 해서 엘리베이터 등이 설계되어 왔지만, 공간 절약의 요구가 강해지는 것에 수반하여 요소 기기의 소형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로프를 사용할 때의 시브 직경을 작게 하는 새로운 로프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07-267534호에서는 유기 섬유를 강도 부재로서 사용하고, 이 유기 섬유가 수십㎛이므로, 로프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해도 강도 부재의 피로는 발생하지 않아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3-82883에는 모여든 와이어에 윤활의 보호층을 설치하고, 그것을 더 꼬아서 그 외측을 더 피복한 로프가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하역 기계에 이용되는 로프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카와 균형추를 로프로 결합하고, 이 로프를 권취하여 기계의 시브에 권취된 로프와 구동 시브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으로 구동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에서도 드럼식의 것 또는 하역 기계에서는 부하를 매단 로프를 드럼에 권취하여 구동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적용한 엘리베이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가 되는 로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로프를 구성하는 피복 구조체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로프를 구성하는 피복 구조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도2의 로프를 구성하는 피복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의 로프를 구성하는 피복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9는 도2에 도시한 로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10은 도6에 도시한 로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11은 도7에 도시한 로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되는 로프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안된 것에서는, 강도 부재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재에 비해 종탄성계수가 작으므로, 로프의 종강성이 작아진다. 이로 인해, 로프 길이가 길어졌을 때 카의 가벼운 진동이 생기기 쉽다. 또한 유기 재료이고 내열성이 낮아 시간이 흐름에 따른 열화도 생기기 쉽다. 또한, 로프는 소경의 시브에 권취되어 굴곡을 반복하면 소선 사이에서 마모가 생기고 또한 반복 응력에 의한 피로로 인해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시브와의 사이의 마찰계수가 작아 미끄럼이 생겨 큰 구동력을 전달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여 유연하고, 적정 마찰계수이고 또한 긴 수명의 로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로프는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제1 구조체를 피복재에 의해 피복한 제1 피복 구조체를 코어로 하고, 그 주위에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제2 구조체를 피복재에 의해 피복한 복수개의 제2 피복 구조체를 배치하여 서로 꼬고, 또한 상기 제1 피복 구조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제2 피복 구조체의 주위를 피복하는 제3 피복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3 피복재가 접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접합이라 함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2개의 물질이 가열에 의한 융착, 그리고 화학적 처리에 의한 결합 등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조체 또는 제1, 제2 구조체를,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하였으므로, 강성이 높고,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로프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피복재로 피복하도록 하였으므로, 소선이 직접 접촉, 미끄러지는 일이 없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긴 수명의 로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를 적용한 엘리베이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1에 있어서, 승객 또는 짐을 운반하는 카(1)의 하부에는 로프(10)를 받는 풀리(5a, 5b)를 설치하고, 카(1)에 정격의 대략 1/2의 하중이 적재되었을 때 매단 균형추(2)의 상부에는 로프(10)를 받는 풀리(5e)를 설치한다.
승강로(7)의 정상부에는 로프(10)를 받는 풀리(5c, 5d)를 설치하고, 또한 하부에는 시브(3a)를 갖는 구동 장치(3)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10)는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한 로프 받침(6a)으로부터 카 하부의 풀리(5a, 5b), 정상부의 풀리(5c)를 통과하여 구동 장치(3)의 시브(3a)에 권취된다. 또한 정상부의 풀리(5d), 균형추의 풀리(5e)를 통과하여 정상부의 로프 받침(6b)에서 종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10)는 유연하고, 또한 피복과 시브(3a) 사이의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시브 직경이 소경이라도 수명이 길고 또한 확실한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시브 직경의 1/3 내지 1/2을 실현할 수 있다. 이는 구동 장치에 요구되는 구동 토오크도 1/3 내지 1/2이 되므로 구동 장치를 대폭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카 하부, 균형추 상부 및 승강로 정상부의 풀리류도 마찬가지로 소경이 되므로, 오버 헤드(최상층의 바닥으로부터 승강로 천정까지의 거리)나 피트 깊이(최하층 바닥으로부터 승강로 피트까지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도2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 12는 로프(10)의 중심에 배치하는 제1 피복 구조체, 13은 제1 피복 구조체(12)의 주위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2 피복 구조체이고, 이들 복수의 제1, 제2 피복 구조체(12, 13)를 서로 꼬아서 그 외측에 피복(11, 외층 피복)을 실시하여 로프(10)로 한다. 피복 구조체(12, 13)에서는 그 직경이 피복 전의 로프 직경의 1/100 내지 1/15인 것이고, 재질은 고장력강의 소선을 사용하여 이 가는 직경 소선의 집합체에 피복(내층 피복)을 실시하여 피복 구조체를 구성한다. 가는 직경 소선을 사용함으로써 로프의 유연성을 실현하여 소경 시브나 풀리에 권취하는 것을 쉽게 한다.
피복 구조체(12, 13)의 피복재(내층)는 소선과의 접착력이 있고, 적당한 탄성이 있는(열가소성) 유기 재료로 하고, 피복 로프의 피복재(외층)는 시브와의 마찰계수가 적절하고, 또한 내마모성이 있는(열가소성) 유기 재료로 한다.
로프(10)는 중심의 제1 피복 구조체(12)의 주위에 복수의 제2 피복 구조체(13)가 서로 꼬아져 있으므로, 피복 로프(10)의 굴곡을 반복하면 각 피복 구조체(12, 13) 사이에서는 조금씩 곡률 반경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미끄러짐이 생긴다.
또한 피복 로프에 장력이 작용되면 피복 구조체가 서로 꼬아져 있음으로써 피복 구조체 사이에 상호간의 압박력이 작용하고, 또한 로프가 시브나 풀리에 권취됨으로써 로프의 반경 방향으로 압박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실사용 조건 하에서는, 로프의 피복 구조체 사이에는 서로 면압이 작용하고, 또한 서로 미끄러짐이 생긴다.
이로 인해, 피복 구조체(12, 13)에 피복이 없는 경우에는 소선끼리가 직접 접촉하여 미끄러짐, 소선 마모가 생긴다. 로프의 유연성을 실현하기 위해 소선 직경을 가늘게 하였으므로 로프의 수명을 현저하게 짧게 한다. 피복 구조체(12, 13)의 피복은 구조체 사이의 소선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구조체의 소선과 인접하는 구조체의 소선 사이에 피복재가 들어감으로써 이들 소선 사이에는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져 소선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구조체의 피복 사이에는 면압 및 상대 미끄러짐이 생기지만, 피복재의 탄성에 의해 이 면압 및 상대 미끄러짐이 완화되어 내마모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킨다.
구조체에의 피복은 인접하는 구조체의 소선 사이에 작용하는 면압과 상대 미끄러짐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피복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좋다. 반면 이 피복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우면, 구조체의 단면적에 차지하는 강도 부재의 면적 비율이 작아진다. 이는 이 구조체를 서로 꼬아서 구성하는 로프의 단면적에 차지하는 강도 부재 비율이 작아져 동일한 강도이면 단면적이 넓은 로프가 된다. 이로 인해, 피복 두께는 소선간 면압과 상대 미끄러짐의 완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로서, 매우 얇게 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0.2 내지 0.5 ㎜가 적당하다.
제1 피복 구조체(12)의 주위에 배치하는 제2 피복 구조체(13)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구조체 사이에는 간극(δ)을 마련하여 외층 피복을 성형할 때 피복재가 피복 구조체 사이에도 용이하게 침투하기 쉬운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외층 피복(11)은 제2 피복 구조체(13)와의 접촉 면적은 물론, 제1 피복 구조체(12)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내층 피복과 외층 피복의 접착 또는 융착 강도가 향상된다.
외층 피복은 시브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는 피복재의 마모가 부득이해지는 것을 의미하고, 외층에 이용하는 피복재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당한 경도와 두께를 갖게 한다.
도3은 피복 구조체(12, 13)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복수개의 소선(21)을 서로 꼬아서 구조체(22)를 구성하고, 그 외측에 피복(23)을 실시한 피복 구조체(20)이다. 여기서, 소선(21)의 직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층 피복 전의 로프 직경의 1/15 내지 1/100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구조체의 구성을 (1 + 6 + 12)로 하여(2층 권취) 19개의 소선을 평행하게 나열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소선 사이의 접촉은 선 접촉이 되고, 로프에 작용하는 길이 방향 하중 및 반경 방향 하중에 대해 소선 사이의 접촉 면압이 점 접촉에 비교하여 완화된다. 구조체(22)를 구성하는 소선 직경이 소경이므로,로프의 굴곡에 수반하는 구조체 내의 소선 사이의 상대 미끄러짐 거리가 작아진다. 이는 소선의 마모량을 결정하는 면압과 미끄러짐 거리의 곱(일반적으로 PV치라 함)을 작게 하여 소선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선 직경이 작으므로 로프의 굴곡에 수반하는 소선의 피로도 완화할 수 있다.
소선(21)을 서로 꼰 구조체(22)에 피복(23)을 실시할 때, 구조체(22)를 세정제로 세정하여 접착제 도포 후 피복재(23)를 성형하는 방법, 또는 소선에 적절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피복재를 성형하고 화학적으로 소선 표면과 피복재를 결합한다. 예를 들어, 소선을 브래스 도금해 두고, 구조체(22)에 유황을 포함하는 피복재를 성형하여 가류에 의해 소선 표면의 도금 성분과 피복재 성분을 화학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구조체(22)의 외층에 위치하는 소선은 피복과 접착되어 있어 구속되어 있지만, 그 내부에 위치하는 소선은 그 움직임이 구속되어 있지 않다. 이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려도 저항이 작은 것을 의미하고 있고, 유연한 로프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소선 사이에서는 직접 접촉하고 있지만 평행 배치이고, 접촉 면적이 크게 취해져 면압이 작은 것 및 소선 직경이 작으므로, 로프의 굴곡에 의한 소선 사이의 미끄러짐도 미소하기 때문에 긴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도4는 피복 구조체(12, 13)가 다른 실시예이다. 동일 기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고 있다. 비교적 큰 로프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 소선의 직경이 작으므로 많은 소선 개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경우의 구조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구성을 (1 + 6 + 12 + 18)로 하여(3층 권취) 37개의 소선을 서로 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소선 개수가 많아지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소선을 동일한 피치로 꼬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도면에서는 각 층의 소선의 꼬기 피치를 조금씩 어긋나게 하여 단면 형상이 용이하게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3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소선은 평행하고 소선의 교차각은 0이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층에서 꼬기 피치를 약간씩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교차각을 0으로 할 수 없다. 그러나, 그 경우라도 각 층의 꼬기 피치의 차가 작기 때문에, 소선의 교차각은 작고, 구조체 내의 소선 사이의 접촉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소선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 많은 소선 개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하여 구조체를 구성하면, 단면 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유지하면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이 제작성이 좋은 것은 완성된 로프의 비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5는 더 많은 소선을 서로 꼬을 필요가 있는 경우의 피복 구조체(3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구조체(22, 도3)와 동일하게 복수개의 소선(31)을 서로 꼰 중앙 구조체(35)를 중심으로, 그 주위에 같은 구조의 주위 구조체(34)를 7개 배치하고 서로 꼬아서 전체 구조체(32)를 구성하고, 이 전체 구조체(32)의 외주에 피복(33)을 실시하여 피복 구조체(30)를 구성한다. 즉 도3에 도시한 구조체(22)를 7개 서로 꼬아서 전체 구조체(32)를 구성하고, 그 외측에 피복을 실시한 구조이다. 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한 구조체(22)를 7개 서로 꼰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구조는 인접하는 주위의 구조체(34)와 중앙의 구조체(35) 사이에서 소선이 직접 접촉하므로, 전술한 구조(도3, 도4)에 비교하여 소선의 내마모성이라는 점에서는 뒤떨어지지만, 유연하고, 고강도의 로프의 요구에는 적합한 구조이다. 또한, 주위 구조체(34) 사이에서의 소선의 직접 접촉에 있어서도 중앙 구조체(35)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소선 사이의 상대 미끄러짐 거리가 짧고, 마모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 구조는 로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코어의 구조체(12)에 적용하면 된다.
도6 및 도10은 도3의 구조체(22)에 피복한 피복 구조체(20)를 7개 서로 꼰 것을 나타낸다. 즉,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41)를 서로 꼬아서 구조체(42)를 구성하고, 이 구조체(42)의 외측에 피복(43)을 실시하여 전체 피복 구조체(40)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41) 사이에서의 소선 접촉이 없어져 소선의 내마모성은 현격히 향상된다. 반면 피복 구조체(41)의 피복 단면적분, 로프 단면적에 대한 강도 부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저하되고, 단위 단면적당의 강도는 저하된다. 이로 인해, 피복 두께는 소선 사이의 면압 및 상대 미끄러짐을 완화하는 최저한의 두께로 하여 매우 얇게 한다. 이 구조는 피복 로프의 강도, 치수, 수명의 균형으로부터 선택한다.
도7 및 도11은 로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는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코어의 피복 구조체(12)의 주위에 8개의 피복 구조체(13)를 배치하여 서로 꼬아서 그 외측에 피복(11)을 실시한 구조이다. 코어 및 주위의 피복 구조체(12, 13)는 도2의 피복 구조체와 마찬가지이다.
도8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51)를 서로 꼬아서 구성한 구조체(52)에 피복(53)을 실시하여 전체 피복 구조체(50)로서 로프로 한 것이다. 이 구조의 로프는 전술한 로프에 비해 설계상의 제약이 적어져 설계 자유도가 확대된다. 즉, 전술한 로프에서는 로프의 단면적에 차지하는 강도 부재의 단면적, 즉 소선의 단면적의 총합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코어가 되는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와 그 외주에 배치하는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의 직경의 크기에는 제약이 있다. 그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대략 동일한 직경의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고, 소선의 직경, 단일 부재 피복 구조체의 직경, 피복 로프의 직경 사이에서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높아지면 동시에 제조상도 용이해진다.
도1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는 도7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코어의 피복 구조체(12)를 코어강(24)의 주위에 소선(21)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것이다. 이에 의해, 소선수를 극단적으로 많게 하는 일 없이 원하는 큰 직경을 갖는 피복 구조체를 실현할 수 있다.
로프로 하였을 때의 종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조체를 제작하는 공정, 피복 구조체를 서로 꼬아서 로프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각각 소선이나 피복 구조체에 적절한 장력을 작용시키면서 서로 꼰다. 이에 의해 소선이나 또는 피복 구조체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없어져 제품인 로프에 장력이 작용해도 로프의 신장을 작게 할 수 있다.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하는 구조체에 피복을 성형하는 경우, 소선과 피복재인 유기 재료는 접착 효과가 거의 없다. 그래서, 소선과 피복 사이의 접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구조체를 세정하여 세정용 용제를 건조시킨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피복재인 유기 재료를, 구조체를 인출하면서 피복(내층 피복)을 압출 성형한다. 이렇게 하여 제작한 피복 구조체를 장력을 가하면서 서로 꼬아서 로프로 하고, 그 외측에 또한 유기 재료에 의한 피복(외층 피복)을 성형한다. 이 때 피복 구조체를 서로 꼬아서 제작한 로프를 사전에 일정 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외층 피복을 성형할 때, 내층 피복재와 외층 피복재가 융착하여 양자가 일체화된다. 이에 의해, 시브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았을 때, 그 힘은 외층 피복 → 내층 피복 → 구조체(강도 부재)로 전달되어 내층 피복과 외층 피복 사이에서, 또는 내층 피복과 구조체 사이에서 미끄러지는 일 없이 힘이 전달되어 카를 구동할 수 있다.
구조체에 피복하는 경우, 접착 외에 소선에 표면 처리를 해두고, 그 외측을 덮는 피복재의 성분과 소선의 표면에 있는 성분 사이에서 화학 반응을 생기게 하여 소선과 피복재를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접착에 의한 방법보다도 견고하게 양자를 접착할 수 있다.
내층 피복의 목적은 인접하는 구조체의 소선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로프 단면적에 차지하는 강도 부재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소경 및 고강도 로프로 하기 위해서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매우 얇게 하는 쪽이 좋다. 그것을 위해서는 0.2 내지 0.5 ㎜의 범위가 좋다. 외층 피복의 목적은 시브로부터의 동력을 로프의 강도 부재로 전달하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시브와의 접촉에 의해서도 마모가 작으므로, 그 두께는 마모에 견딜 만큼의 두께가 필요하다.그것을 위해서는 로프가 사용되는 다양한 조건을 가미하여 0.5 내지 1.0 ㎜의 범위가 좋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되는 로프에서는 가는 직경의 금속제 소선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강성이 높아 시간이 흐름에 따른 열화가 없는 것은 물론, 유연성이 우수하고, 소경 시브에 권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강도 부재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꼰 구조체에 피복을 실시한 피복 구조체를 서로 꼬아서 로프로 하고 있으므로, 구조체 사이에서 소선이 직접 접촉, 미끄러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해 긴 수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복 구조체를 서로 꼰 로프에 피복을 실시하여 로프로 하고 있으므로, 시브와의 마찰계수를 적절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내층 피복의 마모, 나아가서는 소선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구조체에 실시하는 피복과 로프에 실시하는 피복을 다르게 하여 2층 피복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피복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그 재료를 최적화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의 향상과 함께 제조상의 용이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선과 내층 피복을 접착하고 있으므로, 로프의 반복 굴곡에 대해서도 소선과 내층 피복 사이의 미끄러짐 없이 내층 피복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로프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소경 시브에서의 사용이라도 시브와의 사이의 마찰계수를 적정화할 수 있고, 또한 긴 수명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 및 그것에 수반한 요소 기기, 예를 들어 풀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간절약 및 로프 교환 주기가 긴 엘리베이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의 초기 비용과 함께 보수 비용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하였으므로, 강성이 높고,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로프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피복재로 피복하도록 하였으므로, 소선이 직접 접촉, 미끄러지는 일이 없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긴 수명의 로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제1 구조체를 제1 피복재에 의해 피복한 제1 피복 구조체와,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제2 구조체를 제2 피복재에 의해 피복한 제2 피복 구조체와, 상기 제1 피복 구조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2 피복 구조체의 주위를 피복하는 제3 피복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3 피복재가 접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조체는 소선을 서로 꼰 스트랜드 구조, 또는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트랜드를 서로 꼰 셴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복재의 재질을, 탄성을 갖는 유기 재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재는 제2 구조체와의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층 피복재로 구성하고, 상기 제3 피복재는 시브와의 마찰계수를 적성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층 피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조체의 피복재의 두께를 0.2 내지 0.5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3 피복재의 접합은 융착, 접착제 또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는 금속제 소선이 접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는 금속제 소선의 접합은 접착제 또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9.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제1 구조체를 제1 피복재에 의해 피복한 제1 피복 구조체와, 금속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한 제2 구조체를 제2 피복재에 의해 피복한 제2 피복 구조체와, 상기 제1 피복 구조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2 피복 구조체의 주위를 피복하는 제3 피복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2 구조재를 형성하는 금속제 소선이 접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재와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는 금속제 소선의 접합은 접착제 또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접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KR1020047001272A 2001-09-12 2002-07-26 로프 KR100611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6719 2001-09-12
JP2001276719 2001-09-12
PCT/JP2002/007653 WO2003025278A1 (fr) 2001-09-12 2002-07-26 Cor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933A true KR20040025933A (ko) 2004-03-26
KR100611272B1 KR100611272B1 (ko) 2006-08-10

Family

ID=1910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272A KR100611272B1 (ko) 2001-09-12 2002-07-26 로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26482B8 (ko)
JP (1) JP4096879B2 (ko)
KR (1) KR100611272B1 (ko)
CN (1) CN100393937C (ko)
WO (1) WO20030252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66B1 (ko) * 2006-09-06 2008-06-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21339A (ko) 2020-03-26 2021-10-08 동양제강 주식회사 브레이딧 구조를 갖는 로프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9236B (fi) 2002-06-07 2008-09-15 Kone Corp Päällystetyllä nostoköydellä varustettu hissi
WO2006061888A1 (ja) * 2004-12-08 2006-06-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エレベータ装置
WO2006075384A1 (ja) 2005-01-14 2006-07-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0777B1 (ko) * 2006-08-16 2008-05-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82257B1 (ko) * 2007-05-29 2011-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로프의 접속방법
US9200405B2 (en) * 2008-12-16 2015-12-01 Nv Bekaert Sa Cord having an improved adhesion promoting coating
JP5295386B2 (ja) 2009-12-02 2013-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060567B2 (ja) * 2010-01-22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巻き掛け方法、及び部材
KR20140006982A (ko) 2011-04-14 2014-01-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코팅 로프 또는 벨트
EP2802707B1 (en) * 2012-01-12 2017-08-23 Otis Elevator Company Reinforced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077941B2 (ja) * 2013-06-07 2017-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6029766B2 (ja) 2013-09-26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手摺の製造方法
US11814788B2 (en) * 2019-04-08 2023-11-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fabric structure
DE102019217625A1 (de) * 2019-11-15 2021-05-20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ufzugsgurt mit Corden aus beschichteten Litz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3754U (ko) * 1971-08-03 1973-03-19
WO1979000182A1 (en) * 1977-10-05 1979-04-19 Cable Belt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opes
US4197695A (en) * 1977-11-08 1980-04-15 Bethlehem Stee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sealed wire rope
JPS5571890A (en) * 1978-11-21 1980-05-30 Tokyo Rope Mfg Co Production of corrosion resistant wire rope
NO168190C (no) * 1982-09-01 1992-01-22 Cable Belt Ltd Kabel
JPS5976986A (ja) * 1982-10-23 1984-05-02 日「鉄」ロ−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ロ−プの芯ロ−プ
JP3724322B2 (ja) * 2000-03-15 200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イヤロープと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66B1 (ko) * 2006-09-06 2008-06-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21339A (ko) 2020-03-26 2021-10-08 동양제강 주식회사 브레이딧 구조를 갖는 로프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6482B8 (en) 2016-09-07
JPWO2003025278A1 (ja) 2004-12-24
CN100393937C (zh) 2008-06-11
CN1537189A (zh) 2004-10-13
JP4096879B2 (ja) 2008-06-04
WO2003025278A1 (fr) 2003-03-27
EP1426482A4 (en) 2007-02-14
EP1426482B1 (en) 2016-07-06
EP1426482A1 (en) 2004-06-09
KR100611272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272B1 (ko) 로프
JP4495816B2 (ja) シース付き合成繊維ロープ
KR100625006B1 (ko) 동삭용 피복형 와이어 로프
KR100538289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4391640B2 (ja) より合成繊維ロープ
JP5260922B2 (ja) 合成繊維ケーブル、およびこのような合成繊維ケーブル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JP4327959B2 (ja) 合成繊維ロープ
JP4504113B2 (ja) 被覆ワイヤロープ
JPWO2006075384A1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50491A (ja) 巻上げケーブル
JP2011046462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H0921084A (ja) ワイヤロープ構造
JP4064668B2 (ja) 複合型ワイヤロープ
JPH1018190A (ja) ワイヤロープ
JP4879391B2 (ja) ロープ転向システムおよび適切な合成繊維ロープと、ロープ駆動システム
JP2003041493A (ja) 多層撚りワイヤロープ
JP5463931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ロープ
EP1329413A1 (en) Hoisting rope
CN116323458A (zh) 电梯用绳索及其制造方法
KR100837466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02060163A (ja) エレベータ用繊維ロープ
KR100830777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EP2511219A1 (en) Rope for elevator
JP7357803B2 (ja) ベルト、その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