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550A -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550A
KR20040025550A KR1020030053502A KR20030053502A KR20040025550A KR 20040025550 A KR20040025550 A KR 20040025550A KR 1020030053502 A KR1020030053502 A KR 1020030053502A KR 20030053502 A KR20030053502 A KR 20030053502A KR 20040025550 A KR20040025550 A KR 2004002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lenoid valve
terminal box
ho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629B1 (ko
Inventor
미야조에신지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Abstract

(과제) 여자코일에 통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부품을 구비한 단자함을 전자밸브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전자밸브(1)에, 단자함(2)을 부착하기 위한 제1부착면(1C) 및 제2부착면(1D)을 형성하고, 제1부착면(1C)에는 여자코일(19)의 코일단자(36)가 수용된 단자구멍(37)과, 고정나사(38)를 나사식 부착하는 나사구멍(39)을 형성하고, 제2부착면(1D)에는 훅(45d)을 구비한 탄성 클립(45)을 설치한다. 한편, 단자함(2)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며, 제1부분(2A)에 상기 단자구멍(37)내에 끼워넣어져서 코일단자(36)에 접속되는 접속단자(58)와, 이들 접속단자(58)에 도통하는 수전단자(62)를 구비한 커넥터(61)를 설치하고, 또한, 표시램프(54) 및 전자부품(55)을 탑재한 프린트기판(53)을 투명수지(56)내에 봉입해서 설치하고, 제2부분(2B)에는 상기 탄성 클립(45)의 훅(45d)이 걸리는 걸림구멍(69)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SOLENOID VALVE WITH TERMINAL BOX}
본 발명은, 여자코일에 통전하기 위한 단자함을 구비한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밸브는 유체유로를 전환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한 밸브주체부와, 여자코일 및 가동철심을 구비한 전자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조작부의 여자코일에 통전함으로써 상기 가동철심을 동작시키고, 이 가동철심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를 직접 구동하거나,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자코일에 통전하기 위해서, 전자밸브의 적정 위치에는 수전용 커넥터가 설치되며, 이 커넥터와, 상기 여자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자가 여러 방법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전자밸브의 솔레노이드부의 외면에 커버를 고정해서, 이 커버에 케이스를 부착함으로써 단자함을 형성하고, 이 단자함내에 전자부품이 탑재된 프린트기판을 수용함과 아울러, 이 프린트기판에 급전용 커넥터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여자코일로부터 연장되는 코일단자는 상기 커버를 관통해서 케이스내로 연장되어 상기 프린트기판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밸브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재를 순차 밸브보디에 부착함으로써 단자함을 조립하고, 이 단자함내에 프린트기판 등을 수용하고, 이 프린트기판을 통해서 코일단자와 커넥터를 접속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독립된 부품을 취급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립작업 등이 비교적 번잡했다.
(특허문헌1)
실용신안등록 제2607670호 공보(단락 0014, 도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여자코일에 통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부품을 구비한 단자함을 전자밸브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를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단자함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단자함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전자밸브 1C:제1부착면
1D:제2부착면 2:단자함
2A:제1부분 2B:제2부분
8:밸브부재 19:여자코일
20:자성체 커버 36:코일단자
37:단자구멍 38:고정나사
39:나사구멍 45:탄성 클립
45d:훅 46:클립홀더
53:프린트기판 54:표시램프
55:전자부품 56:투명수지
58:접속단자 59:개스킷
61:커넥터 62:수전단자
63:접지단자 64:도전스프링
66:나사 삽입통과구멍 69:걸림구멍
71:표시창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는, 여자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밸브부재를 구동해서 유체유로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단자함을 가지며,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단자함을 부착하기 위한 서로 인접하고 직교하는 제1부착면 및 제2부착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부착면에는 상기 여자코일과 도통하는 코일단자가 수용된 복수의 단자구멍과, 상기 단자함용의 고정나사를 나사식 부착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또 제2부착면에는 상기 단자함을 걸기 위한 훅을 구비한 탄성 클립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함은,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의 제1부착면을 덮는 제1부분과, 제2부착면을 덮는 제2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단자구멍내에 끼워넣어져서 코일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이들 접속단자에 도통하는 복수의 수전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기 고정나사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나사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며, 또 제2부분에는, 상기 탄성 클립의 훅이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단자함의 제1부분을 전자밸브의 제1부착면상에 압압하고, 상기 제1부분상의 접속단자를 제1부착면상의 단자구멍내에 삽입시켜서 코일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단자함의 제2부분에 형성된 걸림구멍을 전자밸브의 제2부착면의 탄성 클립에 걸리게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을 제1부착면에 고정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단자함을 전자밸브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나사를 분리해서 탄성 클립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단자함 전체를 전자밸브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함을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고, 제1부분에 접속단자나 커넥터라는 전자밸브와의 전기접속에 필요한 부품을 부착하고, 제2부분에 전자밸브와의 걸림에 필요한 기구를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단자함을 매우 간단하고 합리적인 설계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함의 제1부분이 전자밸브의 제1부착면 전체를 덮고, 제2부분이 제2부착면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형태에 따르면, 상기 단자함의 제1부분에, 상기 수전단자와 접속단자를 도통시키는 프린트기판과, 상기 접속단자의 둘레를 둘러싸는 개스킷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프린트기판은 탑재된 표시램프 및 전자부품과 함께 투명수지내에 봉입되고, 또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전자밸브의 단자구멍의 둘레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단자구멍을 시일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함에 있어서의 표시램프와의 대응위치에는 투명수지를 통해서 상기 표시램프를 관찰하기 위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린트기판과 표시램프 및 전자부품을 전체적으로 투명수지내에 봉입함과 아울러, 접속단자가 끼워넣어지는 단자구멍의 둘레를 개스킷으로 시일하도록 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단자함의 기밀성과 전기절연성 및 전기접속부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제1부착면의 일부가 상기 여자코일을 덮는 자기프레임 겸용의 자성체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또, 상기 커넥터가 접지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가 도전스프링을 통해 상기 자성체 커버에 접촉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클립이 전자밸브의 제2부착면에 클립홀더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의 대표적인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부호 1이 전자밸브, 2가 이 전자밸브(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단자함이다.
상기 전자밸브(1)는 3포트식의 직동형 전자밸브로서, 유체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밸브부재(8)를 구비한 밸브주체부(1A)와, 상기 밸브부재(8)를 구동하는 전자조작부(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주체부(1A)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4)을 갖고 있다. 이 하우징(4)의 일측면에는 공급포트(P), 출력포트(A), 및 배출포트(R)가 형성되며, 하우징(4)의 내부에는 이들 각 포트(P,A,R)가 연통하는 밸브실(5)과, 상기 밸브실(5)내의 상기 공급포트(P)가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급 밸브시트(6)와, 상기 배출포트(R)가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 배출 밸브시트(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시트(6,7)는 밸브실(5)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실(5)내에는 이들 밸브시트(6,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포핏식의 상기 밸브부재(8)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밸브부재(8)를 배출 밸브시트(7)측을 향해서 탄발하는 밸브스프링(9)이 상기 밸브부재(8)와 밸브시트블록(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시트블록(10)은 원기둥상의 부재로서, 하우징(4)의 축선방향의 일단면에 형성된 부착구멍내에 끼움부착됨으로써 상기 밸브실(5)의 일단측을 구획하고 있으며, 이 밸브시트블록(10)에 상기 공급포트(P)를 밸브실(5)에 연통시키는 통과구멍(13)과, 상기 공급 밸브시트(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14는 상기 밸브시트블록(10)의 외주에 부착된 시일부재, 15는 상기 밸브시트블록(10)을 부착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블록누르개이다.
또, 상기 전자조작부(1B)는 철심구멍(18a)을 중심에 구비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보빈(18)과, 이 보빈(18)의 외주에 감은 전선으로 이루어진 여자코일(19)과,상기 보빈(18) 및 여자코일(19)을 덮는 각통형의 자성체 커버(20)와, 상기 철심구멍(18a)내에 축선방향으로 변이가능하게 수용된 자성체로 이루어진 가동철심(21)을 갖고 있다. 상기 철심구멍(18a)과 가동철심(21)은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어도,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자성체 커버(20)는 자기프레임을 겸하는 것으로, 상기 보빈(18)의 축선방향의 일단면을 덮는 단판부(端板部)(20a)와, 상기 보빈(18) 및 여자코일(19)의 측면외주를 둘러싸는 스커트부(20b)를 가지며, 상기 단판부(20a)가 고정철심을 겸하고 있다. 이 자성체 커버(20)의 내부에는 철심구멍을 구비한 환형의 자기 플레이트(22)가 상기 보빈(18)의 타단면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용접 등의 수단으로 상기 자성체 커버(2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20b)의 개방단을 상기 밸브주체부(1A)의 하우징(4)의 단부에 끼움부착하고, 상기 스커트부(20b)의 단부에 설치한 훅(20c)을 하우징(4)의 측면의 오목부(4a)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전자조작부(1B)가 밸브주체부(1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의 끝면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철심실(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철심(21)의 선단이 상기 자기 플레이트(22)를 관통해서 이 철심실(25)내에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철심(21)의 선단부 외주에는 합성수지제의 캡(26)이 부착되며, 이 캡(26)과 상기 자기 플레이트(22) 사이에 상기가동철심(21)을 단판부(20a)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서 탄발하는 철심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4)에는, 상기 철심실(25)과 밸브실(5)을 연결하는 복수의가이드구멍(28)이 형성되며, 이들 가이드구멍(28)내에 양단이 상기 철심실(25)과 밸브실(5)에 연장되는 복수의 푸시로드(29)가 변이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들 푸시로드(29)는 밸브부재(8)를 유지하는 합성수지제의 밸브홀더(3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푸시로드(29)의 선단이 철심실(25)내에 연장되어 가동철심(21)의 끝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각 푸시로드(29)를 상기 밸브홀더(3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양단을 상기 가동철심(21)과 밸브부재(8)에 접촉시켜도 좋다. 이들 푸시로드(29)는 상기 가동철심(21)의 움직임을 밸브부재(8)에 전달해서 상기 밸브부재(8)를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철심(21)이 도1과 같이 단판부(20a)로부터 이간된 전진위치에 있을 때는 밸브부재(8)가 이들 푸시로드(29)에 밀려서 배출 밸브시트(7)를 개방함과 아울러 공급 밸브시트(6)를 폐쇄하고, 상기 가동철심(21)이 단판부(20a)에 흡착되어서 후퇴하면, 상기 푸시로드(29)도 후퇴해서 밸브부재(8)의 압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밸브부재(8)가 밸브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변이하여, 상기 공급 밸브시트(6)를 개방하고 배출 밸브시트(7)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전자밸브(1)에 있어서, 여자코일(19)이 비통전상태인 경우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철심(21)이 철심스프링(27)의 탄발력에 의해 밀려서 단판부(20a)로부터 이간된 전진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철심(21)에 의해 푸시로드(29)를 통해 밸브부재(8)가 밀리며, 상기 밸브부재(8)는 배출 밸브시트(7)를 개방하고 공급 밸브시트(6)를 폐쇄한다. 이 때문에, 공급포트(P)가 폐쇄되며, 출력포트(A)와 배출포트(R)가 연통한다. 또, 상기 여자코일(19)에 통전하면, 상기 가동철심(21)이 단판부(20a)에 흡착되어서 후퇴함으로써, 상기 푸시로드(29)에 의한 밸브부재(8)의 압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부재(8)는 밸브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변이하여 상기 공급 밸브시트(6)를 개방하고 배출 밸브시트(7)를 폐쇄한다. 이 때문에, 배출포트(R)가 폐쇄되며, 공급포트(P)와 출력포트(A)가 연통한다.
또, 상기 철심구멍(18a) 및 철심실(25)은 시일부재(31)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철심실(25)과 밸브실(5)이 가이드구멍(28)에 의해 연통하고 있어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상기 여자코일(19)에의 통전은, 상기 단자함(2)을 통해 행해지는 것으로, 이 단자함(2)의 구체적 구성과 전자밸브(1)에 대한 부착구조는,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다.
즉, 도2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전자밸브(1)는 상기 단자함(2)을 부착하기 위한 서로 인접하고 직교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1부착면(1C) 및 제2부착면(1D)을 갖고 있다. 이 중 제1부착면(1C)은, 상기 하우징(4)의 각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4)의 측면전체와, 상기 전자조작부(1B)에 있어서의 자성체 커버(20)의 측면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착면(1C)에는, 상기 하우징(4)의 측면부분에 상기 여자코일(19)과 도통하는 2개의 코일단자(36,36)가 개별로 수용된 2개의 단자구멍(37,37)과, 상기 단자함용의 고정나사(38)가 나사식 부착되는 1개의 나사구멍(39)과, 상기 단자함(2)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결정구멍(40)과,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를 매니폴드 등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나사(41)가 삽입통과되는 2개의 부착구멍(4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단자구멍(37,37)은 상기 하우징(4)에 있어서의 전자조작부(1B)근방의 위치에, 상기 하우징(4)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또, 상기 나사구멍(39)은 상기 하우징(4)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조작부(1B)와는 반대측의 위치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부착구멍(42,42)은 상기 단자구멍(37,37)과 나사구멍(39)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구멍(40)은 이들 2개의 부착구멍(42,4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단자(36,36)는 상기 자기 플레이트(22)를 전기절연상태로 관통해서 하우징(4)측을 향해서 연장하며, 상기 하우징(4)의 끝면에 형성된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단자구멍(37,37)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 제2부착면(1D)은 상기 자성체 커버(20)의 단판부(20a)의 외면에 형성되며, 이 제2부착면(1D)에 탄성 클립(45)이 클립홀더(46)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 클립(45)은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으로, 베이스(45a)와, 상기 베이스(45a)의 상면중앙부로부터 세워진 지주(45b)와, 상기 지주(45b)의 상단으로부터 U자형으로 분기된 후 각각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45a)근방까지 연장되는, 좌우 2개의 탄성을 갖는 걸림암(45c,45c)과, 이들 걸림암(45c,45c)의 하단부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훅(45d,45d)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클립홀더(46)는 금속 등의 경질소재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2부착면(1D)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46a)와, 상기 베이스(46a)의 좌우 양측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세워진 2개의 유지암(46b,46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클립(45)의 걸림암(45c,45c)의 부분을 상기 클립홀더(46)의 하단측으로부터 2개의 유지암(46b,46b)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훅(45d,45d)을 유지암(46b,46b)의 단부의 절입부(46c,46c)내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탄성 클립(45)이 상기 클립홀더(46)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단자함(2)은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1)의 제1부착면(1C)의 대략 전체를 덮는 제1부분(2A)과, 제2부착면(1D)의 대략 전체를 덮는 제2부분(2B)을 갖고 있다. 도3 및 도4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부분(2A)은 홈형 또는 그것과 유사한 단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벽부(2a)와, 상기 상벽부(2a)의 좌우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b,2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분(2A)의 내부에는, 표시램프(54)나 그 밖의 필요한 전자부품(55)을 탑재한 프린트기판(53)이 이들 표시램프(54) 및 전자부품(55)과 함께 투명수지(56)내에 전체가 봉입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상기 프린트기판(53)에는, 단자홀더(57)가 그 일부가 상기 투명수지(56)내에 매립된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단자홀더(57)에, 2개의 접속단자(58,58)가 상기 프린트기판(53)에 전기접속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이들 접속단자(58,58)의 둘레를 둘러싸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상의 개스킷(5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58,58)는 상기 전자밸브(1)의 단자구멍(37,37)내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코일단자(36,36)에 접속되는 것이며, 또, 상기 개스킷(59)은 상기 전자밸브(1)의 단자구멍(37,37)의 둘레의 시일면(34)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단자구멍(37,37)의 둘레를 시일하는 것이다.
상기 단자함(2)의 제1부분(2A)에 있어서의 상벽부(2a)의 상면에는 2개의 수전단자(62,62)와 1개의 접지단자(63)를 갖는 커넥터(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전단자(62,62)의 기단부는 상기 투명수지(56)내에 매립되어 상기 프린트기판(53)에 도통함으로써, 이 프린트기판(53)을 통해 상기 접속단자(58,58)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접지단자(63)의 기단부는 상기 투명수지(56) 및 프린트기판(53)을 관통해서 제1부분(2A)의 내부에 연장되며, 상기 기단부에 상기 자성체 커버(2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도전스프링(64)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부분(2A)의 선단근방의 위치에는, 상기 하우징(4)에 접촉하는 부분에, 두꺼운 단벽부(端壁部)(2c)가 형성되며, 이 단벽부(2c)에 상기 고정나사(38)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나사 삽입통과구멍(66)과, 상기 부착나사(41)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나사 삽입통과구멍(67)과, 상기 위치결정구멍(40)에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용의 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자함(2)의 제2부분(2B)은, 상기 제1부분(2A)과 동일한 홈형 또는 그것과 유사한 단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벽부(2a)와, 상기 상벽부(2a)의 좌우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세워진 측벽부(2b,2b)를 가지며, 이들 양측벽부(2b,2b)의 단부에 상기 탄성 클립(45)의 훅(45d,45d)이 끼워맞춰져서 걸리는 걸림구멍(69,6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단자함(2)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램프(5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명한 표시창(71)이 형성되며, 이 표시창(71)으로부터 투명수지(56)를 통해서 상기 표시램프(54)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함(2)을 전자밸브(1)에 부착할 때는, 상기 단자함(2)의 제1부분(2A)을 전자밸브(1)의 제1부착면(1C)상에 위쪽에서 탑재해서 강하게 압압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결정용의 돌기(68)가 전자밸브(1)의 위치결정구멍(40)내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단자함(2)이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상기 접속단자(58,58)가 단자구멍(37,37)내에 끼워맞춰져서 코일단자(36,36)에 접속된다. 또한, 단자함(2)의 제2부분(2B)의 걸림구멍(69,69)내에 전자밸브(1)의 제2부착면(1D)에 형성된 탄성 클립(45)의 훅(45d,45d)이 탄력적으로 끼워맞춰져 걸린다. 그래서, 상기 제1부분(2A)을 고정나사(38)로 제1부착면(1C)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단자함(2)이 전자밸브(1)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개스킷(59)은 상기 전자밸브(1)의 단자구멍(37,37)의 둘레의 시일면(34)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단자구멍(37,37)을 시일하고, 상기 접지단자(63)의 기단부에 부착된 도전스프링(64)이 상기 자성체 커버(20)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상기 단자함(2)을 전자밸브(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고정나사(38)를 분리해서 탄성 클립(45)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단자함(2)전체를 전자밸브(1)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함(2)을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해서, 그 제1부분(2A)에 접속단자(58,58)나 커넥터(61), 이들을 전기접속하는 프린트기판(53)이라는, 전자밸브(1)와의 전기접속에 필요한 부품을 부착하고, 제2부분(2B)에는, 상기 전자밸브(1)와의 걸림에 필요한 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자함(2)을 매우 간단하고 합리적인 설계구조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자밸브에 간단한 조작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특히, 전자밸브의 하나의 부착면에만 직선형태의 단자함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이 단자함에 전자밸브와의 전기접속에 필요한 부품과, 전자밸브와의 걸림에 필요한 기구를 동시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단자함이 커질 수 있으며, 소형의 전자밸브에의 적용이 곤란하게 되기 쉽지만, 단자함(2) 및 전자밸브(1)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린트기판(53)과 표시램프(54) 및 전자부품(55)을 전체적으로 투명수지(56)내에 봉입함과 아울러, 접속단자(58,58)가 끼워넣어지는 단자구멍(37,37)의 둘레를 개스킷(59)으로 시일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단자함(2)의 기밀성과 전기절연성, 및 전기접속부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3포트식의 직동형 전자밸브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전자밸브의 형태는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포트식이나 4포트식 혹은 5포트식이어도 좋고, 조작방식도 직동형에 한정되지 않고, 파일롯형이어도 좋다.
또, 상기 단자함(2)의 제1부분(2A) 및 제2부분(2B)이 전자밸브(1)의 제1부착면(1C) 및 제2부착면(1D)의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각 부착면의 전체를 덮을 필요는 없고,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함을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고, 제1부분에 전자밸브와의 전기접속에 필요한 부품을 부착하고, 제2부분에 전자밸브와의 걸림에 필요한 기구를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상기 단자함을 매우 간단하고 합리적인 설계구조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자밸브에 간단한 조작으로 착탈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Claims (5)

  1. 여자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밸브부재를 구동해서 유체유로를 전환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단자함을 가지며,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단자함을 부착하기 위한 서로 인접하고 직교하는 제1부착면 및 제2부착면을 가지고 있으며, 제1부착면에는 상기 여자코일과 도통하는 코일단자가 수용된 복수의 단자구멍과, 상기 단자함용의 고정나사를 나사식 부착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며, 또 제2부착면에는, 상기 단자함을 걸기 위한 훅을 구비한 탄성 클립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함은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밸브의 제1부착면을 덮는 제1부분과, 제2부착면을 덮는 제2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단자구멍내에 끼워넣어져서 코일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이들 접속단자에 도통하는 복수의 수전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와, 상기 고정나사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나사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며, 또 제2부분에는, 상기 탄성 클립의 훅이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의 제1부분이 전자밸브의 제1부착면 전체를 덮고, 제2부분이 제2부착면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의 제1부분에, 상기 수전단자와 접속단자를 도통시키는 프린트기판과, 상기 접속단자의 둘레를 둘러싸는 개스킷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프린트기판은 탑재된 표시램프 및 전자부품과 함께 투명수지내에 봉입되고, 또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전자밸브의 단자구멍의 둘레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단자구멍을 시일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함에 있어서의 표시램프와의 대응위치에는 투명수지를 통해서 상기 표시램프를 관찰하기 위한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에 있어서의 제1부착면의 일부가 상기 여자코일을 덮는 자기프레임 겸용의 자성체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또, 상기 커넥터가 접지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가 도전스프링을 통해 상기 자성체 커버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이 전자밸브의 제2부착면에 클립홀더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KR10-2003-0053502A 2002-09-17 2003-08-01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KR100497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0140A JP3915094B2 (ja) 2002-09-17 2002-09-17 端子箱付電磁弁
JPJP-P-2002-00270140 2002-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550A true KR20040025550A (ko) 2004-03-24
KR100497629B1 KR100497629B1 (ko) 2005-07-01

Family

ID=3197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502A KR100497629B1 (ko) 2002-09-17 2003-08-01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54707B2 (ko)
JP (1) JP3915094B2 (ko)
KR (1) KR100497629B1 (ko)
CN (1) CN100337056C (ko)
DE (1) DE10338377B4 (ko)
TW (1) TWI2251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49B1 (ko) * 2006-07-25 2007-11-07 박영봉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9305A1 (en) * 2004-03-11 2005-09-15 Webber Randall M. Modular device assembly incorporating electronics therein
DE102004048861A1 (de) * 2004-10-07 2006-04-20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insbesondere für Bremskraftanlagen in Kraftfahrzeugen
DE102005004080A1 (de) * 2005-01-28 2006-08-03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e Druckregelventileinrichtung mit integriertem Drucksensor
TWI330236B (en) * 2006-01-30 2010-09-11 Smc Corp Electromagnetic valve
JP4310548B2 (ja) * 2007-02-26 2009-08-12 Smc株式会社 電磁弁組立体
JP4465537B2 (ja) 2007-06-14 2010-05-19 Smc株式会社 電磁弁
EP2040270A1 (en) * 2007-09-20 2009-03-25 Mondragon Componentes, S. Coop. Electromagnetic safety valve
JP4756119B2 (ja) * 2009-01-21 2011-08-24 Smc株式会社 ベース部材に対する弁取付機構
CN101930821B (zh) * 2009-06-25 2012-11-14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装置
US20120112103A1 (en) * 2010-11-09 2012-05-1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metering valve
DE102011106553A1 (de) * 2011-07-05 2013-01-10 Robert Bosch Gmbh Magnetspulenanordnung und Kollektion von Magnetspulenanordnungen
CN102780122B (zh) * 2012-07-27 2014-08-13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气模组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电气连接系统
JP6319569B2 (ja) * 2014-05-21 2018-05-09 株式会社ケーヒン 液圧制御装置
US10125884B2 (en) * 2015-02-26 2018-11-13 Honda Motor Co., Ltd. Attachment structure for solenoid valve
JP6279513B2 (ja) * 2015-05-19 2018-02-14 Ckd株式会社 電磁弁装置
WO2017119807A1 (en) * 2016-01-04 2017-07-13 Petroliam Nasional Berhad (Petronas) Cap for solenoid valves
EP3261102A1 (en) * 2016-06-23 2017-12-27 Rain Bird Corporation Universal solenoid
GB201613901D0 (en) 2016-08-12 2016-09-28 Artemis Intelligent Power Ltd Valve for fluid working machine, fluid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TWI607602B (zh) * 2017-01-17 2017-12-01 Airtac Int Group 集成閥組的端子連接裝置
CN108346899A (zh) * 2017-01-23 2018-07-31 英属开曼群岛商亚德客国际股份有限公司 集成阀组的端子连接装置
US10980120B2 (en) 2017-06-15 2021-04-13 Rain Bird Corporation Compact printed circuit board
IT201700096969A1 (it) * 2017-08-29 2019-03-01 Camozzi Automation S P A Dispositivo e metodo di diagnostica per elettrovalvole
US11503782B2 (en) 2018-04-11 2022-11-22 Rain Bird Corporation Smart drip irrigation emitter
JP7089242B2 (ja) * 2018-09-21 2022-06-22 Smc株式会社 電磁弁
JP7041414B2 (ja) * 2018-10-31 2022-03-24 Smc株式会社 電磁弁
US11721465B2 (en) 2020-04-24 2023-08-08 Rain Bird Corporation Solenoid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891A (en) * 1980-03-31 1982-01-05 Double A Products Co. Terminal blocks and indicator for solenoid valves
JPH01210674A (ja) * 1988-02-18 1989-08-24 Aisin Seiki Co Ltd ソレノイド装置
JP2607670B2 (ja) 1989-03-01 1997-05-07 大阪瓦斯株式会社 成形断熱材
JP2607670Y2 (ja) * 1993-10-21 2002-03-0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自己保持型電磁弁
JPH07224959A (ja) * 1994-02-15 1995-08-22 Toyota Motor Corp 電磁弁のターミナル接続構造
US5441233A (en) * 1994-03-18 1995-08-15 Sm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valve
TW371026U (en) * 1996-05-23 1999-09-21 Smc Corp Solenoid valve with switch
JP3709241B2 (ja) * 1996-05-23 2005-10-26 Smc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電磁弁
JP4395548B2 (ja) * 1997-03-14 2010-01-13 Smc株式会社 電磁弁用ソレノイ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49B1 (ko) * 2006-07-25 2007-11-07 박영봉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629B1 (ko) 2005-07-01
JP3915094B2 (ja) 2007-05-16
CN1483955A (zh) 2004-03-24
TWI225137B (en) 2004-12-11
DE10338377B4 (de) 2005-04-28
TW200404970A (en) 2004-04-01
CN100337056C (zh) 2007-09-12
US20040051069A1 (en) 2004-03-18
DE10338377A1 (de) 2004-04-01
US6854707B2 (en) 2005-02-15
JP2004108446A (ja)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629B1 (ko)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KR100970135B1 (ko) 전자 밸브 조립체
US7377481B2 (en) Solenoid valve
KR100271472B1 (ko) 밀봉형 전환밸브조립체
KR100969211B1 (ko) 전자 밸브
KR100848049B1 (ko) 전자밸브
EP2187418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6748976B2 (en) Electromagnetic valve
KR20020019393A (ko) 위치검출기능을 갖춘 매니폴드밸브
JPH084933A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の給電装置
US6830067B2 (en) Manifold valve
JP4547682B2 (ja) 電磁弁
CN112739943B (zh) 电磁阀
JPH11118061A (ja) 電磁弁ソレノイド
CN111520522A (zh) 电磁阀及其控制方法
JPH1019162A (ja) ランプ表示電気回路取付構造
CN113983227A (zh) 磁力型碳罐电磁阀及其制造方法
JPS6023885Y2 (ja) 電磁スイツチ
JPH10110852A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の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