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149B1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149B1
KR100774149B1 KR1020060069767A KR20060069767A KR100774149B1 KR 100774149 B1 KR100774149 B1 KR 100774149B1 KR 1020060069767 A KR1020060069767 A KR 1020060069767A KR 20060069767 A KR20060069767 A KR 20060069767A KR 100774149 B1 KR100774149 B1 KR 10077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cover member
substrate
gas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봉
Original Assignee
박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봉 filed Critical 박영봉
Priority to KR102006006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밸브부재; 플런저를 작동시켜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부재; 상기 포트들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와 그 램프를 작동시키는 작동회로가 설치되는 기판;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둘러싸서 그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기밀하며, 상기 커버부재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마주하는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커버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소재의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스킷과 커버부재 부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스킷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스킷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솔레노이드 밸브 30...솔레노이드 부재
40....밸브 부재 50...기판
51....램프 60....커버부재
63....경사부 611, 612....경사부
70....개스킷 71...커버홈
72....돌출부 310, 320...지지부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각 포트들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를 구비하며 그 램프의 전기적 접속을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포트가 구비된 밸브는 관로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되어 유체의 유량, 압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로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내장된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추력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의 포트들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특허출원 2003-0101577호 등에 다수 출원되어 공개되었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그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솔레노이드 코일과 플런저의 작동에 의해 복수의 포트들이 개폐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코일 및 플런저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작동 및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LED와 같은 램프와, 그 밸브의 각 포트들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램프를 점등하는 작동회로를 설치하여, 그 솔레노이드 밸브이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안되어 사용되는 예가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는 공기, 기름, 물 등의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곳에 사용되므로, 수분과 기름 같은 유체의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특 히, LED 및 작동회로와 같은 전기적 접속이 물에 노출되면 전원이 방전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회로가 단락되는 등, 솔레노이드 밸브가 파손되거나 오작동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LED 및 작동회로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LED와 작동회로간의 전기적 접속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도선과 LED와의 전기적 접속을 수분, 기름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밀구조를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각 포트들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 및 그 작동회로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기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밸브부재; 플런저를 작동시켜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부재; 상기 포트들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와 그 램프를 작동시키는 작동회로가 설치되는 기판;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둘러싸서 그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기밀하며, 상기 커버부재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마주하는 테 두리부가 삽입되는 커버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소재의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스킷과 커버부재 부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밸브 부재(40)와 램프(51)와 기판(50)과 커버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는 보빈(31)과 그 보빈(31)에 감겨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빈(31) 및 솔레노이드 코일(3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인 플런저실(33)에는, 플런저(35)가 플런저 하우징(34)에 수용된 상태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35)의 하측에는 플런저 걸림턱(351)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런저 하우징(34)과 상기 플런저(35)의 플런저 걸림턱(351) 사이에는 플런저 스프링(37)이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플런저(35)에 대해 상기 플런저 하우징(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밸브 부재(40)에는 유체가 입력되는 입력포트(41)와 유체가 출력되는 출력포트(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부재(40)의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오리피스구멍(43)을 통하여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35)의 하단부에 설치된 플런저고무(36)가 상기 오리피스구멍(43)에 접촉하여 그 오리피스구멍(43)을 막음으로써,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폐쇄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35)의 플런저고무(36)가 상기 오리피스구멍(43)에서 떨어져서 그 오리피스구멍(43)을 열게되면,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개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상기 밸브 부재(40)는 상기 플런저(35)와 상기 오리피스구멍(43)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 부재(40)에 결합되는 4개의 나사(81, 82, 83, 84)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밸브 부재(40)가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는, 내부의 솔레노이드 코일(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단자(301, 302)가 그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60)와 마주하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에는 2개의 지지부(310, 320)가 그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지지부(310, 3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그 지지부(310, 320)가 마련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기 판홈(311, 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50)에는 램프(51)가 납땜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부재(40)의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 사이가 개방되면 상기 램프(51)를 점등하고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 사이가 폐쇄되면 상기 램프(51)를 소등하는 작동회로(미도시)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 램프(51)로는 예컨대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은 상기 지지부(310, 320)의 기판홈(311, 321)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져서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50)의 일측단부는 상기 전원단자(301, 302)에 납땜됨으로써, 상기 기판(50)의 작동회로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기판(50)과 전원단자(301, 302)와 상기 지지부(310, 320)를 둘러싸도록 덮어서 상기 기판(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기 커버부재(60)는 한쪽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개방된 면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설치된 상기 지지부(310, 320)와 전원단자(301, 302)와 기판(50)이 상기 커버부재(6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램프(51)가 점등되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10, 320)의 상기 기판홈(311, 321)이 형성된 반대쪽 측면에는 걸림턱(312, 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60)의 측벽에는 걸림부(611, 6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60)의 걸림부(611, 612)에 상기 지지 부(310, 320)의 걸림턱(312, 322)이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부재(60)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60)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 사이에는 탄성소재의 개스킷(70)이 끼워져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상기 커버부재(60)의 사이를 기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60)의 걸림부(611, 612)에 상기 지지부(310, 320)의 걸림턱(312, 322)이 걸려서 상기 커버부재(60)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부재(60)가 상기 개스킷(70)을 가압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결합되도록 하면 상기 개스킷(7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60)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 사이를 더욱 확실하게 기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70)의 상기 커버부재(60)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커버부재(60)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마주하는 테두리부가 상호보합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커버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60)의 테두리부가 상기 개스킷(70)의 커버홈(71)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커버홈(71)은 그 깊이 방향으로 진입할수록 그 커버홈(71)의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스킷(70)에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재(60)의 테두리부는 상기 개스킷(70)의 커버홈(71)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개스킷(70)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스킷(70)의 상기 커버홈(71)이 형성된 반대쪽 면, 즉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마주하는 면에는 환(環)형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개스킷(70)과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 사이를 확실히 기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기판(50)과 솔레노이트 코일(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상기 기판(50)이 상기 전원단자(301, 302)와 납땜되는 곳에서 상기 기판(50)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마주하는 면, 즉 상기 기판(50)의 아래쪽면에 납땜되고 그 납땜된 반대쪽 단부를 거쳐서 상기 커버부재(60)에 형성된 관통공(621, 622)을 통과하여 그 커버부재(60)의 외부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상기 커버부재(60)의 관통공(621, 622)에 끼워져서 그 커버부재(60)의 안쪽에 위치하는 기판(50) 및 전원단자(301, 302)에 납땜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합성수지가 피복된 전선이며, 상기 커버부재(60)의 관통공(621, 622)은 상기 전원급도선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상기 관통공(621, 622)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조립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밸브 부재(40)를 서로 결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 부재(40)에 결합되는 4개의 나사(81, 82, 83, 84)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밸브 부재(40)는 서로 결합된다.
상기 기판(50)의 상기 전원단자(301, 302)와 납땜될 위치에 미리 상기 전원 공급도선(521, 522)을 각각 납땜해 둔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이 납땜된 상태의 상기 기판(50)을 상기 지지부(310, 320)의 기판홈(311, 321)을 따라 밀어 넣은 후, 상기 기판(50)과 상기 전원단자(301, 302)를 납땜한다.
상기 개스킷(70)을 상기 지지부(310, 32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에 배치하여 둔다.
상기 커버부재(60)의 관통공(621, 622)으로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을 끼워넣은 후, 상기 커버부재(60)를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 쪽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커버부재(60)의 안쪽에 상기 지지부(310, 320)와 상기 전원단자(301, 302) 등이 놓여지도록 상기 커버부재(60)를 배치한 후 상기 커버부재(6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대해 밀어 넣으면, 상기 커버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커버부재(60)의 걸림부(611, 612)에 상기 지지부(310, 320)의 걸림턱(312, 322)이 걸리고 상기 커버부재(60)가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대해 결합된다. 동시에 상기 경사부(63)는 상기 개스킷(70)의 커버홈(71)에 끼워져서 상기 개스킷(7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개스킷(70)은 탄성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상기 커버부재(60)의 사이로 물, 기름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홈(71)은 그 깊이 방향으로 진입할수록 폭이 감소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60)의 경사부(63)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에 가 까워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스킷(70)과 상기 커버부재(60)의 사이가 효과적으로 기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70)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30)와 접촉하는 면에는 환형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스킷(70)과 솔레노이드 부재(30)의 외측면 사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기밀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합성수지 피복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재(60)의 관통공(621, 622)에 억지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과 상기 관통공(621, 622) 사이로 물, 기름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상기 기판(50)의 하면에 납땜되고 그 기판(50)의 아래쪽을 지나 납땜된 곳의 반대쪽 단부를 거쳐서 상기 커버부재(60)의 관통공(621, 622)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에 비교적 큰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장력은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과 기판(50)이 납땜된 곳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억지끼워맞춤된 관통공(621, 622)과 상기 기판(50)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납땜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도선(521, 522)을 통해 상기 기판(50)에 힘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기판(50)이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310, 320)의 기판홈(311, 321)에 의해 기판(50)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램프(51)는 소등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32)은 전기적 추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플런저(35)는 상기 플런저 스프링(37)에 의해 상기 밸브 부재(40)의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플런저(35)의 플런저고무(36)가 상기 밸브 부재(40)의 오리피스구멍(43)을 막게된다. 상기 오리피스구멍(43)이 막혀 있으므로, 상기 밸브 부재(40)의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 사이의 유체의 흐름은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기판(50)에 인쇄된 상기 작동회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램프(51)는 점등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32)은 전기적 추력을 발생시키고 그 추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35)는 상기 오리피스구멍(43)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오리피스구멍(43)이 개방된다. 상기 오리피스구멍(43)이 열리면서, 상기 밸브 부재(40)의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 사이가 개방되어 상기 입력포트(4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출력포트(42)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100)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상기 입력포트(41)와 출력포트(42)의 2개의 포트를 가지는 2포트 솔레노이드 밸브(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3포트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수의 포트들을 가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상기 개스킷(70)의 커버홈(71)은 그 깊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 커버부재(60)에는 경사부(63)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깊이방향에 따른 폭의 변화가 없는 커버홈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경사부(63)를 가지지 않는 커버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10, 320)는 2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지지부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50)은 상기 지지부(310, 320)의 기판홈(311, 321)이 아닌 다른 구조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도선(521, 522)은 상기 기판(50)의 하면에 납땜되고 그 기판(50)의 아래쪽을 지나 납땜된 곳의 반대쪽 단부를 거쳐서 상기 커버부재(60)의 관통공(621, 622)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원공급도선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납땜되고 바로 그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항 바와 같이, 각 포트들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램프 및 그 램프를 구동하는 회로의 전기적 접속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기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밸브부재;
    플런저를 작동시켜 상기 포트들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부재;
    상기 포트들의 개폐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와 그 램프를 작동시키는 작동회로가 설치되는 기판;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둘러싸서 그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를 기밀하며, 상기 커버부재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마주하는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커버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소재의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마주하는 면에는 환(環)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개스킷과 마주하는 테두리부는 그 개스킷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가져서 상기 커버부재의 경사부가 상기 개스킷의 커버홈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경사부가 상기 개스킷의 커버홈에 밀착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개스킷의 커버홈은 그 커버홈의 깊이방향으로 진입할수록 폭이 감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의 외측면에는 그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측벽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걸림부에 상기 지지부의 걸림턱이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스킷을 가압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들 중 적어도 한쌍의 지지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그 한쌍의 지지부의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상기 기판이 슬라이딩되어 끼워질 수 있는 기판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 내부의 솔레노이드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단자가 상기 기판의 일측단부에 납땜됨으로써 상기 기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과 솔레노이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도선은 상기 기판의 일측단부의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납땜되고 상기 기판의 타측단부를 거쳐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도선은 합성수지가 피복된 전선이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공급 도선은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그 커버부재의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에 납땜되고,
    상기 전원공급도선과 상기 관통공 사이가 기밀되도록 전원공급도선은 합성수지 피복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060069767A 2006-07-25 2006-07-25 솔레노이드 밸브 KR10077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67A KR100774149B1 (ko) 2006-07-25 2006-07-25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767A KR100774149B1 (ko) 2006-07-25 2006-07-25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149B1 true KR100774149B1 (ko) 2007-11-07

Family

ID=3906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767A KR100774149B1 (ko) 2006-07-25 2006-07-25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1442A1 (ko) * 2015-01-07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크 리드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CN109707893A (zh) * 2019-01-07 2019-05-03 浙江亿日气动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阀组
DE102020210228A1 (de) 2020-08-12 2022-02-17 Festo Se & Co. Kg Elektromagnetische Antriebseinrichtung, zugeordnetes Herstellungsverfahren und Magnetventilein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43Y1 (ko) 2001-09-20 2001-12-31 주식회사 선경뉴매틱 정류기가 내장된 교류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0015131A (ko) * 2001-08-13 2003-02-20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밸브
KR200329527Y1 (ko) 2003-07-23 2003-10-10 한국콘트롤스 주식회사 온도조절용 밸브구동장치
KR20040025550A (ko) * 2002-09-17 2004-03-24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31A (ko) * 2001-08-13 2003-02-20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밸브
KR200258343Y1 (ko) 2001-09-20 2001-12-31 주식회사 선경뉴매틱 정류기가 내장된 교류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40025550A (ko) * 2002-09-17 2004-03-24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단자함이 부착된 전자밸브
KR200329527Y1 (ko) 2003-07-23 2003-10-10 한국콘트롤스 주식회사 온도조절용 밸브구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1442A1 (ko) * 2015-01-07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크 리드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20160085381A (ko) * 2015-01-07 2016-07-18 주식회사 유니크 리드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1663714B1 (ko) 2015-01-07 2016-10-11 주식회사 유니크 리드 와이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US10424869B2 (en) 2015-01-07 2019-09-24 Unick Corporation Lead wire connector and solenoid valve including same
CN109707893A (zh) * 2019-01-07 2019-05-03 浙江亿日气动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阀组
CN109707893B (zh) * 2019-01-07 2024-02-13 浙江亿日气动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阀组
DE102020210228A1 (de) 2020-08-12 2022-02-17 Festo Se & Co. Kg Elektromagnetische Antriebseinrichtung, zugeordnetes Herstellungsverfahren und Magnetventilein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83B1 (ko) 위치검출기능을 갖춘 매니폴드밸브
KR102188285B1 (ko) 오리피스 내장 밸브 및 압력식 유량 제어 장치
KR100523368B1 (ko) 전자밸브
KR100774149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9980079913A (ko) 밀봉형 전환밸브조립체
KR100447899B1 (ko) 전자밸브
JPH10256035A (ja) 電磁弁用ソレノイド
JP7189631B2 (ja) 流体制御機器
JP2004036841A (ja) センサー付きマニホールドバルブ
JP2008309243A (ja) 電磁弁
JP2004011859A (ja) 位置検出機構を備えたマニホールドバルブ
JP2015509576A (ja) ガスバルブ及びガスバルブの組立方法
US7048002B2 (en) Board-mounted manifold valve
JP2004019887A (ja) 電磁弁における端子箱のシール構造
US6596951B1 (en) Snap disc pressure switch
US4217471A (en) Fluidic actuator for a switching device
JP2007172908A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06513905A (ja) 圧力コントローラ
JP5890776B2 (ja) 圧力検出装置およびエア回路
JP4680807B2 (ja) パイロット式切換弁
KR200338699Y1 (ko) 볼밸브
JP2015001256A (ja) ガスケットの取付構造
WO2017188351A1 (ja) 圧力センサ装置
US20230332714A1 (en) Fluid control device
WO2023162691A1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