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603A -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603A
KR20040017603A KR1020020049752A KR20020049752A KR20040017603A KR 20040017603 A KR20040017603 A KR 20040017603A KR 1020020049752 A KR1020020049752 A KR 1020020049752A KR 20020049752 A KR20020049752 A KR 20020049752A KR 20040017603 A KR20040017603 A KR 20040017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cooling
heat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204B1 (ko
Inventor
박종한
박영민
이창선
최성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204B1/ko
Priority to US10/641,143 priority patent/US6973796B2/en
Priority to DE60336789T priority patent/DE60336789D1/de
Priority to EP03255182A priority patent/EP1420216B1/en
Priority to CN03164941.6A priority patent/CN1265142C/zh
Priority to JP2003298739A priority patent/JP4383801B2/ja
Publication of KR2004001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ree pipes connecting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with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5Temperature sensors near the outdoo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냉방운전이 동시에 수행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한편, 분배기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분배기의 무게를 줄임과 함께, 실외기의 배관구조를 단순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송풍을 가하는 실외팬을 갖는 실외기와, 실내의 각 룸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전자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갖는 다수대의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냉방전실ㆍ난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ㆍ난방주체동시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대의 실내기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분배기와, 상기 실외기 내에 구비되되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후단측 배관상에 구비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실외기 내에 구비되며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을 갖는 배관유닛과, 상기 압축기의 토출부측에서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상기 제2 연결배관을 연통시켜 냉매의 흐름을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Multi-type air conditioner for cooling/heating the same ti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주거공간, 레스토랑,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오늘날에는 다수의 룸으로 구획된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해 각 룸을 냉방 또는 난방운전시키는 멀티공기조화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멀티공기조화기는, 한 대의 실외기에 다수대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각각의 실내기가 각 룸에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난방과 냉방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로 동작되어 실내를 공기조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실내에 구획된 여러 룸 중, 어느 룸은 난방이 필요하고 다른 어느 룸은 냉방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냉방모드 혹은 난방모드로 기기가 일률적으로운전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빌딩에 있어서는, 룸의 위치나 시간에 따라서 온도차가 발생되는 곳이 있게 되는데, 즉 빌딩의 북측면 룸은 난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반면, 남측면 룸은 햇빛 때문에 냉방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구에 기기가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산실을 갖춘 경우에 있어서도, 여름철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도 전산설비의 발열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상 냉방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구에 기기가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기기 동작 중 동시에 각 룸을 개별적으로 공기조화시킬 수 있는 즉, 난방을 요하는 룸에는 이에 설치된 실내기에 난방모드가 작동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냉방을 요하는 룸에는 이에 설치된 실내기에 냉방모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운전과 냉방운전이 동시에 수행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배기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분배기의 무게를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기의 배관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을 줄이는 한편 제품단가를 저감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분배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혼합비를 최적화하여 공조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a는 냉방전실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2b는 난방전실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3a는 냉방주체동시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3b는 난방주체동시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실외기 1: 압축기
2: 실외열교환기 2a: 실외팬
3: 기액분리기 4a: 제1 연결배관
4b: 제2 연결배관 5: 사방밸브
11: 기상냉매관 12: 액상냉매관
13: 제1 체크밸브 14: 병렬관
14a: 난방용 전자팽창밸브 16: 바이패스관
16a: 난방주체용 밸브 17: 제2 체크밸브
18: 온도센서 19: 어큐물레이터
B: 분배기 20: 안내배관부
21: 기상냉매연결관 22a, 22b, 22c: 기상냉매분지관
23: 액상냉매연결관 24a, 24b, 24c: 액상냉매분지관
25a, 25b, 25c: 연결분지관 26: 합지관
30: 밸브부 C: 실내기
61a, 61b, 61c: 전자팽창밸브 62a, 62b, 62c: 실내열교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실외에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송풍을 가하는 실외팬을 갖는 실외기와, 실내의 각 룸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전자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갖는 다수대의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냉방전실ㆍ난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ㆍ난방주체동시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대의 실내기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분배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기 내에 구비되되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후단측 배관상에 구비되어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로부터 나오는 냉매를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실외기 내에 구비되며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의 토출부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를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분배기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을 갖는 배관유닛과, 상기 압축기의 토출부측에서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상기 제2 연결배관을 연통시켜 냉매의 흐름을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기상냉매 및 액상냉매의 혼합비가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조건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연결배관 중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기액분리기 사이에 구비되며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감지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혼합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필요한 기설정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마이콤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 혼합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필요한 기설성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룸의 환경에 따라, 각 룸 전체를 난방시키는 난방전실운전과 각 룸 전체 중 일부를 동시에 냉방시키는 난방주체동시운전과, 각 룸 전체를 냉방시키는 냉방전실운전과 각 룸 전체 중 일부를 동시에 난방시키는 냉방주체동시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액분리기가 분배기가 아닌 실외기에 설치되므로 분배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분배기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의 주 배관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즉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 그리고 사방밸브에 의해 단순화되므로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제품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혼합비가 최적화되므로 공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a는 냉방전실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며, 도 2b는 난방전실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냉방주체동시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고, 도 3b는 난방주체동시운전시 도 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도면부호 22는 「22a, 22b, 22c」를 가리키고, 24는 「24a, 24b, 24c」를 가리키며, 25는 「25a, 25b, 25c」를 가리키고, 61은「61a, 61b, 61c」를 가리키며, 62는 「62a, 62b, 62c」를 가리킨다. 하지만 실내기의 수에 따라 괄호내 도면부호의 수는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A)와 분배기(B) 그리고 다수개의 실내기(C)로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실외기(A)에는 압축기(1)와 실외열교환기(2)와 기액분리기(3) 등이 내설되고, 상기 분배기(B)에는 안내배관부(20)와 밸브부(30)가 내설되며, 상기 각 실내기(C)에는 실내열교환기(62)와 전자팽창밸브(61) 등이 각각 내설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실외기(A)와 상기 분배기(B)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C)의구체적인 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첫째, 상기 실외기(A)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구성 설명에 앞서, 실외기(A)는 일반적으로 실외의 측벽면이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며 분배기(B)는 일반적으로 실내 천장에 설치됨에 따라, 실외기에 비해 분배기의 설치가 어렵다. 특히, 분배기(B)의 무게가 무겁게 되면 실내 천장에 설치시 낙하하중이 크게 작용하여 작업이 힘들고 만약 설치되더라도 오래 견디지 못하고 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기액분리기(3)를 분배기가 아닌 실외기(A)에 설치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외기(A)의 배관구조는, 단순할수록, 관손실이 줄어드는 등 기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제품단가를 저감시키는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이를 감안하여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상기 실외기(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와, 실외열교환기(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송풍을 가하는 실외팬(2a)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후단측 배관상에 구비되어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2)로부터 나오는 냉매를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3)와, 상기 압축기(1)의 토출부와 상기 실외열교환기(2)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4a) 및 상기 분배기(B)와 상기 압축기(1)의 흡입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4b)을 갖는 배관유닛과, 상기 압축기(1)의 토출부측에서 상기 제1 연결배관(4a)과 상기 제2 연결배관(4b)을 연통시켜 냉매의 흐름을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5)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관유닛은, 상기 기액분리기(3)의 상부와 상기 분배기(B)를 연결하여 기상냉매를 안내하는 기상냉매관(11)과, 상기 기액분리기(3)의 하부와 상기 분배기(B)를 연결하여 액상냉매를 안내하는 액상냉매관(12)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도록 하고,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는 냉매가 팽창되어 유입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연결배관(4a) 중 상기 실외열교환기(2)와 상기 기액분리기(3) 사이에 구비되어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1 체크밸브(13)와, 상기 제1 체크밸브를 경계로 상기 제1 연결배관(4a)에 병렬되게 구비되어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를 안내하는 병렬배관(14)과, 상기 병렬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난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기상냉매관(11)을 따라 유입되는 저압상태의 기상냉매가 상기 기액분리기(3)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연결배관(4a)을 거쳐 상기 압축기(1)의 흡입부로 바로 유입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유닛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기상냉매관(11)과 상기 제1 연결배관(4a)의 전단측[상기 압축기(1)와 상기 실외열교환기(2) 사이의 배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16)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난방주체동시 운전시에만 열리는 난방주체용 밸브(16a)와, 상기 기상냉매관(11) 중 상기 기액분리기(3)와 상기 바이패스관(16) 사이에 구비되어 난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제2 체크밸브(17)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2)를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는 기상냉매 및 액상냉매의 혼합비가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조건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실외팬(2a)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연결배관(4a) 중 상기 실외열교환기(2)와 상기 기액분리기(3) 사이에 구비되며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8)와, 상기 감지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혼합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필요한 기설정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상기 실외팬(2a)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마이콤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실외기(A)는, 운전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도 2a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전실운전시 또는 냉방주체동시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고, 이후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나오는 냉매는 계속해서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제1 체크밸브(13)를 통과하여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는 냉매의 혼합비는, 제어수단에 의해 최적화되게 된다. 즉, 제1 연결배관(4a)에 구비된 온도센서(18)에서 의해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혼합비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주체동시운전시 필요한 기설정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실외팬(2a)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그 냉매의 혼합비를 최적화시키게 된다.
특히, 냉방전실 운전시에는,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 냉매가 모두 응축되도록 상기 실외팬(2a)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는 냉매를 액체상태로 특정시키게 된다.
이후 진행과정은 후술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전체동작설명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2b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전실운전시 또는 난방주체동시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고압상태로 제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된 후 제2 연결배관을 따라 분배기(B)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진행과정은 후술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전체동작설명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둘째, 상기 분배기(B)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구성 설명에 앞서, 운전조건에 따라 실외기(A)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선택된 실내기(C)로 정확히 안내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 있듯이 분배기(B)의 무게는 가벼워야 하며 크기 또한 작아야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를 감안하여 분배기가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상기 분배기(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2) 및 상기 기액분리기(3)를 거치지 않고 유입되거나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기액분리기를 거쳐 유입된 냉매를 상기 각 실내기()로 안내함과 함께 상기 각 실내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실외기(A)로 재 안내하는 안내배관부(20)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대의 실내기(C)에 선택적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안내배관부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부(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배관부(20)는, 상기 실외기의 기상냉매관(11)에 연결되어 기상냉매를 안내하는 기상냉매연결관(21)과, 상기 기상냉매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각 실내기(C)에 각각 연결되는 기상냉매분지관(22)과, 상기 실외기의 액상냉매관(12)에 연결되어 액상냉매를 안내하는 액상냉매연결관(23)과, 상기 액상냉매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각 실내기(C)에 각각 연결되는 액상냉매분지관(24)과, 상기 각 기상냉매분지관(22)에서 분지되는 연결분지관(25)과, 상기 각 연결분지관을 하나로 합지시켜 상기 실외기의 제2 연결배관(4b)에 연결되는 합지관(26)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30)는, 상기 각 기상냉매분지관(22)과 상기 각 액상냉매분지관(24) 그리고 상기 각 연결분지간(25)에 각각 구비되며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이방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분배기(B)의 동작은 후술하는 전체 동작설명에서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셋째, 상기 각 실내기(C)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각 실내기는, 상기 기상냉매분지관(22)과 상기 액상냉매분지관(24) 사이에 연설되는 실내열교환기(62) 및 전자팽창밸브(61)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송풍을 가하는 실내팬(미도시)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동작 및 이에 따른 냉매의 유동을 설명한다.
동작설명에 앞서, 냉방주체동시운전 및 난방주체동시운전 설명시, 편의상 실내기(C)의 대수는 3대(C1, C2, C3)로 가정하며,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2대의 실내기(C1, C2)는 냉방을 나머지 1대의 실내기(C3)는 난방을 수행하고, 이와 반대로 난방주체동시 운전시 2대의 실내기(C1, C2)는 난방을 나머지 1대의 실내기(C3)는 냉방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첫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전실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 냉매는 제어수단에 의해 최적 구동되는 실외팬(2a)의 송풍으로 과냉상태가 된 후 계속해서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제1 체크밸브(13)를 통과한 후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제어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기액분리기(3)로 유입된 고압/액체상태의 냉매는, 액상냉매관(12)과 액상냉매연결관(23)을 순차적으로 거쳐 각각 액상냉매분지관(24)으로 분지된 후 각 전자팽창밸브(61)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각 실내열교환기(62)를 거치면서 증발됨과 함께 각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각 기상냉매분지관(22)을 따라 이동하다가 이방밸브(31a, 31b, 31c)의 차단으로 연결분지관(25)을 거쳐 합지관(26)에서 하나로 모인 후 제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되고,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친 후 계속해서 제2 연결배관을 따라 유동하다가 어큐물레이터(19)를 거쳐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둘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전실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고압상태로 제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제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는 합지관(26)을 따라 흐르다가 각각 연결분지관(25)으로 분지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분지관(25)으로 유입된 고압/기체상태의 냉매는, 각각 기상냉매분지관(22)으로 유입되어 각 실내열교환기(62)를 거치면서 각 룸을 난방시킴과 함께 응축되게 된다. 이후, 응축된 냉매는, 개방된 각 전자팽창밸브(61)와 액상냉매분지관(24)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액상냉매연결관(23)에서 하나로 모인 후 액상냉매관(12)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액상냉매관(12)으로 유입된 냉매는, 기액분리기(3)를 거친 후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제1 체크밸브(13)의 차단에 의해 병렬관(14)으로 흐르게 되고, 이후 병렬관(14)상에 구비된 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에서 팽창되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실외열교환기(2)에서 증발되어 나온 저압상태의 기상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쳐 제2 연결배관(4b)을 따라 흐르게 되고 어큐뮬레이터(19)를 통과하여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셋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 냉매는 제어수단에 의해 최적 구동되는 실외팬(2a)의 송풍으로 최적의 이상상태가 된 후 계속해서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제1 체크밸브(13)를 통과한 후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 기액분리기(3)에 모인 냉매의 혼합비는, 상술한 제어수단에 의해 기설정된 냉매 혼합비와 같아지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냉매 혼합비는, 상술한 바 있듯이, 액상의 냉매를 요하는 2대의 냉방용 실내기(C1, C2)와 기상의 냉매를 요하는 1대의 난방용 실내기(C3)에 맞게 결정되어 지고, 또한 1대의 난방용 실내기(C3)를 거쳐 2대의 냉방용 실내기(C1, C2)로 유입되는 응축된 냉매의 유량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등 여러 부하조건에 따라 실험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실험치이다.
그리고, 기액분리기(3)에 모인 고압/이상상태(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상태로서 기설정된 혼합비와 동일한 상태)의 냉매 중 우선, 기액분리기(3)에서 분리되는 액상의 냉매는, 액상냉매관(12)과 액상냉매연결관(23)을 순차적으로 거쳐 선택된 제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 각각 분지된 후 각각 제1, 2 전자팽창밸브(61a, 61b)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각각 제1, 2 실내열교환기(62a, 62b)를 거치면서 증발됨과 함께 각각의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액분리기(3)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기상냉매관(11)과 기상냉매연결관(21)을 순차적으로 흘러 선택된 제3 기상냉매분지관(22c)으로 유입된 후 제3 실내열교환기(62c)를 거치면서 난방을 요하는 룸을 난방시킨 후 개방된 제3 전자팽창밸브(61c)와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을 거쳐 상술한 액상냉매연결관(23)에 합류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액상의 냉매와 함께 선택된 제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 각각 분지된 후 제1, 2 전자팽창밸브(61a, 61b)를 각각 거치면서 팽창되고 제1, 2 실내열교환기(62a, 62b)를 각각 거치면서 증발됨과 함께 각각의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액상냉매가 선택된 제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만 유입되는 이유는, 냉매의 압력차 때문이며, 구체적으로,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제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제1, 2 기상냉매분지관(22a, 22b)을 따라 각각 이동하다가 제1, 2 이방밸브(31a, 31b)의 차단으로 각각 제1, 2 연결분지관(25a, 25b)을거쳐 합지관(26)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합지관(26)으로 유입된 저압/기상상태의 냉매는, 제2 연결배관(4b)을 따라 유동하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치면서 계속해서 제2 연결배관(4b)을 따라 어큐물레이터(19)를 거쳐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넷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주체동시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고압상태로 제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제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는 합지관(26)을 따라 흐르다가 선택된 제1, 2 연결분지관(25a, 25b)으로 분지되게 된다.
그리고, 제1, 2 연결분지관(25a, 25b)로 유입된 고압/기체상태의 냉매는, 제1, 2 기상냉매분지관(22a, 22b)으로 각각 유입된 후 제1, 2 실내열교환기(62a, 62b)를 각각 거치면서 각각의 룸을 난방시킴과 함께 응축되게 된다.
이후, 응축된 냉매는, 개방된 제1, 2 전자팽창밸브(61a, 61b)와 제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 그리고 액상냉매연결관(23)을 각각 거치게 되고, 이 때, 응축된 냉매의 일부는, 액상냉매연결관(23)을 따라 액상냉매관(12)으로 유입되게 되고,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 일부는, 선택된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으로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 응축된 냉매의 일부는, 액상냉매연결관(23)과 액상냉매관(12)과 기액분리기(3)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제1 체크밸브(13)의 차단에 의해 병렬관(14)으로 흐르게 되고, 이후 병렬관(14)상에 구비된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에서 팽창되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실외열교환기(2)에서 증발되어 나온 저압상태의 기상냉매는, 계속해서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쳐 제2 연결배관(4b)을 따라 흐르게 되고 어큐뮬레이터(19)를 통과하여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 일부는, 선택된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으로 유입되고 제3 전자팽창밸브(61c)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제3 실내열교환기(62c)를 거치면서 증발되어 냉방을 요하는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제3 기상냉매분지관(22c)과 기상냉매연결관(21)과 기상냉매관(11)을 순차적으로 흐르다가 제2 체크밸브(17)의 차단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관(16)으로 유입된 후, 개방된 난방주체용 밸브(16a)를 통과하여 제1 연결배관(4a)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쳐 제2 연결배관(4b)을 따라 흐르게 되고 어큐뮬레이터(19)를 통과하여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여기서, 응축된 냉매가 난방을 요하는 액상냉매분지관(24a 또는 24b)으로 유입되지 않고 냉방을 요하는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으로 유입되는 이유는, 압력차 때문이며, 구체적으로 난방을 요하는 제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c)의 압력이 냉방을 요하는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실외기의 동작설명에서 이미 언급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온도센서(18)를 이용하여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상기 감지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 혼합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필요한 기설성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상기 실외팬(2a)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따라, 각 룸의 환경에 최적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각 룸 전체를 난방시키는 난방전실운전과 각 룸 전체 중 일부를 동시에 냉방시키는 난방주체동시운전과, 각 룸 전체를 냉방시키는 냉방전실운전과 각 룸 전체 중 일부를 동시에 난방시키는 냉방주체동시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액분리기가 분배기가 아닌 실외기에 설치되므로 분배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분배기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의 주 배관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즉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 그리고 사방밸브에 의해 단순화되므로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제품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혼합비가 최적화되므로 공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운전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룸의 환경에 최적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다수개의 룸이 구획된 빌딩에서 룸의 위치나 시간에 따라 온도차가 발생되는 룸이 있거나 여름철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도 발열을 요구하는 전산실이 구획된 경우, 필요에 따라 난방주체동시운전 또는 냉방주체동시운전을 수행하여 최적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액분리기가 분배기가 아닌 실외기에 설치됨에 따라 분배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분배기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기의 주 배관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즉 제1 연결배관과 제2 연결배관 그리고 사방밸브에 의해 단순화됨에 따라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제품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혼합비가 최적화됨에 따라 공조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기를 구성함에 있어 삼방 또는 사방 밸브가 아닌 보다 저렴한 이방밸브가 채용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제품단가가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실외에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송풍을 가하는 실외팬을 갖는 실외기와,
    실내의 각 룸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전자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를 각각 갖는 다수대의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냉방전실ㆍ난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ㆍ난방주체동시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대의 실내기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분배기와,
    상기 실외기 내에 구비되되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후단측 배관상에 구비되어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로부터 나오는 냉매를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실외기 내에 구비되며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의 토출부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를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분배기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을 갖는 배관유닛과,
    상기 압축기의 토출부측에서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상기 제2 연결배관을 연통시켜 냉매의 흐름을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사방밸브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유닛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상부와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여 기상냉매를 안내하는 기상냉매관과,
    상기 기액분리기의 하부와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여 액상냉매를 안내하는 액상냉매관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관 중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기액분리기 사이에 구비되어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1 체크밸브와,
    상기 제1 체크밸브를 경계로 상기 제1 연결배관에 병렬되게 구비되어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를 안내하는 병렬배관과,
    상기 병렬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전실ㆍ난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난방용 전자팽창밸브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기상냉매관을 따라 유입되는 저압상태의 기상냉매가 상기 기액분리기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연결배관을 거쳐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로 바로 유입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유닛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기상냉매관과 상기 제1 연결배관의 전단측(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사이의 배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구비되어 난방주체동시 운전시에만 열리는 난방주체용 밸브와,
    상기 기상냉매관 중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바이패스관 사이에 구비되어 난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제2 체크밸브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기액분리기를 거치지 않고 유입되거나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기액분리기를 거쳐 유입된 냉매를 상기 각 실내기로 안내함과 함께 상기 각 실내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실외기로 재 안내하는 안내배관부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대의 실내기에 선택적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안내배관부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배관부는;
    상기 실외기의 기상냉매관에 연결되어 기상냉매를 안내하는 기상냉매연결관과,
    상기 기상냉매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각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는 기상냉매분지관과,
    상기 실외기의 액상냉매관에 연결되어 액상냉매를 안내하는 액상냉매연결관과,
    상기 액상냉매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각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는 액상냉매분지관과,
    상기 각 기상냉매분지관에서 분지되는 연결분지관과,
    상기 각 연결분지관을 하나로 합지시켜 상기 실외기의 제2 연결배관에 연결되는 합지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각 기상냉매분지관과 상기 각 액상냉매분지관과 상기 각 연결분지간에 각각 구비되며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이방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기상냉매 및 액상냉매의 혼합비가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조건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연결배관 중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기액분리기 사이에 구비되며 냉방전실 및 냉방주체동시 운전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감지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혼합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필요한 기설정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마이콤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11. 상기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냉매온도와 기설정된 냉매온도를 비교하여 배관상의 냉매 혼합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혼합비가 냉방전실ㆍ냉방주체동시 운전시 필요한 기설성된 혼합비와 같아지도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0항의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2-0049752A 2002-08-22 2002-08-22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4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52A KR100447204B1 (ko) 2002-08-22 2002-08-22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41,143 US6973796B2 (en) 2002-08-22 2003-08-15 Multi-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E60336789T DE60336789D1 (de) 2002-08-22 2003-08-21 Klima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EP03255182A EP1420216B1 (en) 2002-08-22 2003-08-21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03164941.6A CN1265142C (zh) 2002-08-22 2003-08-22 多体空调器及其工作方法
JP2003298739A JP4383801B2 (ja) 2002-08-22 2003-08-22 マルチ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52A KR100447204B1 (ko) 2002-08-22 2002-08-22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603A true KR20040017603A (ko) 2004-02-27
KR100447204B1 KR100447204B1 (ko) 2004-09-04

Family

ID=3188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752A KR100447204B1 (ko) 2002-08-22 2002-08-22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73796B2 (ko)
EP (1) EP1420216B1 (ko)
JP (1) JP4383801B2 (ko)
KR (1) KR100447204B1 (ko)
CN (1) CN1265142C (ko)
DE (1) DE60336789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59B1 (ko) * 2005-01-28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시스템과 그 운전방법
CN112460858A (zh) * 2020-12-01 2021-03-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05B1 (ko) * 2002-06-12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59184B1 (ko) 2002-08-24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KR100535674B1 (ko) * 2004-02-25 200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히트 펌프의 사방밸브 제어 방법
JP3742933B2 (ja) * 2004-05-24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分岐用管継手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3861891B2 (ja) * 2004-08-04 200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20060029564A (ko) * 2004-10-02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에어컨 시스템 및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동시 냉난방운전방법
KR20060030761A (ko) 2004-10-06 200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실형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88171B1 (ko) * 2004-12-29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냉매 회수방법
KR20070074301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DE102006006731A1 (de) * 2006-02-13 2007-08-16 Danfoss A/S Kühlanlage
JP3963192B1 (ja) * 2006-03-10 2007-08-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055965B2 (ja) * 2006-11-13 2012-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258553B2 (ja) * 2007-01-31 2009-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JP4629083B2 (ja) * 2007-11-12 2011-02-09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1117922A1 (ja) * 2010-03-25 2011-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1865555B (zh) * 2010-06-29 2012-10-03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同时制冷和制热的一拖多空调
WO2012011688A2 (en) * 2010-07-21 2012-01-26 Chu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Alternating type heat pump
US8290628B2 (en) * 2010-07-23 2012-10-1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003773A (zh) * 2010-11-25 2011-04-06 佛山市中格威电子有限公司 变频空调器多联机的分流补偿控制系统
CN102278839B (zh) * 2011-08-20 2012-11-14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分液装置及制冷剂分配方法
CN102853488A (zh) * 2012-04-09 2013-01-02 普鲁卡姆电器(上海)有限公司 一种热泵式空调
TWI521140B (zh) * 2012-04-20 2016-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數據機房之無油離心式冷卻系統
CN102748815B (zh) * 2012-07-28 2016-06-0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2927628B (zh) * 2012-11-08 2015-10-21 南京师范大学 一种同步过冷和过热的全新风空气处理机组
CN102927677B (zh) * 2012-11-08 2015-04-08 南京师范大学 一种同步过冷和过热的机房空调
CN103123184B (zh) * 2013-01-31 2015-04-15 东莞市蓝冠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发电三联热泵供冷热水机
CN104422208B (zh) * 2013-09-04 2017-04-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
KR102146371B1 (ko) * 2013-09-25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3900222B (zh) * 2014-03-07 2017-05-2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冷却空调器电控变频模块的方法及空调器
CN104833126A (zh) * 2015-03-31 2015-08-1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
CN104748424B (zh) * 2015-03-31 2017-06-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的室外机组件及具有其的多联机系统
EP3312527B1 (en) * 2015-06-17 2021-04-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nt circuit and air conditioner
CN105066501B (zh) 2015-07-22 2017-05-0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室外机和具有其的多联机
EP3144606B1 (en) * 2015-09-16 2020-03-0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US10156873B2 (en) * 2015-12-21 2018-12-18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aving fluid manifold with embedded heat exchanger system
CN106440455B (zh) * 2016-09-19 2019-04-3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及其室内机运行模式的切换控制方法
KR102521848B1 (ko) 2017-01-17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80085275A (ko) 2017-01-18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80093162A (ko) 2017-02-09 2018-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80092758A (ko) 2017-02-10 201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7449174A (zh) * 2017-07-25 2017-12-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2373851B1 (ko) * 2017-08-31 202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033151A (zh) * 2017-09-05 2020-04-17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系统或制冷剂分支单元
KR20200114031A (ko) * 2019-03-27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
CN110057144A (zh) * 2019-05-21 2019-07-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膨胀阀组件、双向节流系统及空调器
WO2020245918A1 (ja) * 2019-06-04 2020-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1023496B (zh) * 2019-12-04 2021-09-03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及装置
KR20240001457A (ko) 2022-06-27 2024-01-03 곽희덕 마대자루 개별 단위로 처리가 가능한 폐비닐 압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1A (ja) 1983-06-17 1985-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サイクル
US4962522A (en) * 1987-12-04 1990-10-09 Marian Michael B Electronic controller for sprinkler systems
JP2522362B2 (ja) 1988-10-17 1996-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920008504B1 (ko) 1988-10-17 1992-09-30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H02208462A (ja) * 1989-02-09 1990-08-20 Sanyo Electric Co Ltd 冷暖房装置
GB2230873B (en) 1989-02-27 1993-10-06 Toshiba Kk Multi-system air conditioning machine
JPH0311276A (ja) * 1989-06-06 1991-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H0359362A (ja) 1989-07-28 1991-03-14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AU636726B2 (en) 1990-03-19 1993-05-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system
US5237833A (en) 1991-01-10 1993-08-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conditioning system
US5208855A (en) * 1991-09-20 1993-05-04 Marian Michael B Method and apparatus for irrigation control using evapotranspiration
JP3635665B2 (ja) 1992-05-28 2005-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763429A (ja) * 1993-08-26 1995-03-10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型空気調和機
JP3476899B2 (ja) 1994-04-12 2003-12-1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5479339A (en) * 1994-09-02 1995-12-26 Miller; Ralph W. Irrigatio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US5927087A (en) 1994-11-29 1999-07-27 Ishikawa; Atuyumi Refrigerating cycle
KR100195913B1 (ko) 1996-10-04 1999-06-15 구자홍 다실 공기조화기
US5848537A (en) 1997-08-22 1998-12-15 Carrier Corporation Variable refrigerant, intrastage compression heat pump
US6282454B1 (en) * 1997-09-10 2001-08-28 Schneider Automation Inc. Web interface to a programmable controller
US6437692B1 (en) * 1998-06-22 2002-08-20 Statsign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mote devices
US6314340B1 (en) * 1998-11-02 2001-11-06 Telsco Industries Irrigation controller
US6343255B1 (en) * 2000-02-06 2002-01-29 Sanford Christopher Pee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using data supplied through the internet and a wireless cellular data system
US6600971B1 (en) * 2000-03-29 2003-07-29 Signature Control Systems, Inc. Distributed control network for irrigation management
US6847892B2 (en) * 2001-10-29 2005-01-25 Digital Angel Corporation System for localizing and sensing objects and providing alerts
US6823239B2 (en) * 2001-11-05 2004-11-23 Rain Master Irrigation Systems, Inc. Internet-enabled central irrigation control
KR100437803B1 (ko) 2002-06-12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59137B1 (ko) * 2002-08-24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KR100459184B1 (ko) * 2002-08-24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59B1 (ko) * 2005-01-28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시스템과 그 운전방법
CN112460858A (zh) * 2020-12-01 2021-03-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5390A (zh) 2004-05-12
EP1420216B1 (en) 2011-04-20
DE60336789D1 (de) 2011-06-01
KR100447204B1 (ko) 2004-09-04
EP1420216A2 (en) 2004-05-19
JP4383801B2 (ja) 2009-12-16
EP1420216A3 (en) 2005-08-17
US20040035132A1 (en) 2004-02-26
CN1265142C (zh) 2006-07-19
US6973796B2 (en) 2005-12-13
JP2004085193A (ja)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204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7805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7803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47203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47202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3548B1 (ko) 공기조화기용 제상장치
KR100437804B1 (ko) 2배관식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0504509B1 (ko) 차단 가능한 다중 분배기를 갖는 냉난방 동시형멀티공기조화기
KR100459137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KR100504498B1 (ko) 공기조화기용 과냉확보장치
KR101706865B1 (ko) 공기조화기
KR100499506B1 (ko) 멀티공기조화기용 이물질 차단장치
KR20040064455A (ko) 멀티공기조화기용 바이패스장치
KR100712857B1 (ko) 혼합형 유니터리 공기조화장치의 냉매량 조절방법
KR100480702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KR20220083495A (ko) 복합 칠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00002771A (ko)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504499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용 응축액 제거장치
JP3748620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463549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용 응축액 제거장치
KR20040064459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용 응축액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