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848B1 -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848B1
KR102521848B1 KR1020170008292A KR20170008292A KR102521848B1 KR 102521848 B1 KR102521848 B1 KR 102521848B1 KR 1020170008292 A KR1020170008292 A KR 1020170008292A KR 20170008292 A KR20170008292 A KR 20170008292A KR 102521848 B1 KR102521848 B1 KR 10252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heating
cooling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546A (ko
Inventor
제환욱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8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가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2);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냉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3);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난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4);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냉난방 겸용실내기로 판단하는 단계(N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배기와 연결된 냉난방 겸용실내기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냉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구비하고, 냉방 또는 난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냉난방 겸용실내기와 구분하여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multi-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난방 전용 실내기를 인식 및 제어하기 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오늘날에는 다수의 룸으로 구획된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해 각 룸을 냉방 또는 난방운전시키는 멀티공기조화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멀티공기조화기는, 한 대의 실외기에 다수대의 실내기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각 룸에 설치되고, 실내기는 난방과 냉방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로 동작되어 실내를 공기조화시킨다.
그런데 복수개의 실내기가 모두 난방운전되거나 냉방운전되지 않고,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일부 룸에서는 냉방운전이 요구되고 일부에서는 난방운전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빌딩에 있어서는, 룸의 위치나 시간에 따라서 온도차가 발생되는 곳이 있게 되는데, 즉 빌딩의 북측면 룸은 난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반면, 남측면 룸은 햇빛 때문에 냉방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구에 기기가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산실을 갖춘 경우에 있어서도, 여름철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도 전산설비의 발열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상 냉방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구에 기기가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실외기 및 실내기 사이에 분배기를 두고, 냉방이 요구되는 룸의 실내기에는 응축된 냉매를 제공하여 실내를 냉방할 수 있도록 하고, 난방이 요구되는 룸의 실내기에는 압축된 냉매를 제공하여 실내를 난방할 수 있게 하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47204 B1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냉방 전용 실내기 또는 난방 전용 실내기를 인식 및 제어하기 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분배기와 연결된 냉난방 겸용실내기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냉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구비하여, 분배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또는 난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냉난방 겸용실내기와 구분하여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가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2);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냉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4);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난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냉난방 겸용실내기로 판단하는 단계(N5);를 포함한다.
상기 N5 단계에서 겸용실내기(D)로 판단된 경우, 제어대상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의 배관의 저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O1); 상기 O1 단계에서 저압밸브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제어대상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 배관의 고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O2); 를 포함하고, 상기 O1 단계에서 저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O4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O2 단계에서 고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O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O3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냉방모드를 선택한 경우, 해당 실내기를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상기 O4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난방모드를 선택한 경우, 해당 실내기를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분배기와 연결된 냉난방 겸용실내기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냉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구비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또는 난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냉난방 겸용실내기와 구분하여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전용실내기가 난방모드로 작동되거나 난방 전용실내기가 냉방모드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겸용실내기의 설치를 최소화하고, 냉방 전용실내기 또는 난방 전용실내기를 기상냉매연결관, 액상냉매연결관에 연결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분배기와 연결되는 배관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설치시간 및 난이도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주체 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주체 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전용실내기의 주소입력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겸용실내기의 냉방제어 또는 난방제어 선택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전용실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전용실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주체 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주체 전실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도면부호 22는 「22a, 22b, 22c」를 의미할 수 있고, 24는 「24a, 24b, 24c」를 의미할 수 있고, 25는 「25a, 25b, 25c」를 의미할 수 있고, 31은 「31a, 31b, 31c」를 의미할 수 있고, 61은「61a, 61b, 61c」를 의미할 수 있고, 62는 「62a, 62b, 62c」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내기에 동일한 기능의 부품이 설치되는 경우,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통칭되는 부호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실내기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괄호 내 도면부호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A), 분배기(B), 상기 분배기(B)와 연결된 겸용실내기(D), 상기 분배기(B)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실외기(A)와 직접 연결된 전용실내기(C)(E)를 포함한다.
분배기(B)에 연결되는 실내기(D)의 경우, 냉방 또는 난방으로 동시 운전될 수 있다. 분배기(B)에 연결되지 않고, 실외기(A)에 직접 연결되는 실내기(C)(E)의 경우, 냉방으로만 운전되거나 난방으로만 운전된다.
먼저, 실외기(A), 분배기(B) 및 겸용실내기(D)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A)에는 압축기(1)와 실외열교환기(2)와 기액분리기(3) 등이 배치되고, 상기 분배기(B)에는 안내배관부(20)와 밸브부(30)가 배치되고, 상기 각 실내기(D)에는 실내열교환기(62)와 전자팽창밸브(61) 등이 각각 배치된다.
이하, 상기 실외기(A)와 상기 분배기(B), 겸용실내기(D) 및 전용실내기(D)(E)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상기 실외기(A)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상기 실외기(A)는 압축기(1)와, 실외열교환기(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제공하는 실외팬(2a)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토출측 배관 상에 구비되고, 냉방주체 동시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토출된 냉매를 기상냉매 및 액상냉매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3)와, 상기 압축기(1) 흡입 측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1)에 기체 냉매를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19)와, 상기 압축기(1), 실외열교환기(2), 분배기(B) 및 어큐뮬레이터(19)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사방밸브(5)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A)는 상기 압축기(1)의 토출 측, 실외열교환기(2) 및 기액분리기(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배관(4a)과, 상기 분배기(B), 상기 압축기(1)의 흡입 측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배관(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배관(4a) 및 제 2 연결배관(4b)는 상기 사방밸브(5)를 경유하여 각 장치들을 연결시킨다.
상기 사방밸브(5)는 상기 압축기(1)의 토출 측에 연결되고,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냉매의 유동방향을 절환시킬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3)는 기상냉매관(11) 및 액상냉매관(12)과 연결된다.
상기 기상냉매관(11)은 상기 기액분리기(3)의 상부와 상기 분배기(B)를 연결하여 기체 냉매를 안내하고, 액상냉매관(12)은 상기 기액분리기(3)의 하부와 상기 분배기(B)를 연결하여 액체냉매를 안내한다.
냉방전실ㆍ냉방주체 동시 운전시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고, 난방전실ㆍ난방주체 동시 운전시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는 냉매가 팽창되어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연결배관(4a) 중 상기 실외열교환기(2)와 상기 기액분리기(3) 사이에 구비되어 난방전실ㆍ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냉매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냉방전실ㆍ냉방주체 동시 운전시 냉매를 통과시키는 제 1 체크밸브(13)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체크밸브(13)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결배관(4a)과 병렬로 병렬배관(14)이 배치되고, 상기 병렬배관(14)의 일측은 상기 실외열교환기(2)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액분리기(3) 측과 연결된다.
상기 병렬배관(14)은 난방전실ㆍ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냉매를 안내한다.
상기 병렬배관에 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전실ㆍ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상기 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배관(4a) 및 기상냉매관(11)을 연결하는 바이패스배관(16)이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배관(16)에 난방주체용 밸브(16a)가 배치된다.
상기 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상기 분배기(B)에서 공급된 저압상태의 기체 냉매는 상기 기상냉매관(11) 및 바이패스배관(16)을 따라 상기 압축기(1)의 흡입 측으로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배관(16)은 일측이 상기 압축기(1) 및 상기 실외열교환기(2) 사이의 제 1 연결배관(4a)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기상냉매관(11)에 연결된다.
상기 난방주체용 밸브(16a)는 난방주체 동시 운전시에만 개방된다.
그리고 기액분리기(3) 및 기상냉매관(11) 사이에 제 2 체크밸브(17)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체크밸브(17)는 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분배기(B)의 냉매가 상기 기액분리기(3)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실외기(A)는 운전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전실 운전은 분배기(B)에 연결된 실내기(D)들이 모두 동일한 모드로 운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냉방전실 운전의 경우, 분배기(B)에 연결된 실내기들(D)이 모두 냉방운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난방전실 운전의 경우, 분배기(B)에 연결된 실내기(D)들이 모두 난방운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동시운전은 분배기(B)에 연결된 실내기(D) 중 일부는 냉방운전 되고, 일부는 난방운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냉방전실 운전시 또는 냉방주체 동시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 및 사방밸브(5)를 거쳐 실외열교환기(2)로 유동되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계속해서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유동되어 제 1 체크밸브(13)를 통과한 후, 기액분리기(3)로 유입된다.
특히, 냉방전실 운전시에는,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 냉매가 모두 응축되도록 상기 실외팬(2a)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는 냉매를 액체상태로 특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난방전실 운전시 또는 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 및 사방밸브(5)를 거친 후, 상기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고압상태로 제 2 연결배관(4b)으로 유동되고, 상기 제 2 연결배관을 따라 분배기(B)로 유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배기(B)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구성 설명에 앞서, 운전조건에 따라 실외기(A)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선택된 실내기(D)로 정확히 안내되어야 한다.
즉,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상기 분배기(B)는,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2) 및 상기 기액분리기(3)를 거치지 않고 유입되거나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기액분리기를 거쳐 유입된 냉매를 상기 각 실내기(D)로 안내함과 함께 상기 각 실내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실외기(A)로 재 안내하는 안내배관부(20)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다수대의 실내기(D)에 선택적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상기 안내배관부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배관부(20)는, 상기 실외기의 기상냉매관(11)에 연결되어 기상냉매를 안내하는 기상냉매연결관(21)과, 상기 기상냉매연결관(21)에서 분지되어 상기 각 실내기(D)에 각각 연결되는 기상냉매분지관(22)과, 상기 실외기의 액상냉매관(12)에 연결되어 액상냉매를 안내하는 액상냉매연결관(23)과, 상기 액상냉매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각 실내기(D)에 각각 연결되는 액상냉매분지관(24)과, 상기 각 기상냉매분지관(22)에서 분지되는 연결분지관(25)과, 상기 각 연결분지관을 하나로 합지시켜 상기 실외기의 제 2 연결배관(4b)에 연결되는 합지관(26)이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30)는, 상기 각 기상냉매분지관(22)과 상기 각 액상냉매분지관(24) 그리고 상기 각 연결분지관(25)에 각각 구비되며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이방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분배기(B)의 동작은 후술하는 전체 동작설명에서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실내기(D)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각 실내기는, 상기 기상냉매분지관(22)과 상기 액상냉매분지관(24) 사이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62) 및 전자팽창밸브(61)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송풍을 제공하는 실내팬(미도시)을 포함한다.
동작설명에 앞서, 냉방주체 동시운전 및 난방주체 동시운전 설명시, 편의상 실내기(D)의 대수는 3대(C1, C2, C3)로 가정하며, 냉방주체 동시 운전시 2대의 실내기(C1, C2)는 냉방을 나머지 1대의 실내기(C3)는 난방을 수행하고, 이와 반대로 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2대의 실내기(C1, C2)는 난방을 나머지 1대의 실내기(C3)는 냉방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첫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전실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 냉매는 제어수단에 의해 최적 구동되는 실외팬(2a)의 송풍으로 과냉상태가 된 후 계속해서 제 1 연 결배관(4a)을 따라 제 1 체크밸브(13)를 통과한 후 기액분리기(3)로 유입된다.
그리고 기액분리기(3)로 유입된 고압/액체상태의 냉매는, 액상냉매관(12)과 액상냉매연결관(23)을 순차적으로 거쳐 각각 액상냉매분지관(24)으로 분지된 후 각 전자팽창밸브(61)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각 실내열교환기(62)를 거치면서 증발됨과 함께 각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각 기상냉매분지관(22)을 따라 이동하다가 이방밸브(31a, 31b, 31c)의 차단으로 연결분지관(25)을 거쳐 합지관(26)에서 하나로 모인 후 제 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되고,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친 후 계속해서 제 2 연결배관을 따라 유동하다가 어큐물레이터(19)를 거쳐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둘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전실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고압상태로 제 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제 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는 합지관(26)을 따라 흐르다가 각각 연결분지관(25)으로 분지된다. 그리고 연결분지관(25)으로 유입된 고압/기체상태의 냉매는, 각각 기상냉매분지관(22)으로 유입되어 각 실내열교환기(62)를 거치면서 각 룸을 난방시킴과 함께 응축된다. 이후, 응축된 냉매는, 개방된 각 전자팽창밸브(61)와 액상냉매분지관(24)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액상냉매연결관(23)에서 하나로 모인 후 액상냉 매관(12)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액상냉매관(12)으로 유입된 냉매는, 기액분리기(3)를 거친 후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제 1 체크밸브(13)의 차단에 의해 병렬관(14)으로 흐르게 되고, 이후 병렬관(14)상에 구비된 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에서 팽창되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다. 이후, 실외열교환기(2)에서 증발되어 나온 저압상태의 기상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쳐 제 2 연결배관(4b)을 따라 흐르게 되고 어큐뮬레이터(19)를 통과하여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셋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주체 동시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 냉매는 제어수단에 의해 최적 구동되는 실외팬(2a)의 송풍으로 최적의 이상상태가 된 후 계속해서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제 1 체크밸브(13)를 통과한 후 기액분리기(3)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기액분리기(3)에 모인 냉매의 혼합비는, 상술한 제어수단에 의해 기설정된 냉매 혼합비와 같아지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냉매 혼합비는, 상술한 바 있듯이, 액상의 냉매를 요하는 2대의 냉방용 실내기(C1, C2)와 기상의 냉매를 요하는 1대의 난방용 실내기(C3)에 맞게 결정되어 지고, 또한 1대의 난방용 실내기(C3)를 거쳐 2대의 냉방용 실내기(C1, C2)로 유입되는 응축된 냉매의 유량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등 여러 부하조건에 따라 실험에 의해 결정되는 실험치이다.
그리고 기액분리기(3)에 모인 고압/이상상태(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상태로서 기설정된 혼합비와 동일한 상태)의 냉매 중 우선, 기액분리기(3)에서 분리되는 액상의 냉매는, 액상냉매관(12)과 액상냉매연결관(23)을 순차적으로 거쳐 선택된 제 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 각각 분지된 후 각각 제 1, 2 전자팽창밸브(61a, 61b)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각각 제 1, 2 실내열교환기(62a, 62b)를 거치면서 증발되고, 각각의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액분리기(3)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기상냉매관(11)과 기상냉매연결관(21)을 순차적으로 흘러 선택된 제3 기상냉매분지관(22c)으로 유입된 후 제3 실내열교환기(62c)를 거치면서 난방을 요하는 룸을 난방시킨 후 개방된 제3 전자팽창밸브(61c)와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을 거쳐 상술한 액상냉매연결관(23)에 합류된다. 결국, 상술한 액상의 냉매와 함께 선택된 제 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 각각 분지된 후 제 1, 2 전자팽창밸브(61a, 61b)를 각각 거치면서 팽창되고 제 1, 2 실내열교환기(62a, 62b)를 각각 거치면서 증발됨과 함께 각각의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액상냉매가 선택된 제 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만 유입되는 이유는, 냉매의 압력차 때문이며, 구체적으로,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제 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제 1, 2 기상냉매분지관(22a, 22b)을 따라 각각 이동하다가 제 1, 2 이방밸브(31a, 31b)의 차단으로 각각 제 1, 2 연결분지관(25a, 25b)을 거쳐 합지관(26)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합지관(26)으로 유입된 저압/기상상태의 냉매는, 제 2 연결배관(4b)을 따라 유동하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치면서 계속해서 제 2 연결배관(4b)을 따라 어큐물레이터(19)를 거쳐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넷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주체 동시 운전시, 압축기(1)에서 토출된 기상의 냉매는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사방밸브(5)의 절환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고압상태로 제 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된다. 이후, 제 2 연결배관(4b)으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는 합지관(26)을 따라 흐르다가 선택된 제 1, 2 연결분지관(25a,25b)으로 분지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2 연결분지관(25a, 25b)로 유입된 고압/기체상태의 냉매는, 제 1, 2 기상냉매분지관(22a, 22b)으로 각각 유입된 후 제 1, 2 실내열교환기(62a, 62b)를 각각 거치면서 각각의 룸을 난방시킴과 함께 응축되게 된다.
이후, 응축된 냉매는, 개방된 제 1, 2 전자팽창밸브(61a, 61b)와 제 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b) 그리고 액상냉매연결관(23)을 각각 거치게 되고, 이 때, 응축된 냉매의 일부는, 액상냉매연결관(23)을 따라 액상냉매관(12)으로 유입되게 되고,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 일부는, 선택된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응축된 냉매의 일부는, 액상냉매연결관(23)과 액상냉매관(12)과 기액분리기(3)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제 1 체크밸브(13)의 차단에 의해 병렬관(14)으로 흐르게 되고, 이후 병렬관(14)상에 구비된 난방용 전자팽창밸브(14a)에서 팽창되어 실외열교환기(2)로 유입된다. 이후, 실외열교환기(2)에서 증발되어 나온 저압상태의 기상냉매는, 계속해서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쳐 제 2 연결배관(4b)을 따라 흐르게 되고 어큐뮬레이터(19)를 통과하여 압축기(1)로 흡입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 일부는, 선택된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으로 유입되고 제3 전자팽창밸브(61c)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제3 실내열교환기(62c)를 거치면서 증발되어 냉방을 요하는 룸을 냉방시키게 된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제3 기상냉매분지관(22c)과 기상냉매연결관(21)과 기상냉매관(11)을 순차적으로 흐르다가 제 2 체크밸브(17)의 차단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관(16)으로 유입된 후, 개방된 난방주체용 밸브(16a)를 통과하여 제 1 연결배관(4a)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 1 연결배관(4a)을 따라 흐르다가 이미 절환되어 있는 사방밸브(5)를 거쳐 제 2 연결배관(4b)을 따라 흐르게 되고 어큐뮬레이터(19)를 통과하여 압축기(1)로 흡입된다.
여기서, 응축된 냉매가 난방을 요하는 액상냉매분지관(24a 또는 24b)으로 유입되지 않고 냉방을 요하는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으로 유입되는 이유는, 압력차 때문이며, 구체적으로 난방을 요하는 제 1, 2 액상냉매분지관(24a, 24c)의 압력이 냉방을 요하는 제3 액상냉매분지관(24c)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배기(B)와 연결되지 않고, 실내기(A)와 직접 연결되는 전용실내기(C)(E)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용실내기(C)(E)는 냉방 전용실내기(C) 또는 난방 전용실내기(E)를 포함한다.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는 항상 실내 룸을 냉방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는 실내 룸을 항상 난방하도록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방 전용실내기(C)가 1개 도시되었으나, 복수개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난방 전용실내기(E)가 1개 도시되었으나,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는 액상냉매관(12) 및 제 2 연결배관(4b)과 연결되어 냉매를 순환시킨다.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는 액상냉매분지관(75)을 통해 상기 액상냉매관(12)과 연결되고, 연결분지관(76)을 통해 상기 제 2 연결배관(4b)과 연결된다.
상기 액상냉매분지관(75) 또는 연결분지관(76)에 각각 밸브(73)(7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73)(74)는 냉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밸브(73)(74)는 오프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D)는 기상냉매관(11) 및 제 2 연결배관(4b)과 연결된다.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는 기상냉매분지관(85)을 통해 상기 기상냉매관(11)과 연결되고, 연결분지관(86)을 통해 상기 제 2 연결배관(4b)과 연결된다.
상기 기상냉매분지관(85) 또는 연결분지관(86)에 각각 밸브(83)(8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83)(84)는 냉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밸브(83)(84)는 오프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는 실내열교환기(72), 전자팽창밸브(71) 및 실내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는 실내열교환기(82) 및 실내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는 작동 시, 냉매를 팽창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자팽창밸브를 배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는 액상냉매관(12)을 통해 고압 액체 냉매를 공급받은 후, 전자팽창밸브(71)가 액체 냉매를 팽창시키고, 실내열교환기(72)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된다. 상기 냉매의 증발과정에서 실내공기가 냉각된다. 이후 상기 증발된 냉매는 제 2 연결배관(4b) 및 사방밸브(5)를 거쳐 어큐뮬레이터(19)로 회수된다.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는 기상냉매관(11)을 통해 고압 기체 냉매를 공급받은 후, 실내열교환기(82)에서 상기 고압 기체 냉매를 응축시킨다. 상기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실내공기가 가열된다. 이후 상기 응축된 냉매는 제 2 연결배관(4b)을 통해 실외기(A)로 회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정방법은 작업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전용실내기의 주소입력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겸용실내기의 냉방제어 또는 난방제어 선택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전용실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전용실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정방법은 초기화 단계(S1)와, 상기 S1 이후에 냉방 전용실내기(C)의 주소범위 설정을 입력할지 작업자에게 질문하는 단계(S2)와, 상기 S1 이후에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를 입력할지 작업자에게 질문하는 단계(S3)와, 상기 S2 또는 S3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실내기 설정메뉴를 탈출할지 작업자에게 질문하는 단계(S4)와, 상기 S2 단계에서 작업자가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의 주소입력을 선택한 경우, 상기 냉방 전용실내기(C)를 위한 냉방전용주소를 부여하는 단계(S5)와, 상기 S3 단계에서 작업자가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의 주소입력을 선택한 경우, 상기 난방 전용실내기(E)를 위한 난방전용주소를 부여하는 단계(S6)와, 상기 S5 단계 또는 S6 단계 이후에 전용주소의 시작을 입력받는 단계(S7)와, 상기 S7 단계 이후에 전용주소의 끝을 입력 받는 단계(S8)와, 상기 S8 단계 이후에 입력된 전용주소가 냉방전용주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와, 상기 S9 단계에서 냉방전용주소라고 판단된 경우 저장수단에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를 저장하는 단계(S10)와, 상기 S9 단계에서 냉방전용주소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저장수단에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를 저장하는 단계(S11)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공기조화기에 실내기의 주소범위를 입력한다.
상기 S5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경우 C로 시작되는 주소를 부여받고, S6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는 H로 시작하는 주소를 부여받는다.
상기 S2 단계 이후에 S5, S6 및 S7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주소는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로 저장된다. 상기 S3 단계 이후에 S5, S6 및 S7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주소는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로 저장된다.
상기 저장수단은 제어부에 배치된 EEPROM 일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겸용실내기의 냉방제어 또는 난방제어 선택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분배기와 연결된 냉난방 겸용 실내기의 냉방제어 또는 난방제어의 선택과정을 설명한다. 냉난방 겸용실내기(D)의 경우 분배기(B)에 연결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제어대상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의 배관의 저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O1)와, 상기 O1 단계에서 저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냉방으로 제어대상 실내기를 제어하는 단계(O4)와, 상기 O1 단계에서 저압밸브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제어대상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 배관의 고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O2)와, 상기 O2 단계에서 고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난방으로 제어대상 실내기를 제어하는 단계(O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 배관의 고압밸브는 기상냉매연결관(21) 또는 기상냉매분지관(22)에 설치된 이방밸브(31)이다. 상기 분배기 배관의 저압밸브는 액상냉매연결관(23) 또는 액상냉매분지관(24)에 설치된 이방밸브(3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전용실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초기화하는 단계(N1)와,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가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2)와,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냉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4)와,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3)와,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난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3)와,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냉난방 겸용실내기로 판단하는 단계(N5)를 포함한다.
상기 N2 단계에서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범위는 도 2의 설명과 같이, 작업자가 입력한 값이다. 상기 N2 단계에서 주소범위를 확인하여 냉방 전용실내기를 확인한다.
상기 N3 단계에서도 주소범위를 확인하여 난방 전용실내기를 확인한다.
상기 N2 단계 및 N3 단계의 주소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분배기(B)에 연결된 냉난방 겸용실내기로 판단한다.(N5)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실내기에 대해서는 냉방 실내기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실내기에 대해서는 난방 실내기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N5 단계에서 겸용실내기(D)로 판단된 경우, 도 5의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를 수행한다.
즉, 겸용실내기(D)의 경우, 분배기(B)의 냉매배관과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고압밸브 또는 저압밸브의 개방상태에 따라 O1 단계 또는 O2단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O3 단계 또는 O4 단계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전용실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에서는 냉방 전용실내기 또는 난방 전용실내기를 반대 모드로 작동시킬 경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초기화하는 단계(N1)와,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가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2)와,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3)와,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난방모드로 작동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N6)와,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냉방모드로 작동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N7)와, 상기 N6 단계 또는 N7 단계에서 전용실내기와 반대모드로 선택된 경우, 해당실내기를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N8)를 포함한다.
상기 N7 단계에서 냉방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술한 도 4의 O3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N8 단계에서 난방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술한 도 4의 O4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분배기와 연결된 냉난방 겸용실내기 뿐만아니라, 난방 또는 냉방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또는 난방 만으로 작동되는 전용실내기를 냉난방 겸용실내기와 구분하여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 : 실외기 B : 분배기
C : 겸용실내기
1 : 압축기 2 : 실외열교환기
3 : 기액분리기 4a : 제 1 연결배관
4b : 제 2 연결배관 5 : 사방밸브
11 : 기상냉매관 12 : 액상냉매관
21 : 기상냉매연결관 22 : 기상냉매분지관
23 : 액상냉매연결관 24 : 액상냉매분지관
25 : 연결분지관 26 : 합지관
31 : 이방밸브 32 : 이방밸브
61 : 전자팽창밸브 62 : 실내열교환기
71 : 전자팽창밸브 72 : 실내열교환기
73, 74 : 밸브 82 : 실내열교환기
83, 84 : 밸브

Claims (4)

  1.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가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2);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냉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4);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난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냉난방 겸용실내기로 판단하는 단계(N5);를 포함하고,
    상기 O3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냉방모드를 선택한 경우, 해당 실내기를 강제 종료시키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대상 실내기의 주소가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2);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냉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4);
    상기 N2 단계에서 냉방 전용실내기의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난방 전용실내기의 주소 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N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로 판단된 경우, 난방 실내기 관련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O3);
    상기 N3 단계에서 난방 전용실내기 주소범위가 아닌 경우, 냉난방 겸용실내기로 판단하는 단계(N5);를 포함하고,
    상기 O4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난방모드를 선택한 경우, 해당 실내기를 강제 종료시키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N5 단계에서 겸용실내기(D)로 판단된 경우,
    제어대상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의 배관의 저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O1); 상기 O1 단계에서 저압밸브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제어대상 실내기와 연결된 분배기 배관의 고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O2); 를 포함하고,
    상기 O1 단계에서 저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O4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O2 단계에서 고압밸브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O3 단계를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삭제
KR1020170008292A 2017-01-17 2017-01-17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52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292A KR102521848B1 (ko) 2017-01-17 2017-01-17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292A KR102521848B1 (ko) 2017-01-17 2017-01-17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546A KR20180084546A (ko) 2018-07-25
KR102521848B1 true KR102521848B1 (ko) 2023-04-13

Family

ID=6305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292A KR102521848B1 (ko) 2017-01-17 2017-01-17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8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585A (ja) * 2013-07-25 2015-02-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204B1 (ko) 2002-08-22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02040B1 (ko) * 2004-12-28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585A (ja) * 2013-07-25 2015-02-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546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805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9791193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447204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7803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7804B1 (ko) 2배관식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4331544B2 (ja) 冷暖房同時型マルチ空気調和機
US20120266616A1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10109617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40017602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880204B2 (ja) 空気調和装置
GB2524184B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9654764A (zh) 一种双级增焓系统及其化霜控制方法
KR102436706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WO2014132433A1 (ja) 空気調和装置
EP1972861B1 (en)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Type Multi-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91977B2 (ja)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マルチ型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5601890B2 (ja) 空気調和装置
JPH01247967A (ja) 多室型冷暖房装置
KR10252184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1848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1867858B1 (ko) 공기조화기
JPH01167561A (ja) 多室型冷暖房装置
KR100480702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JP2698179B2 (ja) 冷暖房装置
JPH0926219A (ja) 多室型冷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