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472A -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 Google Patents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472A
KR20040017472A KR1020020049543A KR20020049543A KR20040017472A KR 20040017472 A KR20040017472 A KR 20040017472A KR 1020020049543 A KR1020020049543 A KR 1020020049543A KR 20020049543 A KR20020049543 A KR 20020049543A KR 20040017472 A KR20040017472 A KR 20040017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rbal
alcohol
group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주
이형환
강현민
김강성
권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Priority to KR102002004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472A/ko
Publication of KR2004001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8Ophiopogon (Lilytur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18Coagu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 포함한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대두단백질을 응고시킴으로써 두부를 제조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 및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의 농도와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알코올 유도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어 숙취, 심혈관 증상 및 알코올 유도성 간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 포함한 신규한 용도 {Novel use containing coagulation of bean protein of water extracts from Schizandra chinensis and composite herb medicine}
본 발명은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 포함한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미자, 인삼, 맥문동, 황기 및 호박으로 구성된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두부응고제로서 뿐만 아니라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보호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등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식용되는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그 핵심은 응고기술이라 할 수 있다. 두부의 응고기술은 단백질과 응고제와의 화학반응으로 이러한 화학반응의 조건에 따라 두유의 응고상태가 변화하고 응고제의 종류에 따라맛이 달라진다. 상기 화학반응의 조건으로는 두유의 농도, 온도 및 응고제 첨가량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은 물성면(物性面)으로 유화성, 발포성 및 응고성 등 여러 가지 특성을 갖고 있다. 비가열 대두단백질은 자체로는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응고제에 의한 응고반응도 약하나, 가열을 하게 되면 열변성되어 소화성도 개량되고 화학적 성질도 변화된다. 열변성된 대두 단백질은 하기와 같은 화학반응으로 응고된다. 첫째, 금속염(Ca, Mg)에 의한 응고반응으로 단백질은 가용성의 2가(價) 또는 3가의 금속이온에 의해 응고하는데 가장 좋은 예가 두부이다. 칼슘이나 마그네슘 이온은 대두단백질인 글리시닌(glycinine)의 분자사이에 가교(架橋)를 만들고, 단백질분자와 반응하여 응고물을 만든다. 둘째, 산(酸) 응고에 의한 것으로 어떤 pH에서는 (+) 전하의 양이 같아져서 분자 전체로서는 전기적 중성이 되는데, 이때의 pH 값을 등전점(等電點)이라 한다. 대두단백질의 경우 pH 4.5 정도가 등전점이다. 두유를 산성으로 할 때 침전이 용이하게된 단백질이 응고되는데 글루코노델타락톤이 이 반응으로 두유를 응고시킨다. 종래에는 두부 응고제로서 황산칼슘, 염화마그네슘, 글루코노델타락톤, 염화칼슘 등의 단일품을 쓰거나 혹은 그것들을 혼합한 복합추출물를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황산칼슘을 가장 많이 쓰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두부는 제조시 응고제와 더불어 식염을 함께 첨가하는데 첨가하는 식염의 양이 너무 많아 신장병, 고혈압 등 성인병환자들은 물론 건강한 사람에게도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수 있다. 또한 소금의 맛이 강하게 되면 두부 고유의 맛을 떨어뜨릴 수 있고 짠맛이 강하게 난다. 따라서, 이들 소금의 짠맛을 제거하기 위해 두부 응고 후 장시간 물에 담가 염분 및 짠맛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고 불량 두부를 만들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천연물로부터 두부응고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한편, 현대인들은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습관적으로 과음을 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나친 알코올 섭취는 간과 심장과 같은 기관을 심각하게 손상시켜 혈압과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혼란시키는 등의 기능장애을 일으킨다. 알코올과 관련된 질환을 개선하거나 치료하기위한 임상적으로 유용한 화합물의 개발에 대한 수많은 시도들이 있어왔지만, 이들 화합물들은 심각한 세포독성, 생식불능 및 다른 중요한 부작용들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치료에 대한 대안으로써 점차 천연물질과 약초로부터 치료제를 개발하는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의 내용에 착안하여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를 비롯하여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및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esne)으로 구성된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두부응고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간 손상 예방제로서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오미자, 인삼, 맥문동, 황기 및 호박으로 구성된 복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의 두부응고제로서의 용도를 규명하며 또한 간 보호효과를 조사하기위한 급성 알코올 실험동물모델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실험동물들에 본 발명의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투여한 후 채혈하여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혈청내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총 콜레스테롤 등의 약물투여 전 후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실험동물의 간을 적출하여 조직학적 연구를 실시하고 간손상 관련 효소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간 질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의 간 조직을 광학현미경하에서 살펴본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간 조직을 전자현미경하에서 조사한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오미자, 인삼, 맥문동, 황기 및 호박으로 구성된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추출물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단계; 간 보호효과를 조사하기위해 급성 알코올 실험동물모델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 본 발명 조성물을 실험동물에 투여한 후 상기 실험동물로부터 혈청내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총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실험동물의 간을 적출하여 조직학적 연구를 실시하고 간손상 관련 효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에 있어, 열매에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가지 맛이 섞여 있어 오미자라 하는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는 한방에서 자양(滋養)·강장(强壯)·진해(鎭咳)·거담(祛痰)·지한(止汗) 등의 효력이 있어 해수·유정(遺精)·구갈(口渴)·도한(盜汗)·급성간염 등에 처방하며, 민간에서는 오미자차를 만들어 마시며 술을 담궈 마시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일본·중국·우수리·아무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문동 (麥門冬)은 백합과(덤불란科)에 속하며 학명은 치계초(治階草)Ophiopogon japonicusKER-GAWLER[소엽맥문동(小葉麥門冬)]이며 괴근(槐根)의 건조품으로써 포도당, 점액질, 소량의 β-시토스테롤, 비타민 A모양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윤조생진(潤燥生津), 화담지해(化痰止咳)하다고 알려져 있다. 기원은 백합과 식물인 지계초의 괴근을 건조한 것으로효능은 양음윤조(養陰潤燥), 생진지해(生津止咳)하고 주치(主治)는 폐조건해(肺燥乾咳), 토혈(吐血), 객혈(喀血), 폐 (肺), 폐옹(肺癰), 열건구조(咽乾口燥), 허로번열(虛勞煩熱)등에 사용된다.
인삼(人蔘)은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며 인삼(人蔘)Panax ginsengG.A.MEY.(인삼)의 근(根)의 건조품으로서 파나센(panacene), 파나퀼론(panaquilon), 파나신 (panaxin), 진세닌(ginsenin), 인삼산(人蔘酸), 비타민 A, B1, B2, C, 자당, 포도당, 과당, 맥아당, 초인(choine), 무기염, 고미질(苦味質), 점액(粘液)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대보원기(大補元氣), 안신익지(安神益智), 건비익기(健脾益氣), 생진(生津)하며 신경계흥분(神經系興奮), 부신피질기능흥분(副腎皮質機能興奮), 성선자극(性腺刺戟)호르몬 모양의 작용, 강심, 혈당강하(血糖降下), 소화흡수와 신진대사 항진(亢進), 항이뇨(抗利尿), 항과민증(Anaphylaxis)등에 작용한다. 주로 급성 쇼크와 만성쇠약자에게 사용한다.
황기(黃耆)는 콩과에 속하며Astragalus membranaceusBGE.(황기)의 뿌리의 건조품으로 염산, 코린(corin), 아미노산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보기승양(補氣升陽), 탁독배농(托毒排膿)하다. 본품은 기허(氣虛)를 치료하는 요약(要藥)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허불함(氣虛不陷)인 경우에 사용하면 보기승양(補氣升陽)하고, 표허불고(表虛不固)인 경우에 사용하면 고표지한(固表止汗)하며, 기혈부족(氣血不足)에 사용하면 익기생혈(益氣生血)하며, 기허부종(氣虛不腫)에 사용하면 온양이수(溫陽利水)하고, 기허혈비(氣虛血痺)에 사용하면 온경화혈(溫經和血)한다.
호박은 박과에 속하며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esne)의 씨에는 아미노산인 쿠쿠르비틴이 있고 이외에도 산성, 중성, 염기성 아미노산 특히 리진이 많다. 또한 비타민 B, C, E와 우레아제가 있고 리놀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등의 글리세라이드가 많다. 호박의 열매에는 노란색 카로틴, 아데닌, 아스파라진, 트리고넬린과 혈당저하물질 및 피토스테린이 있다. 일반적으로 호박씨는 구충효과가 있으며 열매살은 오줌내기작용이 있어 염화나트륨의 배설을 빠르게 하므로 콩팥염, 간질병 및 약한 설사약으로 변비때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두부응고제로서의 용도
실험예 1 :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오미자, 맥문동, 황기, 인삼 및 호박 각각 60g(총 300g)에 증류수 1,500 mL을 첨가하여 2시간 30분 동안 약탕기(대웅약탕기)에서 추출한 후 가제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하고 8,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엑기스를 4℃에 보관하였다가 사용하였다.
실험예 2 :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두부응고제로서의 용도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주응고제로한 두부를 제조하기위해 콩가루 100 g에 증류수 1,000 mL를 첨가하여 통상적인 10%(w/v) 두유액을 제조한 후 잘 저으면서 상기 시료를 40분간 끊였다. 이때 기포가 발생하면 4∼5방울의 콩기름을 첨가하였다. 상기의 끊인 두유액을 가제를 사용하여 여과한후 두유(soybean milk)와 커드(bean curd refuse)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두유를 92℃까지 냉각한 후 50 mL의 두유를 비이커에 분주하였다. 비이커에 두부응고제로써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10%(v/v)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20% MgCl2용액 2%(v/v)를 첨가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상기 두부응고제를 첨가한 시료를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두부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두부응고제로하여 제조한 두부와 대조군의 pH 및 O.D.값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즉, 상기 두부 조성물을 1.5 mL의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은 후 6,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그 상층액의 pH와 O.D.(280 nm, 600 nm)를 측정하고 응고정도를 확인하였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유액에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O.D.는 2.741로 양성대조구인 MgCl2를 첨가한 두유액의 2.869에 비해 상층액에 남아있는 단백질양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오미자 추출물은 기존의 염화마그네슘에 비해 대두단백질을 더욱 신속히 그리고 더욱 많은양을 응고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유액의 응고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O.D.는 0.038로써 양성대조군의 1.342에 비해 그 상층액의 탁도가 유의성 있게 작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이 기존의 두부응고제인 염화마그네슘에 비해 두유액을 각각 유의성 있게 신속히 많은 양을 응고시킴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 한약재 추출물의 주성분인 오미자에는 칼슘유기물과 마그네슘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고 호박에는 섬유소 성분이 있어 이들로 부터 두부가 신속히 응고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주응고제로한 두부의 pH 및 흡광도의 변화
두부응고제 pH O.D.(280 nm) O.D.(600 nm)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 5.57 2.741 0.038
MgCl2 6.27 2.869 1.342
증류수 6.80 2.097 X 102 2.262 X 10
실시예 2 : 본 발명의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알코올 유도성 간 질환에 대한 효과
실험예 1 : 간 질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위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간 질환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다음의 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인삼, 맥문동, 오미자 및 황기를 각각 2 (24 g): 1 (12 g): 1 (12 g): 2 (24 g)의 비율로 조제한 것을 한약재 복합추출물 1로 하였으며, 한약재 복합추출물 1에 호박을 첨가한 것을한약재 복합추출물 2로 하였으며 각각 2 (24 g): 1 (12 g): 1 (12 g): 2 (24 g): 1 (12 g)의 비율로 조제하였다. 건조약초로부터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의 열수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혼합된 약초에 각각의 부피당 1,100 mL의 멸균수를 첨가하여 약초 급탕기(대웅주식회사 제품)에 넣고 150분동안 끓였다. 각 시료의 수용성 추출물을 3 mm 여과지(와트만사 제품)로 여과시키고 투여에 적당하도록(체중 1Kg당 10 mL) 최종 부피를 약 300 mL로 조정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5주동안 임상 투여량으로 날마다 투여하였다(p.o.)
실험예 2 : 본 발명의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간 질환에 대한 효과
본 발명의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알코올 유도성 간 질환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사용된 실험동물은 젊고 성숙한 스프라규 돌리 랫트(Sprague Dawley rats) 수컷으로써, 실험 초기의 무게는 200±10 g 이었으며 대한 바이오링크주식회사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실험동물들을 각 케이지에 넣고 일정한 온도(22±2℃)와 습도(55±5%) 하에서 12시간마다 광암(光暗)의 주기를 주었고 실험 전 일주일동안 사육조건에 순화시켰다. 물과 고형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충분히 공급하였다. 본 발명의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알코올 유도성 간 질환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랫트를 다음과 같이 다섯 군으로 나누었다(n=6): (1) 증류수를 투여한 정상 대조군, (2) 에탄올/물을 투여한 군, (3) 에탄올/물 및 상업용 숙취해소음료(컨디션: 제일제당사 제품)를 투여한 군, (4) 에탄올/한약재 복합추출물 1을 투여한 군 및 (5) 에탄올/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 상기의 다양한 투여물을 동일시기동안 투여하였다(표 1). 에탄올을 투여한 군은 40%의 에탄올 용액을 소비하였고, 하루에 5g 에탄올/kg을 흡수하였다. 체중과 실험동물의 일반적인 조건은 이틀마다 기록하였다.
실험군 랫트의 수 처리
정상대조군 6 증류수질환 대조군 6 알코올+증류수HRS 6 알코올+HRS#한약재 복합추출물 1 6 알코올+한약재 복합추출물1한약재 복합추출물 2 6 알코올+한약재 복합추출물2
#HRS: 한국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숙취해소음료(컨디션: 제일제당사 제품).
총 체중 및 간과 신장의 무게
총 체중(g)평균±표준편차 간(체중당%)평균±표준편차 신장(체중당%)평균±표준편차
정상 대조군질환 대조군HRS한약재 복합추출물 1한약재 복합추출물 2 59.83±5.491)ab58.50±12.49ab56.17±11.50ab52.50±6.25ab61.50±7.40ab 3.98±0.40abc4.06±0.24abc4.33±0.13a3.98±0.33abc3.77±0.31c 0.78±0.02d1.11±0.0ab1.14±0.02a1.05±0.04bc1.02±0.06c
1) 각 값은 총 6마리의 평균 체중±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윗부분에 쓰인 a, b, c, d, 및 e 의 값은 p<0.05으로 의의있게 다르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1 또는 한약재 복합추출물 2의 일일흡수는 동물실험모델을 통한 실시동안 체중 증가에 영향을 주지않았다. 한약재 복합추출물 2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간의 체중 증가(61.50±7.40g)를 나타낸 반면, 한약재 복합추출물 1군은 실험군 중 최저값인52.5 ±6.25g의 체중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투여한 군들은 다른 군들과 비교하여 체중당 간 중량비(%)는 약간 감소하였다. 에탄올만 투여한 질환을 갖는 군은 의의있게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생화학적 분석
실시예 2 의 실험예 2의 방법으로 실시한 급성 알코올 실험군으로부터 채혈하여 3,000 x g 에서 1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기 전 30분동안 응고시켰다. 혈청내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ST) 혹은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T)의 활성은 AST 키트 혹은 ALT 키트(뵈링거만하임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는 TG 키트(뵈링거만하임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 반면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효소적 비색 실험은 총 콜레스테롤 키트(뵈링거만하임사 제품)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알코올 탈수효소의 농도를 측정하기위하여, 상기 실험랫트의 목을 자르고 채혈하였으며, 간 조직은 0.25M의 슈크로오스 용액으로 옮기고 ADH를 측정하기 위해 분쇄하였다. 분쇄된 상기 용액을 14,000 x g에서 15분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0.45 mm 멤브레인 필터(밀리포아사 제품)로 여과하여 4℃에 저장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군들을 비교하기 위하여,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은 던칸의 멀티레인지 테스트(mult-range test)로 실시하였다.
혈청내 AST와 ALT의 농도
AST(U/L) ALT(U/L)
평균±표준편차 범위 평균±표준편차 범위
정상 대조군질환 대조군HRS한약재 복합추출물1한약재 복합추출물2 60.33±4.97d1)117.00±20.02abc95.33±4.46c96.17±10.57c112.50±7.61abc 55-6990-14089-10283-113107-126 19.17±2.14c45.83±7.14a43.50±8.62a25.17±2.04de29.00±1.55cd 17-2234-4935-5723-2828-32
1) 각 값은 총 6마리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윗부분에 쓰인 a, b, c, d, 및 e의 값은 p<0.05으로 의의있게 다르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미처리 대조군의 AST 농도는 60.33±4.97 U/L이었다. 에탄올을 투여한 군에서는 혈청내 AST 농도가 117±20.02 U/L으로 의미있게 상승하였다. 96.17±10.57 U/ L의 AST 농도를 나타낸 한약재 복합추출물 1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알코올과 상업용 숙취해소음료를 투여한 군에서는 95.33±4.46 U/L 의 AST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한약재 복합추출물 1을 투여한 군의 AST 함량의 증가는 의미있게 억제되었다(p<0.05). 정상 미처리 대조군은 19.17±2.14 U/ L 의 ALT 농도를 나타낸 반면, 에탄올을 투여한 군은 혈청내 ALT 농도는 45.83±7.14 U/L (p<0.05)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알코올과 숙취해소음료를 투여한 군은 혈청내 ALT 농도가 43.50±8.62 U/L으로 의의있게 상승하였다. 흥미롭게도,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은 ALT 농도가 각각 25.17±2.4 U/L 와 29.00±1.55 U/L로 거의 정상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혈청내 지질 농도
TG(gm/dL) 콜레스테롤(mg/dL)
평균±표준편차 범위 평균±표준편차 범위
정상 대조군질환 대조군HRS한약재 복합추출물1한약재 복합추출물2 14.17±6.201)c71.33±40.4ab76.17±21.54ab18.50±7.09c21.83±4.63c 8-2526-12559-11910-3116-29 42.83±12.77c70.50±5.65ab81.17±6.39a66.50±6.75b75.00±5.7ab 32-7063-7968-8854-7564-82
1) 각 값은 총 6마리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윗부분에 쓰인 a, b, c, d, 및 e의 값은 p<0.05으로 의의있게 다르다.
혈청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는 간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알코올 농도에 노출된 실험동물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하기위해 측정되었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다른 질환 군과는 뚜렷하게 다르다. 정상 미처리 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는 14.17±6.80 mg/dl 인 반면, 알코올을 투여한 군과 알코올과 숙취해소음료를 처리한 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는 각각 71.33±44.27 mg/dl 과 76.33±23.57 mg/dl 으로 상승하였다. 대조적으로,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는 각각 18.50±7.77 mg/dl 과 21.83±5.08 mg/dl 으로 단지 약간 상승했을 뿐이다. 표 4는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가 혈청내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의의있게 감소시킴을 입증하고 있다. 이들 자료는 비록 질환 대조군과 비교하여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효과가 미약하다 할지라도,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는 혈청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를 뚜렷하게 감소시키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알코올 탈수효소의 활성
ADH(U/L)
평균±표준편차 범위
정상 대조군질환 대조군HRS한약재 복합추출물1한약재 복합추출물2 0.61±0.521)d1.05±0.40cd1.31±0.55c1.67±0.50abc2.02±0.4ab 0.25-1.70.46-1.540.36-2.241.13-2.631.5-2.81
1) 각 값은 총 6마리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윗부분에 쓰인 a, b, c, d, 및 e의 값은 p<0.05으로 의의있게 다르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을 투여한 군의 ADH 활성은 조직 1 mg당 정상 미처리 대조군(0.61±0.52 U)과 비교하여 1.05±0.40 U 으로 상승하였다.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은 조직 1 mg당 2.02±0.4 U으로 두드러지게 상승된 ADH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정상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거의 4배정도 증가한 것이다. 유사하게, 한약재 복합추출물 1을 투여한 군의 ADH 활성은 또한 조직 1 mg당 1.67±0.50 U으로 의의있게 상승하였다.
간의 조직학적 연구
간 조직(1 mm3) 을 자르고 0.1M의 인산염 완충액(pH 7.3)과 2.5% 글루타알데하이드를 포함한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용액에서 4℃에서 2시간동안 전고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조직을 상기의 완충액으로 세척하고나서 0.1M 인산염 완충액(pH7.3) 에 포함된 1%의 오스미움 테트록사이드에서 후고정을 실시하였다. 후 고정후 에탄올로 탈수하여 에폰 812(Epon 812)에 넣고 중합시켰다. LKB 2088 한외마이크로톰(ultramicrotome)을 사용하여 조직을 절단하여 1% 우라닐 아세테이트로 염색하고 시트레이트로 유도하고 투과전자현미경(JEM-2000 EXII, 80 KV, 일본)으로 실험하였다. 도 1은 간 조직을 광학현미경하에서 본 것으로, 1A 는 정상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정상 대조군의 간 조직, 1B 는 에탄올만 투여한 랫트의 간 조직, 1C 는 에탄올과 숙취해소약을 투여한 군의 간 조직, 1D 는 에탄올과 한약재 복합추출물-1을 투여한 군의 간 조직, 1E 는 에탄올과 한약재 복합추출물-2를 투여한 군의 간 조직(C-중앙맥, P-문정맥)을 나타낸 것이다. 축척바는 50 mm를 나타낸다. 세포의 염색은 H&E 염색법으로 실시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을 투여한 랫트와 알코올과 숙취해소음료를 투여한 랫트의 간 조직은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다양한 크기의 지질방울이 광범위하게 축적함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한약재 복합추출물 1을 투여한 군의 간 조직은 정상 미처리 대조군에 필적할 만 하다.
도 2는 에탄올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1 또는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의 간 조직을 전자현미경하에서 본 것으로, 2A 는 정상 대조군의 간 조직, 2B 는 에탄올만 투여한 군, 2C 는 에탄올과 숙취해소음료를 투여한 군의 간 조직, 2D 는 에탄올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1을 투여한 군의 간 조직, 2E 는 에탄올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의 간 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C는 담즙 소관, G는골지 시스터네, L은 지질방울, M은 미토콘드리아, N은 핵, R은 조면소포체, V는 소낭, 화살표는 마이엘린 모양을 나타낸다. 축척바는 1 mm를 나타낸다.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요약해보면,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 조직은 정상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면소포체(RER)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정상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알코올을 투여한 군의 간 조직은 다양한 퇴행적인 변화들을 나타냈다. 미토콘드리아는 부풀어올라 있고 크리스테의 퇴행과 파괴가 명백하게 관찰되었다. 게다가, 라이소좀은 증가되어 있고 마이엘린과 같은 모습들이 세포질에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간 조직의 인접막간의 담즙 소관들은 일반적으로 팽창되며 내강의 미세융모들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도 2B와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 조직은 다양한 크기의 지질 방울이 광범위하게 축적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알코올과 숙취해소음료을 투여한 군의 간 조직은 미토콘드리아의 팽창 감소 및 짧은 미세융모를 갖는 적당히 팽창된 담즙 소관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질의 마이엘린과 같은 구조들은 소수만이 관찰되었다. 도 2E와 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에서, 간 조직은 정상 미처리 군과 비교하여 훨씬 많았다. 도 2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약재 복합추출물 2를 투여한 군에서 간 조직의 골지 시스터네는 약간 팽창하였다. 이들 자료들은 한약재 복합추출물 1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2가 랫트의 간에 대한 알코올의 독성 효과로부터 보호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대두단백질을 응고시킴으로써 천연두부응고제로서 두부를 제조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 및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의 농도와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알코올 유도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할 수 있어 숙취, 심혈관 증상 및 알코올 유도성 간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질환 예방물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천연두부응고제로서 두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약학산업 및 식품산업상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오미자, 맥문동, 황기, 인삼 및 호박을 1 : 1 : 2 :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복합추출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유발성 간 질환 예방제.
  2. 오미자, 맥문동, 황기, 인삼 및 호박을 1 : 1 : 2 :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음료.
  3. 오미자, 맥문동, 황기, 인삼 및 호박을 1 : 1 : 2 :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복합추출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유발성 동맥경화증 예방제.
  4. 대두단백질을 응고시키는 특징을 갖는 오미자, 맥문동, 황기, 인삼 및 호박의 복합추출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응고제.
KR1020020049543A 2002-08-21 2002-08-21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KR20040017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543A KR20040017472A (ko) 2002-08-21 2002-08-21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543A KR20040017472A (ko) 2002-08-21 2002-08-21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472A true KR20040017472A (ko) 2004-02-27

Family

ID=3732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543A KR20040017472A (ko) 2002-08-21 2002-08-21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193A (ko) * 2007-05-04 2008-11-07 박갑주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434A (ko) * 1996-12-31 1998-10-07 백운화 동맥 경화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원료로 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37144A (ko) * 2000-04-08 2000-07-05 김도현 혼합곡물 및 한약재 혼합음료
KR20000061327A (ko) * 1999-03-25 2000-10-16 김상조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10000808A (ko) * 1999-11-27 2001-01-05 오동윤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보신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보신주
KR20010025732A (ko) * 2001-01-22 2001-04-06 박갑주 오미자 추출물을 주응고제로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022A (ko) * 2000-01-11 2001-07-23 문혜연 헛개나무 열수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936A (ko) * 2001-05-21 2001-07-25 신언창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4127A (ko) * 2002-01-26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음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434A (ko) * 1996-12-31 1998-10-07 백운화 동맥 경화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원료로 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61327A (ko) * 1999-03-25 2000-10-16 김상조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10000808A (ko) * 1999-11-27 2001-01-05 오동윤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보신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보신주
KR20010069022A (ko) * 2000-01-11 2001-07-23 문혜연 헛개나무 열수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7144A (ko) * 2000-04-08 2000-07-05 김도현 혼합곡물 및 한약재 혼합음료
KR20010025732A (ko) * 2001-01-22 2001-04-06 박갑주 오미자 추출물을 주응고제로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936A (ko) * 2001-05-21 2001-07-25 신언창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24127A (ko) * 2002-01-26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음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193A (ko) * 2007-05-04 2008-11-07 박갑주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1740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및 컴파운드 케이 고함량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275077A (ja) リパーゼ阻害剤
KR20110087965A (ko)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JPH10508880A (ja) 糖尿病用医薬組成物
CA2606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KR20040017472A (ko)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072650B (zh) 一种野菠萝多糖的制备方法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155B1 (ko) 복방차료제를 함유하는 숙취완화용 드링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443022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응고제로한 기능성 두부 및 그 제조방법
JP2002275078A (ja) 脂肪分解促進剤
KR100545407B1 (ko) 고지혈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1821325A (zh) 光叶子花提取物的应用
CN114246337B (zh) 一种健脾、祛湿、减肥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125624A (zh) 一种防治痛风的中药提取物饮料及制备方法
KR100902679B1 (ko) 생강 및 그 복합생약의 알코올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내복용 농조시럽 제조방법
CN113995791B (zh) 一种能益气养血、预防和治疗贫血的平卧菊三七复方药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80098193A (ko)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KR20040014534A (ko) 알비지아 미리오필라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
KR20200136333A (ko) 콩유장액을 이용한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79689B1 (ko)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