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808A -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보신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보신주 - Google Patents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보신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제조된 보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808A
KR20010000808A KR1020000061848A KR20000061848A KR20010000808A KR 20010000808 A KR20010000808 A KR 20010000808A KR 1020000061848 A KR1020000061848 A KR 1020000061848A KR 20000061848 A KR20000061848 A KR 20000061848A KR 20010000808 A KR20010000808 A KR 20010000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ating
hours
extract
g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322B1 (ko
Inventor
엄재경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오동윤
새천년 태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334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07119A/ko
Application filed by 오동윤, 새천년 태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동윤
Priority to KR10-2000-006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3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한약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이로운 보신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1)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인삼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6.2∼40중량%,
계피 2∼5중량%,
오미자, 천궁, 진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19중량%,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28중량%,
구기자 및 감초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8중량%, 및 여기에
두충 및 곽향을 각각 1∼4중량%씩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2)가열후 추출한 추출액을 0.5kg/cm2이하의 스팀압력 및 60∼70℃의 온도조건하에 가열한 다음 여과하는 단계;
(3)상기 여과액을 0.8kg/cm2이하의 스팀압력, 60∼70℃의 온도 및 600∼700mmHg의 진공 상태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50∼70%인 제1 농축액을 얻는 단계;
(4)이와는 별도로 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생강 및 대추를 각각 3∼45중량% 범위로 혼합하여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후 추출하는 단계;
(5)상기 생강 대추 추출액과 제1 농축액에 주정 희석액을 배합하고 냉각여과하여 알코올성분 20∼25%비율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6)상기 반제품을 멜로디에 의해 숙성후 상등액을 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보신주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신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보신주는 얻고자 하는 효능에 따라 적절한 보신주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 맛과 취가 부드럽고 숙취 효과가 뛰어나며, 반제품에 멜로디를 들려줌으로써 태양열등의 외적 요인과 알코올, 물, 알데히드, 푸젤유, 유기산, 디아세틸등 내적요인의 기질을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천연약재 자체의 효능을 개선시키는 잇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보신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보신주{A METHOD FOR PREPARING HEALTHY ALCOHOL USING MEDICINAL HERBS AND HEALTHY ALCOHOL PREPARED FROM THIS METHOD}
본 발명의 천연 한약재를 이용하여 보신주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보신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보신주와는 달리 멜로디 숙성에 의해 천연한약재 자체의 효능을 개선시키고, 원하는 효능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가능하며, 이뿐만 아니라 맛과 취가 부드럽고 인체에 이로운 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신주로는 머루, 모과, 메실등의 과일이나 열매를 주정에 침지하거나 혹은 한약재를 분쇄하여 주정에 혼합하여 발효하여 제조하는 예가 있었으며, 1990년 대한민국 특허출원된 1428호를 보면, 한약재를 원료로한 보양주의 제조방법으로서 그 특허청구범위 제1항을 보면, 천연한약재인 천궁, 당귀, 숙지황, 백작약, 감초, 황기, 계피, 백출, 백봉령, 인삼, 곽향, 진피, 원두충, 갈근, 생강, 삼백초등을 거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되 생강은 1.8배, 인삼은 2배정도로 혼합한 것을 100℃이상 생수에 10∼20시간 증숙하여 얻은 농축액을 별도의 주류에 대해 10∼15% 중량비율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원료로한 보양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는 16가지 약재를 반드시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원하는 약효에 따른 약재 선택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생강을 다른 약재와 함께 혼합하여 증숙함으로써 80%이상으로 다량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면서 생강 고유의 성분(즉, 당질 및 단백질등)이 함께 증발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 맛 또한 기존의 주류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와같은 농축시 생강첨가효과가 저하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 맛 또한 개선시키면서 원하는 효능에 따라 약재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효능에 따라 약재를 선택하여 보신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축 단계에서 생강을 배제시킴으로써 생강자체의 효능을 충분히 살리는 보신주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감미료를 사용함없이 대추를 적절히 혼합시킴으로써 그 당분과 약재 효능을 모두 이용하여 보신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량의 약재내 미량으로 함유된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높이기위한 특정 숙성방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보신주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1)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인삼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6.2∼40중량%,
계피 2∼5중량%,
오미자, 천궁, 진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19중량%,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28중량%,
구기자 및 감초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8중량%, 및 여기에
두충 및 곽향을 각각 1∼4중량%씩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2)가열후 추출한 추출액을 0.5kg/cm2이하의 스팀압력 및 60∼70℃의 온도조건하에 가열한 다음 여과하는 단계;
(3)상기 여과액을 0.8kg/cm2이하의 스팀압력, 60∼70℃의 온도 및 600∼700mmHg의 진공 상태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50∼70%인 제1 농축액을 얻는 단계;
(4)이와는 별도로 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생강 및 대추를 각각 3∼45중량% 범위로 혼합하여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후 추출하는 단계;
(5)상기 생강 대추 추출액과 제1 농축액에 주정 희석액을 배합하고 냉각여과하여 알코올성분 20∼25%비율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6)상기 반제품을 멜로디에 의해 숙성후 상등액을 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천연 한약재를 이용하여 보신주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상기 견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보신주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신주는 인삼 및 갈근, 계피, 오미자, 천궁, 진피,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 구기자 및 감초, 두충 및 곽향과 같은 19가지 한약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한약재의 여러 효능뿐만 아니라 제조된 보신주의 숙취효능, 알코올취를 감소시키는등 복합적인 효능을 갖는다.
이와같은 효능을 갖는 보신주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천연한약재를 혼합한다. 사용하는 천연한약재의 첨가량은 국세청의 리큐르 제조방법에 의거하여 주정 1드럼당 천연한약재 30kg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려의 대상이 되는 천연한약재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삼 및 갈근, 계피, 오미자, 천궁, 진피,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 구기자 및 감초, 두충, 곽향과 같은 17가지 한약재로서, 이중 곽향은 위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계피는 복통과 설사에 이로우며, 인삼, 갈근은 학증 및 갈증 해소에 그 효능을 갖는 것으로서 선택한 것이다.
또한 오미자, 천궁, 진피는 거담, 진해, 구토방지, 두통, 비타민 결핍에 좋으며,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은 이뇨에 좋으며, 구기자와 감초는 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으며 두충은 콜레스테롤에 이로운 것이다.
또한 이들은 한약 본초학중 해표약(1), 청열약(2), 방향화습약(3), 보양약(4), 이수삼습약(5), 고삼약(6)의 6가지 분야를 모두 포함하는 약재들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해표약(1)으로는 생강, 계피, 갈근을, 청열약(2)으로는 진피와 삼백초를, 방향화습약(3)으로는 곽향, 천궁을, 보양약(4)으로는 인삼, 황기, 백출, 대추, 감초, 두충, 숙지황, 당귀, 백작약, 구기자를, 이수삼습약(5)으로는 백봉령을, 그리고 고삼약(6)으로는 오미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 한약재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인삼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6.2∼0중량%로 선택하고, 계피 2∼5중량%로 선택하고, 오미자, 천궁, 진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3∼19중량%로 선택하고,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3∼28중량%로 선택하고, 구기자 및 감초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3∼8중량%로 선택하고, 그리고 여기에 두충과 곽향을 각각 1∼4중량%씩 혼합한다.
이때 인삼 및 갈근의 사용량은 6.2중량%미만이면 학증, 갈증해소와 같은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며, 40중량%를 초과하면 과다한 사용량에 비하여 그 효능이 그다지 개선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중에서 인삼은 상기 보양약(4)의 일종으로서 원기회복, 혈맥조절 및 갈증해소에 효과가 있으며, 갈근은 해표약(1)의 일종으로서 주독을 풀어주며 따뜻한 약성이 있어 학질과 갈증 해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원하는 효능에 따라 1종이상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계피는 2중량%이하이면 복통과 설사에 미치는 효능이 별로 개선되지 않으며, 5중량%를 초과하면 그 사용량에 비하여 효과상에서 볼 때 그 개선효과가 미흡하다.
오미자, 청궁, 진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3∼19중량%로 사용하게 되는데, 3중량%미만으로 사용하면 구토방지, 두통, 비타민 결핍등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며, 총중량이 19중량%를 초과하면 그 개선효과가 그다지 뚜렷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중에서 오미자는 고삼약(6)의 성분으로서 진정, 진해, 거담 성분이 있으며 항균작용을 하며, 천궁은 방향화습약(3)의 일성분으로서 두통에 좋고, 강압, 혈관확장, 관상동맥 하지의 혈류량 증가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항균력이나 비타민 결핍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하며, 마지막으로 진피는 청열약(2)의 일성분으로서 비타민 C가 풍부하고 거담, 진해, 구토방지, 건위, 변비 및 식욕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원하는 효능에 따라 이들 약재를 1종이상 선택하여 적정량으로 사용한다.
또한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3∼28중량%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3중량%미만이면 이뇨 작용에 큰 효과를 얻지 못하며, 28중량%를 초과하면 그 개선효과가 그다지 뚜렷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중에서 백봉령은 이수삼습약(5)의 성분으로서 이뇨, 자양, 진정, 혈압강화 효과를 나타내며, 백출, 황기, 백작약, 당귀, 숙지황은 보양약(4)의 성분들로서, 백출은 건위, 이뇨, 진정, 강장에 효과가 있으며, 황기는 강장, 이뇨, 항신염, 특히 단백뇨에 효과가 있으며, 백작약은 진통, 진정, 지한, 이뇨, 스트레스성 궤양 발생을 예방하며, 당귀는 진정, 이뇨작용을 돕고 비타민 E 보충에 효과가 있고 항균 작용을 하며, 숙지황은 자양, 강장, 혈당강화 및 그외에 강심, 이뇨 작용이 탁월한 성분들이며, 마지막으로 삼백초는 청열약(2)의 일성분으로서 항균작용이 있으며 인프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세균 변성을 억제하고 이뇨작용을 하여 혈판을 확장시켜 소열 종창을 치료하는데 좋으므로, 원하는 효능에 따라 1성분이상을 선택하여 적정량으로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 구기자 및 감초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3∼8중량%를 혼합하게 되는데, 구기자와 감초는 모두 보양약(4)의 성분으로서 구기자는 간 질환에 좋으며 눈을 맑게 하고 신장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으며, 감초는 간장의 유해물질을 해독하고 혈압을 높이거나 강장, 진정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점막을 자극하지 않는 거담작용을 갖는 것으로 이들 성분의 총중량이 3%미만이면 이같은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려우며, 8중량%를 벗어나면 경제적으로 바람지하지 않다.
나아가 두충과 곽향을 각각 1∼4중량%씩 혼합하게 되는데, 두충은 보양약(4)의 일성분으로서 콜레스테롤성 동맥경화의 강압작용이 현저하고 진통작용이 있고 장관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1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이같은 효과가 미흡하며, 4중량%를 벗어나면 그 첨가량에 비해 개선효능을 얻기 힘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곽향은 방향화습약(3)의 일성분으로서 위장의 신경을 진정시키는 작용과 위액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높이고, 피부진균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이역시 1중량%미만으로 첨가되면 그 효능을 충분히 얻기 힘들며, 4중량%를 초과하면 그 첨가량에 비해 효능이 개선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다음 이들 천연한약재 혼합물에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이때 물의 투입량은 천연한약재 혼합물 총300g당 1.5∼2.0ℓ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1.5ℓ미만에서는 충분한 추출액을 생산해낼 수 없으며, 2.0ℓ를 초과하면 연료소비량등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이 너무 과다 투입되므로 수분과 함께 한약재 고유의 성분이 증발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후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시켜 사용한 한약재내 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게 되는 것으로 80℃미만이면 물이 너무 안 끓으므로 한약재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으며, 120℃이상에서는 과량의 물이 증발되면서 한약재내 증발가능성분들이 함께 증발되게 되므로 적절치 않다.
그 가열시간 또한 상기 온도범위내에서 3시간이하로 가열하면 충분한 추출공정을 수행할 수 없으며, 6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온도범위내에서 증발하지 않고 남아있던 성분들이 또한 과다한 가열시간동안 증발되게 될 뿐만 아니라 반응공정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제2단계로서, 이같이 가열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0.5kg/cm2이하의 스팀압력 및 60∼70℃의 온도 조건하에 가열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추출액 농축액에 함유된 각종 성분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팀압력이 0.5kg/cm2을 초과하면, 효과면에 있어서 저하되지 않더라도 처음부터 많은 압력을 가하면 보일러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60℃이하로 가열하면 70℃ 내지 80℃사이에서 사멸하는 대장균을 사멸시킬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다음 제3단계로서, 가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0.8kg/cm2이하의 스팀압력, 60∼70℃의 온도 및 600∼700mmgHHg의 진공상태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한다.
이때 여과공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여과장치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참고로 상기 여과장치내에서 잔주(殘酒)처리는 여과가 끝나기 전에 약간의 물을 송입해 여과장치에 물을 밀어내어 여과하고, 공기를 취입하여 여과장치내에 남은 잔주 여과 잔사를 탈수하게 된다.
또한 스팀압력이 0.8kg/cm2을 초과하면 수분증발량이 많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반응온도는 60∼70℃로 조절하여야만 수분을 대략 50%정도 증발시킬 수 있으며, 진공상태를 600∼700mmHg범위로 하는 것은 내압이 많이 발생하면 진공도가 떨어지면서 농축 시간이 길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그 반응시간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대략 4시간이 좋은데, 이는 1회 투입되는 한약재와 물의 첨가량등을 고려하여 소요되는 시간이다.
이와같은 가열공정을 거치면 수분함량이 50∼70%정도인 1차 농축액을 얻게된다. 상기 수분증발량이 70%이상이면 내압이 상승하여 진공상태가 불량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 기술한 17종 한약재를 사용한 단계와는 별개로 제4단계로서, 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생강과 대추를 각각 3∼45중량% 범위로 혼합하여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여 생강 대추 추출액을 얻게 된다.
이중 생강은 해표약(1)의 일 성분으로서 말초신경, 혈액순환등의 건위작용을 촉진시켜 위장기능을 강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그 성분을 분석해보면 수분이 대략 81%, 당질이 12.9%정도, 단백질이 2.2%정도등인 것으로 그밖에 매운 성분을 내는 진게론(Zinger), 쇼아가올(Shoagol)과 향기 성분을 내는 시네올(Cinelor)와 기타 시트로넬랄(Citronellal) 및 진기베렌(Zingoberene)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3중량%미만으로 사용하면 살균 작용이 약하여 잡미(雜味)가 동반되고 당질함량이 부족하여 숙성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45중량%를 초과하면 유효 성분이 과다하게 잔류한다고 하더라도 생강 자체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가열등의 후공정에서 대부분 수분과 함께 증발하여 효능개선이 그다지 뚜렷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쓴맛이 너무 강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중에서도 생강의 주성분인 매운 맛, 유상(油狀), 방향성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다른 한약재 사용량보다 10배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대추는 보양약(4)의 일 성분으로서 위장 기능을 조절하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이뇨 작용을 돕는 것으로, 그 성분을 보면 말린 대추에는 약57.9%정도의 많은 당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도 그 맛을 부드럽게 하고 향을 또한 개선시키는 역할도 병행하게 한다.
그 첨가량 또한 3중량%미만으로 사용하면 그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색상이 윤택하지 않고 당질 함량이 부족하여 숙성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45중량%를 초과하면 과다한 당질 성분으로 인해 가압추출하면 과육이 녹아 분해되게 되므로 여과등의 후공정을 거치기 어려우며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 생강과 대추 추출액은 상기한 다른 17종 한약재를 처리하는 공정(가열 추출후 여과 및 농축 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 추출액을 그대로 주정 희석액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때 물의 투입량은 생강ㆍ대추 총300g당 2.5∼3.0ℓ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생강과 대추는 일반 한약재보다 물을 대략0.9ℓ정도 더 사용하게 되는데, 2.5ℓ이하로 투입하면 대추의 과육과 생강의 수분증발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3.0ℓ이상을 투입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후 제5단계로서 상기 생강 대추 추출액에 물을 투입한 다음 상기 17종 한약재로부터 얻은 제1 농축액과 함께 배합탱크로 이송후 주정 희석액을 배합한다.
이때 주정 희석액에 대한 생강 대추 추출액과 제1 농축액의 혼합비는 상술한 견지에서는 미리 생강ㆍ대추 추출액과 제1 농축액 각각에 적정량의 물을 투입하여 그 혼합비를 별도로 조절할 필요없이 제조된 량을 모두 혼합하기만 하면 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생강ㆍ대추 추출 및 17종 한약재 농축시에는 물 첨가량을 대략적으로 조절한 다음 이 단계에서 물을 적정량으로 함께 혼합하거나 혹은 추출 및 농축액의 혼합비를 조절하여도 좋다. 이중에서 전자가 보다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에 촛점을 맞춰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95% 주정 희석액 1.8ℓ당 물 투입량은 2.8∼3.4ℓ범위내인 것으로 정확한 투입량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상기 생강 대추 추출액과 농축액의 함량을 감안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후 배합탱크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실온이하로 냉각시켜 알코올 성분 20∼25% 비율의 보신주 반제품을 제조한다. 즉, 이때 주정희석액은 반드시 20∼25%의 중량 비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20%미만이면 맛과 보신효과에 대한 큰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며, 25%를 초과하면 보신효과는 개선되나 맛과 향이 적절치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같은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배합탱크는 1차는 스팀 압력을 사용할 수 있고, 2차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는 교반형으로된 2중 구조로된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후 최종 단계로서 얻어진 반제품을 멜로디에 의해 숙성후 상등액을 취함으로써 보신주를 제조한다.
이때 멜로디에 의해 숙성하는 것은 단순히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들려주는 방법뿐만 아니라 숙성효과를 보다 개선시키기 위해 음악신호를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예를 들어, 트란스듀서등)를 숙성탱크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모두 포함한다.
이때 트란스듀서를 숙성탱크에 부착시켜 음악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예로들어보면, 물분자집단이 적어지고 분자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활성화상태에 놓이게 되며, 나아가 물의 밀도는 높아져 분자사이에 들어가있는 공기량이 자연히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혐기성 효모균(낙산균등)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효모의 세포분열을 촉진시켜 알코올 성분이 순화되고 술의 숙성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따라서 숙성시기도 단축시켜 일반적인 숙성주에서 숙성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결론적으로 천연한약재등에 존재하는 강한 자극취를 이같은 멜로디 숙성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태양열등의 외적 요인과 알코올, 물, 알데히드, 푸젤유, 유기산, 디아세틸등 내적 요인의 기질 변화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멜로디 숙성은 예를 들어 90일정도의 숙성단계동안 20∼40분 연주후 20∼40분 쉬는 공정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당도도 낮았고, 발효중 온도도 1°정도 올라가며, 최종 숙성일도 12일정도 단축되는 등 그 개선효과를 뚜렷히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정에서 사용하는 멜로디 숙성은 태양열등의 외적 요인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인 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하루중에서도 태양열이 존재하는 시간동안만 멜로디의 연주-휴지 공정을 반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신주는 19가지 한약재를 사용하여 보신효과, 숙취효과 및 맛과 향의 개선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이외에 기타 한약재들도 소량으로 첨가가능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보신주 제조〉
우선, 인삼(5년생) 100g, 천궁 20g, 당귀 13g, 숙지황 13g, 삼백초 13g, 백작약 13g, 백출 13g, 진피 13g, 두충 13g, 곽향 13g, 갈근 13g, 백봉령 12g, 오미자 11g, 구기자 10g, 황기 10g, 감초 10g 및 계피 10g을 혼합하여 총 300g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런다음 혼합물에 물을 1.8ℓ투입하고 10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이들 추출액을 0.5kg/cm2(스팀압력) 및 60∼70℃(온도)하에 가열하여 변질을 방지한 다음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이때 여과장치로는 가압, 연속식 1,000/HP, STS 304,2T(몸체), STS 304/1.5T(바스켓), 카트리지 교체 사양식(여과포) 및 내부, 외부 300#(버핑)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0.8kg/cm2(스팀압력), 60∼70℃(온도) 및 600∼700mmHg(진공)하에 4시간동안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약50%인 제1 농축액 0.18ℓ를 얻었다.
이와는 별도로 생강 150g과 대추 150g을 혼합후 물을 2.7ℓ 투입하고 100℃에서 5∼6시간동안 가열하여 생강 대추 추출액 1.8ℓ를 얻었다. 그런 다음 95% 주정 1.8ℓ에 물 2.98ℓ를 가하여 희석후 상기 제1 농축액 0.18ℓ와 생강ㆍ대추 추출액 1.8ℓ를 배합하여 냉각여과하고, 알코올 성분이 20∼25%비율인 반제품 6.84ℓ를 얻었다.
이때 주정액에 천연한약재와 물을 혼합하여 추출한 농축액의 한약 성분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약재중 인삼 사용량: 100g/ 300g×100 = 33.33%
2. 한약재중 천궁 사용량: 20g/ 300g×100 = 6.66%
3. 한약재중 당귀, 숙지황, 삼백초, 백작약, 백출, 진피, 두충, 곽향, 갈근 사용량: 13g/ 300g×100 = 4.33%
4. 한약재중 백봉령, 오미자, 구기자, 황기, 감초, 계피 사용량:
12g/ 300g×100 = 4%
5. 한약재중 생강, 대추 사용량: 150g/ 300g× 100 = 50%
6. 원액 사용비율: 100%
7. 원료 주정 순 알코올 ℓ: 1.8ℓ×95/100 = 1.71ℓ
8. 제성주 순 알코올 ℓ : 6.8ℓ×25/100 = 1.7ℓ
9. 제성비율: 1.7ℓ/1.71ℓ×100 = 99.42%
10. 결감비율 : 100-99.42 = 0.58%.
상기 성분분석에 의하면, 기술적으로 25%의 보신주 제조가 가능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20∼25% 범위로 얻어진 반제품을 트란스듀서를 숙성탱크에 부착시키고 30분 연주-30분 휴지 방법으로 90일간 멜로디 숙성시켜 숙성액을 얻은 다음 그 상등액을 취하여 알콜 성분이 25%비율인 보신주 6.8ℓ를 얻었다.
〈실시예 2-추출 조건〉
실시예 1에서 혼합한 17종 한약재를 10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에 있어서, 온도와 시간을 하기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그 추출 효과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 시간(hr) 추출효과
70 6 물이 너무 안 끓어 한약재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다.
80 5 수분 함량이 대략 50-70%정도로 적절하고, 한약재 유효성분 증발량도 그다지 크지 않다.
100 4
120 3
130 3 물과 함께 한약재 유효성분이 상당량 증발된다.
상기표에서 보듯이, 80∼120℃의 온도 및 3∼6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이 추출시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한약재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
상기 실시예 1에서 17종 한약재를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이들 추출액을 0.5kg/cm2(스팀압력) 및 60∼70℃(온도)하에 가열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보신주를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된 보신주의 상태를 검사하고 상온에서 변질 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한약재, 추출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당류, 단백질, 유기산, 지방등이 실내온도 25℃이상에서 변질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특히 대추의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과육이 파괴되면 당질이 가라앉아 흰 앙금이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한약재 추출액 농축액을 주정에 물을 가하여 희석하기전에 특정 조건하에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것과 같이 관리를 확실히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농축조건〉
실시예 1에서 혼합한 17가지 한약재를 10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에 있어서, 하기표에 기재한 온도 및 가열시간 변화에 따른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시간(hr) 스팀압력(kg/cm2) 진공압력(mmHg) 농축된 수분함량(%)
50 6 0.8 600 45
60 5 0.8 600 50
70 4 0.8 600 49
70 3 0.8 700 51
80 3 0.7 700 55
상기표에서 보듯이, 0.8kg/cm2이하, 60∼70℃의 온도 및 600∼700mmHg하에 3∼6시간동안 가열할 경우에 그 수분함량이 약50%정도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멜로디 조건이 숙성이 미치는 효과〉
멜로디 숙성을 하기표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을 반복하여 보신주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보신주의 각 멜로디 숙성 조건에 따른 보신주의 발효중 온도와 총 숙성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운전시간(분) 휴지시간(분) 발효중 상승온도(℃) 총숙성일(일)
15 15 0.36 85일
20 20 0.74 80일
30 30 1.0 78일
40 40 0.7 81일
50 50 0.34 86일
60 60 ≒0 90일
*실내 숙성 온도: 10∼13℃
*품온:8∼13℃.
상기표에서 보듯이, 20∼40분 운전후 20∼40분 휴지시킨 경우에 혐기성 효모균인 낙산균에 적절히 자극을 주어 발효 온도를 대략 1℃정도 높이게 됨으로써 숙성기간을 최대 12일정도 단축시키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약30분 운전후 30분 휴지의 멜로디 숙성 방법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보신주 제조단계별 물성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알코올 성분 25%비율의 반제품, 이를 30분 운전-30분 정지의 멜로디 숙성공정을 각각 30일, 60일, 및 90일간 수행한 제품들이 모두 국세청 리큐르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4a - 4d에 정리하였다. 침고로, 제품의 시험량은 모두 700∼800㎖였으며 4a는 반제품, 4b는 30일간 멜로디 숙성한 제품, 4c는 60일간 멜로디 숙성한 제품, 4d는 90일간 멜로디 숙성한 제품 결과표이다.
분석항목 분석결과 비고
기준 결과
주성분 25+-0.5 28 v/v%
성상 및 관능 무색,투명하고 유물 및 이취,이미가 없는것 ①갈색 불투명함②자극취가 강함③부유물 있음 -
증발잔분 2.5이하 3.0 mg/100㎖
유리산 0.002이하 0.003 식초산으로 w/v%
알데히드 1이하 3 아세트알데히드 mg/100mg
메틸알코올 0.5이하 0.5 mg/㎖
푸젤유 0.01이하 0.03 v/v%
디아세틸 0.2이하 0.3 mg/100㎖
황산정색물 불검출 정상 -
염화물 불검출 정상 -
수산화나트륨 정색물 불검출 정상 -
중금속 불검출 정상 -
유기불순물 불검출 정상 5분이내에 표준액보다 퇴색하지 않을 것
분석항목 분석결과 비고
기준 결과
주성분 25+-0.5 27 v/v%
성상 및 관능 무색,투명하고 유물 및 이취,이미가 없는것 ①담황색 불투명②부유물이 변화되어감③신맛, 산맛, 잡맛, 뒷맛이 안 좋음④표면색깔이 개선됨⑤쓴맛은 변화되지 않음 -
증발잔분 2.5이하 2.05 mg/100㎖
유리산 0.002이하 0.002 식초산으로 w/v%
알데히드 1이하 2 아세트알데히드 mg/100mg
메틸알코올 0.5이하 0.4 mg/㎖
푸젤유 0.01이하 0.02 v/v%
디아세틸 0.2이하 0.2 mg/100㎖
황산정색물 불검출 정상 -
염화물 불검출 정상 -
수산화나트륨 정색물 불검출 정상 -
중금속 불검출 정상 -
유기불순물 불검출 정상 5분이내에 표준액보다 퇴색하지 않을 것
분석항목 분석결과 비고
기준 결과
주성분 25+-0.5 26 (v/v%)
성상 및 관능 무색,투명하고 유물 및 이취,이미가 없는것 ①연한 담황색 약간 불투명함②부유물이 정제되어 있음③맛이 부드럽고 조화된 맛이 있음④한약향 사라짐⑤담백하고 진한 맛이 있음 -
증발잔분 2.5이하 2.0 mg/100㎖
유리산 0.002이하 0.002 식초산으로 w/v%
알데히드 1이하 1 아세트알데히드 mg/100mg
메틸알코올 0.5이하 0.3 mg/㎖
푸젤유 0.01이하 0.01 v/v%
디아세틸 0.2이하 0.1 mg/100㎖
황산정색물 불검출 정상 -
염화물 불검출 정상 -
수산화나트륨 정색물 불검출 정상 -
중금속 불검출 정상 -
유기불순물 불검출 정상 5분이내에 표준액보다 퇴색하지 않을 것
분석항목 분석결과 비고
기준 결과
주성분 25+-0.5 25 (v/v%)
성상 및 관능 무색,투명하고 유물 및 이취,이미가 없는것 ①연황색②약간 불투명함③부유물이 완전 정제됨④윤택이 있고 연황색을 띰⑤첫맛은 탁쏘고, 뒷맛으로서 단맛이 퍼짐 -
증발잔분 2.5이하 2.0 mg/100㎖
유리산 0.002이하 0.001 식초산으로 w/v%
알데히드 1이하 없음 아세트알데히드 mg/100mg
메틸알코올 0.5이하 0.2 mg/㎖
푸젤유 0.01이하 없음 v/v%
디아세틸 0.2이하 0.1 mg/100㎖
황산정색물 불검출 정상 -
염화물 불검출 정상 -
수산화나트륨 정색물 불검출 정상 -
중금속 불검출 정상 -
유기불순물 불검출 정상 5분이내에 표준액보다 퇴색하지 않을 것
판정 검사결과를 분석하여 보면 10-12일 앞당기더라도 결과는 양호할 것으로 사료됨.
따라서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보신주는 주류 고유의 쓴맛과 강한 알코올취에 비하여 대추등의 감미료 성분 및 생강등 특정 성분의 과다 첨가로 인해 그 기호도가 매우 높으며, 나아가 보신에 필요한 원하는 효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숙취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할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보신주는 얻고자 하는 효능에 따라 적절한 보신주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 맛과 취가 부드럽고 숙취 효과가 뛰어나며, 숙성시 멜로디를 들려줌으로써 천연약재 자체의 효능을 개선시키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4)

  1. (1)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인삼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6.2∼40중량%,
    계피 2∼5중량%,
    오미자, 천궁, 진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19중량%,
    백봉령, 백출, 황기, 삼백초, 백작약, 당귀, 숙지황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28중량%,
    구기자 및 감초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 3∼8중량%, 및 여기에
    두충 및 곽향을 각각 1∼4중량%씩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2)가열후 추출한 추출액을 0.5kg/cm2이하의 스팀압력 및 60∼70℃의 온도조건하에 가열한 다음 여과하는 단계;
    (3)상기 여과액을 0.8kg/cm2이하의 스팀압력, 60∼70℃의 온도 및 600∼700mmHg의 진공 상태에서 3∼6시간동안 가열하여 수분함량이 50∼70%인 제1 농축액을 얻는 단계;
    (4)이와는 별도로 한약재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생강 및 대추를 각각 3∼45중량% 범위로 혼합하여 물을 투입하고 80∼120℃에서 3∼6시간동안 가열후 추출하는 단계;
    (5)상기 생강 대추 추출액과 제1 농축액에 주정 희석액을 배합하고 냉각여과하여 알코올성분 20∼25%비율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6)상기 반제품을 멜로디에 의해 숙성후 상등액을 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보신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숙성은 음악진동을 이용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숙성은 20∼40분 운전후 20∼40분 휴지 동작을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3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19가지 한약재로된 보신주
KR10-2000-0061848A 1999-11-27 2000-10-20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제조방법 KR10038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848A KR100385322B1 (ko) 1999-11-27 2000-10-20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344A KR20000007119A (ko) 1999-11-27 1999-11-27 천연 한약재를 추출하여 만든 인체 보양을 위한 보신주
KR1019990053344 1999-11-27
KR10-2000-0061848A KR100385322B1 (ko) 1999-11-27 2000-10-20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08A true KR20010000808A (ko) 2001-01-05
KR100385322B1 KR100385322B1 (ko) 2003-05-23

Family

ID=2663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848A KR100385322B1 (ko) 1999-11-27 2000-10-20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72A (ko) * 2002-08-21 2004-02-27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KR101127734B1 (ko) * 2009-07-13 2012-03-23 신현길 대추 추출물을 이용한 대추 탁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866B2 (ja) * 2001-06-21 2004-11-04 学校法人湖西学院 漢方薬材を利用した機能性酒の製造方法
CN103351992A (zh) * 2013-07-30 2013-10-16 孟宗科 葛根保健酒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988A (ja) * 1989-09-30 1991-05-22 Obara Shiyuzouten:Kk 清酒の製造法
FR2663462B1 (fr) * 1990-06-13 1992-09-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ource d'electrons a cathodes emissives a micropointes.
KR950006978B1 (ko) * 1992-06-05 1995-06-26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석영 보트 자동세척 시스팀
JP3007847B2 (ja) * 1996-07-16 2000-02-07 黄桜酒造株式会社 酒類の醸造方法及び装置
KR19990024079A (ko) * 1998-12-02 1999-03-25 노용길 음양곽 발효주의 제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72A (ko) * 2002-08-21 2004-02-27 주식회사 바이오빅스 오미자 및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대두단백질의 응고를포함한 신규한 용도
KR101127734B1 (ko) * 2009-07-13 2012-03-23 신현길 대추 추출물을 이용한 대추 탁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322B1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6742A (zh) 茶酒
CN103627592A (zh) 苦荞黄酒的制备方法
CN104877876A (zh) 一种桑葚黑米酒及其酿造方法
CN1326986C (zh) 枸杞白兰地及其生产方法
CN101288497A (zh) 一种红枣养颜露
GB2589967A (en) Chinese yellow rice wine containing ingredien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and silkworm pupae (bombyx mori)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3627590A (zh) 一种荔枝酒的制备方法
CN104962418B (zh) 宣木瓜糯米酒及其生产工艺
CN105861240A (zh) 一种发酵法生产低度玫瑰花甜酒饮料的方法及玫瑰花甜酒饮料
CN109439497A (zh) 一种火龙果甜味干型果酒的酿造工艺
CN103156014A (zh) 一种补血养气的黑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385322B1 (ko)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제조방법
CN102127495A (zh) 一种纯酿复合型果酒及其制备方法
CN107348467A (zh) 一种多功能酱油的生产工艺
CN1229131A (zh) 一种添加竹叶黄酮提取物的保健啤酒
CN104862203A (zh) 益脾竹叶酒及其制备方法
KR100815195B1 (ko) 약쑥 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4946452A (zh) 一种枇杷酒及其制备方法
KR102126132B1 (ko) 인삼 현미식초의 제조방법
CN106666810A (zh) 一种烟草葡萄酒新型烟草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084320B1 (ko) 고추장아찌 제조방법
CN109938133A (zh) 一种牛大力绿茶饮料及其制备方法
JPS6149941B2 (ko)
CN108741046A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KR20190140738A (ko) 자양강장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