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026A - 위사단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위사단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026A
KR20040015026A KR10-2003-7007267A KR20037007267A KR20040015026A KR 20040015026 A KR20040015026 A KR 20040015026A KR 20037007267 A KR20037007267 A KR 20037007267A KR 20040015026 A KR20040015026 A KR 2004001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receiving
water
weft end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384B1 (ko
Inventor
게이이찌 묘기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는 위사 삽입에 따라 형성된 위사단을 물흐름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수단; 상기 반송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위사단을 물과 함께 받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탈수부; 및 상기 반송수단으로부터 위사단 및 물을 받아야 하는 수용 탈수부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사단 회수장치{Weft End Collecto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체(流體)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위사 삽입에 의해 발생한 위사단을 물흐름에 의해 반송하여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물 분사식 직기와 같은 유체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경사의 개구에 위사를 삽입하고, 이어서 바디치기를 하고, 그 후 커터에 의해 위사의 선단부를 직물로부터 분리한다. 이 때문에, 유체 분사식 직기는 일반적으로 직물로부터 분리된 위사단을 회수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다.
그와 같은 위사단 회수장치의 하나로서, 직물로부터 분리된 위사단을, 물흐름을 이용하는 반송장치에 의해 반송하고, 회수용기에 그 위쪽에서부터 물과 함께 흘려내림으로써 회수하는 것이 있다(특개평10-195739호 공보).
이 종래의 위사단 회수장치에 있어서, 회수용기는 그 속에 배치된 필터에 의해 위사단과 물을 분리한다. 분리된 위사단은 작업자에 의해 적절한 시기에 회수용기에서 회수되고, 물은 적절한 물탱크에 회수되어 위사단의 반송 등에 다시 이용된다.
한편, 무북직기에 있어서는, 정지단(停止段)의 발생방지나 가동율의 향상 등의 면에서, 위사단을 회수용기에서 회수할 목적으로, 직기가 정지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발명의 개시
이 때문에, 종래의 위사단 회수장치에서는, 작업자는 위사단을 수용 탈수부에서 꺼내어 회수할 때 위쪽에서 낙하하는 물 및 위사단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그 결과 그것들이 튀어 회수장치 주위로 흩어진다.
그와 같이 물 및 위사단이 회수장치의 주위에 흩어지면, 작업자는 위사단의 회수 때마다 튄 물을 닦아냄과 동시에, 흩어진 위사단을 회수하는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흩어진 위사단은 회수장치 주위의 기름이나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지고, 그와 같은 오염은 회수한 위사단의 재이용에 방해가 된다.
위사단 회수장치는 필터를 회수용기에 갖추고는 있지만, 종래의 위사단 회수장치에서는 회수해야할 위사단이 반송장치로부터 낙하하는 다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회수해야할 위사단이 무거운데다가 부피가 커지고, 따라서 회수 작업성이 나쁘다. 나아가, 위사단은 회수 후에 탈수하고 나서 보관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수장치로부터의 위사단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는 위사 삽입에 따라 형성된 위사단을 물흐름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수단; 상기 반송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위사단을 물과 함께 받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탈수부; 및 상기 반송수단으로부터 물을 받아야 하는 수용 탈수부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사단 회수장치에 있어서는, 반송수단으로부터의 물 및 위사단을 받고 있는(즉, 수수(受水) 상태의) 수용 탈수부와 받고 있지 않는(즉, 비수수(非受水) 상태의) 수용 탈수부가 항상 존재한다. 이 때문에, 위사단은 물 및 위사단을 받고 있지 않는 수용 탈수부에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직기가 가동되고 있어도 반송수단으로부터의 물이나 위사단을 그 회수장치의 주위에 흩어지게 하지 않고, 위사단을 회수할 수 있다.
탈수는, 수용 탈수부로부터의 물의 자연유출이나 강제배출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부가 비수수 상태로 전환되면, 그 수용 탈수부로부터의 탈수가 진행한다. 나아가, 위사단의 회수작업은, 비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부가 비수수 상태로 전환된 후 수수 상태로 다시 전환되기 전까지 행하면 된다. 그러므로, 비수수 상태로 전환된 후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탈수되어 가볍고 부피가 늘지 않은 상태의 위사단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수작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회수한 위사단을 새로 탈수하는 공정을 생략 또는 간략화할 수 있다.
나아가,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는 물을 받고 있는 수용 탈수부 내에 수용된 위사단의 기준량 도달을 검출하는 센서; 비수수(非受水) 상태의 수용 탈수부로부터의 위사단 회수를 알리는 고시기; 및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를 근거로 회수 고시신호를 고시기에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와 같이 하면, 제어장치의 회수 고시신호로, 고시기의 고시등을 점등시킴으로써 또는 고시기로서 설치된 버저를 소리나게 함으로써, 위사단을 수용 탈수부에서 회수해야하는 시기에 도달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전환수단은 모든 수용 탈수부가 배치된 공통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물을 받는 수용 탈수부를 전환시키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케이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위사단을 회수해야 하는 수용 탈수부를, 반송수단이나 다른 장치가 회수작업에 방해되지 않고 비수수 상태가 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위사단을 회수할 수 있고, 따라서 회수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의 모든 수용 탈수부가 공통의 케이스에 의해 일체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전환시에 복수의 모든 수용 탈수부가 동시에 이동되어, 전환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기 위사단 회수장치는 물을 받는 수용 탈수부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케이스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와 같이 하면, 케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량의 위사단을 수용하여 무거워진 수용 탈수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물흐름을 받는 수용 탈수부의 전환이 보다 용이해진다.
상기 전환수단은 물을 받는 수용 탈수부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와 같이 하면, 반송수단의 배출구가 이동됨으로써, 배출방향이나 배출구의 위치가 변경되어 수용 탈수부의 전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위사단을 수용하여 무거워진 수용 탈수부를 이동시키지 않고, 전환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나아가, 배출구를 수용 탈수부마다 각각 설치하고,밸브 등의 전환수단에 의해, 각각의 배출구를 개방 배출구와 폐쇄 배출구의 한쪽과 다른쪽으로 전환해도 좋고, 이때 실제로 배출하는 배출구(개방배출구)는 전환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사단 회수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위사단 회수장치에 있어서의 수용 탈수조 및 전환기구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위사단 회수장치에 있어서의 전기회로의 한 실시예를 물의 흐름도와 함께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사단 회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1∼도3을 참조하면, 위사단 회수장치(10)는 위사의 선단부를 처리하는 위사단 처리장치(12)와 함께 물 분사식 직기에 적용되고 있다.
물 분사식 직기는, 위사(도시하지 않음)를 압력수에 의해 위사 삽입 노즐(도시하지 않음)에서 경사(14)의 개구로 위사 삽입하고, 위사 삽입된 위사의 선단부를 위사단 처리장치(12)에 의해 구속·유지하고, 그 상태로 위사를 바디(16)에 의해 짜기 전에 바디치기하여, 직물(18)을 형성한다. 바디치기된 위사의 선단부는 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직물(18)에서 분리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이 형성된다.
위사단 처리장치(12)는 위사의 선단부를 포착하는 블록상의 위사 포착 블라켓(20)을 포함한다. 상기 위사 포착 블라켓(20)은 바디치기되는 위사의 선단부를 슬릿(22)에 받아들이고, 압력수를 방출수로(24)에서 슬릿(22)의 안쪽을 거쳐 배출수로(26)로 방출하여 통과시킨다. 그에 의해 위사의 선단부는 슬릿(22)의 안쪽에서 압력수와 접촉하여 배출수로(26)로 견인되고 구속되어 유지된다.
슬릿(22)은 바다치기되는 위사를 경사(14)의 이동방향 상류쪽에서 받아들이도록 횡 U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위사는 그 선단부가 위사 포착 블라켓(2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슬릿(22)에 받아들여진다. 배출수로(26)는, 상단부가 위사 포착 블라켓(20)에 아래쪽부터 슬릿(22)의 안쪽까지 끼워진 파이프(28)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수는 저수조(30)로부터 펌프(32)에 의해, 파이프(34, 34)를 거쳐 방출수로(24)에 공급된다. 배출수로(26)로 방출된 압력수는 절단된 위사단과 함께 위사단 회수장치(10)에 회수되고, 위사단 회수장치(10)에서 저수조(30)로 되돌려져 다시 압력수로서 이용된다.
저수조(30) 내의 수면은 수면 센서(36)에 의해 감지되고, 소정의 레벨 이하일 때 전자밸브(38)가 개방되고 도시되지 않은 보급수 탱크(39)의 물이 급수구(40)로부터 보충됨으로써, 소정의 허용범위 내의 레벨로 유지된다.
위사단 회수장치(10)는, 파이프(28)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소성 호스(42), 호스(42)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 및 위사단을 받는 2개의 수용 탈수조(44), 및 호스(42)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는 수용 탈수조(44)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기구(46)를 포함한다.
호스(42)는 파이프(28)와 함께 위사단의 반송로 즉 반송유로를 형성하고, 위사단 처리장치(12)를 구성하는 펌프(32)는 파이프(34) 및 방출수로(24)와 함께 반송수단을 구성하여, 위사단의 반송 물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호스(42)는 그 상단부에서 파이프(28)의 하단부와 함께 조립구(48)에 의해 직기의 프레임(50)에 설치되어 있다.
호스(42)와 별개의 파이프(28)를 갖추는 대신, 호스(42)의 상단부를 위사 포착 블라켓(20)에 끼우고, 그 내부 공간의 상류쪽을 배출수로(26)로서 이용해도 좋다.
호스(42)는 위사단을 물과 함께 수용 탈수조(44)로 그 위쪽에서부터 유출하도록, 유체압 실린더(52)에 그 하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5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추축(樞軸)핀(54)에 의해 프레임(50)에 추축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체압 실린더(52)에서는, 조립구(56)에 의해 호스(42)의 하단부가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호스(42)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유체압 실린더(52)의 신축에 의해, 호스(42)의 조립구(56) 주위를 중심으로 흔들리고,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44)에 대한 위치가 변환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의 수용 탈수조(44)에 도달하는 위치가 변화하여, 위사단이 고르게 퇴적하고, 수용 탈수조(44)는 충분한 양의 위사단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위쪽으로 개방하는 2개의 수용 탈수조(44)가 구비되어 있다. 각 수용 탈수조(44)는 반원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둘레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물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위사단의 통과는 방지하는 복수의 구멍(58)을 둘레벽 및 바닥면의 각각에 갖고 있다. 그 때문에, 각 수용 탈수조(44)는 호스(42)로부터의 위사단을 물과 함께 받는 필터의 기능을 갖춘 수용 탈수부로서 작용한다.
전환기구(46)는, 지지 베이스(60)에 원판상의 회전대(64)가 연직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1 이상의 축수(軸受)(62)를 사이에 두고 얹혀져 있고, 회전대(64) 위에 케이스(66)가 배치되고, 케이스(66)에 2 개의 수용 탈수조(44)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60)는 바닥(68)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대(64)의 둘레에는, 링 형상의 톱니바퀴(70)가 설치되어 있다. 톱니바퀴(70)는, 바깥톱니 톱니바퀴이고, 모터(72)에 의해 회전되는 톱니바퀴(74)와 맞물려 있다. 모터(72)는 블라켓(76)에 의해 바닥(68)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6)는, 수용 탈수조(44)를 개별로 수납하는 2개의 공간(78)을 갖고 있고, 동시에 수용 탈수조(44)에서 유출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80)을 그 바닥면에 갖고 있다. 각 공간(78)은 수용 탈수조(44)의 탈착과 수용 탈수조(44)로부터 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용 탈수조(44)의 바닥면보다 약간 큰 반원형의 바닥을 갖고 있고, 또한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66)의 구멍(80)을 통과한 물은 회전대(66)에 형성된 위쪽으로 개방하는 요소(凹所)(82)에 의해 모아지고, 요소(82)의 바닥에 연결되어 통하는 구멍(84)에서 지지 베이스(60)의 구멍(86) 및 유로(88)를 거쳐 저수조(30)로 흐른다.
제직시, 압력수는, 항상 펌프(32)에 의해 방출수로(24)에서 배출수로(26)로방출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은 방출된 물과 함께 파이프(26) 및 호스(42) 내로 반송되고, 호스(42) 하단의 배출구에서 물과 함께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44)로 유출된다.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부(44) 내에 수용되는 위사단이 소정의 높이에 도달했을 때의 위사 체적량을 기준량으로 하고, 그 위사단의 기준량 도달은 소정의 높이에 도달했을 때, 초음파식 위사단 센서(90)에 의해 검출된다. 나아가, 소정의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투광기와 수광기로 이루어지는 광전식 센서 또는 퇴적한 위사단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수용 탈수부 내에 수용되는 위사단이 소정의 중량에 도달했을 때의 위사 중량을 기준량으로 하고, 그 위사단의 기준량 도달은 소정의 중량에 도달했을 때 스트레인 게이지와 같은 중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도 좋다.
위사단 센서(90)의 출력신호는 도3에 있어서의 위사단 처리제어장치(92)에 공급되고, 위사단 처리제어장치(92)에 있어서,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44)에 소정량의 위사단이 수용되었을 때 기준량 도달신호로서 이용된다.
위사단 처리제어장치(92)는, 위사단 센서(90)에 의한 검출신호를 근거로 수용되어 있는 위사단의 양이 기준치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기준치에 도달하였으면, 모터(72)를 구동시켜 회전대(64)를 2분의 1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2개의 수용 탈수조(44)가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66)가 회전하고, 소정량의 위사단을 수용하여 가득찬 수용 탈수조(44)가 수수 위치에서 회수 위치로 이동되고, 이미 위사단이 회수되어 빈 수용 탈수조(44)가 회수 위치에서 수수 위치로 이동된다.
수용 탈수조(44)의 전환시, 2 개의 수용 탈수조(44)가 공통의 케이스(66)에 의해 일체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전환시에 수용 탈수조(44)가 동시에 이동되어, 전환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회수위치로 이동된 수용 탈수조(44) 내의 위사단은, 물의 자연유출에 의해 서서히 탈수되어 가벼워진다. 나아가, 실시예의 자연유출에 의한 탈수 외에 수용 탈수조(44)를 모터 등에 의해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탈수시켜도 좋다.
그 후, 위사단 처리제어장치(92)는, 위사단의 기준량 도달이 검출되었을 때부터 타이머(96)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회수 고시신호를 출력하고, 고시기인 표시등(94)을 점등 또는 깜빡이게 한다. 고시기는 직기에 설치해도 좋고, 또한 복수의 직기의 운전상황을 감시하는 모니터 화면을 고시기로 해도 좋다. 표시등을 점등시키는 대신에, 고시기로서 버저를 소리나게 해도 좋다. 작업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위사단이 충분히 탈수되어 위사단을 수용 탈수조(44)에서 회수해야할 시기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모터(72)에 의한 수용 탈수조(44)의 자동 전환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수용 탈수조(44)의 전환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케이스(66)를 반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수용 탈수조(44)로부터의 위사단의 회수는, 수수해야할 수용 탈수조(44)의 전환 후부터 다음 전환까지의 사이의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지면 되지만, 위사단 센서(90)에 의해 위사단의 기준량 도달이 검출되고 표시등(94)이 점등되었을 때에 회수를 하는 것이 좋은데, 그때는 위사단이 충분히 탈수되어 있다. 그 직후에 수용 탈수조(44)의 전환 작업을 함께 행한다. 따라서, 표시등(94)은 회수시기를 알림과 동시에, 전환시기도 알리는 고시기로서 작용한다.
자동 전환과 수동 전환 어느 경우에도, 비수수 상태로 전환되고 나서 가능한 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위사단을 회수하는 것이 좋다. 이 사이에, 비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44) 내의 위사단의 탈수가 진행한다. 이 때문에, 회수된 위사단을 새로 탈수하는 공정을 생략 또는 간략화할 수 있다.
위사단의 회수작업은 비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44)를, 손잡이(98)를 이용하여 케이스(66)에서 들어올리고, 위사단을 다른 용기 또는 다른 곳으로 옮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사단이 탈수되어 가벼워지고, 부피가 줄어들고, 그리고 위사단의 회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위사단의 회수 시, 위사단으로 가득찬 수용 탈수조(44)는 호스나 다른 기기, 부재 등이 회수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회수위치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단의 회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회수된 위사단은 재이용에 공급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기구(46)의 회전축선이 연직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전환기구(46)의 회전축선은 경사져 있어도 좋다. 전환기구(46)의 회전축선이 연직선에 대해 다소 각도를 갖도록 경사져 있으면, 작업자는 위사단 회수시에 호스(42)나 실린더(52) 등, 다른 장치에 의한 방해를 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수용한 위사단의 양의 증가에 따라 회전대(64) 및 케이스(66)가 수용 탈수조(44)와 함께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44)가 아래쪽으로 오도록 해도 좋고,이때는 모터 등에 의한 자동 전환장치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수수해야할 수용 탈수조(44)의 자동 전환이 가능해진다.
도4를 참조하면, 위사단 회수장치(100)는, 2개의 수용 탈수조(102)를 케이스(104)에 놓고, 케이스(104)를 지지 베이스(106)에 배치하고, 수용 탈수조(102)를 유체압 실린더(108)에 의해 전환시킨다.
각 수용 탈수조(102)는, 물의 유출은 허용하지만, 위사단의 유출은 저지하는 복수의 구멍(110)을 둘레벽 및 바닥면의 각각에 갖고 있다. 각 수용 탈수조(102)는 장방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4개의 둘레벽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4)는, 수용 탈수조(44)를 받는 공간(112)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모은 물을 지지 베이스(106)로 유출시키는 복수의 구멍(114)을 갖고 있다. 지지 베이스(106)는 케이스(104)로부터의 물을 모아 도시되지 않은 저수조로 흘리는 유로(116)를 갖고 있다.
유체압 실린더(108)는, 수용 탈수조(102)의 배치방향으로 신축하도록 프레임(50)에 지지되어 있다.
위사단 회수장치(100)에 있어서는, 호스(42)보다 긴 가소성 호스(118)가 이용되고 있다. 호스(118)는 호스(42)와 같이, 조립구(48)에 의해 파이프(28)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하단부가 조립구(120)에 의해 유체압 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되어 있다.
유체압 실린더(108)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되어 있으면, 도면에서 왼쪽의 수용 탈수조(102)가 호스(118)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로부터 위사단을 물과 함께 받는다. 수수 상태 중에는, 호스(118)로부터 나오는 물이 이웃하는 수용 탈수조(102)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체압 실린더(108)가 신축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이 수용 탈수조(102)에 고르게 수용된다.
수수 상태의 수용 탈수조(102)가 소정량의 위사단을 수용하면, 유체압 실린더(108)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신장된다. 이에 의해, 위사단을 받는 수용 탈수조(102)가 전환된다. 수용 탈수조(102) 내의 위사단의 회수는, 수용 탈수조(102)를 앞으로 끌어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호스의 하류쪽을 두 갈래로 분지시키고, 각각에 전자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류쪽에 배출구를 만들어 대응하는 각각의 수용 탈수부의 위쪽에 배치해도 좋다. 전자밸브를 전환수단으로 하고, 각각의 배출구를 개방 배출구와 폐쇄 배출구로 번갈아서 전환함으로써, 유체압 실린더(108)에 의하지 않고, 실제로 배출하는 배출구(개방 배출구)를 전환시킬 수 있다.
위사 회수장치(100)에 있어서도, 위사단의 회수는 수용 탈수조(102)의 전환 후부터, 다음 전환까지의 사이에 이루어지면 좋고, 전환 직전에 행하는 것이 가장 탈수되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위사단의 수용량을 검출하여, 위사단의 회수시기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위사 삽입에 따라 형성된 위사단을 물흐름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수단;
    상기 반송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위사단을 물과 함께 받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탈수부; 및
    상기 반송수단으로부터 물을 받아야 하는 수용 탈수부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물을 받고 있는 수용 탈수부 내에 수용된 위사단의 기준량 도달을 검출하는 센서;
    비수수(非受水) 상태의 수용 탈수부로부터의 위사단 회수를 알리는 고시기; 및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신호를 근거로 회수 고시신호를 고시기에 출력하는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모든 수용 탈수부가 배치된 공통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물을 받는 수용 탈수부를 전환시키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단 회수장치는 물을 받는 수용 탈수부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케이스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물을 받는 수용 탈수부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단 회수장치.
KR10-2003-7007267A 2001-10-03 2002-10-02 위사단 회수장치 KR100509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7369A JP2003113558A (ja) 2001-10-03 2001-10-03 緯糸端回収装置
JPJP-P-2001-00307369 2001-10-03
PCT/JP2002/010296 WO2003031704A1 (fr) 2001-10-03 2002-10-02 Collecteur d'extremites de t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026A true KR20040015026A (ko) 2004-02-18
KR100509384B1 KR100509384B1 (ko) 2005-08-22

Family

ID=1912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267A KR100509384B1 (ko) 2001-10-03 2002-10-02 위사단 회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0584B1 (ko)
JP (1) JP2003113558A (ko)
KR (1) KR100509384B1 (ko)
CN (1) CN1479817A (ko)
TW (1) TW591144B (ko)
WO (1) WO2003031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1807A1 (en) * 2006-09-07 2008-11-06 Sultex Ag Method and a stretching device for the holding of a weft thread
CN101130915B (zh) * 2007-09-22 2011-04-20 杭州引春机械有限公司 喷水织机废纬纱处理装置
CN110258006A (zh) * 2019-06-20 2019-09-20 苏州欧尼迪纺织科技有限公司 喷水织机防溅收水装置
CN113584689A (zh) * 2021-08-16 2021-11-02 江苏德华纺织有限公司 喷水织机废纬纱智能处理装置
CN113802248B (zh) * 2021-10-11 2023-03-17 江苏德华纺织有限公司 喷水织机智能引纬装置及引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86B2 (ja) * 1976-02-28 1984-01-27 芳見 松元 茶葉収容方法
US4351369A (en) * 1978-12-12 1982-09-2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Fluid supply apparatus in shuttleless loom
US4498504A (en) * 1982-09-23 1985-02-12 Burlington Industries, Inc. Filling fringe waste reduction
KR890000569Y1 (ko) * 1985-01-09 1989-03-11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셔틀리스 (Shuttleless) 직기의 불량사 제거장치
KR910003227B1 (ko) * 1987-03-16 1991-05-24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급사체의 판별 교환방법
US4976292A (en) * 1988-06-27 1990-12-11 Tagawa Kikai Co., Ltd. Weft end tensioning and detecting devices for shuttleless loom
JP2686785B2 (ja) * 1988-10-13 1997-12-08 多川機械株式会社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残糸排出装置
JP2696559B2 (ja) * 1989-04-26 1998-01-14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緯糸排出装置
JPH0340831A (ja) * 1989-06-30 1991-02-21 Murata Mach Ltd 直接製織装置の運転方法
GB2259719A (en) * 1991-07-08 1993-03-24 Murata Machinery Ltd Method of operating weaving apparatus
JP2679575B2 (ja) 1993-06-21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力チャネルの障害処理システム
JPH076103U (ja) * 1993-06-30 1995-01-27 株式会社資生堂 可動式充填ノズルを備えた充填装置
DE59408395D1 (de) * 1994-05-30 1999-07-15 Rueti Ag Masch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ebung von Unregelmässigkeiten beim Eintrag eines Schussfadens in einen Webrotor einer Reihenfachwebmaschine
JPH10195739A (ja) * 1996-12-26 1998-07-28 Tagawa Kikai Kk 水噴射織機の糸端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91144B (en) 2004-06-11
WO2003031704A1 (fr) 2003-04-17
KR100509384B1 (ko) 2005-08-22
JP2003113558A (ja) 2003-04-18
CN1479817A (zh) 2004-03-03
US6880584B1 (en)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5139C (fi) Foerfarande och apparatur foer avskiljning av olja fraon vatten.
KR100509384B1 (ko) 위사단 회수장치
CN100385060C (zh) 洗衣机及洗衣机用绒布捕获装置
US3959138A (en) Washing machine drain filter
JPH11267434A (ja) 真空用フィルタ
US3984330A (en) Washing machine drain filter
KR200192795Y1 (ko) 압축 공기 응축수 자동 배출시스템
KR100314211B1 (ko) 절삭유의 칩 여과장치 및 그 방법
TW59381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ut weft head
EP066909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washing liquid in a dishwasher
JP4270970B2 (ja) 夾雑物除去装置
EP1174075A2 (en) Filtering unit for dishwasher
KR200157098Y1 (ko) 세탁기용 세탁수처리장치의 이물질제거장치
JP6258822B2 (ja) 濾過装置
CN218621265U (zh) 一种新型喷水织机储水桶
KR101294932B1 (ko) 세정기 여과장치
CN219964388U (zh) 液环水分离器
CN111704183A (zh) 一种废水真空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US6878292B2 (en) Filter device
RU218620U1 (ru) Ресурсосберегающ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212474654U (zh) 一种可分离环保型自来水储水罐
CN212504074U (zh) 一种废水真空回收装置
KR100220744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CN117466380A (zh) 一种工艺自由组合式油水分离控制方法
JPH04309819A (ja) 食器洗浄機の水位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