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374A - 리코일 스타터 - Google Patents

리코일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374A
KR20040010374A KR1020030051038A KR20030051038A KR20040010374A KR 20040010374 A KR20040010374 A KR 20040010374A KR 1020030051038 A KR1020030051038 A KR 1020030051038A KR 20030051038 A KR20030051038 A KR 20030051038A KR 20040010374 A KR20040010374 A KR 20040010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am
rope
starter
crank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612B1 (ko
Inventor
하시바히데끼
Original Assignee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5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27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5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2771B2/ja
Application filed by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5/00Starting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ower storage
    • F02N5/02Starting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ower storage of spr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01D34/6818Motor start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3/00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 F02N3/02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having pull-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4Clutch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8Radial me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랭크축(C)이 배치되는 엔진(E)의 동일한 크랭크축(C)에 리코일 스타터가 설치되는 상태로 동력 피동 장치를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할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가 제공된다. 스타터 하우징(1)의 내부에는 크랭크축(C)과 동축적으로 돌출하는 릴 지지축(4)이 형성되어 있다. 권취된 리코일 로프(2)를 갖는 로프 릴(3), 및 원심 래칫(8)을 통해 회전을 크랭크축(C)에 전달하는 캠(6)은 릴 지지축(4)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이러한 로프 릴(3) 및 캠(6)은 댐퍼 스프링(12)을 통해 서로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축(C) 부근의 말단부로부터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로 연장하도록 개구부(16)가 릴 지지축(4)에 형성되어 있다. 장치의 구동축(D)은 개구부(16) 내부에서 크랭크축(C)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리코일 스타터{RECOIL STARTER}
본 발명은, 스타터 하우징 내부의 릴 지지축(reel support shaft)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프 릴(rope reel) 주위로 권취된 리코일 로프(recoil rope)를 갖는 리코일 스타터(recoil starter)에 관한 것으로서, 로프 릴을 회전시키도록 리코일 로프가 당겨져서 탄성 부재를 통해 로프 릴의 회전력이 엔진에 연결된 구동 풀리 또는 플라이휠 마그넷(flywheel magnet)에 전달되어 구동 풀리(drive pulley) 또는 플라이휠 마그넷이 회전되며, 이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는 리코일 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리코일 로프를 당김으로써 회전된 로프 릴의 회전력이 로프 릴과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캠에 전달되어, 이에 의해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구동 풀리가 캠과 걸어맞춤 및 분리되는 원심 클러치와 같은 원웨이 회전 기구를 통해 회전되는 리코일 스타터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로프 릴과 캠 사이에 위치된 탄성 부재에 의해 로프 릴 및 캠이 탄성적으로 연결되므로, 리코일 로프를 당김으로써 발생된 로프 릴의 회전이 탄성 부재를 통해 캠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엔진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발생하고 또한 엔진이 시동되는 때에 리코일 로프를 당기는 작동자의 손에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되고,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력을 해제함으로써 캠, 원웨이 회전 기구(oneway rotative mechanism) 및 구동 풀리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이 회전한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2-149872 호 참조).
로프 릴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회전하는 구동 휠, 및 엔진의 크랭크축에 회전을 전달하는 캠과 구동 휠 사이에 위치된 축적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나선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리코일 스타터로서, 리코일 로프를 당김으로써 로프 릴이 회전하고,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구동 휠이 회전하며, 엔진의 시동 부하가 클 때 구동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이 축적 수단에 축적되고, 축적 수단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캠이 회전식으로 구동되며, 이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는 리코일 스타터가 또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2001-132591 호 참조).
상술한 종래의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스타터 하우징은 크랭크의 단부가 배치되는 엔진의 일측면을 덮도록 일단부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러한 스타터 하우징에는 바닥부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바닥부로부터 엔진의 크랭크축에 면하도록 돌출하는 릴 지지축이 설치되어 있다. 로프 릴, 구동 휠 및 캠과 같은 구조 부품은, 릴 지지축의 단부속으로 체결된 나사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들 부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릴 지지축상에 회전가능하게 보유된다. 스타터 하우징은,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된 플라이휠 마그넷 또는 구동 풀리에 스타터 하우징의 개방 단부가 면하도록 엔진의 케이싱에 설치된다.
상술한 종래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로프 릴, 캠 및 구동 풀리가 릴 지지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타터 하우징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의 단부에는 나사가 고정되어 있다.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된 구동 풀리 또는 플라이휠 마그넷을 수용하도록, 스타터 하우징은 크랭크축이 배치되는 엔진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코일 스타터가 부착되는 엔진의 측면상의 크랭크축에 엔진에 의해 구동된 장치를 연결할 수 없다. 또한, 외팔보형(cantilever-type) 크랭크축을 갖는 소형 엔진에 있어서, 엔진의 크랭크축은 엔진의 일측에만 배치된다. 따라서, 제초기(mower) 등의 구동축이 크랭크축에 연결될 때, 리코일 스타터를 부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앞서 말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이 외팔보식 크랭크축을 갖는 경우라도 크랭크축이 배치되는 엔진의 동일한 크랭크축에 리코일 스타터가 설치되는 상태로 엔진에 의해 구동된 동력 피동 장치(power-driven device)를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할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리코일 스타터가 제공된다. 리코일 스타터는: 엔진의 크랭크축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엔진의 측면에 부착되는 스타터 하우징; 스타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타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단부를갖는 리코일 로프가 권취되어 있는 로프 릴; 로프 릴과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로프 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원웨이 회전 기구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캠; 및 로프 릴과 캠 사이에 위치되어 로프 릴과 캠을 탄성적으로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리코일 로프를 당김으로써 회전된 로프 릴의 회전력은 탄성 수단을 통해 캠에 전달되고, 스타터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로프 릴 및 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릴 지지축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릴 지지축은 스타터 하우징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엔진의 크랭크축쪽으로 돌출하고; 릴 지지축의 중심을 통하여 엔진의 크랭크축 부근의 말단부로부터 스타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에 의해 구동되고 스타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동력 피동 장치의 구동축은 개구부 내부에서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로프 릴에 연결된 일단부 및 캠에 연결된 타단부를 갖는 댐퍼(damper)를 포함하고, 댐퍼는 엔진의 시동 부하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여 캠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댐퍼는 로프 릴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캠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댐퍼는 로프 릴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캠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웨이 회전 기구는, 캠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 폴(cam pawl), 및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되는 회전 부재상에 설치된원심 래칫(centrifugal ratchet)을 포함하고, 상기 원심 래칫은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으로 인해 캠 폴과 걸어맞춤 및 분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타터 하우징에는, 로프 릴 및 캠의 각 측면의 외주부가 맞닿는 환형판이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로프 릴 및 캠은 릴 지지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프 릴과 캠 사이에는 구동 휠이 배치되어 있고, 구동 휠은 로프 릴과 구동 휠 사이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로프 릴측의 회전력을 축적하기 위한 축적 수단으로서 탄성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적 수단은 구동 휠과 캠 사이에 배치되어, 로프 릴에 의해 회전된 구동 휠의 회전력을 축적하고, 이에 의해 축적 수단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캠이 회전식으로 구동되어 엔진의 크랭크축이 회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적 수단은 구동 휠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캠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축적 수단은 구동 휠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캠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코일 스타터는, 구동 휠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어맞춤치(engagement tooth), 및 걸어맞춤치와 걸어맞춤가능하도록 스타터 하우징상에 형성된 래칫으로 구성되는 래칫 기구를 포함하고, 이 래칫 기구는 상기 구동 휠을 엔진 시동 방향으로만 회전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 입면도.
도 2는 도 1의 선 2 - 2 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리코일 스타터를 엔진에 부착하기 전의 도 1의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는 도 1의 리코일 스타터의 필수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 입면도.
도 5는 도 4의 선 5 - 5 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6 - 6 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 입면도.
도 8은 도 7의 선 8 - 8 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 입면도.
도 10은 도 9의 리코일 스타터의 필수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 입면도.
도 11은 리코일 스타터를 엔진에 부착하기 전의 도 9의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2는 도 10의 선 12 - 12 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스타터 하우징 2 : 리코일 로프 3 : 로프 릴 4 : 릴 지지축
5 : 리코일 스프링 6 : 캠 7 : 구동 풀리 8 : 원심 래칫
9 : 캠 폴 10, 11 : 리세스 12 : 댐퍼 스프링 15 : 환형판
C : 크랭크축 E : 엔진 22 : 나선형 스프링 31 : 스타터 하우징
32 : 리코일 로프 33 : 로프 릴 34 : 릴 지지축
35 : 리코일 스프링 36 : 캠 37 : 플라이휠 마그넷 45 : 환형판
51 : 구동 휠 52 : 원웨이 클러치
본 발명은 실시형태를 기초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코일 스타터는, 크랭크축(C)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엔진(E)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스타터 하우징(1)을 포함한다. 리코일 스타터를 구성하는 주요 기구는 스타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된다. 릴 지지축(4)은 엔진(E)의 크랭크축(C)쪽으로 돌출하도록 스타터 하우징(1)의 내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권취된 리코일 로프(2)를 갖는 로프 릴(3)은 릴 지지축(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프 릴(3) 주위로 권취된 리코일 로프(2)의 일단부는 로프 릴(3)에 고정되어 있고, 리코일 로프(2)의 타단부는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2)의 타단부에 결합된 작동 핸들(도시되지 않음)을 붙잡아서 당김으로써 리코일 로프(2)가 로프 릴(3)로부터 인출되고, 이에 의해 로프 릴(3)은 엔진이 시동하는 회전 방향으로 릴 지지축(4)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구동된다.
로프 릴(3)의 측면에는, 리코일 로프(2)를 당김으로써 로프 릴(3)로부터 인출되었던 리코일 로프(2)를 재권취하기 위해 로프 릴(3)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리코일 스프링(5)이 배치되어 있다. 리코일 스프링(5)의 내주측의 단부는 스타터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고, 리코일 스프링(5)의 외주측의 타단부는 로프 릴(3)에 고정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2)가 당겨져서 엔진(E)이 시동되는 회전 방향으로 로프 릴(3)이 회전하면, 리코일 스프링(5)에는 회전력이 축적된다. 리코일 로프(2)를 해제함으로써, 리코일 스프링(5)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로프릴(3)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리코일 로프(2)는 로프 릴(3) 주위로 재권취된다.
스타터 하우징(1)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4)의 말단부에는 캠(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6)은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된 구동 풀리(7)를 통해 로프 릴(3)의 회전력을 엔진(E)에 전달한다. 캠(6)과 구동 풀리(7) 사이에는, 캠(6)의 엔진 시동 방향 회전을 구동 풀리(7)에 전달하는 원웨이 회전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웨이 회전 기구는, 구동 풀리(7)상에 배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회전식으로 작동되는 원심 래칫(8), 및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캠(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캠 폴(9)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7)의 원심 래칫(8)과 걸어맞춤하는 캠 폴(9)에 의해 캠(6)의 회전이 구동 풀리(7)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엔진(E)의 크랭크축(C)이 회전한다. 엔진(E)이 시동된 후에, 구동 풀리(7)는 엔진(E)에 의해 회전하고, 이에 의해 원심 래칫(8)은, 원심 래칫이 캠 폴(9)로부터 분리되어 엔진(E)과 캠(6) 사이의 회전 전달이 차단되는 방향으로 원심력에 의해 회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리세스(10, 11)는 서로 면하도록 로프 릴(3) 및 캠(6)의 상호 대향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탄성 수단을 형성하는 댐퍼 스프링(12)은 환형 리세스(10, 11)내에 수용된다. 댐퍼 스프링(1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스프링(12)의 일단부는 로프 릴(3)에 형성된 보유홈(13)내에 수용되고, 댐퍼 스프링(12)의 타단부는 캠(6)에 형성된 보유 구멍(14)속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로프 릴(3) 및 캠(6)은 댐퍼 스프링(12)을 통해 서로 탄성적으로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리코일 로프(2)를 당김으로써 로프 릴(3)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리코일 스프링(5)에 의해 로프 릴(3)이 엔진 시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캠(6)은 댐퍼 스프링(12)을 통해 엔진 시동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지지축(4)상에 지지된 캠(6) 및 로프 릴(3)의 릴 지지축(4)에 대한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나사에 의해 환형판(15)이 스타터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다. 릴 지지축(4)의 축 방향으로의 로프 릴(3) 및 캠(6)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환형판(15)은 로프 릴(3) 및 캠(6)의 각 측면의 외주부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캠(6) 및 로프 릴(3)은 릴 지지축(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캠(6)상에 형성된 캠 폴(9)은, 환형판(15)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15a)로부터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된 구동 풀리(7)쪽으로 돌출한다.
리코일 로프(2)를 당김으로써 로프 릴(3)이 회전하는 경우, 로프 릴(3)의 회전에 의해 댐퍼 스프링(12), 캠(6) 및 원심 래칫(8)을 경유하여 구동 풀리(7)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구동 풀리(7)에 연결된 엔진(E)의 크랭크축(C)이 회전한다. 엔진(E)의 시동 저항에 의해 회전 부하가 증가하며 이 때에 캠(6)의 회전 부하가 크게 변동하여 충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회전 부하의 변동을 흡수하도록 댐퍼 스프링(12)이 수축하기 때문에 충격이 리코일 로프측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서 엔진(E)은 부드럽게 시동될 수 있다.
스타터 하우징(1)의 내부측의 릴 지지축(4)은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크랭크축(C) 부근의 릴 지지축(4)의 말단부로부터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로 연장하도록 개구부(16)는 릴 지지축(4)의 중심부를 통해 엔진(E)의 크랭크축(C)과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C)에 연결되고 엔진(E)에 의해 구동되는 제초기와 같은 동력 피동 장치의 구동축(D)은,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릴 지지축(4)의 개구부(16)를 통과하여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타터 하우징(1)의 개구부(16)의 외부 단부에는 큰 내경을 갖는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초기의 커터부(cutter portion)와 같은 장치의 작동 기구를 지지하는 파이프(P)가 개구부(17)속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코일 스타터를 둘러싸는 스타터 하우징(1)을 통해 상기 장치가 엔진(E)과 일체로 결합하도록 파이프(P)는 개구부(17)에 끼워진다. 중심부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관통 구멍(19)을 갖는 커플링축(2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커플링축(20)에는 구동 풀리(7)를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축(20)은, 구동 풀리(7)를 크랭크축(C)에 부착하기 위해 너트부(18)가 엔진(E)의 크랭크축(C)상에 체결된 상태로 스타터 하우징(1)의 릴 지지축(4)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16)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 피동 장치의 예로서 작용하는 제초기의 회전 커터 등을 회전식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축(D)은 파이프(P)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D)의 단부를 커플링축(20)의 다각형 관통 구멍(19)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엔진(E)의 크랭크축(C)은 커플링축(20)을 통해 구동축(D)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크랭크축(C)의 회전이 제초기의 회전 커터에 전달된다. 즉, 장치는 크랭크축(C)의 단부가 배치되는 엔진(E)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구동축(C)은 리코일 스타터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가 설명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된 구동 풀리(7)에 회전을 전달하는 캠(6), 및 권취된 리코일 로프(2)를 갖는 로프 릴(3)은 엔진(E)의 일측에 부착된 스타터 하우징(1)의 내부 표면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프 릴(3)로부터 인출된 리코일 로프(2)를 재권취하도록 로프 릴(3)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리코일 스프링(5)은 로프 릴(3)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캠 폴(9)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캠(6)상에 형성되어 있다. 캠(6)의 회전은 구동 풀리(7)상에 설치된 원심 래칫(8)을 통해 엔진(E)에 전달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캠(6)에는, 로프 릴(3)의 측면에 형성된 리세스 내부에 배치되는 보스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로프 릴(3)의 리세스의 내주면(3a)과 캠(6)의 보스부(6a)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형 리세스(21)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리세스(21)의 내부에는 탄성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나선형 스프링(22)이 수용된다. 나선형 스프링(22)의 외주측의 단부는 로프 릴(3)상에 보유되고, 나선형 스프링(22)의 내주측의 단부는 캠(6)의 보스부(6a)상에 보유되고, 이에 의해 로프 릴(3) 및 캠(6)은 나선형 스프링(22)을 통해 탄성적으로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캠(6)은 나선형 스프링(22)을 통해 엔진 시동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로프 릴(3)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한다. 또한, 로프 릴(3)이 캠(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나선형 스프링(22)은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해 캠(6)의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은 완충되고, 로프(3)의 회전력은 나선형 스프링(22)에 축적된다.
로프 릴(3)을 회전시키도록 리코일 로프(2)가 당겨지면, 나선형 스프링(22)을 통해 로프 릴(3)의 회전력이 캠(6)에 전달되므로, 캠(6)의 회전에 의해 원심 래칫(8)을 통해 구동 풀리(7)가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구동 풀리(7)에 연결된 엔진(E)의 크랭크축(C)이 회전한다. 엔진(E)의 시동 저항에 의해 캠(6)의 회전 부하가 증가하고 이 때에 캠(6)의 회전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이 로프 릴(3)에서 발생한다 하더라도, 캠(6)과 로프 릴(3) 사이에 위치된 나선형 스프링(22)이 부하의 변동을 흡수하도록 수축하고, 회전력은 나선형 스프링(22)에 축적된다. 나선형 스프링(22)에 축적된 회전력은 엔진(E)이 시동되는 때에 해제되므로, 엔진(E)은 더 부드럽게 시동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개구부(16)는 엔진(E)의 크랭크축(C)과 동축적으로 릴 지지축(4)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6)는 크랭크축(C) 부근의 릴 지지축(4)의 말단부로부터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로 연장한다. 엔진(E)에 의해 구동되고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에 배치되는 동력 피동 장치의 구동축(D)은, 스타터 하우징(1) 내부에서 크랭크축(C)에 연결될 수 있다. 중심부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관통 구멍(19)을 갖는 커플링축(2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커플링축(20)에는 구동 풀리(7)를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부(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축(20)은, 스타터 하우징(1)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4)의 중심부의 개구부(16)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의 구동축(D)을 스타터 하우징(1)의 외부로부터 삽입하고 구동축(D)의 단부를 커플링축(20)의 다각형 관통 구멍(19)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엔진(E)의 크랭크축(C)은 커플링축(20)을 통해 구동축(D)에 회전식으로 연결되므로, 크랭크축(C)의 회전은 제초기의 회전 커터에 전달된다. 즉, 장치는 크랭크축(C)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엔진(E)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구동축(D)은 리코일 스타터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가 설명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C)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엔진(E)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스타터 하우징(31) 내부에 리코일 스타터의 주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릴 지지축(34)은 스타터 하우징(31)의 내벽면으로부터 엔진(E)의 크랭크축(C)쪽으로 돌출하도록 스타터 하우징(31)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가 스타터 하우징(31)의 외부로 인출되는 권취된 리코일 로프(32)를 갖는 로프 릴(33)은 릴 지지축(3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프 릴(33) 주위로 권취된 리코일 로프(32)의 일단부는 로프 릴(33)에 고정되어 있고, 리코일 로프(32)의 타단부는 스타터 하우징(31)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32)의 단부에 결합된 작동 핸들(도시되지 않음)을 당김으로써 리코일 로프(32)가 로프 릴(33)로부터 인출되고, 그에 의해 로프 릴(33)은 릴 지지축(34) 주위로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로프 릴(33)의 측면에는, 리코일 로프(32)를 당김으로써 인출되었던 리코일 로프(32)를 로프 릴(33) 주위로 재권취하기 위해 로프 릴(33)을 엔진 시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리코일 스프링(35)이 배치되어 있다. 리코일 스프링(35)의 내주측의 일단부는 스타터 하우징(31)에 고정되고, 리코일 스프링(35)의 외주측의 타단부는 로프 릴(33)에 고정된다. 리코일 로프(32)가 당겨져서 엔진(E) 시동 방향으로 로프 릴(33)이 회전하면, 리코일 스프링(35)에는 회전력이 축적된다. 리코일 로프(32)를 해제하거나 또는 인장력을 작게 함으로써, 로프 릴(33)은 리코일 스프링(35)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리코일 로프(32)는 로프 릴(33) 주위로 재권취된다.
스타터 하우징(31)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34)상에는, 구동 휠(51)이 로프 릴(33)에 인접하게 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프 릴(33)과 구동 휠(51) 사이에는 엔진 시동 방향으로의 로프 릴(33)의 회전을 구동 휠(51)에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52)는, 클러치 부재(53), 클러치 스프링(54) 및 리세스(55)로 구성된다. 클러치 부재(53)는 구동 휠(51)에 면하는 로프 릴(33)의 측면에 형성된 리세스 내부에 수용되고, 또한 이 클러치 부재(53)는 클러치 스프링(54)에 의해 구동 휠(51)쪽으로 이동된다. 클러치 부재(53)와 걸어맞춤가능한 리세스(55)는 클러치 부재(53)에 면하는 구동 휠(5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52)가 제공됨으로써, 리코일로프(32)가 당겨지는 경우에 엔진 시동 방향으로의 로프 릴(33)의 회전이 구동 휠(51)에 전달되는 반면에, 로프 릴(33) 주위로 리코일 로프(32)를 재권취하기 위해 로프 릴(33)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로프 릴(33)의 회전 전달이 차단되고, 이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구동 휠(51)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엔진(E)의 크랭크축(C)에 회전을 전달하는 캠(36)은 릴 지지축(3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6)과 플라이휠 마그넷(37) 사이에는,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플라이휠 마그넷(37)에 엔진 시동 방향으로의 캠(36)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웨이 회전 기구를 형성하는 원심 클러치 기구(38)가 설치되어 있다. 원심 클러치 기구(38)는, 플라이휠 마그넷(37)상에 배치되고 원심력에 의해 회전식으로 작동되는 원심 래칫(38a), 및 캠(36)의 외주면상에 형성되고 원심 래칫(38a)과 분리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캠 폴(39)로 구성된다. 엔진 시동 방향으로의 캠(36)의 회전은, 캠 폴(39)과 플라이휠 마그넷(37)의 원심 래칫(38a)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전달된다. 엔진(E)이 시동된 후에, 플라이휠 마그넷(37)은 엔진(E)에 의해 회전되고, 이에 의해 원심 래칫(38a)은 원심 래칫이 캠 폴(39)로부터 분리되고 엔진(E)과 캠(36) 사이의 회전 전달이 차단되는 방향으로 원심력에 의해 회전된다.
캠(36)에 면하는 구동 휠(51)의 측면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리세스(56)가 형성되어 있다. 축적 수단을 형성하는 나선형 스프링(42)은 리세스(56) 내부에 수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42)의 외주측 단부는 구동 휠(51)상에 보유되고, 나선형 스프링(42)의 내주측 단부는 캠(36)상에 보유된다. 따라서, 구동 휠(51)과 캠(36)은 나선형 스프링(42)을 통해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구동 휠(51)이 로프 릴(33)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캠(36)은 나선형 스프링(42)을 통해 회전된다. 그러나, 엔진(E)의 시동 부하가 커지게 되고 캠(36)의 회전 저항이 증가하여 캠(36)의 회전이 정지하는 경우, 나선형 스프링(42)은 로프 릴(3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휠(51)에 의해 권취되고, 이에 의해 회전력은 나선형 스프링(42)에 축적된다.
엔진 시동 방향으로만 구동 휠(51)을 회전시키는 래칫 기구(57)는 구동 휠(51)과 스타터 하우징(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래칫 기구(57)는, 구동 휠(51)의 외주 가장자리상에 형성된 걸어맞춤치(58; engagement teeth), 및 걸어맞춤치(58)와 걸어맞춤 및 분리되는 래칫(59)으로 구성된다. 래칫(59)은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스타터 하우징(31)상에 형성된 지지축(60)상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래칫(59)은, 래칫(59)이 걸어맞춤치(58)와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각각 이동된다. 로프 릴(33)의 회전으로 인해 구동 휠(51)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래칫(59)은, 스프링의 이동력에 반대되는 방향인 래칫(59)이 걸어맞춤치(58)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래칫(59)과 걸어맞춤치(58)와의 걸어맞춤은 해제되고, 결과적으로 구동 휠(51)의 회전이 허용된다. 그러나, 나선형 스프링(42)에 회전력이 축적되는 상태로 엔진 시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 휠(51)이 나선형 스프링(42)에 의해 회전될 경우, 반대 방향으로의 구동 휠(51)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래칫(59)은 걸어맞춤치(58)와 걸어맞춤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판(45)은 나사에 의해 스타터 하우징(31)에 부착된다. 환형판(45)의 중심부에는 개구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릴 지지축(3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휠(51) 및 캠(36)의 측면의 외주부가 환형판(45)의 환형부와 결합하므로, 릴 지지축(34)의 축 방향으로의 구동 휠(51) 및 캠(36)의 이동은 규제되고, 이에 의해 구동 휠(51) 및 캠(36)은 릴 지지축(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캠(36)상에 형성된 캠 폴(39)은, 환형판(45)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45a)로부터,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된 플라이휠 마그넷(37)쪽으로 돌출한다.
리코일 로프(32)를 당김으로써 회전된 로프 릴(33)에 의해 구동 휠(51)이 회전하는 경우, 나선형 스프링(42), 캠(36) 및 원심 클러치 기구(38)를 통해 회전이 엔진(E)에 전달된다. 그러나, 엔진(E)의 시동 저항에 의해 캠(36)의 회전이 차단되면, 로프 릴(33)에 의해 회전된 구동 휠(51)은 나선형 스프링(42)을 권취하고, 회전력은 나선형 스프링(42)에 축적된다. 리코일 로프(32)의 인장력이 작아지면, 리코일 로프(32)를 재권취하기 위한 리코일 스프링(35)의 작용으로 인해 로프 릴(33)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에, 반대 방향으로의 구동 휠(51)의 회전이 래칫 기구(57)에 의해 차단되므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 휠(51)을 회전시키지 않고서 나선형 스프링(42)에 축적된 회전력이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코일 로프(32)가 반복적으로 당겨지고, 나선형 스프링(42)에 축적된 회전력이 캠(36)에 작용하는 엔진(E)의 시동 저항을 초과하는 경우, 캠(36)은 나선형 스프링(42)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갑자기 회전하고, 이에 의해 플라이휠 마그넷(37)은 원심 래칫기구(38)를 통해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엔진(E)이 시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축적 수단이 나선형 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 하더라도, 대신에, 축적 수단은 구동 휠(51)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캠(36)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타터 하우징(31)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34)의 중심부에는 개구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6)는 엔진(E)의 크랭크축(C)의 연장부상의 스타터 하우징(31)의 외부로 릴 지지축(34)을 통과시킨다.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되는 동력 피동 장치의 구동축(D)은, 스타터 하우징(31)의 외부로부터 삽입되고 릴 지지축(34)의 개구부(46)를 통과하여 스타터 하우징(31) 내부에서 크랭크축(C)과 연결될 수 있다. 큰 내경을 갖는 개구부(47)는 스타터 하우징(31)의 개구부(46)의 외부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7)에는 제초기의 커터부와 같은 장치의 작동 기구를 지지하는 파이프(P)가 끼워졌으므로, 장치는 리코일 스타터를 둘러싸는 스타터 하우징(31)을 통해 엔진(E)에 연결된다.
중심부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관통 구멍(49)을 갖는 커플링축(5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커플링축(50)에는 플라이휠 마그넷(37)을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 및 고정시키는 너트부(4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축(50)은, 플라이휠 마그넷(37)을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하기 위해 너트부(48)가 크랭크축(C)상에 체결된 상태로 스타터 하우징(31)의 릴 지지축(34)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46)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초기의 회전 커터 등을 구동시키는 구동축(D)은, 제초기를 엔진(E)에 연결하는 파이프(P)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구동축(D)의 단부를 커플링축(50)의 다각형 관통 구멍(49)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엔진(E)의 크랭크축(C)과 구동축(D)은 커플링축(50)을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구동축(D)이 리코일 스타터를 통과하고, 이에 의해 크랭크축(C)의 회전이 제초기의 회전 커터에 전달된다. 즉, 장치는 크랭크축(C)의 단부가 배치되는 엔진(E)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구동축(D)은 리코일 스타터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크랭크축의 축선을 따라 스타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는 개구부는 스타터 하우징상에 형성된 릴 지지축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고, 장치의 구동축은 개구부 내부에서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엔진의 회전 출력은 릴 지지축의 개구부를 통해 스타터 하우징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스타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이 일측에만 배치된 외팔보형(cantilever-type) 크랭크축을 갖는 경우라도 엔진에 의해 구동된 장치와 엔진 사이에 리코일 스타터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또는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댐퍼가 로프 릴과 캠 사이에 위치되므로, 엔진의 시동 부하의 변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이 댐퍼에 의해 완충될 수 있고, 이 충격은 로프 릴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로프 릴의 회전력이 댐퍼에 축적되고 따라서 이러한 축적된 회전력이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해제되기 때문에, 엔진은 쉽게 시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프 릴과 캠 사이에 구동 휠이 위치되고 구동 휠과 캠 사이에 축적 수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리코일 로프를 반복적으로 당김으로써 회전력이 축적 수단에 축적되므로, 엔진의 크랭크축은 축적 수단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이 쉽게 시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다른 변형예가 채택될 수 있고 또한 첨부된 청구항이 종래 기술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한 이러한 변형예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이 외팔보식 크랭크축을 갖는 경우라도 크랭크축이 배치되는 엔진의 동일한 크랭크측에 리코일 스타터가 설치되는 상태로 엔진에 의해 구동된 동력 피동 장치를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할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1)

  1. 엔진(E)의 크랭크축(C)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엔진(E)의 측면에 부착되는 스타터 하우징(1, 31);
    상기 스타터 하우징(1, 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타터 하우징(1, 31)의 외부로 인출된 단부를 갖는 리코일 로프(2, 32)가 권취되어 있는 로프 릴(3, 33);
    로프 릴(3, 33)과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로프 릴(3, 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원웨이 회전 기구(8, 9; 38a, 39)를 통해 엔진(E)의 크랭크축(C)을 회전시키는 캠(6, 36); 및
    상기 로프 릴(3, 33)과 상기 캠(6, 36)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로프 릴(3, 33)과 상기 캠(6, 36)을 탄성적으로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 수단(12, 22, 42)으로서, 상기 리코일 로프(2, 32)를 당김으로써 회전된 상기 로프 릴(3, 33)의 회전력을 상기 캠(6, 36)에 전달시키는 탄성 수단(12, 22, 42); 을 포함하는 리코일 스타터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하우징(1, 31)의 내부에 있는 상기 로프 릴(3, 33) 및 상기 캠(6, 3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릴 지지축(4, 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릴 지지축(4, 34)은 상기 스타터 하우징(1, 3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엔진(E)의 크랭크축(C)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릴 지지축(4, 34)의 중심을 통하여 엔진(E)의 크랭크축(C) 부근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스타터 하우징(1, 31)의 외부로 연장하는 개구부(16, 46)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E)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스타터 하우징(1, 31)의 외부에 배치된 동력 피동 장치의 구동축(D)은, 상기 개구부(16, 46) 내부에서 엔진(E)의 크랭크축(C)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12, 22)은 상기 로프 릴(3)에 연결된 일단부 및 상기 캠(6)에 연결된 타단부를 갖는 댐퍼(12, 22)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12, 22)는 엔진(E)의 시동 부하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여 상기 캠(6)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2)는 상기 로프 릴(3)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상기 캠(6)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22)는 상기 로프 릴(3)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상기 캠(6)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회전 기구(8, 9)는, 상기 캠(6)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 폴(9), 및 엔진(E)의 크랭크축(C)에 부착되는 회전 부재(7)상에 설치된 원심 래칫(8)을 포함하고, 상기 원심 래칫(8)은 상기 회전 부재(7)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캠 폴(9)과 걸어맞춤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6.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하우징(1)에는, 상기 로프 릴(3) 및 상기 캠(6)의 각 측면의 외주부가 맞닿는 환형판(15)이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로프 릴(3) 및 상기 캠(6)은 상기 릴 지지축(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하우징(1)에는, 상기 로프 릴(3) 및 상기 캠(6)의 각 측면의 외주부가 맞닿는 환형판(15)이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로프 릴(3) 및 상기 캠(6)은 상기 릴 지지축(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릴(33)과 상기 캠(36) 사이에 배치된 구동 휠(51)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구동 휠(51)은 상기 로프 릴(33)과 당해 구동 휠(51) 사이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52)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탄성 수단(42)은 로프 릴측의 회전력을 축적하기 위한 축적 수단으로서 형성되고,
    이 축적 수단(42)은 상기 구동 휠(51)과 상기 캠(3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 릴(33)에 의해 회전된 상기 구동 휠(51)의 회전력을 축적하고, 이에 의해 상기 축적 수단(42)에 축적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캠(36)이 회전식으로 구동되어 엔진(E)의 크랭크축(C)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수단(42)은 상기 구동 휠(51)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상기 캠(36)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수단은 상기 구동 휠과 걸어맞춤된 일단부 및 상기 캠과 걸어맞춤된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51)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어맞춤치(58) 및 이 걸어맞춤치(58)와 걸어맞춤가능하도록 상기 스타터 하우징(31)상에 형성된 래칫(59)으로 구성되는 래칫 기구(57)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래칫 기구(57)는 상기 구동 휠(51)을 엔진 시동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KR1020030051038A 2002-07-24 2003-07-24 리코일 스타터 KR101057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5455 2002-07-24
JP2002215455A JP3892772B2 (ja) 2002-07-24 2002-07-24 リコイルスタータ
JPJP-P-2002-00215454 2002-07-24
JP2002215454A JP3892771B2 (ja) 2002-07-24 2002-07-24 リコイルスタ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374A true KR20040010374A (ko) 2004-01-31
KR101057612B1 KR101057612B1 (ko) 2011-08-18

Family

ID=3000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038A KR101057612B1 (ko) 2002-07-24 2003-07-24 리코일 스타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959680B2 (ko)
EP (1) EP1384881B1 (ko)
KR (1) KR101057612B1 (ko)
CN (1) CN100360793C (ko)
DE (1) DE60314689T2 (ko)
TW (1) TWI2963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49B1 (ko) * 2010-12-01 2018-07-13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일 스타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4998B2 (ja) * 2002-10-21 2007-11-28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JP3878564B2 (ja) 2003-02-28 2007-02-07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蓄力式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4360494A (ja) * 2003-06-02 2004-12-24 Starting Ind Co Ltd リコイルスタータ
US7413471B2 (en) * 2004-03-19 2008-08-19 Asoka Usa Corporation Integrated connector for powerline network and power supply
US7191752B2 (en) * 2004-05-14 2007-03-20 Husqvarna Outdoor Products Inc. Energy storing starter assembly
JP4064961B2 (ja) * 2004-10-06 2008-03-19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JP4381280B2 (ja) * 2004-10-18 2009-12-09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JP4376193B2 (ja) * 2005-02-08 2009-12-02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とエンジンとの間の動力伝達機構
JP4523469B2 (ja) * 2005-03-29 2010-08-11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7140341B2 (en) * 2005-04-14 2006-11-28 Aktiebolaget Electrolux Energy storing starter assembly
US7267091B2 (en) * 2005-04-27 2007-09-11 Husqvarna Outdoor Products Inc. Dynamic effortless pull starting
GB2426134B (en) * 2005-05-12 2009-06-10 Univ Bristol Amplifiers
JP4598666B2 (ja) * 2005-12-14 2010-12-15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7252065B1 (en) * 2006-05-11 2007-08-07 Husqvarna Outdoor Products Inc. Energy storing starting device
US7162988B1 (en) * 2006-07-19 2007-01-16 Hsin-Chih Chung Lee Power-saving activation device
JP4584220B2 (ja) * 2006-09-22 2010-11-17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7574988B1 (en) 2008-03-17 2009-08-18 Briggs And Stratton Corporation Engine starter assembly
US20090255502A1 (en) * 2008-04-09 2009-10-15 Cook Trent A Starter System for Engine
JP2009293485A (ja) 2008-06-04 2009-12-17 Honda Motor Co Ltd 蓄力式リコイルスタータ
US8132553B2 (en) * 2008-12-03 2012-03-13 Techtronic Outdoor Products Technology Limited Recoil starter system
US8291879B2 (en) * 2008-12-03 2012-10-23 Techtronic Outdoor Products Technology Limited Recoil starter system
EP2194262B1 (en) * 2008-12-03 2018-05-2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Outboard motor
JP5101483B2 (ja) * 2008-12-26 2012-12-19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8839927B2 (en) * 2010-11-05 2014-09-2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Pawl stop for use in ratchet and pawl style clutch
US8656883B2 (en) 2011-07-20 2014-02-25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Recoil starter assembly for an engine
CN102817757B (zh) * 2012-05-07 2015-05-06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发动机手拉启动总成及其发动机
JP6029473B2 (ja) * 2013-01-07 2016-11-24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CN105240181A (zh) * 2015-11-20 2016-01-13 浙江天泰机械有限公司 一种启动器及使用方法
CN105736207A (zh) * 2016-03-18 2016-07-06 山东华盛农业药械有限责任公司 易起动器
DE102018002133A1 (de) * 2018-03-16 2019-09-19 Andreas Stihl Ag & Co. Kg Anwerf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Verbrennungsmotors und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mit einer Anwerfvorrichtung
WO2020153379A1 (ja) * 2019-01-22 2020-07-30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用のロープリールおよびリコイルスタータ
JP7391357B2 (ja) * 2019-09-19 2023-12-05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IT202100025970A1 (it) * 2021-10-11 2023-04-11 Stiga S P A In Breve Anche St S P A “dispositivo di innesto/disinnesto della trasmissione di potenza fra l’ingresso di potenza e l’uscita di potenza di un tosaerba e tosaerba munito di tale dispositiv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929A (en) * 1987-12-17 1989-06-2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Portable rotary power tool
ES2037167T3 (es) * 1987-12-17 1993-06-16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Herramienta mecanica rotativa portatil.
JPH02149872A (ja) 1988-11-30 1990-06-08 Fujitsu Ltd 現像剤の片寄り防止方法
DE4135405C2 (de) * 1991-10-26 2000-08-17 Stihl Maschf Andreas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otoren
US5758611A (en) * 1997-04-15 1998-06-02 Collins; Imack L. Flex-rod
US6508220B1 (en) * 1999-08-25 2003-01-21 Kioritz Corporation Starter
JP3274671B2 (ja) 1999-08-25 2002-04-15 株式会社共立 スタータ装置
JP3905689B2 (ja) * 2000-05-24 2007-04-18 株式会社共立 リコイルスタータ装置
JP4301480B2 (ja) * 2000-11-06 2009-07-22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2327666A (ja) * 2001-03-01 2002-11-15 Starting Ind Co Ltd スタータ装置
US6739303B2 (en) * 2001-07-18 2004-05-25 Starting Industrial Co., Ltd. Recoil star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49B1 (ko) * 2010-12-01 2018-07-13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일 스타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1865A (en) 2004-02-01
KR101057612B1 (ko) 2011-08-18
CN100360793C (zh) 2008-01-09
US6959680B2 (en) 2005-11-01
EP1384881B1 (en) 2007-07-04
EP1384881A3 (en) 2006-03-08
US7201130B2 (en) 2007-04-10
EP1384881A2 (en) 2004-01-28
US20040016311A1 (en) 2004-01-29
DE60314689T2 (de) 2007-12-06
CN1477305A (zh) 2004-02-25
DE60314689D1 (de) 2007-08-16
US20050279309A1 (en) 2005-12-22
TWI296301B (en)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612B1 (ko) 리코일 스타터
US20090255502A1 (en) Starter System for Engine
KR101094111B1 (ko) 리코일 스타터
JP4523469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KR101217391B1 (ko) 리코일 스타터
EP1558845B1 (en) Recoil starter with damper/buffering spring
KR100981903B1 (ko) 리코일 스타터
EP1647706B1 (en) Recoil starter
AU2003243477A2 (en) Recoil starter with damper/buffering spring
KR20030040146A (ko) 리코일 스타터
JP3892772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336567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4084641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336568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3343402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