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412A - 입체규칙성이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입체규칙성이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412A
KR20040002412A KR1020027017816A KR20027017816A KR20040002412A KR 20040002412 A KR20040002412 A KR 20040002412A KR 1020027017816 A KR1020027017816 A KR 1020027017816A KR 20027017816 A KR20027017816 A KR 20027017816A KR 20040002412 A KR20040002412 A KR 2004000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mide
acrylic acid
meth
group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모토요시오
이소베유타카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52Amides or imides
    • C08F1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1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크한 기능을 갖는 신규 고분자물질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이다. 즉, 신디오택티시티가 50% 이하인, 아이소택티시티 또는 헤테로택티시티가 풍부한,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이며, 아크릴산 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산 아미드를, 루이스산촉매 존재하에, 라디칼중합하여 얻어진다.

Description

입체규칙성이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법{POLY(METH)ACRYLAMIDE WITH HIGH STEREOREGULAR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비닐계 폴리머에서 주쇄의 입체규칙성이 높은 고분자물질은, 결정성이 높은, 유리 전이온도에서의 탄성률, 팽창율, 굴절율과 같은 성질변화의 정도가 작은, 광산란성이 낮고 투명감이 우수하다는 독특한 고기능을 갖고 있고, 다양한 용도에의 적용이 요망되는 기능재료와 그 개발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고분자물질의 입체규칙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용어인 택티시티에서, 고분자쇄를 따라서의 입체배치의 분포상태의 차이를 구별하는 3단위 연쇄 택티시티(traid tacticity)로 표시한 경우, mm(아이소택틱), mr(또는 rm, 헤테로택틱), rr(신디오택틱)의 3종의 택티시티가 있지만, 동일 조성의 고분자물질이라도 이들 택티시티의 분포의 차이에 의해, 고분자물질에 큰 물성의 차이를 볼 수 있는 경우가 왕왕 있고, 이 때문에 여러 용도에의 적용이 요망되는 기능재료와 그 개발에서는, 이들 택티시티를 분류하여 제작하는 중합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세상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인 아크릴산 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산 아미드(이하 (메타)아크릴산 아미드라고 함)는, 가장 간편하고 일반적인 중합방법인 라디칼 중합반응에서, 신디오택틱 우세한 고분자 물질밖에 얻어지지 않고(Polymer J., Vol 32, No.8, 694-699, 2000), 아이소택틱, 헤테로택틱 우세한 입체규칙성을 가진 고분자물질을 얻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배경하에 유니크한 기능을 갖는 신규한 고분자물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신디오택티시티가 50% 이하인, 아이소택티시티 또는 헤테로택티시티가 풍부한,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이소택티시티 또는 헤테로택티시티가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로서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광학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중, R1, R2및 R3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탄소수 1∼30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1가의 원자단을 나타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에서, R1, R2, R3및 R4는 상기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구체적으로는 Rl, R2및 R3로서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여,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나 디페닐 메틸기 등의 아랄킬기, 카르보메톡시기 등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카르보알콕시기, 아미드결합을 갖는 카르바모일기, 디메틸 아미노메틸기 등의 아미노치환 알킬기, 디메틸 아미노기 등의 아미노기, 메톡시 메틸기 등의 알콕시치환 알킬기, 메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트리메틸 실릴기 등의 실릴기 등을 들 수 있고, R1, R2및 R3가, 각각 상이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4로서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나 디페닐 메틸기 등의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고,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이소택티시티 또는 헤테로택티시티가 풍부한,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로서는,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주체로 하여, 중합도가 5 이상, 특히 2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중, R1, R2, R3, R4및 R5는 상기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를, 루이스산촉매 존재하에, AIBN(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라디칼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특히,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로서 광학활성체를 사용하면, 광학활성인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루이스산은 금속염(MX)인 금속 루이스산이 바람직하고, 금속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등에 대표되는 전형 원소, 주기표 3족에서 12족까지의 천이금속, 란타노이도, 악티노이드 금속이 선택되고, 음이온으로서는 염소이온이나 브롬이온 등의 할로겐 음이온이나 트리플레이트 음이온 등의 원자단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금속 루이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칸디움 트리플레이트, 이트륨 트리플레이트, 브롬화 마그네슘, 염화 하프늄, 이테르븀 트리플레이트, 루테튬 트리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반응에서, (메타)아크릴산 아미드가 상온, 상압에서 액체인 경우, 무용제 조건으로도 중합반응을 행할 수 있는데, 고체인 경우에 사용하는 반응용매로서는 라디칼 보족효과가 없는 통상의 어떠한 유기용제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 클로로포름, 메탄올 등이다.
중합반응을 행할 때의 원료 모노머 농도는 0.1mmol/L(용제)로부터 무용매 조건까지의 농도가 사용되지만, 반응용매중에서 중합을 행할 때의 매우 적합한 모노머 농도는, 5mmol/L(용제)부터 5mol/L(용제)까지의 농도범위이다. 또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사용농도는 0.001mmol/L(반응액)부터 10mol/L(반응액)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0.2mmol/L(반응액)부터 2mol/L(반응액)의 범위이다. 루이스산촉매의 첨가량은 2mmol/L(반응액)부터 2mol/L(반응액)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광학분할제로서 유용한 동시에, 액정, 비선형 광학재료 등의 기능재료로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어려웠던 라디칼중합에 의한 입체규칙성의 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얻어진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는 광학분할제, 액정, 비선형 광학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R)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메타크릴산 아미드(1)의 합성
(1)
질소치환한 반응용기에 (R)-(-)- 페닐글리신메틸 에스테르염산염(15.6g)을 넣고, 이것에 건조된 디에틸에테르(250ml), 트리에틸아민(22.2ml)을 가하고, 빙욕하에서 교반, 용해시켰다. 그 후, 디클로로메탄(50ml)으로 희석한 메타크릴산 클로라이드(8.47ml)를 2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그 후 실온으로 되돌리고 24시간의 교반을 행했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이어서 증류수로 세척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탈수,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함으로써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것을 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재결정을 행하고, 목적화합물(1)(백색 침상결정 11.1g, 수율 63.2%)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의 융점, 선광도, 및 원소분석치를 이하에 나타낸다.
·융점: 86.5±0.2℃
·선광도: [α]25 365=-531°, [α]25 D=-140°(THF, c=1.0)
·원소분석값(C10H1403);
계산값(%): C 66.94%, H 6.48%, N 6.01%
실측값(%): C 66.94%, H 6.44%, N 6.08%
합성예 2: (S)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메타크릴산 아미드(2)의 합성
(2)
질소치환한 반응용기에, (R)-(-)-페닐글리신메틸 에스테르염산염 대신에 (S)-(+)-페닐글리신메틸 에스테르염산염(15.6g)을 넣고, 그 후의 조작은 합성예 1과 완전히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하여, 목적화합물(2)을 얻었다.
합성예 3: 라세미체인 메타크릴산 아미드(3)의 합성
(3)
질소치환한 반응용기에, (R)-(-)-페닐글리신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대신에 라세미체의 페닐글리신메틸 에스테르염산염(15.6g)을 넣고, 그 후의 조작은 합성예 1과 완전히 동일한 수법에 의해 행하여, 목적화합물(3)을 얻었다.
실시예 1: (R)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메타크릴산 아미드(1)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메타크릴산 아미드(1) 5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13.1mg을 넣고, 촉매로서 표 1에 나타내는 수종류의 루이스산을 기재된 소정량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메타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3단위 연쇄 택티시티(mm/mr/rr)는,13C-NMR로 DMSO-d6용매하 8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1에 기록했다.
실시예 2: (S)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메타크릴산 아미드(2)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메타크릴산 아미드(2) 5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13.1mg을 넣고, 촉매로서 표 1에 나타내는 루이스산을 기재된 소정량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메타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3단위 연쇄 택티시티(mm/mr/rr)는,13C-NMR로 DMSO-d6용매하 8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1에 기록했다.
실시예 3: 라세미체인 메타크릴산 아미드(3)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메타크릴산 아미드(3) 5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13.1mg을 넣고, 촉매로서 표 1에 나타내는 루이스산을 기재된 소정량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메타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3단위 연쇄 택티시티(mm/mr/rr)는,13C-NMR로 DMSO-d6용매하 8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1에 기록했다.
비교예 1: 루이스산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의 광학활성 메타크릴산 아미드(1)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메타크릴산 아미드(1) 5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13.1mg을 넣고, 루이스산을 가하지 않고 클로로포름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메타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3단위 연쇄 택티시티(mm/mr/rr)는,13C-NMR로 DMSO-d6용매하 8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1에 기록했다.
비교예 2: 디메틸 디클로로실란을 사용한 광학활성 메타크릴산 아미드(1)의중합
질소분위기하, 앰플에 메타크릴산 아미드(1) 5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13.1mg을 넣고, 촉매로서 디메틸 디클로로실란 43.5mg을 넣고, 클로로포름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메타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3단위 연쇄 택티시티(mm/mr/rr)는,13C-NMR로 DMSO-d6용매하 8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1에 기록했다.
a) 반응용제 1L에 대한 촉매투입량(mol/L)
b) 메탄올 불용부 중량으로부터 산출
c) 사이즈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THF)에 의해 측정(폴리스티렌 환산)
d)13C-NMR(DMSO-d6, 80℃)에 의해 측정
합성예 4: (R)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아크릴산 아미드(4)의 합성
(4)
질소치환한 반응용기에 (R)-(-)-페닐글리신메틸 에스테르염산염(16g)을 넣고, 이것에 건조된 디에틸에테르(250ml), 트리에틸아민(22.2ml)을 가하고, 빙욕하에서 교반, 용해시켰다. 그 후, 디클로로메탄(50ml)으로 희석한 아크릴산 클로라이드(6.4ml)를 2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그 후 실온으로 되돌리고 24시간의 교반을 행했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이어서 증류수로 세척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탈수,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함으로써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로 재결정을 행하고, 목적화합물(4)(백색 침상결정 8.6g, 수율 52%)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의 융점은 110.6∼111.3℃였다.
실시예 4: (R)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아크릴산 아미드(4)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아크릴산 아미드(4) 2.0g과, 중합개시제인 AIBN 20mg을 넣고, 촉매로서 표 2에 나타내는 루이스산을 기재된 소정량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택티시티(m/r)는,1H-NMR로 DMSO-d6용매하에 17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2에 기록했다.
실시예 5: (R)배치를 갖는 광학활성 아크릴산 아미드(4)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아크릴산 아미드(4) 5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5mg을 넣고, 촉매로서 표 2에 나타내는 수종류의 루이스산을 기재된 소정량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 1.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택티시티(m/r)는,1H-NMR로 DMSO-d6용매하에 17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2에 기록했다.
비교예 3: 루이스산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의 광학활성 아크릴산 아미드(4)의 중합
질소분위기하, 앰플에 아크릴산 아미드(4) 2.0g과 중합개시제인 AIBN 20mg을 넣고, 루이스산을 가하지 않고 테트라히드로푸란 4.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 중합반응액을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택티시티(m/r)는,lH-NMR로 DMSO-d6용매하에 17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2에 기록했다.
a) 반응용제 1L에 대한 촉매투입량(mol/L)
b) 메탄올 불용부 중량으로부터 산출
c) 사이즈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THF)에 의해 측정(폴리스티렌 환산)
d)13C-NMR(DMSO-d6, 80℃)에 의해 측정
합성예 5: 라세미체인 아크릴산 아미드(5)의 합성
(5)
질소치환한 반응용기에, 라세미체인 α-메틸벤질아민 염산염(26g)을 넣고, 이것에 건조된 디에틸에테르(250ml), 트리에틸아민(22.2ml)을 가하고, 빙욕하에서교반, 용해시켰다. 그 후, 디클로로메탄(50ml)으로 희석한 아크릴산 클로라이드(18ml)를 2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그 후 실온으로 되돌리고 20시간의 교반을 행했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이어서 증류수로 세척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탈수, 용매를 감압 증류제거함으로써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로 재결정을 행하고, 목적화합물(5)(백색 침상결정 29g, 수율 82%)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의 융점은 63.2±0.2℃였다.
실시예 6: 라세미체인 아크릴산 아미드(5)의 중합
질소분위기하에, 앰플에 아크릴산 아미드(5) 4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4mg을 넣고, 촉매로서 표 3에 나타내는 수종류의 루이스산을 기재된 소정량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 1.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택티시티(m/r)는,1H-NMR로 DMSO-d6용매하에 17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3에 기록했다.
비교예 4: 루이스산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의 아크릴산 아미드(5)의 중합
질소분위기하, 앰플에 아크릴산 아미드(5) 400mg과 중합개시제인 AIBN 4mg을 넣고, 루이스산을 가하지 않고 테트라히드로푸란 1.0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60℃로 가온하여 중합을 개시했다.
중합개시로부터 24시간 후, -78℃로 앰플을 냉각하고, 메탄올중에 중합반응액을 적하했다. 이것에 의해 석출한 불용물을 진공 건조하고, 목적물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를 얻었다. 입체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택티시티(m/r)는,lH-NMR로 DMSO-d6용매하에 170℃의 측정으로 구하고, 결과를 표 3에 기록했다.
a) 반응용제 1L에 대한 촉매투입량(mol/L)
b) 메탄올 불용부 중량으로부터 산출
c)13C-NMR(DMSO-d6, 80℃)에 의해 측정

Claims (10)

  1. 신디오택티시티가 50% 이하인, 아이소택티시티 또는 헤테로택티시티가 풍부한,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또는 폴리메타크릴산 아미드(이하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라고 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산 아미드(이하(메타)아크릴산 아미드라고 함)를, 루이스산촉매 존재하에, 라디칼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택티시티 또는 헤테로택티시티가 풍부한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아미드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화학식 I)
    (식중, R1, R2및 R3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탄소수 1∼30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1가의 원자단을 나타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R1, R2및 R3가,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카르보알콕시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치환 알킬기, 아미노기, 알콕시치환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실릴기이고, R4가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R1, R2및 R3가, 각각 상이한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아미드가, 광학활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주체로 하고, 중합도가 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화학식 II)
    (식중, R1, R2, R3, R4및 R5는 상기의 의미를 나타낸다.)
  9. (메타)아크릴산 아미드를, 루이스산촉매 존재하에, 라디칼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의 제조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루이스산이 금속 루이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의 제조법.
KR1020027017816A 2001-04-27 2002-04-25 입체규칙성이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법 KR20040002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1870 2001-04-27
JPJP-P-2001-00131870 2001-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412A true KR20040002412A (ko) 2004-01-07

Family

ID=1897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816A KR20040002412A (ko) 2001-04-27 2002-04-25 입체규칙성이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6092B2 (ko)
EP (1) EP1398332A4 (ko)
JP (1) JPWO2002088204A1 (ko)
KR (1) KR20040002412A (ko)
CN (1) CN1462285A (ko)
WO (1) WO20020882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08Y1 (ko) * 2009-10-23 2011-05-30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전도 안정성 향상 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8494A3 (en) * 2006-08-09 2013-11-20 Sumitomo Bakelite Company, Ltd. Sugar chain- capturing substance and use thereof
EP4016075A1 (en) 2012-05-23 2022-06-22 Daicel Corporation Separating agent
WO2014087937A1 (ja) 2012-12-06 2014-06-12 株式会社ダイセル 分離剤
CN110028607B (zh) * 2019-05-05 2021-01-0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立构规整聚甲基丙烯酰胺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234A (en) * 1994-09-12 1997-09-16 Rhodes; Larry Funderburk Reaction injection molding (RIM) of methyl (meth)acrylate and related monomers using group-4 catalysts
FR2757865B1 (fr) * 1996-12-26 1999-04-02 Atochem Elf Sa Procede de polymerisation ou copolymerisation radicalaire controlee de monomeres (meth)acryliques, vinyliques, vinylideniques et dieniques et (co)polymeres obtenus
WO2000078988A1 (en) * 1999-06-22 2000-12-28 Trustees Of Tufts College Enzyme-mediated polymerization methods and products
US6762260B2 (en) * 2002-03-05 2004-07-1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Organoborane amine complex polymerization initiators and polymerizable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08Y1 (ko) * 2009-10-23 2011-05-30 주식회사 케이씨산업개발 전도 안정성 향상 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8332A4 (en) 2006-05-03
CN1462285A (zh) 2003-12-17
EP1398332A1 (en) 2004-03-17
WO2002088204A1 (fr) 2002-11-07
JPWO2002088204A1 (ja) 2004-08-19
US20040077812A1 (en) 2004-04-22
US6956092B2 (en)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3968B2 (ja) 硫黄含有のポリ(メタ)アクリ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53395B2 (ja) 液晶相を示す重合体
US6359170B1 (en) Brominated materials
US4771117A (en) Polymerization of acrylic esters
WO2021031818A1 (zh) 聚乙烯基硫醚酯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11162584A (ja) ジベンゾチオフェン骨格を有する化合物における屈折率付与効果を増大又は調整する方法
JP2015500344A (ja) 三置換メチルアルコールおよびそれらの重合可能な誘導体
KR20040002412A (ko) 입체규칙성이 높은 폴리(메타)아크릴산 아미드 및 그 제조법
AU757140B2 (en) Brominated materials
KR100553141B1 (ko) 굴절율이 높은 단량체
JP2000044631A (ja) アクリル酸エステル重合体の製造方法
CN110494419A (zh) 有机碲化合物及其制造方法、活性自由基聚合引发剂、乙烯基聚合物的制造方法和乙烯基聚合物
Dumas et al. Temperature effect on the stereoelective polymerization of methylthiirane in homogeneous phase
JPH0116839B2 (ko)
JP3910275B2 (ja) 相転移型光学活性高分子及びその製法
JPH02187411A (ja) フッ素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JP3598118B2 (ja) 光学的特性に優れたビスフェノールaf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768939A (zh) 高折射率(甲基)丙烯酸酯衍生物及其制备方法
JP2001114828A (ja) 光学活性メタクリル酸エステル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1018B2 (ja) 新規な光学活性アクリル酸エステル及び光学活性ポリアクリル酸エステル並びにその製造法
JPS6230154A (ja) 液晶性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221404A (ja) ピレン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高分子化合物
SU40590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щелочерастворимых сополимеров
JP2000136217A (ja) 新規な光学活性アクリル酸エステル、及び光学活性ポリアクリル酸エステ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3055410A (ja) 新規なポリアセチレン誘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キラル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