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865Y1 -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 Google Patents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865Y1
KR200391865Y1 KR20-2005-0013629U KR20050013629U KR200391865Y1 KR 200391865 Y1 KR200391865 Y1 KR 200391865Y1 KR 20050013629 U KR20050013629 U KR 20050013629U KR 200391865 Y1 KR200391865 Y1 KR 200391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ence
joint
flexible wi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Priority to KR20-2005-001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중간에 탄성을 갖는 관절을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관절이 꺾이면서 파이프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중간을 분할하여 관절을 형성하고, 플렉시블선재를 관절의 중심으로 통과시켜 플렉시블선재의 단부와 파이프 내측단 사이에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충돌시 유연하게 꺾어지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복원하므로 울타리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Vehicle cut-off Fence}
본 고안은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중간에 스프링에 의해 복원하는 관절을 형성하여 차량 충돌시 또는 외력이 가해질 때 관절이 꺾이면서 파이프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분, 주차금지구역, 놀이터입구, 공원입구 등 차량의 출입제한이나 무단주차방지, 주차구역설정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주로 금속파이프를 지면 위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세우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는 충격을 완화하거나 외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았으므로, 차량 충돌시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보행중 넘어져 부딪치는 경우 큰 충격을 받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충돌시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 중간을 분할하여 관절을 형성하고, 플렉시블선재를 관절의 중심으로 통과시켜 적어도 플렉시블선재의 한쪽단과 파이프 내측단 사이에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하여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에 콘트리트 타설되는 문형(門型)의 울타리(20)를 구성하는 파이프(30) 중간 중간에 볼록한 복수의 관절(32)(34)(36)을 형성하고, 각 관절(32)(34)(36)에 오목한 접시형의 미끄럼와셔(50)를 개재하며, 플렉시블선재(60)를 각각의 관절(32)(34)(36)과 미끄럼와셔(50)의 중심에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플렉시블선재(60)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시트(62)(64)와 파이프(30) 내측단 사이에 복원스프링(70)(80)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관절(32)(34)(36)과 미끄럼와셔(50)의 접촉면은 예컨대, 구면(球面)으로 형성하였으며, 다른 예로 원추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선재(60)는 와이어(61)의 양단에 스터드볼트(63a)(63b)를 압착하여 구성하였으며, 그 스터드볼트(63a)(63b)에는 예압너트(68)(69)를 나사결합하여 복원스프링(70)(80)에 의한 예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에 콘트리트 타설되는 브래킷(90)상의 접시(91) 위에 일자형의 파이프(9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파이프(92) 내부에 설치되는 복원스프링(93)에 의해 수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그 파이프(92)의 하단관절부(94)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하여 접시(91)의 평평한 상면에 면접촉되면서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 플렉시블선재(99)를 상기 접시(91)와 하단관절부(94) 중심에서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하였으며, 그 플렉시블선재(99)의 하단은 브래킷(90)에 걸리도록 하였고, 그 상단부에는 스프링시트(96)를 설치하여 파이프(92) 내부에 설치되는 복원스프링(93)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선재(99)는 와이어(65)의 양단에 스터드볼트(66)(67)를 압착하여 구성하였으며, 그 스터드볼트(66)(67)에는 예압너트(66a)(67a)를 나사결합하여 복원스프링(93)에 의한 예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접시(91)의 상측 가장자리에 오목한 라운드형태의 걸림턱(91e)을 형성하여 파이프(92)가 접시(9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파이프(92)의 상단에는 다색의 고휘도반사띠(92a)(92b)(92c)를 설치하여 야간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에 콘트리트 타설되는 지지체(100)의 상단에 오목부(114)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고정판(120)을 설치하며, 지지체(100)의 상단에서 일직선을 이루면서 수직으로 위치되는 파이프(128)의 하단에 상기 오목부(114)와 일치하는 볼록한 관절(116)을 형성하고, 이 관절(116) 중심에 관통공을 형성하였다.
또, 파이프(128)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플렉시블선재(102)를 삽입하여 그 하단은 예압너트(106)에 의해 상기 고정판(120)에 고정하고, 상단은 스프링시트(118)와 또 다른 예압너트(108)에 의해 복원스프링(104)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하였으며, 복원스프링(104)은 파이프(128)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 플렉시블선재(102)는 상하단에 나사부(110)(112)가 형성된 것이며, 파이프(128)의 상단에는 다색의 고휘도반사띠(122)(124)(126)를 설치하여 야간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 또는 기타의 물체가 울타리(20)에 충돌하는 경우 파이프(30)에 형성된 관절(32)(34)(36)이 미끄럼와셔(50)에 형성된 구면(球面)을 중심으로 꺾이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3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원스프링(70)(80)이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지니게 된다.
즉, 관절(32)(34)(36)에 위치되어 있는 미끄럼와셔(50)의 양측면이 구면으로 되어 있고, 이 미끄럼와셔(50)의 구면에 접촉하여 있는 파이프(30) 관절(32)(34)(36) 끝 부분도 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파이프(30)가 부드럽게 꺾이는 것을 돕고 파이프(30)가 옆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충돌한 차량이 후진하거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스프링(70)(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꺾여 있던 파이프(30)가 일자로 펴지면서 울타리(20)가 원형을 회복하게 된다.
즉, 양측 복원스프링(70)(80)이 플렉시블선재(60)의 양단에서 스프링시트(62)(64)에 지지된 채 파이프(30)를 미끄럼와셔(50)를 향해 항상 당기면서 신장하려는 힘을 갖기 때문에 파이프(30)가 일직선으로 펴지면서 원형을 회복하게 된다.
이때 관절(32)(34)(36)에 위치되어 있는 미끄럼와셔(50)는 양면이 오목한 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30)가 원형을 회복할 때 볼록한 구면으로 되어 있는 파이프(30)의 관절(32)(34)(36) 끝 부분을 안내하여 복원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복원스프링(70)(80)을 파이프(30) 내부에 설치할 때 플렉시블선재(60)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예압너트(68)(69)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따라 복원스프링(70)(80)에 의한 예압과 복원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4 및 도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경우 수직으로 설치되는 일자형의 파이프(92)에 차량이나 기타 물체가 충돌하게 되면, 충돌방향으로 힘을 받아 파이프(92)가 기울게 된다.
이때 파이프(9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원스프링(93)은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지니게 되고, 파이프(92) 중심에 설치된 플렉시블선재(99)가 접시(91)의 중심에서 파이프(92)를 따라 기울면서 파이프(92)가 접시(91)로부터 달아나지 못하도록 잡게 되며, 파이프(92)의 하단관절부(94)는 기울어 한쪽 모서리부분이 접시(91)의 상면에 접촉하고 나머지는 접시(91)로부터 들뜨게 된다.
또한, 접시(91)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라운드형태의 걸림턱(91e)은 파이프(92)가 접시(91) 옆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충돌한 차량이 후진하거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스프링(9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 있던 파이프(92)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원형을 회복하게 된다.
즉, 복원스프링(93)이 플렉시블선재(99)의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시트(96)에 지지된 채 파이프(92)를 항상 접시(91)를 향해 당기고 있고, 접시(91)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파이프(92)가 복원스프링(9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파이프(92)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된 고휘도반사띠(92a)(92b)(92c)는 야간에 파이프(92)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주간에도 원색컬러에 의해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6 및 도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경우 수직으로 설치되는 일자형의 파이프(128)에 차량이나 기타 물체가 충돌하게 되면, 충돌방향으로 힘을 받아 파이프(128)가 기울게 된다.
이때 파이프(128)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원스프링(104)은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지니게 되고, 파이프(128) 중심에 설치된 플렉시블선재(102)가 파이프(128)를 따라 기울면서 파이프(128)가 지지체(100)로부터 달아나지 못하도록 잡게 된다.
즉, 파이프(128)의 하단에 형성된 볼록한 관절(116)과 지지체(100) 상단에 형성된 오목부(114)는 파이프(128)가 기울어질 때 지지체(100)로부터 이탈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충돌한 차량이 후진하거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스프링(10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 있던 파이프(128)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원형을 회복하게 된다.
즉, 복원스프링(104)이 플렉시블선재(102)의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시트(118)에 지지된 채 파이프(128)를 항상 지지체(100)를 향해 당기고 있고, 지지체(100) 상단의 오목부(114)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파이프(128)가 복원스프링(10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파이프(128)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된 고휘도반사띠(122)(124)(126)는 야간에 파이프(128)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주간에도 원색컬러에 의해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이 충돌하거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관절이 꺾이면서 울타리 및 차량 충돌부위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넘어져 신체의 일부가 부딪치는 경우 복원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단에 고휘도반사띠가 설치된 경우 야간식별력을 향상시켜 야간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작동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다른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파이프 32,34,36 : 관절
50 : 미끄럼와셔 60 : 플렉시블선재
62,64 : 스프링시트 65 : 와이어
66,67 : 스터드볼트 68,69 : 예압너트
70,80 : 복원스프링

Claims (7)

  1. 파이프 중간을 분할하여 관절을 형성하고, 플렉시블선재를 관절의 중심으로 통과시켜 적어도 플렉시블선재의 한쪽단과 파이프 내측단 사이에 복원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은 그 접촉면이 한쪽은 볼록면이고, 반대편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에 오목한 접시형의 미끄럼와셔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은 구면(球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선재는 와이어의 양단에 스터드볼트를 압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에 예압너트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은 플렉시블선재의 끝에 설치되는 스프링시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KR20-2005-0013629U 2005-05-14 2005-05-14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KR200391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629U KR200391865Y1 (ko) 2005-05-14 2005-05-14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629U KR200391865Y1 (ko) 2005-05-14 2005-05-14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865Y1 true KR200391865Y1 (ko) 2005-08-09

Family

ID=4369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629U KR200391865Y1 (ko) 2005-05-14 2005-05-14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86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67B1 (ko) 2006-11-17 2007-10-18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가로형 볼라드
KR100919996B1 (ko) * 2009-04-13 2009-10-05 (주)아루미존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KR101047648B1 (ko) * 2010-08-17 2011-07-07 이원일 분리대
KR20160103345A (ko) * 2015-02-24 2016-09-01 서림산업(주)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CN110524574A (zh) * 2018-05-25 2019-12-03 长春工业大学 一种小型人工机械关节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67B1 (ko) 2006-11-17 2007-10-18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가로형 볼라드
KR100919996B1 (ko) * 2009-04-13 2009-10-05 (주)아루미존 와이어로프가 내장된 난간
KR101047648B1 (ko) * 2010-08-17 2011-07-07 이원일 분리대
KR20160103345A (ko) * 2015-02-24 2016-09-01 서림산업(주)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KR101694761B1 (ko) * 2015-02-24 2017-01-10 서림산업(주)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CN110524574A (zh) * 2018-05-25 2019-12-03 长春工业大学 一种小型人工机械关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865Y1 (ko)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ES2293860B1 (es) Sistema de anclaje fusible directo para poste de soporte de una barrera de seguridad o pretil en un terreno rigido.
KR20190032021A (ko) 다중 완충 기능을 갖는 도로 방호 펜스
KR101213761B1 (ko)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RU96985U1 (ru) Световозвращатель дорожный
JP2005299121A (ja) 侵入規制装置
KR100756544B1 (ko) 차선 규제봉
KR100536619B1 (ko) 차량용 안전지주
KR200390592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200316380Y1 (ko) 가드레일 완충구
KR200357786Y1 (ko) 교각충돌 방지장치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KR20140055618A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100092567A (ko) (볼라드) 차량진입 방지대
KR102123084B1 (ko) 충격흡수 및 보도침범 방지기능을 갖는 방호울타리
KR10073941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268167Y1 (ko) 낙하방지 기구를 갖춘 교량 및 고가도로
KR100541747B1 (ko) 실린더형 충격복원 차선 규제봉
JP2006161495A (ja) 柵柱
KR200313288Y1 (ko) 도로의 2중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2194393B1 (ko) 멀티 탄성 볼라드
RU163204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него бампера автомобиля
KR200316379Y1 (ko) 블록아웃고정 다중충격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