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93B1 - 멀티 탄성 볼라드 - Google Patents

멀티 탄성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393B1
KR102194393B1 KR1020190046516A KR20190046516A KR102194393B1 KR 102194393 B1 KR102194393 B1 KR 102194393B1 KR 1020190046516 A KR1020190046516 A KR 1020190046516A KR 20190046516 A KR20190046516 A KR 20190046516A KR 102194393 B1 KR102194393 B1 KR 10219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pport member
elastic member
rod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548A (ko
Inventor
왕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스틸
Priority to KR102019004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3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통체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탈착수단; 상기 지지부재에 입설되며,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는 기둥부재;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탄성 볼라드{MULTI ELASTIC BOLLARD}
본 발명은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강도에 따른 완충작용으로 차량의 인도 진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보행자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볼라드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보행자용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진입을 막는 장애물이다. 보통, 볼라드는 철제 기둥 모양이나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볼라드는 하부가 지반에 매립되거나 볼트 등으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추돌 등으로 인한 파손시 해체하여 교체하기가 쉽지 않고, 긴급 상황 발생시 해체가 용이하지 않아 차량 진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8690호에서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를 개시하여 위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은 구성요소를 이루는 부품들이 조립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제품 파손시 부분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부품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86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강도에 따른 완충작용으로 차량의 인도 진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함과 아울러 보행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탄성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라드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탄성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체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탈착수단; 상기 지지부재에 입설되며,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는 기둥부재;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체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탈착수단; 상기 지지부재에 입설되며,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는 기둥부재;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체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탈착수단; 상기 지지부재에 입설되며,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는 기둥부재;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압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부재의 강도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강도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강도에 따른 완충작용으로 차량의 인도 진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함과 아울러 보행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라드가 흔들거리지 않고 본래의 탄성을 유지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의 탄성 볼라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예의 탄성 볼라드를 나타낸 분리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일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B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일부 단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서 C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1자형의 기둥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1자형의 기둥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U자형의 기둥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U자형의 기둥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볼라드는 통체의 지지부재(1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는 개구된 상단(11)을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지중에 매립되거나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입설된다. 지지부재(10)는 하부에 받침부(12)를 형성하여 안정되게 입설될 수 있다. 지지부재(10)의 개구된 상단(11)에는 제1 및 제2 탈착부재(20)(30)로 이루어진 탈착수단이 설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는 하부에 폭이 좁은 다수개의 판들이 십(十)자 모양이나 방사상 모양으로 배열되거나 하나의 원판인 받침부(12)를 형성하여 안정되게 매립되어 입설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0)에는 제1 걸림돌기들(13)이 형성된다. 제1 걸림돌기들(13)은 지지부재(10)의 개구된 상단(11) 내주연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제1 탈착부재(20)는 지지부재(10) 위에 설치되어 탈착된다. 제1 탈착부재(20)가 지지부재(10)로부터 탈착되면, 기둥부재(70)가 1자형(도 12 및 도 13 참조)을 갖거나 U자형(도 14 및 도 15 참조)을 갖더라도, 제2 탈착부재(30), 로드부재(40), 제1 및 제2 지지부재(47)(48),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 기둥부재(70)가 제1 탈착부재(20)를 따라 지지부재(10)로부터 탈착되기 때문에, 기둥부재(70)가 어떤 형태를 갖더라도 제품 파손시 각 구성요소를 이루는 부품들의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탈착부재(20)는 지지부재(10)의 개구된 상단(11) 위에 적치되는 제1 원판체(21)와, 제1 원판체(2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10)의 개구된 상단(11)에 삽입되는 원통돌기(23)와, 원통돌기(23)의 외주연 하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제1 걸림돌기들(13)과 대응하는 제1 날개부들(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날개부들(25)이 제1 걸림돌기들(13) 사이에 끼워진 후 제1 걸림돌기들(13) 쪽으로 회전하여 제1 걸림돌기들(13)과 위아래로 일치함으로써 제1 걸림돌기들(13)에 걸려, 제1 탈착부재(20)가 지지부재(10)에 탈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들(25)은 제1 걸림돌기들(13)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제1 날개부들(25)이 제1 걸림돌기들(13) 사이로 끼워진 후 제1 원판체(21)가 회전됨으로써 제1 걸림돌기들(13) 쪽으로 회전되어 제1 걸림돌기들(13)과 위아래로 일치함으로써 제1 걸림돌기들(13)에 걸려, 제1 탈착부재(20)가 지지부재(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제1 원판체(21)가 반대로 회전됨으로써 제1 날개부들(25)이 반대로 회전되어 제1 걸림돌기들(13)과 어긋난 후 제1 걸림돌기들(13) 사이로 빠지면, 제1 탈착부재(20)가 지지부재(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원통돌기(23)의 외주연에는 제1 스토퍼(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7)는 각 제1 날개부들(25)의 일단부로부터 제1 원판체(21)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 원판체(21)와 제1 날개부들(25) 사이에 위치한다. 제1 걸림돌기들(13)은 제1 원판체(21)와 제1 날개부들(25)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1 날개부들(25)을 걸며, 제1 원판체(21)가 회전하는 동안 제1 스토퍼(27)가 제1 걸림돌기들(13)에 걸리면 제1 날개부들(25)의 회전은 중단되고 제1 날개부들(25)이 제1 걸림돌기들(13)과 위아래로 일치하게 된다.
삭제
제1 날개부들(25)의 회전이 제1 스토퍼(27)에 걸림으로써 멈춰 제1 걸림돌기들(13)에 걸리면, 구멍들(29)(15)이 일치되고, 고정구(36)가 구멍들(29)(15)을 관통하여 끼워지면, 제1 원판체(21)의 회전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1 원판체(21)가 회전됨으로써 제1 걸림돌기들(13)에 걸린 제1 날개부들(25)이 풀리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2 탈착부재(30)는 제1 탈착부재(20)의 제1 원판체(21) 위에 적치되며, 기둥부재(70)가 제2 탈착부재(30)에 탈착되게 결합되어 지지부재(10) 위에 입설됨으로써 볼라드를 형성하며, 상기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70)가 도 1 내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1자형이면 1자형의 볼라드가 형성되고,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이면 U자형의 볼라드가 형성된다.
제2 탈착부재(30)는 제1 원판체(21) 위에 적치되는 제2 원판체(31)와, 제2 원판체(31)의 외주연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제2 날개부들(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원판체(21)의 상부 및 제2 원판체(31)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끼움돌기(28)와 끼움홈(37)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끼움돌기(28)에 끼워진 끼움홈(37)에 의해, 제2 원판체(31)가 제1 원판체(21) 위에 안정되게 적치될 수 있다.
로드부재(40)는 제1 및 제2 탈착부재(20)(3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1 및 제2 탈착부재(20)(30)를 이루는 제1 및 제2 원판체(21)(31)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로드부재(40)가 그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로드부재(40)는 제1 및 제2 탈착부재(20)(30)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단(41a)이 제2 탈착부재(30)에 고정됨으로써 기둥부재(70)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42a)은 지지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로드부재(40)는 전체 길이가 나사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사봉 중간을 체인으로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체인과 나사봉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드부재(40)는 너트 등 나사 결합으로 제2 탈착부재(30)에 고정될 수 있고, 용접 등을 통하여 제2 탈착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재(40)는 일단(41a)에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제2 탈착부재(30)에 고정될 수 있고, 로드부재(40)의 중간이 체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로드부재(40)는 일단(41a)을 이루는 나사봉부(41)와, 타단(42a)을 이루는 나사봉부(42)와, 나사봉부들(41)(42)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부(4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은 로드부재(40)는 제2 원판체(31)를 관통하여 돌출된 나사봉부(41)에 너트를 결합하여 제2 탈착부재(3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인부(43)와 나사봉부(42)로 이루어진 경우, 체인부(43)가 제2 원판체(31)에 직접 또는 금속부재를 개재하여 용접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유연성을 갖는 체인부(43)는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충돌로 인한 외력에 따라 기둥부재(70)가 충분히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고, 기둥부재(70)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이 완충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예를 들면, 고속 또는 중량의 차량이 추돌함으로 인해 강한 외력의 작용시 기둥부재(70)는 유연한 체인부(43)로 인해 수직 상태에서 바닥을 향해 거의 90°가까히 기울어질 수 있고, 그 충격은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이 수축되면서 완충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의 복원력으로 인해 기둥부재(70)가 부러지지 않고 온전한 상태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수직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기존 제품들 처럼 30°이상 기울어지면 부러져 파손되는 문제가 해소되어 제품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은 압축 스프링 형태를 가지며, 로드부재(40)의 축상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제1 탄성부재(51)는 지지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40)의 축상에 설치되고, 제2 탄성부재(53)는 제1 탄성부재(51)의 내부에 위치하여 로드부재(40)의 축상에 설치되고, 제3 탄성부재(55)는 로드부재(40)의 일단(41a)에 설치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53)는 제1 탄성부재(51) 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으며, 제1 탄성부재(5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면 제1 탄성부재(51)로부터 단차(d)진다(도 3 참조).
로드부재(40)는 타단(42a)에 제1 지지부재(47)를 설치하여 축상에 설치된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51)(53)을 지지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47)는 중앙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여 로드부재(40)의 타단(42a)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그 아래로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제1 및 제2 탄성부재들(51)(5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51)는 제1 탈착부재(20)의 제1 원판체(21)와 제1 지지부재(47) 사이에 견고히 고정되고, 제1 탄성부재(51)에 삽입 설치된 제2 탄성부재(53)는 제1 지지부재(47) 위에 놓여 로드부재(40)를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한다.
로드부재(40)의 일단(41a)에 설치된 제3 탄성부재(55)는 제2 지지부재(48)의 지지를 받는다. 제3 탄성부재(55)는 제2 탈착부재(30)의 제2 원판체(31)와 제2 지지부재(48)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한다. 로드부재(40)의 일단(41a)에는 와셔와 너트가 결합되어 제2 지지부재(48)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원판체(31)와 제3 탄성부재(55)와의 사이에 판체를 개재하여 서로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48)는 중앙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여 로드부재(40)의 일단(41a)에 나사 결합되어 제3 탄성부재(55)를 지지할 수 있고, 그 위로 너트와 와셔를 결합하여 제3 탄성부재(55)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55)는 제2 지지부재(48) 또는 너트를 조여 하강시킴으로써 제2 원판체(31)와 제2 지지부재(48) 사이에서 일정 부분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 때문에 기둥부재(70)가 압축된 제3 탄성부재(55)로 인해 탄탄하게 긴장된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보행자가 기둥부재(70)를 밀거나 기둥부재(70)에 기대더라도 압축된 제3 탄성부재(55)로 인해 기둥부재(70)가 쉽게 기울어지지(꺽이지) 않아 보행자가 갑자기 넘어져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탄성부재(55)는 피치(P)의 길이가 10 내지 50% 이하의 범위에서 단축되도록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제3 탄성부재(55)의 피치(P)의 길이가 10% 미만 단축되도록 압축되면 탄성이 약해 보행자가 기둥부재(70)를 밀거나 기둥부재(70)에 기댈시 쉽게 꺽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고, 제3 탄성부재(55)의 피치(P)의 길이가 50% 초과하여 단축되도록 압축되면 탄성이 강해 자전거나 킥보드 등 저속 물체가 기둥부재(70)에 추돌했을 시 기둥부재(70)가 꺽이지지 않아 오히려 자전거나 킥보드 등을 타는 사람이 다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재(70)를 밀거나 기대는 등 그 이상의 충격이 가해져 기둥부재(70)가 기울어지면, 로드부재(40)도 밀려 기울어지고, 제3 탄성부재(55)가 압축되어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이 완충된다.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이 강해 제3 탄성부재(55)의 탄성을 넘어 기둥부재(70)가 더 기울어지면, 제1 탄성부재(51)도 압축되어 제1 및 제3 탄성부재들(51)(55)이 동시에 완충함으로써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이 완충된다. 제1 및 제3 탄성부재들(51)(55)의 동시 압축은 단차(d) 길이 만큼 계속되며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이 완충된다.
기둥부재(70)에 더 강한 충격이 가해져 제1 탄성부재(51)가 단차(d) 길이 만큼 수축되면, 제2 탄성부재(53)의 상단이 제1 탈착부재(20)의 제1 원판체(21)에 접하고, 기둥부재(70)가 크게 기울어져 제1 탄성부재(51)의 수축이 단차(d) 길이를 초과하면,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51)(53)(55)가 동시에 압축됨으로써 큰 탄성력이 발휘되어,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이 효과적으로 완충된다.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이 제거되면, 상기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의 복원력으로 인해 기둥부재(7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수직 상태를 이루며, 바닥을 향해 거의 90°근접하게 기울어져도 부러져 파손되지 않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부재(70)에 가해진 충격 강도에 따라, 제3 탄성부재(55)의 단독 완충, 제1 및 제3 탄성부재들(51)(55)의 동시 완충,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의 동시 완충이 순차로 일어남으로써, 차량의 인도 진입이 효과적으로 방어될 수 있고, 보행자 충돌시 안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제품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보행자가 기둥부재(70)를 밀거나 기둥부재(70)에 기대더라도 압축된 제3 탄성부재(55)로 인해 기둥부재(70)가 긴장된 상태를 이루어 쉽게 꺽이지 않아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자전거나 킥보드 등 저속 물체가 추돌했을 시 제3 탄성부재(55)가 단독 완충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저속 차량의 추돌로 인한 충격은 제1 및 제3 탄성부재(51)(55)가 단차(d) 길이 내에서 동시에 압축되어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인도 진입이 방어되고, 그 이상의 충격은 제1 내지 제3 탄성부재들(51)(53)(55)이 동시에 압축되어 완충함으로써 차량의 인도 진입이 효과적으로 방어되고 제품이 파손되지 않고 보호된다.
탄성은 제1 탄성부재(51)>제2 탄성부재(53)>제3 탄성부재(53) 순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며, 제3 탄성부재(55)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비교적 가벼운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 외에 충격을 받은 후에도 기둥부재(70)가 흔들거리지 않고 본래의 탄성을 유지하며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3 탄성부재(55)는 그 강도가 제1 탄성부재(51)의 강도 보다 큰 것임 바람직하다. 강도는 탄성의 범위를 벗어나기 시작하는(소성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응력을 말하며, 소성변형이 일어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51)가 기둥부재(70)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소성변형이 일어나 그 길이가 짧아진다 하더라도, 제3 탄성부재(51)가 탄성을 유지하며 기둥부재(70)를 지지하기 때문에, 기둥부재(70)가 흔들거리지 않고 본래의 탄성을 유지하며 탄탄하게 입설될 수 있고, 이 때문에 보행자가 기둥부재(70)에 기대거나 기둥부재(70)를 밀어도 기둥부재(70)가 쉽게 꺽이지 않아 보행자가 갑자기 넘어져 다치는 등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 탄성부재(55)는 제1 지지부재(47)의 아래로 로드부재(40)의 타단(42a)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48) 또는 제2 지지부재(48) 아래에 나사 결합된 너트를 조여 제3 탄성부재(55)의 압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로드부재(40)의 타단(42a)에 설치된 제3 탄성부재(55)는 제1 지지부재(4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제1 지지부재(47)의 풀림 등을 방지함으로써, 제1 지지부재(47)가 제1 및 제2 탄성부재(51)(53)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3 탄성부재(55)는 로드부재(40)의 일단(41a) 및 타단(42a) 모두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더 견고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만약 로드부재(40)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된 제3 탄성부재(55)의 기능이 상실되어도 다른 한 곳에 설치된 제3 탄성부재(55)가 지속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품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크게 확보된다.
기둥부재(70)는 1자 또는 U자 등 형태를 갖는 통형상을 이루어 차량 진입을 차단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1자형의 기둥부재(70)는 1개의 지지부재(10) 위로 적치되어 차량 진입을 차단하고,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기둥부재(70)는 단부들이 2개의 지지부재(10) 위로 각각 적치되어 차량 진입을 차단한다.
기둥부재(70)는 일단이 개구되고, 그 개구된 일단이 제2 탈착부재(30)와 탈착되게 결합되며, 제2 탈착부재(30)를 내장한다. 예를 들면, 기둥부재(70)의 개구된 일단의 내주연에는 제2 날개부들(33)과 대응하는 제2 걸림돌기들(7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걸림돌기들(71)이 제2 날개부들(33) 사이에 끼워진 후 제2 날개부들(33) 쪽으로 회전하여 제2 날개부들(33)과 위아래로 일치함으로써 제2 날개부들(33)에 걸려, 기둥부재(70)가 제2 탈착부재(30)에 분리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걸림돌기들(71)은 제2 날개부들(33) 사이로 끼워진 후 제2 날개부들(33) 쪽으로 회전되어 제1 날개부들(33)과 위아래로 일치함으로써 제2 날개부들(33)에 걸려, 기둥부재(70)가 제2 탈착부재(3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제2 걸림돌기들(71)이 반대로 회전되어 제2 날개부들(33)과 어긋난 후 제2 날개부들(33) 사이로 빠지면, 기둥부재(70)가 제2 탈착부재(3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제2 원판체(31)의 외주연에는 제2 스토퍼(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4)는 각 제2 날개부들(33)의 어느 하나의 단부 아래에 돌출 형성되어 제2 걸림돌기들(71)이 제2 날개부들(33)과 위아래로 일치하도록 제2 걸림돌기들(7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2 걸림돌기들(71)이 제2 스토퍼(34)에 걸려 회전이 멈추면 제2 날개부들(23)과 위아래로 일치하여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원판체(31)의 외주연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35)과, 기둥부재(7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홈(35)과 대응하는 고정홀(73)과, 고정홀(73)을 관통하여 고정홈(35)에 끼워져 제2 날개부들(33)에 걸린 제2 걸림돌기들(71)이 풀리지 않도록 기둥부재(70)의 회전을 막는 고정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들(71)의 회전이 제2 스토퍼(34)에 걸림으로써 멈춰 제2 날개부들(33)에 걸리면, 고정홈(35)과 고정홀(73)이 일치되고,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75)가 고정홀(73)을 관통하여 고정홈(35)에 끼워지면, 기둥부재(70)의 회전이 차단되기 때문에, 기둥부재(70)가 회전됨으로써 제2 날개부들(33)에 걸린 제2 걸림돌기들(71)이 풀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기둥부재(70)에는 완충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10)는 반사판 등 식별력을 갖는 부착물을 부착하여 사용성을 더 증진시킬 수 있고,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차량이나 보행자가 부딪혔을 때에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상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강도에 따른 완충작용으로 차량의 인도 진입이 효과적으로 방어됨과 아울러 보행자의 안전이 크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을 받은 후에도 볼라드가 흔들거리지 않고 본래의 탄성이 유지되어 보행자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부재 11: 개구된 상단
13: 제1 걸림돌기 20: 제1 탈착부재
21: 제1 원판체 23: 원통돌기
25: 제1 날개부 27: 제1 스토퍼
28: 끼움돌기 30: 제2 탈착부재
31: 제2 원판체 33: 제2 날개부
34: 제2 스토퍼 35: 고정홈
37: 끼움홈 40: 로드부재
41,42: 나사봉부 43: 체인부
47: 제1 지지부재 48: 제2 지지부재
51: 제1 탄성부재 53: 제2 탄성부재
55: 제3 탄성부재 70: 기둥부재
71: 제2 걸림돌기 73: 고정홀
75: 고정구 110: 완충부재

Claims (5)

  1. 삭제
  2. 통체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탈착수단;
    상기 지지부재에 입설되며,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는 기둥부재;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탄성 볼라드.
  3. 통체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탈착수단;
    상기 지지부재에 입설되며,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는 기둥부재;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기둥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재의 축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보다 직경과 길이가 짧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탄성 볼라드.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압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볼라드.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부재의 강도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강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볼라드.
KR1020190046516A 2019-04-22 2019-04-22 멀티 탄성 볼라드 KR10219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16A KR102194393B1 (ko) 2019-04-22 2019-04-22 멀티 탄성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16A KR102194393B1 (ko) 2019-04-22 2019-04-22 멀티 탄성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48A KR20200123548A (ko) 2020-10-30
KR102194393B1 true KR102194393B1 (ko) 2020-12-23

Family

ID=7304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516A KR102194393B1 (ko) 2019-04-22 2019-04-22 멀티 탄성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3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1094A1 (en) * 2015-07-02 2017-01-05 Young Il OH Safety fence support device with flexibility
KR101898690B1 (ko) * 2017-12-08 2018-09-14 주식회사 킹스틸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1094A1 (en) * 2015-07-02 2017-01-05 Young Il OH Safety fence support device with flexibility
KR101898690B1 (ko) * 2017-12-08 2018-09-14 주식회사 킹스틸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48A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95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US8444343B2 (en) Impact-absorbing anchoring assembly for protective barrier
KR100590118B1 (ko) 교량 상단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213761B1 (ko)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KR102194393B1 (ko) 멀티 탄성 볼라드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716195B1 (ko) 방호울타리
KR200391865Y1 (ko)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778299B1 (ko) 희생부재를 구비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연결장치
KR101473818B1 (ko) 충격흡수식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2123084B1 (ko) 충격흡수 및 보도침범 방지기능을 갖는 방호울타리
KR200316380Y1 (ko) 가드레일 완충구
KR20040028894A (ko) 차량용 안전지주
KR102172917B1 (ko) 교통규제봉
KR100942674B1 (ko) 방호 울타리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KR101974389B1 (ko) 충격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완충작용을 하는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KR20230037976A (ko) 교량의 안전난간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101223748B1 (ko) 차량진입방지대
KR101112124B1 (ko) 자전거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553459B1 (ko) 조립식 도로난간
KR101694761B1 (ko)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