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761B1 -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761B1
KR101694761B1 KR1020150025730A KR20150025730A KR101694761B1 KR 101694761 B1 KR101694761 B1 KR 101694761B1 KR 1020150025730 A KR1020150025730 A KR 1020150025730A KR 20150025730 A KR20150025730 A KR 20150025730A KR 101694761 B1 KR101694761 B1 KR 10169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rack
tubular clamp
clamp
colum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345A (ko
Inventor
장재형
Original Assignee
서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림산업(주) filed Critical 서림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2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7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랙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을 미리 흡수하여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 줄 수 있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랙으로부터 이격하여 바닥상에 세워 설치되는 컬럼부재;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관형 클램프;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를 상부면에 안착시켜 지지하며, 하부면은 바닥에 접촉 배치되며, 중심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관형 클램프를 관통하여 바닥에 고정되되,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함께 고정시키는 플랜지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클램프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컬럼부재 삽입구를 구비하는 관형 몸체와,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형 몸체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된 외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컬럼부재 삽입구를 통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된 후, 상기 다수의 나사 체결공을 이용하여 다수의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관형 몸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POLE TYPE PROTECTOR FOR PROTECTION OF RA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랙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을 미리 흡수하여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 줄 수 있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창고, 창고 매장 등에서 박스, 팔레트 단위의 상품을 효과적으로 진열 판매하거나 또는 물류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랙 구조물(이하, 간략히 '랙'이라 함)이 이용된다.
랙(Rack)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랙 포스트(Post)와, 포스트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로드 빔(Load Beam)과, 로드 빔 사이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이 빔(Tie Beam) 등의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랙은 설치 목적에 따라 복잡하고 견고한 구조로 설치되는데, 만일 랙 주변을 주행하는 이동수단과의 충돌이 유발되었을 때,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랙 주변을 주행하는 이동수단이 정해진 주행경로를 벗어나 랙을 향하여 충돌하였을 경우에도 랙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6162호(공고일, 2013년 8월 1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랙 포스트 보호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설정 범위 내에서 탄성 거동이 나타나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랙으로부터 이격하여 바닥상에 세워 설치되는 컬럼부재;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관형 클램프;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를 상부면에 안착시켜 지지하며, 하부면은 바닥에 접촉 배치되며, 중심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관형 클램프를 관통하여 바닥에 고정되되,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함께 고정시키는 플랜지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클램프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컬럼부재 삽입구를 구비하는 관형 몸체와,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형 몸체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된 외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컬럼부재 삽입구를 통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된 후, 상기 다수의 나사 체결공을 이용하여 다수의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관형 몸체를 고정하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상부면과 지면에 접촉하는 하부면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면 외경 크기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하부면 외경 크기는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면에 비해 크게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형 지지부재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외경 연장부를 걸림 고정시키는 단차부가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커버와, 상기 상단커버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바닥지면을 향해 다수의 고정볼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는 하단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커버와 상기 하단고정플레이트 사이에서 구조 보강을 위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이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컬럼부재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펜스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가로 연결부재의 길이 내측에는 상기 컬럼부재의 유동에 연동하여 길이 신축 조절이 이루어지는 신축부재가 구비되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설정 범위 내에서 탄성 거동이 나타나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랙의 주변을 따라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충격이 가해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가로 연결부재를 설치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가로 연결부재의 길이 내측에 신축부재를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가로 연결부재를 복수 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이하, 간략히 '폴 타입 프로텍터'라 함)100)는 컬럼부재(110), 관형 클램프(120), 충격흡수부재(130, 도 2 참조), 그리고 플랜지형 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100)를 구성하는 컬럼부재(110), 관형 클램프(120), 충격흡수부재(130), 플랜지형 지지부재(1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컬럼부재(110)는 바닥(즉, 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는 부재이다.
상기 컬럼부재(110)의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컬럼부재(110)의 상단에는 탈부착 방식의 캡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라운드형상으로 캡이 없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 클램프(120)는 상기 컬럼부재(11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켜주는 부재에 해당한다.
상기 관형클램프는 그 세부 구성으로 관형 몸체(121)와 외경 연장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형 몸체(121)는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형 몸체(121)의 내측 중심에는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도 2의 도면부호 111)가 삽입되는 컬럼부재 삽입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형 몸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나사 체결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컬럼부재 삽입구(122)를 통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111)가 삽입된 다음, 상기 다수의 나사 체결공(123)을 통해 다수의 나사(B)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컬럼부재(110)와 상기 관형 몸체(121)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컬럼부재(110)를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또는 신품으로 교체 장착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상기 다수의 나사(B)를 풀어 상기 컬럼부재(110)의 설치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30)는 상부면을 통해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하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하며, 하부면은 지면 상에 접촉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부재이다. 예컨대, 탄성고무, 기타 탄성 재질의 다양한 복합재료, 스프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30)는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상부면(133)과 지면에 접촉하는 하부면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면(133)의 외경 크기는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하단부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면의 외경 크기는 상부면에 비해 크게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관형 클램프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면서도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촉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부재(130)의 중심 방향을 따라서는 내부 중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재(130)는 부위별로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는다. 예컨대, 충격흡수부재(130)의 상단 부위의 경우 탄성 변형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재(130)의 하단 부위의 경우 탄성 변형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컬럼부재(110) 및 관형 클램프(120)로부터 전달된 외부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30)는 허니컴(honeycomb) 형태의 내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역시 충격 흡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30)는 스프링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전술된 소재에 스프링이 내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플랜지형 지지부재(140)는 상기 관형 클램프(120)를 관통하여 지면 상에 고정되되,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하단부와 상기 충격흡수부재(130)를 함께 고정시키는 부재에 해당한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플렌지형 지지부재는(140) 독창적인 원형 형태의 디자인으로 어떠한 방향의 충격도 잘 흡수 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150)의 위치도 선별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형 지지부재(140)는 상단커버(141)와 하단고정플레이트(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커버(141)의 상단에는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외경 연장부(125)를 걸림 고정시키는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형 몸체(121)는 상기 상단커버(141)의 중공을 통해 상향 돌출되는 반면, 상기 관형 클램프(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외경 연장부(125)는 상기 단차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단고정플레이트(145)는 상기 상단커버(14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고정플레이트(145)는 지면을 향해 다수의 고정볼트(150)를 체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 체결공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커버(141)와 상기 하단고정플레이트(145) 사이에는 구조 보강을 위해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이음부(1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이음부(145)는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컬럼부재(110), 관형 클램프(120), 충격흡수부재(130) 및 플랜지형 지지부재(140)가 지면(G) 위로 설치된 모습은 도 3의 단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충격이 가해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100)는 지면(G) 위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장, 창고 등의 각종 시설물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로 등에 설치되어 보행자 및 차량의 운행 상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100)에 외부 충격, 즉 외력(F)이 작용한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상기 컬럼부재(110) 쪽에 외력(F)이 가해질 경우, 상기 컬럼부재(110)가 고정된 관형 클램프(120)는 플랜지형 지지부재(140)내에 구속된 상태에서 하측의 충격흡수부재(130)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컬럼부재(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 컬럼부재(110)는 상기 충격흡수부재(130)의 탄성 거동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유동이 자유롭게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충격을 받아 부분 또는 전체적인 파손이 유발되거나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신품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100)는 펜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가로 연결부재를 설치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한 쌍의 컬럼부재들(110)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 연결부재(210)를 포함하여 펜스 형태의 폴 타입 프로텍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연결부재(210)가 상기 한 쌍의 컬럼부재들(110) 상단에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특정 형태로 제한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결속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가로 연결부재의 길이 내측에 신축부재를 구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을 통해 설명한 가로 연결부재(210)에는 신축부재(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220)는 상기 가로 연결부재(210)의 길이 내측에 구비되며, 횡 방향으로 길이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한 부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신축부재(220)의 길이 신축 기능에 따라, 상기 컬럼부재들(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구조적인 파단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가로 연결부재를 복수 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가로 연결부재(210, 211)가 상기 컬럼부재들(110)의 상단과 중앙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들 각각의 가로 연결부재(210, 211)의 길이 내측에는 전술한 신축부재(220)가 적어도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컬럼부재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구조적인 파단이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설정 범위 내에서 탄성 거동이 나타나 랙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랙의 주변을 따라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G: 바닥
100: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110: 컬럼부재
111: 컬럼부재 하단부
120: 관형 클램프
121: 클램프 몸체
122: 컬럼부재 삽입구
123: 나사 체결공
125: 외경 연장부
130: 충격흡수부재
131: 내부중공
133: 충격흡수부재의 상부면
140: 플랜지형 지지부재
141: 상단커버
143: 경사이음부
145: 하단고정플레이트
147: 고정볼트 체결공
150: 고정볼트
200: 펜스 형태의 폴 타입 프로텍터
210: 가로 연결부재
220: 신축부재

Claims (4)

  1. 랙으로부터 이격하여 바닥상에 세워 설치되는 컬럼부재와,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관형 클램프와,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를 상부면에 안착시켜 지지하며, 하부면은 바닥에 접촉 배치되며, 중심방향을 따라 내부 중공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관형 클램프를 관통하여 바닥에 고정되되,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함께 고정시키는 플랜지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클램프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컬럼부재 삽입구를 구비하는 관형 몸체와,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형 몸체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된 외경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컬럼부재 삽입구를 통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된 후, 상기 다수의 나사 체결공을 이용하여 다수의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컬럼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관형 몸체를 고정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상부면과 지면에 접촉하는 하부면이 각각 평탄하게 형성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면 외경 크기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하단부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하부면 외경 크기는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면에 비해 크게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형 지지부재는, 상기 관형 클램프의 외경 연장부를 걸림 고정시키는 단차부가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커버와, 상기 상단커버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바닥지면을 향해 다수의 고정볼트를 체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 체결공을 구비하는 하단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커버와 상기 하단고정플레이트 사이에서 구조 보강을 위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이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컬럼부재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펜스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가로 연결부재의 길이 내측에는 상기 컬럼부재의 유동에 연동하여 길이 신축 조절이 이루어지는 신축부재가 구비되는,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KR1020150025730A 2015-02-24 2015-02-24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KR10169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30A KR101694761B1 (ko) 2015-02-24 2015-02-24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30A KR101694761B1 (ko) 2015-02-24 2015-02-24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45A KR20160103345A (ko) 2016-09-01
KR101694761B1 true KR101694761B1 (ko) 2017-01-10

Family

ID=5694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730A KR101694761B1 (ko) 2015-02-24 2015-02-24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974B1 (ko) * 2022-10-21 2023-02-20 장정은 볼라드 펜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096Y1 (ko) * 2001-06-23 2001-10-17 최창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334963Y1 (ko) * 2003-08-18 2003-12-03 박우희 행거포스트
KR200391865Y1 (ko) * 2005-05-14 2005-08-09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US20100254761A1 (en) * 2008-05-12 2010-10-07 Wheeler Jr Dale Owen Surface mount traffic channeliz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096Y1 (ko) * 2001-06-23 2001-10-17 최창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334963Y1 (ko) * 2003-08-18 2003-12-03 박우희 행거포스트
KR200391865Y1 (ko) * 2005-05-14 2005-08-09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US20100254761A1 (en) * 2008-05-12 2010-10-07 Wheeler Jr Dale Owen Surface mount traffic channe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45A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065B1 (ko) 이중 방호벽
JP2015094100A (ja) ガードレール端末部緩衝袖ビーム
KR101913838B1 (ko) 휀스
KR20190032021A (ko) 다중 완충 기능을 갖는 도로 방호 펜스
KR101694761B1 (ko) 랙 보호를 위한 폴 타입 프로텍터
KR20170079867A (ko) 휀스
CA2965816C (en) Pole type protector for rack protection
US10457481B2 (en) Structure protector
KR101334279B1 (ko)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EP4357528A1 (en) Bollard fence
JP6215431B1 (ja) ラックを保護するためのポールタイププロテクター
KR10129472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898690B1 (ko)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KR101429983B1 (ko) 충격흡수구조
KR100908328B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102453375B1 (ko) 경계 장벽
CN210623478U (zh) 用于保护货架的杆式保护装置
KR101825050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20180115132A (ko)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KR102127948B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101884192B1 (ko) 탄성 볼라드
KR101103391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2194393B1 (ko) 멀티 탄성 볼라드
KR101112124B1 (ko) 자전거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KR101669595B1 (ko) 방향유도부재가 구비된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