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712Y1 -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712Y1
KR200366712Y1 KR20-2004-0022612U KR20040022612U KR200366712Y1 KR 200366712 Y1 KR200366712 Y1 KR 200366712Y1 KR 20040022612 U KR20040022612 U KR 20040022612U KR 200366712 Y1 KR200366712 Y1 KR 200366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late
rearview mirror
hous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20-2004-0022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712Y1/ko
Priority to PCT/KR2005/000511 priority patent/WO2006016736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고정구를 갖고 프런트 측면유리를 갖는 측면도어에 고정된 아웃사이드 백미러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고정구 상부 내측면에 하우징를 갖는 작동장공과, 긴 판체로 하우징에 위치되고 일단이 작동모터에 의해 확장되고 절첩되는 다수개의 빗물방지판을 구비하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백미러에 맺히는 빗물뿐만 아니라 측면유리의 빗물도 차단할 수 있어 운전자가 측면유리를 통해 후방측을 주시할 수 있고, 일정시간 경과후 변질되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손쉽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교체비용이나 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rainwater visor of outside back mirro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백미러와 프런트 도어에 걸쳐서 장착되는 빗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드 백미러에 맺히는 빗물뿐만 아니라 측면유리의 빗물도 차단할 수 있어 운전자가 측면유리를 통해 후방측을 주시할 수 있고, 일정시간 경과후 변질되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손쉽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교체비용이나 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백미러(outside back mirror)는 자동차용의 후사경(後寫鏡)으로, 정확하게는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라고 한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는 항상 앞을 주시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동시에 후속차(後續車)에도 주의해야 한다. 그래서 앞을 향한 자세로 뒤쪽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백미러이다. 현재 한국의 자동차 보안기준으로는 차실내에 1개, 좌우 펜더 위에 각 1개씩 3개의 백미러를 비치하고, 뒤쪽 50m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타고 다니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왼쪽은 평면 거울로 오른쪽은볼록 거울로 되어 있다. 오른쪽이 볼록인 이유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근래에는 소형차들도 옵션사양이던 전동식 미러를 기본사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추세이다. 전동식 미러 구조는 회전 중심을 축으로 두개의 모터가 달려 있으며 각기 좌우회전 모터와 상하 회전 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간단한 구조이다.
이런 차량의 사이드 백미러로, 백미러의 배면부 전제가 삽입되는 요입부를 가지면서 유리면 일정부위까지 덮어주는 덮개부가 절곡형성된 빗물차단기에 있어서, 도어 유리문 상부면을 따라 일정부위까지 덮어주는 덮개부로부터 절곡된 플랜지형상의 부착부의 저면에 고무 흡착판이 형성되어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백미러용 빗물차단기"가 공개특허 제1997-38301호로 1997년 7월 24일자 공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고안은 덮개부는 합성수지 재질의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운전자가 사이드 백미러를 주시하기 위해서는 투명재질인 덮개부를 통해서 주시하게 되나,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인 덮개부는 일정기간이 경과된 후에는 직사광선에 의해 점차로 불투명하게 변질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경과후 정기적으로 덮개부를 교체하여야 하는 바, 교체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차량의 주행시 덮개를 차량에 부착시키는 흡착판의 흡착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공기저항력에 의해 덮개가 차량에서 분리되어 사이드 백미러의 주시를 방해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추운 겨울철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측에 눈이 적설되어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하우징에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 하우징의 상면 후방부에 내설되고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 하우징의 전면 상부 중앙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소정간격으로 돌설되고 삽입공이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삽입공과 대응되게 끼움공이 형성된 다수의 돌부가 일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돌설되고, 상기 돌부의 일단부 저면에는 요홈에 걸리는 탄성을 갖는 처짐방지편이 형성되며 타단 일면에는 걸림홈에 형성된 걸림턱에 괘해정되도록 걸림부가 돌설된 걸림편을 구비한 차단판과, 상기 힌지부의 삽입공과 상기 돌부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져 차단판을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연결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용 빗물 차단장치"가 1998년 6월 25일자 특허공개 제1998-21512호로 공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발명은 아웃사이드 백미러에 맺히는 빗물은 방지할 수 있을지 몰라도 운전자나 조수석의 측면유리에 맺힌 빗물은 방지할 수 없어 결국 측면유리를 통해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주시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백미러에 맺히는 빗물뿐만 아니라 측면유리의 빗물도 차단할 수 있어 운전자가 측면유리를 통해 후방측을 주시할 수 있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일정시간 경과후 변질되거나 외부충격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손쉽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교체비용이나 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요부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펼쳐진 상태의 요부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절첩된 모습의 보관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절첩된 상태의 요부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빗물방지판 11 : 구동판
12 : 고정판 13 : 작동판
20 : 작동모터 21 : 모터축
22 : 고정축 30 : 아웃사이드 백미러
31 : 삽입장홈 32 : 고정구
40 : 프런트 측면도어 41 : 측면유리
42 : 하우징 43 : 작동장공
a : 펼침돌기 b : 절첩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프런트 측면도어의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측에 작동장공이 설치된 하우징과, 긴 판체로서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작동모터에 의해 아웃사이드 백밀러 상단까지 부챗살 모양으로 확장되는 다수개의 빗물방지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빗물방지판은 일단이 작동모터의 모터축에 축고정되어 작공모터 작동시 제일 먼저 외부로 펼쳐지는 구동판과; 일단이 하우징 내부의 고정축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과; 구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단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펼침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펼침돌기의 반대편 외측단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절첩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작동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작동모터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며,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펼쳐진 상태의 요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절첩된 모습의 보관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빗물방지판이 절첩된 상태의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는,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고정구(32)를 갖고 측면유리(41)를 갖는 프런트 측면도어(40)에 고정된 아웃사이드 백미러(30)의 상부 창문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으로, 일 측면에 작동장공(43)이 설치된 하우징(42)과, 긴 판체로 하우징(42)에 위치되고 일단이 작동모터(20)에 의해 부챗살 모양으로 확장되고 절첩되는 다수개의 빗물방지판(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빗물방지판(10)은 녹슬지 않는 금속박판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박판으로, 일단이 작동모터(20)의 모터축(21)에 축고정되어 작동모터(20)의 작동시 작동장공(43)을 통해 제일 먼저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판(11)과, 일단이 하우징(42)의 내측의 고정축(22)에 축고정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항상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판(12)과, 구동판(11)과 고정판(12) 사이에 위치되어 일단이 고정축(22)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구동판(11)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펼쳐지는 다수개의 작동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빗물방지판(10)은 내측단에 걸쳐 전방측으로 돌출된 펼침돌기(a)가 형성되고 펼침돌기(a)의 반대편 외측단에는 걸쳐 후방측으로 돌출된 절첩돌기(b)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백미러(30)의 상단에는 빗물방지판(10)의 확장시 그 선단이삽입되는 삽입장홈(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프런트 측면유리(40)의 아웃사이드 백미러(30) 상측에 위치된 작동장공(43) 내측의 하우징(42)에 본 고안의 빗물방지판(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게 된다.
차량의 주행중 빗물이 내리게 되면, 운전자는 스위치(도시않음)를 작동시켜서 작동장공(43)의 작동모터(20)를 구동시키고, 작동모터(20)의 모터축(21)에 축고정된 구동판(11)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펼쳐지면서 구동판(11)의 선단은 아웃사이드 백미러(30) 상단의 삽입장공(31) 내측에 안착되어 공기저항에 의해 유동됨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공지저항에 의해 빗물방지판(10)의 유동을 보다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구동판(11)의 선단이나 삽입장홈(31)의 내측면에 금속부재나 자석부재를 장착하여 자력에 의해 결합을 보다 강화시킬 수도 있다.
모터축(21)에 의해 빗물방지판(10)의 구동판(11)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구동판(11)의 내측선단에 차량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펼침돌기(a)는 작동판(13)의 외측선단에 차량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절첩돌기(b)에 접촉되어 구동판(11)과 인접된 작동판(13)을 같이 끌고 외부로 돌출되는 바, 이런 방식으로 다수개의 작동판(13)은 펼침돌기(a)와 절첩돌기(b)에 의해 맞물려서 작동장공(43)을 통해 도 3과 같이 외측으로 펼쳐져서 돌출된다.
이때, 빗물방지판(10) 중 작동판(13)의 일측단은 하우징(42) 내측에서 고정축(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고정판(12)은 고정축(22)에 의해 축고정되어 하우징(42)상에 위치되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빗물방지판(10)은 펼쳐져서 일단이 아웃사이드 백미러(30)의 상단 삽입장홈(31)에 안착되고 타단이 프런트 측면도어(40)의 하우징(42)에 고정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아웃사이드 백미러(30)에는 빗물이 흐르지 않게 되고 아웃사이드 백미러(30)를 주시하기 위한 프런트 측면유리(40)의 전방선단부에도 빗물이 흐르지 않게 되어 운전자는 빗물중의 주행중에도 아웃사이드 백미러(30)를 선명하게 주시하면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아웃사이드 백미러(30)에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행하다가 빗물이 멈추면 스위치(도시않음)에 의해 작동모터(20)의 모터축(2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빗물방지판(10)의 구동판(11)은 아웃사이드 백미러(30)의 삽입장홈(31)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다수개의 작동판(13)을 밀어 올려서 프런트 측면도어(40)의 하우징(42)로 작동장공(43)을 통해 투입, 보관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는 주행시 빗물방지판(1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아웃사이드 백미러(30)와 측면유리(41)의 전방선단부에 빗물이 흘러 시야를 방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측방향 및 사이드 후방측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차선변경시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작동모터(20)은 작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통상적인 수신장치(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무선으로 작동시킬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백미러에 맺히는 빗물뿐만 아니라 측면유리의 빗물도 차단할 수 있어 운전자가 측면유리를 통해 후방측을 주시할 수 있고, 일정시간 경과후 변질되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손쉽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교체비용이나 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자동차 프런트 측면도어(40)의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측면에 작동장공(43)이 설치된 하우징(42)과, 긴 판체로서 하우징(42)내에 위치하며 작동모터(20)에 의해 아웃사이드 백밀러(30) 상단까지 부챗살 모양으로 확장되는 다수개의 빗물방지판(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빗물방지판(10)은 일단이 작동모터(20)의 모터축(21)에 축고정되어 작공모터(20) 작동시 제일 먼저 외부로 펼쳐지는 구동판(11)과; 일단이 하우징(42) 내부의 고정축(2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2)과; 구동판(11)과 고정판(12)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단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펼침돌기(a)가 설치되어 있고, 펼침돌기(a)의 반대편 외측단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절첩돌기(b)가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작동판(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모터(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20-2004-0022612U 2004-08-09 2004-08-09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200366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612U KR200366712Y1 (ko) 2004-08-09 2004-08-09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PCT/KR2005/000511 WO2006016736A1 (en) 2004-08-09 2005-02-24 Rainwater visor of outside back-mirror for auto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612U KR200366712Y1 (ko) 2004-08-09 2004-08-09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712Y1 true KR200366712Y1 (ko) 2004-11-06

Family

ID=3583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12U KR200366712Y1 (ko) 2004-08-09 2004-08-09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66712Y1 (ko)
WO (1) WO2006016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4686B (zh) * 2018-06-07 2021-11-05 江苏睿昕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防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94Y1 (ko) * 1990-07-30 1992-06-25 금성산전 주식회사 포토센서를 이용한 보울피더의 부품량 검지장치
KR920016595U (ko) * 1991-02-08 1992-09-16 신재춘 자동차의 우천시 사이드미러와 옆창문의 시야보호장치
US5165745A (en) * 1991-08-20 1992-11-24 Liao Chuen R Vehicle rear view mirror rain shield
KR970010378A (ko) * 1995-08-24 1997-03-27 서영식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0130122B1 (ko) * 1995-01-18 1998-04-09 설재범 자동차의 백밀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94Y1 (ko) * 1990-07-30 1992-06-25 금성산전 주식회사 포토센서를 이용한 보울피더의 부품량 검지장치
KR920016595U (ko) * 1991-02-08 1992-09-16 신재춘 자동차의 우천시 사이드미러와 옆창문의 시야보호장치
US5165745A (en) * 1991-08-20 1992-11-24 Liao Chuen R Vehicle rear view mirror rain shield
KR0130122B1 (ko) * 1995-01-18 1998-04-09 설재범 자동차의 백밀러
KR970010378A (ko) * 1995-08-24 1997-03-27 서영식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6736A1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6712Y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200416115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0791506B1 (ko) 개량된 백미러
KR200342863Y1 (ko) 빗물 차단형 백미러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KR200439329Y1 (ko)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KR0136255Y1 (ko) 자동차의 보조 사이드미러
KR102344508B1 (ko)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KR0117541Y1 (ko) 자동차용 절첩식 아웃사이드 미러
KR200297568Y1 (ko) 프런트미러
KR200292460Y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 컬러필름
KR200295840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동시관측용 보조미러
KR970005370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KR19990019144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248474Y1 (ko) 자동차전방측방향관측용보조미러구동장치
KR0131902Y1 (ko)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44558U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면 보호용 덮개
KR200284074Y1 (ko)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사이드미러
KR100417898B1 (ko) 자동차전방측방향관측용보조미러구동장치
KR940000521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KR19980068377U (ko) 자동차의 리어필라에 부설된 보조미러
KR20040088712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19980018636U (ko) 자동차 도어 미러의 빗방울 방지막
KR20000005230U (ko) 자동차용 실내 및 사이드밀러
WO2006080812A1 (en) Back mirror with multi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