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370Y1 -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370Y1
KR970005370Y1 KR2019940037654U KR19940037654U KR970005370Y1 KR 970005370 Y1 KR970005370 Y1 KR 970005370Y1 KR 2019940037654 U KR2019940037654 U KR 2019940037654U KR 19940037654 U KR19940037654 U KR 19940037654U KR 970005370 Y1 KR970005370 Y1 KR 970005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rearview mirror
mirror
rear view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741U (ko
Inventor
한홍진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7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370Y1/ko
Publication of KR960021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제1도는 본 고안의 백미러 네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A-A'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종래 백미러 네크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네크112, 114 : 상, 하부 외주면
120 : 도어130 : 백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미러의 네크 부분을 상부면은 유선형으로, 하부면은 지면과 평행으로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타고 흐르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우천시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그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여러곳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그것들은 펜더 미러(fender mirror)·도어 미러(door mirror)·가도식(可倒式) 미러·방형(防眩) 미러 등이 있다.
이중 상기 펜더 미러는, 프런트 펜더의 좌우 사이드에 붙혀진 백미러를 말하며 아웃 사이드 미러라고도 불리운다. 주로 고급차종에는 미러의 각도 조정을 운전자석에서 리모트 콘트롤 할 수 있는 형식도 있다.
상기 도어 미러는, 운전석 도어에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 펜더 미러에 비해 디자인이 멋져 보인다. 미러의 면적이 크게 잡히며, 후속차의 위치 확인이나 거리 등이 알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도식 미러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차체에는 외측으로 튀어나온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보행자 등의 보호를 위하여 미러가 가도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방현 미러는, 운전석 앞에 있는 백미러는 인사이드 미러라고도 불리우지만, 일반적으로 평면경(平面鏡)이 쓰이고 있다. 야간에 후속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반사광이 운전자의 눈을 현혹시키지 않도록 만든 미러이다. 이것은 프리즘의 표면 반사와 이면 반사를 이용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변환함으로써 야간에 후속 자동차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적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재는 대부분 인사이드 미러가 이방형 미러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프린트 미러 즉 차체에 설치해 주는 것에 있어, 도면 제3도는 백미러의 네크 부분을 절결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백미러의 네크(10)는 그 상·하 외주면(12)(14)이 서로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도면에서 실선으로 된 화살표는 우천 중에 내리는 빗물이 네크(10)를 타고 가는 상태를 보여 준 것이다. 즉 빗물이 네크(10)의 상하 외주면(12)(14)을 타고 흐르도록 되어 있었다. 이처럼 흘러 내리는 빗물은 도어와 유리창 부분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렇게 모인 빗물은 차내의 운전석에 않은 운전자가 내부에서 외부의 백미러를 보고자 하는 그 부분이 된다. 바로 그곳에 빗물이 흐르게 되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어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대칭으로 된 네크에 빗물이 타고 흐르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우천시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네크의 상부 외주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면서 유선형이 되게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은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백미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서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네크(110)는 부호 110이다. 그 네크(110)는 도어(120)와 백미러(13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네크(110)의 상부 외주면(11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면서 유선형이 되게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114)은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도면에 의해 자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제2도는 네크(110)의 단면도를 보여준 것이고, 도면에 표시된 실선은 우천시 빗방울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차 주행중에 비가 내릴 경우에 백미러 네크(110)에 떨어진 빗방울의 흐름을 살펴보게 되면, 상부 외주면(112)을 타고 흐르는 빗방울은 그 면을 타고 가다가 아래쪽으로 향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 외주면(114)을 타고 흐르는 빗방울은 그대로 직진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 하부 외주면(112)(114)을 타고 내리는 빗방울은 처음에는 각각의 면으로부 흐르다가 나중에는 한곳에 모여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다시말해 운전석에서 백미러(130)를 주시할 때 보이는 도어(120)의 창으로 빗방울이 흐르던 진로를 바꿔주어 바로 그 아래 부분으로 흐르게 하여 양호한 후방 시야를 확보토록 한 것이다. 즉 네크(110)의 상, 하부 외주면(112)(114)을 대칭으로 해 주는 대신에 비대칭으로 형성해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처럼 본 고안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에 따르면, 백미러의 네크 부분을 상부면은 유선형으로, 하부면은 지면과 평행으로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타고 흐르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우천시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어(120)과 백미러(130)를 연결하는 네크(1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네크(11)의 상부 외주면(11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면서 유선형이 되게 형성하고, 하부 외주면(114)은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
KR2019940037654U 1994-12-29 1994-12-29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KR970005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654U KR970005370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654U KR970005370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741U KR960021741U (ko) 1996-07-20
KR970005370Y1 true KR970005370Y1 (ko) 1997-06-02

Family

ID=1940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654U KR970005370Y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3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741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370Y1 (ko) 자동차의 백미러 네크(neck)
GB2244685A (en) Vehicle mirror rain hood
JPS5911803Y2 (ja) 自動車用盲域視認装置
US20060043751A1 (en) Rearview mirror and sun visor assembly
KR200256586Y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후사경
WO2015080630A1 (ru) Система зерка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92460Y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 컬러필름
EP1128985B1 (en) Vehicle provided with a rear-view mirror
KR930002005Y1 (ko) 승용차 백미러용 빗물방지 커버
RU140946U1 (ru) Система зерка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322119Y2 (ko)
KR890003539Y1 (ko) 차량의 보조백밀러
KR940007458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100574429B1 (ko) 바디 일체형 사이드 미러
KR910006986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밀러
JPS5851641Y2 (ja) 自動車用盲域視認装置
KR200169380Y1 (ko) 길이, 각도 가변이 가능한 선바이저
KR930006247Y1 (ko) 자동차 백미러의 빗물받이 챙 연설장치
JPS5848911Y2 (ja) 自動車用盲域視認装置
KR20040088712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920004901Y1 (ko) 자동차용 백밀러
KR20040088714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JPH0329608B2 (ko)
KR19980048102U (ko) 아웃 사이드 미러
KR1998003040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용 보조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