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902Y1 -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902Y1
KR0131902Y1 KR2019950043314U KR19950043314U KR0131902Y1 KR 0131902 Y1 KR0131902 Y1 KR 0131902Y1 KR 2019950043314 U KR2019950043314 U KR 2019950043314U KR 19950043314 U KR19950043314 U KR 19950043314U KR 0131902 Y1 KR0131902 Y1 KR 0131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luminous
snap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550U (ko
Inventor
박화용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3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902Y1/ko
Publication of KR970033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5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9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야간에 협소한 골목길등에 자동차를 주차시키게 되면 마주오는 차량이 주차된 차량의 폭을 가름할수가 없어 주차된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치고나가 아웃사이드 미러가 파손되고 또한 보행자들도 지나가다 무심코 아웃사이드 미러를 쳐서 파손시키는 일이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미러(10)의 표면(12)에 다수개의 스냅공(14)을 형성하고 내면에 상기의 스냅공(14) 수와 같은 스냅핀(22)이 설치된 야광띠(20)를 미러(10)의 표면(12)에 부착토록 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본 고안은 야광띠에서 빛을 발하게 되므로 마주오는 차량이 그 빛을 보고 상대방 차량의 폭을 가늠할수가 있는 것이고, 또한 보행자들도 야광띠에 의해 식별을 손쉽게 할수가 있어 부주의로 인한 미러의 파손을 최대한 줄여줄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웃사이드 미러 12 : 표면
14 : 스냅공 20 : 야광띠
22 : 스냅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웃사이드미러의 표면으로 야광띠를 부착하여 보행자나 마주오는 차량의 부주의로 인하여 아웃사이드 미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그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미러가 설치되는데, 이들은 팬더미러(fnder mirror), 도어 미러(door mirroR), 가도식(可倒式)미러, 방현(防眩)미러등으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상기 팬더미러는 프런트 팬더의 좌우 사이드에 붙여진 백미러를 말하며 아웃사이드 미러라고도 불리우는데, 고급 차종인 경우에는 미러의 각도조정을 운전석에서 리모트 컨트롤 할수도 있는 형식도있다.
그리고 도어 미러는 운전석 도어에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나 팬더미러에 비해 디자인이 멋져 보이고, 미러의 면적이 크게 잡히며 후속차의 위치 확인이나 거리등을 쉽게 식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도식 미러는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체에서 외측으로 튀어나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보행자등의 보호를 위하여 미러가 가도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방현 미러는 운전석 앞에있는 인사이드 미러라고도 불리우지만 일반적으로 평면경(平面鏡)이 쓰여지고 있어 야간에 후속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반사광이 운전자의 눈을 현혹시키지 않도록 만든 미러로써 프리즘의 표면반사와 이면반사를 이용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변환 함으로써 야간에 후속 자동차로 부터 반사되는 빛을 적게하는 구조로 현재에는 대부분 인사이드 미러가 이 방현미러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여러 가지 미러들중 아웃사이드 미러는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시켜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고정식과 주행중에는 펴고 주차시에는 접을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그런데 고정식의 경우에는 차고가 별도로 있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골목길등에 주차 시키는 경우에 특히 야간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인데, 이는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 되어있어 야간에는 잘 식별이 안되어서 지나가는 보행자들이 무심코 아웃사이드 미러를 쳐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절첩식으로 된 아웃사이드 미러를 사용하여 주차시에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어서 파손되는 것을 조금이라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절첩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주차시에는 많은 효과를 보지만 주행중일때에는 즉, 골목길같이 협소한 도로에서 야간에 마주오는 차량이 있으면 서로 상대방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라이트를 점등하는데, 이때 주위가 캄캄하여 서로 상대방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폭을 가름하지 못해 맞은편차가 아웃사이드 미러에 부딪쳐서 아웃사이드 미러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표면에 야광띠를 부착하여 야간에 아웃사이드 미러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미러의 표면에 다수개의 스냅공을 형성하고 내면에 상기 스냅공과 일치하는 스냅핀이 형성된 야광띠를 미러에 부착하므로서 달성될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야광띠 내면에 형성된 스냅핀을 미러의 표면에 형성된 스냅공에 삽입시켜서 설치하여 야간에 미러의 표면에 부착된 야광띠가 빛을 발하기 때문에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는 그 빛을 보고 상대방 차량의 폭을 가늠할수가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어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이 결합 측단면도인 것으로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이하 미러라 칭함)를 구성함에 있어서 미러(10)의 표면(12)에 다수개의 스냅공(14)을 형성하고 내면에 상기의 스냅공(12) 수와 같은 스냅핀(22)이 설치된 야광띠(20)를 미러(10)의 표면에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야광띠(20)를 미러(10)의 표면(12)과 일직선상에 놓여지게 한후 제2도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하는 것으로 야광띠(20)의 내면에는 스냅핀(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미러(10)의 표면(12)에는 이와 대응된 스냅공(14)이 천공 되어있어 야광띠(20)를 미러(10)의 표면(12)에 접면시키면 야광띠(20)의 스냅핀(22)이 미러(10)의 표면(12)에 천공된 스냅공(14)과 일치되는 것이며, 이후 양간의 힘을 가하여 야광띠(20)의 선단에서 부터 끝단에 이르기까지 즉, 스냅핀(22)이 형성된 부위만을 눌러주면 스냅핀(22)이 스냅공(14)속으로 들어가면서 야광띠(20)가 미러(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야광띠(20)를 스냅핀(22)으로 체결하지 않고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야광띠(20)가 설치되는 미러(10)는 어두운 야간에도 상기 야광띠(20)에서 발하는 빛에 의해 주차된 미러(10)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가 있어 미러(10)의 파손을 줄여줄수가 있는 것인데, 이는 어두운 야간의 경우에 보행자나 다른 자동차등이 야광띠(20)가 부착된 자동차의 옆을 지나갈 때 야광띠(20)에서 빛을 발하기 때문에 그 빛이 보이는 부분에 어떤 물체가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피해서 가게되므로 종래와 같이 미러나 차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미러의 표면에 부착된 야광띠에서 빛을 발하게 되므로 마주오는 차량이 그 빛을 보고 상대방 차량의 폭을 가늠할수가 있는 것이고, 또한 보행자들도 야광띠에 의해 식별을 손쉽게 할수가 있어 부주의로 인한 미러의 파손을 최대한 줄여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미러(110)의 이면을 가로질러 일렬로 둘 또는 그 이상의 스냅공(14)을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형성하고, 상기 스냅공(14)을 향하여 스냅공(14)과 동일한 간격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스냅핀(22)을 가지고 상기 미러의 이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야광띠(20)를 상기 미러(110)의 이면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띠(20)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2019950043314U 1995-12-19 1995-12-19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0131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314U KR0131902Y1 (ko) 1995-12-19 1995-12-19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314U KR0131902Y1 (ko) 1995-12-19 1995-12-19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550U KR970033550U (ko) 1997-07-26
KR0131902Y1 true KR0131902Y1 (ko) 1998-12-15

Family

ID=1943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314U KR0131902Y1 (ko) 1995-12-19 1995-12-19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9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550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902Y1 (ko)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0117541Y1 (ko) 자동차용 절첩식 아웃사이드 미러
KR0131897Y1 (ko)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KR200215234Y1 (ko) 자동차 야광 도어가드
KR200205893Y1 (ko) 자동차용 범퍼 보호대
KR10052428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WO2023235669A1 (en) Tail light inner bracket and panels
KR0138365Y1 (ko) 자동차 범퍼용 패드
JPH0320202Y2 (ko)
KR200190429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0122152Y1 (ko) 반사파를 구비한 버스용 리어그릴
KR20025879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200193176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80066256A (ko) 승용차의 후방 반사경 조립체
KR200155309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착홀의 커버구조
KR200251493Y1 (ko) 범퍼가드
KR200163400Y1 (ko) 승합차용보조백미러스테이
KR100285417B1 (ko) 자동차용 미러장치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KR200290311Y1 (ko) 자동차용 범퍼 보호구
KR200359725Y1 (ko) 자동차용 백미러
JPS6334999Y2 (ko)
KR0115712Y1 (ko) 자동차의 번호등 구조
KR900007631Y1 (ko) 반사범위가 자동조정되는 자동차용 백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