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832Y1 -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832Y1
KR200326832Y1 KR20-2003-0020344U KR20030020344U KR200326832Y1 KR 200326832 Y1 KR200326832 Y1 KR 200326832Y1 KR 20030020344 U KR20030020344 U KR 20030020344U KR 200326832 Y1 KR200326832 Y1 KR 200326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housing
elevator
guid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덕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규 김 filed Critical 덕 규 김
Priority to KR20-2003-002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제동시 웨지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변형시키지 않고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접합되는 하우징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로울러 그리고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웨지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은 일체로 성형한 양 측면부를 가지며,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의 설치에 제약이 없도록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가이드블록의 후면에는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와 같은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웨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웨지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변형시키지 않고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클램핑하는 효과와, 밴딩 가공에 의해 하우징이 성형 생산되므로 생산성의 획기적인 향상 및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비정상적인 과속 운행이나 추락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키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비정상적인 운행과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로도 불리는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의 견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시키는 것으로, 그 편리함으로 인하여 각종 건물에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에 의해 승하강되는 특성상 로프의 파손이나 모터의 고장, 또는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등의 결함 등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급 승·하강 또는 추락하여 커다란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에 카의 저면 양측에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도 1 내지 4는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크게 상부플레이트(20), 하우징(30), U형 판스프링(40), 가이드블록(5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 웨지(8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플레이트(20)는 하우징(30)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저면 전방부 양측에 가이드홈(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한 가이드블록(50)의 상부와 결합된다.
하우징(30)은 하부플레이트(31), 양 사이드플레이트(32), 미들플레이트(33)를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 미들플레이트(33)의 상면 양측에 가이드홈(34)을 형성하여 상기한 가이드블록(50)의 하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미들플레이트(33)의 상면 후방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블록(36)이 용접되어 상기한 판스프링(40)을 지지하고, 하부플레이트(31)의 상면 전방 양측에는 스토퍼(37)를 용접하여 도 2a에서와 같이 웨지(80)의 하부 이송을 제한하게 된다.
U형의 판스프링(40)은 가이드블록(50)의 좌우 이송을 탄성 지지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도 3a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U형의 판스프링(40)은 상기한 서포트블록(36) 위에 안착되어 볼트(42)와 너트(43)로 고정되고, 각각의 사이드플레이트(32)를 관통한 볼트(41)에 의해 설치된다.
가이드블록(50)은 상기한 상부플레이트(20)와 미들플레이트(33)의 가이드홈(21)(34)에 상하부가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41)와 체결되어 웨지(80)의 상부 이송시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는 상기한 가이드블록(50)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한 웨지(80)를 가이드 하는 것으로, 특히 가이드블록(50)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플레이트(33)로 인하여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 보다 그 상하 길이가 상당히 짧아지게 된다.
웨지(80)는 상기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를 따라 상방 이송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로드(R)와의 연결을 위하여 저면에 볼트(81)가 체결된다. 그리고 웨지(80)와 가이드블록(50) 사이에는 다수의 로울러(70)가 삽입되어 웨지(80)의 상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비상시 로드(R)에 의해 웨지(80)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면, 웨지(80)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와 로울러(70)의 안내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의 길이가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의 길이에 비하여 절반 정도이므로 상방 이송되는 웨지(80)를 견고하게 받쳐주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웨지(80)는 도 3b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를 변형시키면서 후방으로 이탈되므로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과속 또는 자유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는 웨지(80)에는 강한 모멘텀이 작용되는데, 웨지(80)가 가이드레일(G)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의 견고한 지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미들플레이트(33)로 인하여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와 동일한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를 가이드블록(50)의 배면에 설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는 웨지(80)의 이송구간 중에서 미들플레이트(33)의 상부구간만 지지할 뿐, 미들플레이트(33) 하부구간은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므로 비상정지에 따른 웨지(80)의 상방향 이송이 불안정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레일(G) 클램핑시 작용되는 강한 모멘텀은 웨지(80)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 측에 집중되므로 웨지(80)는 도 3b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를 변형시키면서 이탈되며,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정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10)에 적용되는 하우징(30)은 상부플레이트(200), 하부플레이트(31),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32), 미들플레이트(33), 서포트블록(36), 스토퍼(37)를 필요로 하므로 많은 수의 부품이 소요되고, 또한 이러한 부품을 모두 용접하므로 많은 작업공정과 인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비상정지장치의 생산성을 크게 악화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하우징(30)은 빈번한 용접작업으로 인하여 열 변형되므로 일정한 품질을 갖는 하우징(30) 제작이 곤란하였다. 그리고 하우징(30)의 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나, 하우징(30)의 열처리는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생산원가를 크게 상승시키므로 현실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상 제동시 웨지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변형시키지 않고 가이드레일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체로 성형된 하우징에 의해 하우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원가는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와 도 3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상태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와 도 2b의 평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 2b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6a와 도 6b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중점적으로 나타낸 도 6b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비상정지장치 200 : 상부플레이트
210 : 가이드판 211 : 안내홈
300 : 하우징 310 : 측면부
320 : 공간부 400 : U형 판스프링
410 : 볼트 411 : 가이드볼트
420 : 받침판 430 : 볼트
431 : 너트 500 : 가이드블록
600 :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 610 : 리어 가이드플레이트
620 : 핀 630 : 스냅링
700 : 로울러 800 : 웨지
810 : 볼트 G : 가이드레일
R : 로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접합되는 하우징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의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로울러 그리고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웨지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성형된 양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의 설치에 제약이 없도록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후면에는 웨지의 이송과 클램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와 같은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100)는 크게 상부플레이트(200), 하우징(300), U형상인 판스프링(400), 가이드블록(50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 웨지(80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플레이트(200)는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과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플레이트(200)의 전방측 저면에 가이드홈(211)을 갖는 가이드판(210)을 용접 등에 의해 설치하여 상기한 가이드블록(50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우징(300)은 상기한 U형의 판스프링(400), 가이드블록(50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 웨지(800) 등을 수용하는 것으로, 밴딩 가공에 의해대략 '∪' 형상으로 성형 제작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300)은 도 7a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320)를 형성하여 상기한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설치가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였다.
U형의 판스프링(400)은 가이드블록(500)의 좌우 이송을 탄성 지지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받침판(420)과 볼트(430) 및 너트(431)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U형의 판스프링(400)은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양 측면부(310)에 관통 설치된 가이드볼트(411)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블록(500)은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지(800)의 상부 이송시 U형 판스프링(400)을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블록(500)의 상부는 상부플레이트(200)에 접합된 가이드판(210)의 가이드홈(211)에 결합되고, 양측면은 하우징(300)의 양 측면부(310)에 각각 설치된 볼트(410) 및 가이드볼트(411)와 체결된다.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는 웨지(800)의 상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한 2개의 가이드블록(5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때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동일하며,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 사이에는 다수의 로울러(700)가 삽입 설치된다.
또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는 전면 중앙부와 하단부에 핀(620)과 스냅링(630)을 설치하므로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핀(620)은 로울러(700)와 웨지(800)의 하방 이송을 각각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도 하게 된다.
웨지(800)는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와 결합하며, 저면에 볼트(810)를 체결하여 로드(R)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 운행중인 엘리베이터 카는 메인 제동장치의 고장 등에 의하여 추락하거나 비정상적인 과속으로 운행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상 상황의 경우 비상정지장치(100)의 작동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즉, 도 6a 및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 상황에 따라 로드(R)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면, 볼트(810)에 의해 로드(R)와 결합된 웨지(800)는 로울러(700)와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의 안정된 가이드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6b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는 정지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웨지(800)는 특히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를 변형시키지 않고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동일한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를 가이드블록(500)에 설치하였기 때문이고, 또한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가 핀(620)과 스냅링(630)에 의해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웨지(800)는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동일한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로 인하여 상하 이송이 미동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는 웨지(800)의 클램핑에 따라 강한 모멘텀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변형되지 않으며, 웨지(800)는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에 의해 웨지(800)가 견고하게 지지하는 만큼, 웨지(800)와 가이드레일(G)의 클램핑시 발생되는 강한 모멘텀이 손실되지 않고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모멘텀으로 작용되어 더욱 향상된 정지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밴딩 가공에 의해 하우징(300)이 성형 제작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많은 수의 플레이트와 용접작업이 불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하우징(300)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크게 절감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하우징(300)은 단순히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원가의 절감이외에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동일한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부(320)를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비상정지장치(100)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큰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가이드블록의 배면에 설치하므로 비상 제동에 따라 웨지가 가이드레일을 강하게 클램핑하더라도, 리어 가이드플레이트가 변형되지 않고 웨지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를 정상적으로 정지시키며,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이나 과속운행에 따른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밴딩 가공에 의해 하우징이 성형 생산되므로 종래의 하우징에서와 같이 많은 수의 플레이트와 용접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하우징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반면 생산단가는 크게 절감하여 성능과 원가측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접합되는 하우징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로울러 그리고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웨지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은 일체로 성형한 양 측면부(310)를 가지며, 상기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설치에 제약이 없도록 내측에 공간부(32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블록(500)의 후면에는 웨지(800)의 이송과 클램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같은 크기의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은 밴딩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양 측면부(3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은 핀(620) 결합에 의해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더 견고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2003-0020344U 2003-06-26 2003-06-26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0326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344U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6-26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344U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6-26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832Y1 true KR200326832Y1 (ko) 2003-09-13

Family

ID=4941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344U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6-26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83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85A (ko) 2014-12-29 2016-07-08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20180000095U (ko) 2016-06-29 2018-01-08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KR20180001599U (ko) 2016-11-21 2018-05-30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0491485Y1 (ko) 2018-11-05 2020-04-17 김덕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US20200354192A1 (en) * 2019-05-08 2020-11-12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apparatus for safety brake
KR20230001332U (ko) 2021-12-22 2023-06-29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추락 방지 안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85A (ko) 2014-12-29 2016-07-08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20180000095U (ko) 2016-06-29 2018-01-08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KR20180001599U (ko) 2016-11-21 2018-05-30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0491485Y1 (ko) 2018-11-05 2020-04-17 김덕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US20200354192A1 (en) * 2019-05-08 2020-11-12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apparatus for safety brake
US11745981B2 (en) * 2019-05-08 2023-09-05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apparatus for safety brake
KR20230001332U (ko) 2021-12-22 2023-06-29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추락 방지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2719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支持装置
KR102038516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 케이지 처짐방지장치
KR200326832Y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CN112424104A (zh) 电梯绳索末端结构体
KR10050678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
JP4285834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JP2000302352A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CN113242837B (zh) 具有脱轨保护件的电梯设备
JP3340395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
KR20230001332U (ko) 엘리베이터용 추락 방지 안전장치
CN204641740U (zh) 绳牵引运输装置及用于其的断绳保护组件
KR20180001599U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JPWO2006048928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220998816U (zh) 一种电梯安全钳和钳座
CN114502497A (zh) 无机房电梯的曳引机调整装置和曳引机安装方法
EP1717184B1 (en) Elevator
CN217996416U (zh) 无机房电梯的绳头组件的安装结构以及无机房电梯
CN215710882U (zh) 一种电梯轿厢防夹机构
CN220664578U (zh) 一种钳体及电梯安全钳
CN104816731A (zh) 绳牵引运输装置及用于其的断绳保护组件
CN217577941U (zh) 一种自动扶梯导轨支撑件
JPH1111818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US11884515B2 (en) Clamp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CN214721887U (zh) 焊接机构的导向装置及焊接机构
CN218595827U (zh) 一种后置导轨的电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