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885A -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885A
KR20160080885A KR1020140192603A KR20140192603A KR20160080885A KR 20160080885 A KR20160080885 A KR 20160080885A KR 1020140192603 A KR1020140192603 A KR 1020140192603A KR 20140192603 A KR20140192603 A KR 20140192603A KR 20160080885 A KR20160080885 A KR 20160080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guide
lever plate
housing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546B1 (ko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덕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규 김 filed Critical 덕 규 김
Priority to KR102014019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5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시, 브레이크에 의해 레일을 압박하여 엘리베이터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일측부가 레일과 마주하여 마찰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타측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브레이크; 상기 브레이크의 타측부와 상호 대응하는 경사면을 이루어 브레이크를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모듈; 일단부가 로프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작동브라켓; 및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에 관통되어 장공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양측의 브레이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동시에 상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어느 한 쪽의 브레이크라도 상하 이동이 제한되면, 다른 한 쪽의 브레이크도 함께 이동이 제한되는바, 양측 브레이크가 함께 레일을 향해 이동되고, 이에 비상 정지장치의 클램핑 작동성능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와, 권상기와, 조속기 및 비상 정지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사람 및 화물이 적재되는 엘리베이터 카는 상부에 메인로프가 매달려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고, 조속기는 로프에 의해 비상 정지장치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는 경우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는 비상 정지장치가 설치되어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등의 비상 상황시, 가이드레일과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에 의해 승하강되는 특성상 로프의 파손이나 모터의 고장, 또는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등의 결함 등에 의해 제대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급격하게 승, 하강되거나 또는 추락하여 커다란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에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가이드블록(50)과 사이드플레이트(32) 사이에 볼트(41)에 의해 판스프링(40)이 결합되어, 웨지(80)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블록(50)이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웨지(80)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에 의해 가압 이동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저면에는 볼트(81)에 의해 로드(R)가 체결되고, 웨지(80)와 가이드블록(50) 사이에는 다수의 롤러(70)가 삽입되어 웨지(80)가 롤러에 의해 부드럽게 구름 마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비상 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비상 정지시, 양측의 웨지가 각각의 하단에 설치된 로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양측 웨지의 상하 이동 제한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 경우 양측 브레이크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동시에 클램핑하지 못하여 클램핑 작동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양측 웨지가 동시에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의 경우, 양측 웨지의 이동을 동시에 제한하기 위해서는 작동레버와,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브라켓 등의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으로써, 비상정지장치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이 복잡하여 원가 및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KR 20-0326832 Y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상정지 상황시, 양측 브레이크의 상하 이동을 동시에 제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비상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를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 및 메커니즘을 단순화하여 장치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시, 브레이크에 의해 레일을 압박하여 엘리베이터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일측부가 레일과 마주하여 마찰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타측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브레이크; 상기 브레이크의 타측부와 상호 대응하는 경사면을 이루어 브레이크를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모듈; 일단부가 로프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작동브라켓; 및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에 관통되어 장공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카에 고정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은 하우징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과 브레이크가 지지되는 경사면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할수록 레일과 점차 가까워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작동브라켓은 브레이크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브라켓과 로프 사이에 작동바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의 일측부에는 레일에 압박 및 마찰되는 브레이크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중단부가 하우징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부가 가이드브라켓모듈의 타측부에 접촉되는 레버플레이트;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원스프링의 양 단부가 양측 레버플레이트의 타단부 내측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와 그 측부에 위치한 레버플레이트에는 결합부재가 관통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회전제한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제한부재는 레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우징에 대해 좌우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상단부 저면에 제1가이드홈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단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의 중단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홈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단부가 레버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가이드브라켓모듈에 고정되고, 중단부의 외면이 상기 통공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타단부가 레버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 구비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와 이와 마주하는 레버플레이트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어, 레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가이드브라켓모듈을 향해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일단부 측면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의 타측면에 접촉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양측의 브레이크가 가이드부재에 의해서 동시에 상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어느 한 쪽의 브레이크라도 상하 이동이 제한되면, 다른 한 쪽의 브레이크도 함께 이동이 제한되는바, 양측 브레이크가 함께 레일을 향해 이동되고, 이에 비상 정지장치의 클램핑 작동성능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양측 브레이크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가 한 개의 브라켓 및 볼트를 통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비상 정지장치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레일과 마찰되는 브레이크에 Cu계 소결합금으로 제조된 브레이크패드가 구비됨으로써, 레일에 마찰시 마찰열이 빠르게 저감되어, 브레이크의 제동성능 및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이 레버플레이트의 일단부를 가이드브라켓모듈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복원스프링의 작동력을 보조하게 되는바, 비상상황시에는 브레이크를 가압할 수 있는 탄성력을 보조하고, 비상상황 해제시에는 브레이크가 복귀 이동될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나타낸 사시 도면.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앞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작동브라켓과, 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측방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상황시, 브레이크(200)가 레일(800)의 표면에 강하게 마찰 및 압박되면서 엘리베이터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크게 브레이크(200)와, 가이드브라켓모듈(300)과, 작동브라켓(400) 및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브레이크(200)는 그 일측부가 레일(800)과 마주하여 마찰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부에 경사면(210)이 형성된 것으로, 레일(800)을 중심으로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상기 브레이크(200)의 타측부와 상호 대응하는 경사면(310)을 이루어 브레이크(200)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엘리베이터카의 저면에는 하우징(100)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의 전단부 양측에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과 레일(800) 사이에 브레이크(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중앙에는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80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과 브레이크(200)가 지지되는 경사면(210,310)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할수록 레일(800)과 점차 가까워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동브라켓(400)은, 상단부에 로프(900)가 연결되고, 하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장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브라켓(400)은 브레이크(2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작동브라켓(400)의 상단에 작동바(420)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바(420)의 상단은 로프(9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관통홀(110)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420)가 상기 관통홀(110)에 관통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0)는, 전단부가 상기 브레이크(200)의 배면에 삽입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장공(410)에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장공(41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브레이크(200)에 후면에 볼팅 결합되는 볼트일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비상 상황 발생시, 조속기 등의 작동으로 로프(900)의 움직임이 정지된다.
그런데 이때에 엘리베이터카가 계속해서 하강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엘리베이터카와 함께 하강 이동되는 반면에, 브레이크(200)는 로프(900)와 함께 상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가이드브라켓모듈(300)과 브레이크(200)에 형성된 경사면(210,310)에 의해서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이 브레이크(200)를 가압하면서 하강하고, 브레이크(200)는 레일(800)을 향해 이동되어 브레이크(200)의 일측면이 레일(800)의 측면에 강하게 마찰 및 압박하게 되는바, 엘리베이터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양측의 브레이크(200)가 가이드부재(500)에 의해서 동시에 상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어느 한 쪽의 브레이크(200)라도 상하 이동이 제한되면, 다른 한 쪽의 브레이크(200)도 함께 이동이 제한되는바, 양측 브레이크(200)가 함께 레일(800)을 향해 이동되고, 이에 비상 정지장치의 클램핑 작동성능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 브레이크(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가 한 개의 브라켓 및 볼트를 통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비상 정지장치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200)의 일측부에 레일(800)에 압박 및 마찰되는 브레이크패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브레이크패드(220)는 Cu계 소결합금으로 제조 가능한 것으로서, 레일(800)에 마찰시 마찰열이 빠르게 저감되어, 브레이크(200)의 제동성능 및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이드브라켓의 타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는 레버플레이트(600)와, 복원스프링(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플레이트(600)는 중단부의 회전축(610)이 하우징(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단부의 일측면이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타측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복원스프링(700)은, 상기 레버플레이트(600)의 회전 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버플레이트(600)는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원스프링(700)의 양 단부가 양측 레버플레이트(600)의 타단부 내측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비상 상황시, 브레이크(200)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이 레일(800)을 중심으로 바깥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접촉된 레버플레이트(600)의 전단부가 중단부의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벌어지듯이 회전하고, 레버플레이트(600)의 후단부는 내측으로 오므려지듯이 회전한다.
이에, 복원스프링(700)은 탄성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압축되는바, 비상상황시에는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이 브레이크(200)를 가압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비상상황 해제시에는 가이드브라켓모듈(300) 및 브레이크(200)가 복귀 이동될 수 있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와 그 측부에 위치한 레버플레이트(600)에는 결합부재(640)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결합부재(64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면서, 레버플레이트(600)에 대해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640)의 단부에 회전제한부재(650)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제한부재(650)는 레버플레이트(60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제한부재(650)를 통해 레버플레이트(600)의 후단부가 바깥 방향으로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평상시 레버플레이트(600)의 전단부가 브레이크(200)를 레일(800) 방향으로 가압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우징(100)에 대해 좌우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상단부 저면에 제1가이드홈(120)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상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중단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30)이 돌출되어 길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중단부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가이드홈(330)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브레이크(200)에 지지되는 제1가이드브라켓(320)과, 레버플레이트(600)에 지지되는 제2가이드브라켓(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20)의 상단부가 제1가이드홈(120)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20)의 저면에 제2가이드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비상상황시, 상기 브레이크(200)를 가압하는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제1가이드홈(120)과 제2가이드홈(330) 및 가이드레일(130)에 의해서 가이드됨으로써,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이 하우징(100) 내측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20)과 제2가이드브라켓(340) 사이에는 상기 브레이크(200)와 구름 접촉될 수 있도록 롤러조립체(3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200)에 지지되는 제1가이드브라켓(320)의 일면은 상기 브레이크(200)의 폭에 대응하는 안내홈부(322)가 형성되어, 브레이크(200)가 제1가이드브라켓(3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에 안내홈부(322)를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원스프링(700)의 작동력이 스프링 구조에 의해 어시스트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정부재(660) 및 가압스프링(670)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660)의 일단부가 레버플레이트(600)의 일단부에 형성된 통공(620)을 관통하여 가이드브라켓모듈(300)에 고정된다. 이때에, 상기 고정부재(660)의 중단부 외면이 상기 통공(620)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고정부재(660)의 타단부가 레버플레이트(600)의 외부로 노출 구비된다. 이때에, 상기 고정부재(660)는 볼트일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660)의 타단부는 볼트의 헤드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670)은, 상기 고정부재(660)의 타단부와 이와 마주하는 레버플레이트(600)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어, 레버플레이트(600)의 일단부가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을 향해 탄성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가압스프링(670)이 레버플레이트(600)의 일단부를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복원스프링(700)의 작동력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플레이트(600) 전단부의 레일(800)을 향하는 측면에는 곡선 형상으로 미끄럼부(6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곡선으로 형성된 미끄럼부(63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타측면에 접촉 구비될 수 있다.
즉, 비상 상황시,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측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반면에, 이와 접촉된 레버플레이트(600)는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됨으로써, 상기 레버플레이트(600)는 가이드브라켓모듈(3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브라켓모듈(300)과 접촉되는 레버플레이트(600) 부분을 곡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마찰에 의한 레버플레이트(600)의 회전 저항을 최소화하여 레버플레이트(600)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관통홀
120 : 제1가이드홈 130 : 가이드레일
200 : 브레이크 210 : 경사면
220 : 브레이크패드 300 : 가이드브라켓모듈
310 : 경사면 320 : 제1가이드브라켓
330 : 제2가이드홈 340 : 제2가이드브라켓
400 : 작동브라켓 410 : 장공
420 : 작동바 500 : 가이드부재
600 : 레버플레이트 610 : 회전축
620 : 통공 630 : 미끄럼부
640 : 결합부재 650 : 회전제한부재
660 : 고정부재 670 : 가압스프링
700 : 복원스프링 800 : 레일
900 : 로프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시, 브레이크에 의해 레일을 압박하여 엘리베이터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일측부가 레일(800)과 마주하여 마찰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타측부에 경사면(210)이 형성된 복수의 브레이크(200);
    상기 브레이크(200)의 타측부와 상호 대응하는 경사면(310)을 이루어 브레이크(200)를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모듈(300);
    일단부가 로프(9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장공(410)이 형성된 작동브라켓(400); 및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2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410)에 관통되어 장공(410)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에 고정된 하우징(1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하우징(100)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과 브레이크(200)가 지지되는 경사면(210,310)은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향할수록 레일(800)과 점차 가까워지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브라켓(400)은 브레이크(200)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브라켓(400)과 로프(900) 사이에 작동바(420)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관통홀(110)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420)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200)의 일측부에는 레일(800)에 압박 및 마찰되는 브레이크패드(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중단부가 하우징(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부가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타측부에 접촉되는 레버플레이트(600);
    상기 레버플레이트(600)의 회전 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700);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플레이트(600)는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원스프링(700)의 양 단부가 양측 레버플레이트(600)의 타단부 내측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와 그 측부에 위치한 레버플레이트(600)에는 결합부재(640)가 관통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640)의 단부에 회전제한부재(650)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제한부재(650)는 레버플레이트(60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은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우징(100)에 대해 좌우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상단부 저면에 제1가이드홈(120)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중단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30)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중단부에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홈(330)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레버플레이트(600)의 일단부에 형성된 통공(620)을 관통하여 가이드브라켓모듈(300)에 고정되고, 중단부의 외면이 상기 통공(620)의 내면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타단부가 레버플레이트(600)의 외부로 노출 구비된 고정부재(660);
    상기 고정부재(660)의 타단부와 이와 마주하는 레버플레이트(600)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어, 레버플레이트(600)의 일단부가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을 향해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가압스프링(670);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플레이트(600)의 일단부 측면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모듈(300)의 타측면에 접촉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1020140192603A 2014-12-29 2014-12-29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101698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603A KR101698546B1 (ko) 2014-12-29 2014-12-29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603A KR101698546B1 (ko) 2014-12-29 2014-12-29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85A true KR20160080885A (ko) 2016-07-08
KR101698546B1 KR101698546B1 (ko) 2017-01-23

Family

ID=5650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603A KR101698546B1 (ko) 2014-12-29 2014-12-29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7070A (zh) * 2018-12-21 2019-03-08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远程防坠落制动机构
KR200491485Y1 (ko) * 2018-11-05 2020-04-17 김덕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969B1 (ko) * 2022-05-10 2023-01-26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동식 데크 리프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75A (ja) * 2001-11-21 2003-05-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070106754A (ko) * 2007-09-05 2007-11-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75A (ja) * 2001-11-21 2003-05-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070106754A (ko) * 2007-09-05 2007-11-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85Y1 (ko) * 2018-11-05 2020-04-17 김덕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CN109437070A (zh) * 2018-12-21 2019-03-08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远程防坠落制动机构
CN109437070B (zh) * 2018-12-21 2024-02-13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远程防坠落制动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546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62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618176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移動体のための安全止め具
US9663327B2 (en) Elevator braking system
JPWO2008149413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40082942A (ko) 전자기계식 작동을 갖는 제동 장치
KR1016985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US11884514B2 (en) Safety brake device and safety brake method
US11498803B2 (en) Elevator car parking brake
CN105858398B (zh) 一种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安全装置
US9862569B2 (en) Brake and an elevator
US11840425B2 (en)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EP1783087A2 (en) Double-effect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s
JPWO2006038284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CN113195392B (zh) 具有电梯制动装置的电梯系统结构
KR100889280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JP5186771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US20230049908A1 (en) Apparatus for guiding and braking a travelling body of an elevator system, which body is to be moved along a guide track
KR20190072042A (ko)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제동장치
CN205916868U (zh) 一种渐进式安全钳
RU2596635C1 (ru) Ловитель кабины лифта
CN116767995A (zh) 电梯安全导向装置
JP2013151346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KR20070106754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JP2017077948A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20070032287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