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85Y1 -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85Y1
KR200491485Y1 KR2020180005014U KR20180005014U KR200491485Y1 KR 200491485 Y1 KR200491485 Y1 KR 200491485Y1 KR 2020180005014 U KR2020180005014 U KR 2020180005014U KR 20180005014 U KR20180005014 U KR 20180005014U KR 200491485 Y1 KR200491485 Y1 KR 200491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ing
sides
eleva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김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규 filed Critical 김덕규
Priority to KR2020180005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추락시 당김레버가 로프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체와 작동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빔 양측에 설치된 메인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켜 한 쌍의 웨지가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게 하므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빔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을 동시에 클램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유동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빔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의 설치시, 수직몸체에 관통공을 사각으로 형성하고 결합볼트의 몸체 일부를 이와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면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빔 양단의 수직몸체 양측면에 고정부가 설치되어 빔을 엘리베이터 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면서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Emergency stopping system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추락시 당김레버가 로프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체와 작동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빔 양측에 설치된 메인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켜 한 쌍의 웨지가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게 하므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빔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을 동시에 클램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유동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빔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의 설치시, 수직몸체에 관통공을 사각으로 형성하고 결합볼트의 몸체 일부를 이와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면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빔 양단의 수직몸체 양측면에 고정부가 설치되어 빔을 엘리베이터 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면서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로도 불리우는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시키는 것으로, 그 편리함으로 인해 각 건물에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에 의해 승,하강되는 특성상 로프의 파손이나 모터의 고장 또는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등의 결합 등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급격하게 승,하강되거나 추락하여 커다란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 양측에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3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결정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6832호(명칭: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크게 상부플레이트(20), 하우징(30), U형 판스프링(40), 가이드블록(5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 웨지(8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플레이트(20)는 하우징(30)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가이드블록(50)의 상부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전방이 트여진 상태로 하부플레이트(31), 양 사이드플레이트(32)를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 후방에는 대략 "S"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브라켓트(45)에 의해 상기한 판스프링(40)을 지지하고 있다.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는 웨지(80)의 하부 이송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가 구비되어 있다.
U형의 판스프링(40)은 가이드블록(50)의 좌우 이송을 탄성 지지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블록(50)은 웨지(80)의 상부 이동시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는 상기한 가이드블록(50)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한 웨지(80)를 가이드 하게 된다.
웨지(80)는 상기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를 따라 상방 이동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로드(90)와의 연결을 위하여 저면에 볼트(81)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비상시 로드(90)에 의해 웨지(80)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면, 웨지(80)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안내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개별적으로 작동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가이드레일을 안정적으로 클램핑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작동이 원활하지 않아 오작동의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흔들림이 발생하면서 탑승객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안등록 제20-0326832호(2003.09.13.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추락시 당김레버가 로프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체와 작동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빔 양측에 설치된 메인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켜 한 쌍의 웨지가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게 하므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빔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을 동시에 클램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유동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최소화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빔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의 설치시, 수직몸체에 관통공을 사각으로 형성하고 결합볼트의 몸체 일부를 이와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신속한 조립 및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빔 양단의 수직몸체 양측면에 고정부가 설치되어 빔을 엘리베이터 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면서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은,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와 양측이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에 설치되는 빔; 상기 빔의 지지편 양측에 각각 볼트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내부가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하부플레이트가 고정 부착되는 하우징; 판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가이드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전·후방에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상·하로 이송되어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는 웨지; 상기 웨지에 고정되어 메인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L형 브라켓; 상기 하우징의 하부플레이트를 가로 질러 설치되며 로프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어 메인샤프트가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빔의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연결링크에 연결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담김레버가 위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 회전체와 회전체를 동시에 회전되게 하는 작동부; 및 상기 빔의 수직몸체 양측에 고정되면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빔을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빔의 수직몸체와 수직몸체 사이에는 보강판이 설치되어 결합볼트와 결합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결합볼트가 결합되는 관통공은 사각으로 관통되고, 상기 결합볼트의 몸체 일부분은 관통공과 대응하도록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형 브라켓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웨지의 승강시, 웨지와 웨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안내장공이 구비되고, 상기 L형 브라켓의 하부 후방에 회전체와 축으로 결합되도록 결합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중앙에 고정되어 L형 브라켓을 승강시키도록 회전안내장공이 형성된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 외측의 메인샤프트에 고정되어 로프가 고정되는 당김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회전체의 연결링크에 각각 고정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와 작동로드 사이에 결합되어 작동로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턴버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의 수직몸체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로드가 결합되는 결합지지편; 상기 결합지지편 일측의 작동로드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압축스프링 일측의 작동로드에 고정되어 압축스프링을 탄력있게 지지하는 지지너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빔 양단의 수직몸체 양측면에 고정되며 'ㄱ'자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앵글; 상기 고정앵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와셔; 상기 고정앵글을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앵글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공은 원형으로 관통되며, 상기 고정앵글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공은 사각으로 관통되고, 사각으로 관통된 고정공으로 결합되는 고정볼트의 몸체 일부분은 고정공과 대응하도록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와셔의 안내홀은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추락시 당김레버가 로프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체와 작동부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빔 양측에 설치된 메인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켜 한 쌍의 웨지가 가이드레일을 클램핑하게 하므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빔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을 동시에 클램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의 유동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을 최소화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에 따르면, 빔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의 설치시, 수직몸체에 관통공을 사각으로 형성하고 결합볼트의 몸체 일부를 이와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면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에 따르면, 빔 양단의 수직몸체 양측면에 고정부가 설치되어 빔을 엘리베이터 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면서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정면상태 반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빔 내측에 보강판이 설치되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로프에 의해 당김레버가 상향으로 당겨지는 상태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당김레버의 회전으로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웨지가 상승작동하여 가이드레일을 제동하는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빔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이 웨지에 의해 제동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일부가 확대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은 크게 빔(110), 하우징(120), 판스프링(130), 가이드부(140), 웨지(150), L형 브라켓(160), 회전체(170), 작동부(180), 고정부(190)로 구성된다.
상기 빔(110)은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와 양측부는 개방되게 형성되는 수직몸체(1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몸체(112)의 상부에는 외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지지편(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몸체(112)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몸체(112)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보강판(113)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판(113)은 수직몸체(112)에 관통된 사각형상의 관통공(116)에 결합볼트(114) 및 결합너트(115)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결합볼트(114)는 사각형상의 관통공(116)과 대응하도록 몸체 일부가 사각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16)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볼트(114)의 단부에는 결합너트(115)가 체결되어 보강판(113)을 고정하게 된다.
즉, 관통공(116)과 결합볼트(114)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므로 보강판(113)의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빔(110)의 양측에는 상부플레이트(121) 및 하부플레이트(122)로 이루어진 하우징(120)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20)은 판스프링(130), 가이드부(140), 웨지(150), L형 브라켓(160), 회전체(170) 등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21)는 빔(110) 양측의 지지편(111) 상부에 안착되어 볼트/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21)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122)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플레이트(122) 내측에는 웨지(150)가 승·하강할 수 있는 가이드부(140)가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가이드블록(141),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2)(143)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록(141)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하부플레이트(122) 내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하부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 볼트/너트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블록(141)의 전·후방에는 프론트 가이드플레이트(142)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3)가 밀착되어 볼트/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2)(143) 사이에는 웨지(150)가 결합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0)와 하부플레이트(122) 사이에는 U형의 판스프링(130)이 장착되며, 상기 판스프링(130)은 가이드블록(141)의 좌·우 이송을 탄성 지지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웨지(150)는 가이드부(140)의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2)(143)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체(17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여 제동시키게 된다.
상기 L형 브라켓(160)은 회전체(170)의 회전에 의해 웨지(150)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으로, 전면 양측에는 안내장공(16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후방에는 결합편(162)이 형성되어 회전체(170)의 회전레버(172)에 축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장공(161)은 웨지(150)의 후방에 위치하여 볼트/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웨지(150)가 상승할 때 웨지(150)와 웨지(150)가 서로 좁아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70)는 메인샤프트(171), 회전레버(172), 연결링크(173), 당김레버(174)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샤프트(171)는 빔(110)의 수직몸체(112)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프트(171)의 중앙에는 회전레버(172)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레버(172)에는 회전안내장공(172a)이 형성되어 L형 브라켓(160)의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빔(110) 외측의 메인샤프트(171) 일측에는 연결링크(173)가 고정되어 작동부(180)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173)의 외측으로는 당김레버(174)가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의 로프(R)가 고정되며, 상기 당김레버(174)는 빔(110) 양측에 설치된 메인샤프트(171) 중 어느 하나에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빔(110) 양측으로 설치된 회전체(170)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추락으로 로프(R)가 당겨지면 상기 회전체(170)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작동부(18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부(180)는 작동로드(181), 턴버클(182), 결합지지편(183), 압축스프링(184), 지지너트(185)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로드(181)는 2개로 분리 형성되어 회전체(170)의 연결링크(173)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181)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왼나사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로드(181) 사이에는 턴버클(182)이 위치하여 작동로드(181)가 양측에 결합되어 장력이나 느슨함을 미세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턴버클(182)이 결합된 작동로드(181)는, 상기 당김레버(174)에 고정된 로프(R)가 당겨지게 되면 빔(110)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체(170)를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수직몸체(112)의 일측에는 작동로드(181)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ㄴ'자로 절곡된 결합지지편(183)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지지편(183) 일측의 작동로드(181)에는 압축스프링(184)이 장착되며, 상기 작동로드(181)에 지지너트(185)가 나사체결되어 압축스프링(184)의 탄성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84)은 작동로드(181) 간의 길이를 줄이게 되면 압축되고, 작동로드(181) 간의 길이를 늘리게 되면 인장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110)의 양측에는 수직몸체(112)의 양측에 고정되면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빔(110)과 엘리베이터 카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19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90)는 크게 고정앵글(191), 고정판(192), 와셔(193), 고정볼트(194) 및 고정너트(19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앵글(191)은 'ㄱ'자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원형의 고정공(191a)이 관통되고, 하부에는 사각의 고정공(191a)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92)은 상기 고정앵글(191)의 내측면이 밀착되며, 상기 고정공(191a)과 동일선상으로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와셔(193)는 상기 고정판(192)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판(192)의 구멍과 동일선상으로 안내홀(193a)이 관통되되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고정볼트(19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판(192)과 와셔(193)는 고정앵글(191)과 엘리베이터 카의 결합력을 한층 높여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앵글(191)의 고정공(191a)에는 고정볼트(194)와 고정너트(195)가 고정되며, 고정앵글(19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공(191a)에는 원형의 몸체를 가진 고정볼트(194)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앵글(19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공(191a)에는 사각의 몸체를 가진 고정볼트(194)가 고정되며, 수직몸체(112)에 형성된 사각의 통공(112a) 내측에서 고정앵글(191)에 형성된 고정공(191a)으로 고정볼트(194)를 결합하게 되면 몸체의 사각부분이 통공(112a)과 고정공(191a)의 사각부분으로 결합되어 고정너트(195)로 고정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빔(110)과 고정앵글(191)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급하강 및 추락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레버(174)에 고정된 로프(R)는 멈추게 되고 엘리베이터 카는 계속하여 하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에 의해 당김레버(174)가 위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170)의 당김레버(174)가 위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 당김레버(174)가 고정된 메인샤프트(171)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메인샤프트(171)에 고정된 연결링크(17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180)는 상기 빔(110) 양측에 설치된 회전체(170)의 연결링크(17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빔(110)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체(17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180)에 의해 빔(110)의 타측에 설치된 회전체(170)도 동시에 회전된다.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17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샤프트(171)의 중앙에 고정된 회전레버(172) 상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레버(172)에 축으로 결합된 L형 브라켓(160)은 회전레버(172)에 형성된 회전안내장공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된다.
상기 L형 브라켓(160)에 볼트/너트로 고정되어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142)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3) 사이에 결합된 웨지(150)는 L형 브라켓(160)과 일체로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가이드부(140)의 롤러 조립체(미도시)의 일면을 따라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웨지(150)를 고정하는 볼트가 L형 브라켓(160)에 형성된 안내장공(161) 내에서 이동함과 동시에 웨지(15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서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여 제동시키게 되므로 급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80)는 빔(110)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체(170)와 회전체(170)를 연결하면서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양측의 회전체(170)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므로 빔(110)의 양측에서 가이드레일(G)을 안정적으로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이나 흔들림없이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180)는 회전체(170)의 연결링크(173) 간의 길이를 조정할 경우 일측의 작동로드(181)를 회전시켜 턴버클(182) 측으로 더 체결되게 하게 되면 작동로드(181)의 길이가 변동되면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급하강 및 추락시 로프(R)에 의해 회전체(170)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170) 사이에 연결된 작동부(180)의 유기적인 작동으로 회전체(170)의 동시 회전을 구현하여 웨지(150)의 상승으로 가이드레일(G)을 안정적으로 클램핑하게 되므로 오작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동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승객들의 불안감을 줄여 또 다른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빔 111: 지지편
112: 수직몸체 113: 보강판
114: 결합볼트 115: 결합너트
116: 관통공 120: 하우징
121: 상부플레이트 122: 하부플레이트
130: 판스프링 140: 가이드부
141: 가이드블록 142: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
143: 리어 가이드플레이트 150: 웨지
160: L형 브라켓 170: 회전체
171: 메인샤프트 172: 회전레버
173: 연결링크 174: 당김레버
180: 작동부 181: 작동로드
182: 턴버클 183: 결합지지편
184: 압축스프링 185: 지지너트
190: 고정부 191: 고정앵글
192: 고정판 193: 와셔
194: 고정볼트 195: 고정너트

Claims (9)

  1.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와 양측이 개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에 설치되는 빔(110);
    상기 빔(110)의 지지편(111) 양측에 각각 볼트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21)의 저면에 내부가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하부플레이트(122)가 고정 부착되는 하우징(120);
    판스프링(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120)의 내측에 가이드블록(141)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141)의 전·후방에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2)(143)가 설치되는 가이드부(140);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142)(143)를 따라 상·하로 이송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웨지(150);
    상기 웨지(150)에 고정되어 메인샤프트(171)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L형 브라켓(160);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플레이트(122)를 가로 질러 설치되며 로프(R)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어 메인샤프트(171)가 회전되는 회전체(170);
    상기 빔(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회전체(170)와 회전체(170)의 연결링크(173)에 연결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당김레버(174)가 위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 회전체(170)를 동시에 회전되게 하는 작동부(180); 및
    상기 빔(110)의 수직몸체(112) 양측에 고정되면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빔(110)을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90)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빔(110)의 수직몸체(112)와 수직몸체(112) 사이에는 보강판(113)이 설치되어 결합볼트(114)와 결합너트(115)로 고정되며, 상기 결합볼트(114)가 결합되는 관통공(116)은 사각으로 관통되고, 상기 결합볼트(114)의 몸체 일부분은 관통공(116)과 대응하도록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형 브라켓(16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웨지(150)의 승강시, 웨지(150)와 웨지(1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안내장공(161)이 구비되고, 상기 L형 브라켓(160)의 하부 후방에 회전체(170)와 축으로 결합되도록 결합편(16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체(170)는,
    메인샤프트(171);
    상기 메인샤프트(171)의 중앙에 고정되어 L형 브라켓(160)을 승강시키도록 회전안내장공이 형성된 회전레버(172);
    상기 회전레버(17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180)와 연결되는 연결링크(173);
    상기 연결링크(173) 외측의 메인샤프트(171)에 고정되어 로프(R)가 고정되는 당김레버(17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부(180)는,
    상기 회전체(170)의 연결링크(173)에 각각 고정되는 작동로드(181);
    상기 작동로드(181)와 작동로드(181) 사이에 결합되어 작동로드(181)의 길이를 조절하는 턴버클(182)이 구비되는 것과,
    상기 빔(110)의 수직몸체(112)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로드(181)가 결합되는 결합지지편(183);
    상기 결합지지편(183) 일측의 작동로드(181)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184);
    상기 압축스프링(184) 일측의 작동로드(181)에 고정되어 압축스프링(184)을 탄력있게 지지하는 지지너트(18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190)는,
    상기 빔(110) 양단의 수직몸체(112) 양측면에 고정되며 'ㄱ'자로 절곡 형성되어 상·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공(191a)이 형성되는 고정앵글(191);
    상기 고정앵글(19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192);
    상기 고정판(192)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공과 동일선상으로 안내홀(193a)이 형성되는 와셔(193);
    상기 고정앵글(191)을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94) 및 고정너트(195)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고정앵글(191)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공(191a)은 원형으로 관통되며, 상기 고정앵글(19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공(191a)은 사각으로 관통되고, 사각으로 관통된 고정공(191a)으로 결합되는 고정볼트(194)의 몸체 일부분은 고정공(191a)과 대응하도록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와셔(193)의 안내홀(193a)은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고정볼트(19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2020180005014U 2018-11-05 2018-11-05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KR200491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14U KR200491485Y1 (ko) 2018-11-05 2018-11-05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14U KR200491485Y1 (ko) 2018-11-05 2018-11-05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85Y1 true KR200491485Y1 (ko) 2020-04-17

Family

ID=7045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014U KR200491485Y1 (ko) 2018-11-05 2018-11-05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140006976A (ko) * 2011-04-05 2014-0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657138B2 (ja) * 2011-12-07 2015-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取付方法
KR20160080885A (ko) * 2014-12-29 2016-07-08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140006976A (ko) * 2011-04-05 2014-0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657138B2 (ja) * 2011-12-07 2015-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取付方法
KR20160080885A (ko) * 2014-12-29 2016-07-08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851B2 (en) Comb plate—comb plate carrier assembly and combination construction of the assembly with lifting tool
WO2021036398A1 (zh) 一种夹轨式无机房电梯救援装置及方法
CN105858399A (zh) 新型安全钳及电梯防坠落装置
KR100609009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
KR200491485Y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JP2012006695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およびエレベータ
KR20170130987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10199659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2090065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JP553953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
CN106458508B (zh) 电梯装置
KR200440345Y1 (ko)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정지장치
CN201679258U (zh) 停车设备安全钩
EP3957591A1 (en) Elevator passenger car and elevator having same car
JPWO2003106321A1 (ja) 釣合錘
JP554135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KR102447770B1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CN208732561U (zh) 建筑用新型升降作业平台的防坠组件
CN114502497B (zh) 无机房电梯的曳引机调整装置和曳引机安装方法
CN207957465U (zh) 一种无机房电梯下提拉下梁结构
KR200386599Y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정지장치
CN208631927U (zh) 一种换热器专用设备吊装机构
CN207861656U (zh) 一种底坑补偿绳张紧防跳设备
CN110342370B (zh) 电梯装置
CN210176255U (zh) 一种新型无机房电梯下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