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65B1 -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65B1
KR102090065B1 KR1020180062523A KR20180062523A KR102090065B1 KR 102090065 B1 KR102090065 B1 KR 102090065B1 KR 1020180062523 A KR1020180062523 A KR 1020180062523A KR 20180062523 A KR20180062523 A KR 20180062523A KR 102090065 B1 KR102090065 B1 KR 10209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s
elevator
support memb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598A (ko
Inventor
김동복
Original Assignee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든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8006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6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로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가이들롤러(3,4)들과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가이드롤러(5)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에 있어서, 수평지지판(1)과, 그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지지롤러(3,4)들이 측부에 장착되고 전면 지지롤러(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직립 지지부재(2),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대해 전후방으로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3개의 지지롤러(3,4,5)들이 장착된 직립 지지부재(2)가 설치된 수평지지판(1)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판(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가이드롤러들을 각각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측면 가이드롤러들과 함께 전면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지지판이 그 하측의 베이스판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충격에 의해 가이드롤러들이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카가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Apparatus For Guide Rolle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가이드롤러장치의 롤러가 승강로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하여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로 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형성된 승강로의 상단에 설치된 구동용 시브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로프를 통해 한쪽에는 승객이 탑승하는 카(car)가 연결되고 반대편에는 카와의 무게균형을 위한 카운터(counter)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고, 카가 안정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롤러장치는 승강로의 양측벽에 각각 고정된 레일과 3방향에서 접촉되도록 가이드롤러들이 배치되어 승강로내에서 승객이나 화물에 의한 편심하중이나 지진 등의 발생으로 인한 충격으로 카의 과도한 측방향 변위로 인해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수단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롤러장치의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246743호(등록일자 1999년12월07)에는 승강차의 상하면 양쪽에 고정되는 판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로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그 위를 주행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프레임 상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상단부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그 하단부측은 상기 프레임 상에 힌지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에 가해진 가진력으로 변위되는 상기 레버를 탄력 지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에 의한 상기 레버의 지지구간을 넘어서는 가진력이 작용된 레버의 변위량을 일정범위 내로 제한하는 저지수단과; 상기 저지수단과 탄지수단의 스프링 특성 차이를 그 사이에서 완화시키는 탄성매개수단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롤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가이드롤러장치에서는 레일의 양측면과 전면에서 각각 접촉되는 3개의 롤러들이 독립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인하여,
승강로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지진등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는 경우에 스프링이 압축되는 일측의 가이드롤러와 반대쪽에서 가이드롤러의 스프링의 과도한 신장에 의해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246743호(등록일자 1999년12월07)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엘리비에터의 3개의 가이드롤러들이 독립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의 양측방으로의 진동 흡수를 위해 가이드레일 양측면에 배치되는 2개 측면 가이드롤러들을 독립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가이드레일의 전방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전면 가이드롤러를 상기한 양측의 측면 가이드롤러들과 함께 지지하는 수평지지판이 베이스판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한 개선된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는, 승강로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가이들롤러들과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가이드롤러(5)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에 있어서,
수평지지판과, 그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지지롤러들이 측부에 장착되고 전면 지지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직립 지지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대해 전후방으로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3개의 지지롤러들이 장착된 직립 지지부재가 설치된 수평지지판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립 지지부재는 양측면이 절곡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립 지지부재의 양측면에 고정블럭이 각각 배치되고, 그 고정블럭에 상기 측면 지지롤러들이 고정볼트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블럭의 하부에는 고정볼트로 수평지지판의 일단부에서 직립되게 절곡된 수직절곡부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블럭들은 수직절곡부에서 양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레일의 측방향의 충격에 의한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각각의 고정블럭들은 수평방향으로 직립 지지부재의 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 가이드핀과, 스프링이 장착된 제 2가이드핀(26)이 제공된다.
상기 전면 지지롤러는 직립 지지부재(2)에 형성된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승강로의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접촉되게 브라켓으로 직립 지지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직립 지지부재가 수직절곡부에 장착된 수평지지판의 저면에는 "ㄷ"자 형태의 슬라이드부들이 이격되어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들이 상기 돌출부의 홈에 삽입되어 수평지지판이 베이스판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지지판을 베이스판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판의 상면에는 고정부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의 전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단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장볼트가 상기 홀을 관통하여 베이스판의 단부와 고정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장볼트에는 동심원적 외측으로 스프링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가이드롤러들을 각각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측면 가이드롤러들과 함께 전면 가이드롤러를 지지하는 수평지지판이 그 하측의 베이스판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충격에 의해 가이드롤러들이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카가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이드롤러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가이드롤러장치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장착된 상태를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는 수평지지판(1)과, 그 일측 단부에 고정된 직립 지지부재(2), 상기 직립 지지부재(2)의 절곡된 양측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양측방향으로 지지하는 측면 지지롤러(3,4)들, 상기 직립지지부재(2)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면에서 지지하는 전면 지지롤러(5), 가이드레일의 전방으로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3개의 지지롤러(3,4,5)들이 설치된 수평지지판(1)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판(10)을 포함한다.
상기 직립 지지부재(2)는 양측면이 절곡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 측면 지지롤러(3,4)들이 측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직립 지지부재(2)의 양측면에 고정블럭(21)이 각각 배치되고, 그 고정블럭(21)에 상기 측면 지지롤러(3,4)들이 고정볼트(22)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21)의 하부에는 고정볼트(23)로 수평지지판(1)의 일단부에서 직립되게 절곡된 수직절곡부(11)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블럭(21)들은 수직절곡부(11)에서 양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블럭(21)들은 수평방향으로 직립 지지부재(2)의 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 가이드핀(24)과 스프링(25)이 장착된 제 2가이드핀(26)이 제공되어서, 상기 측면 지지롤러(3,4)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측방향의 충격에 대한 변위를 상기 제 2 가이드핀(26)의 스프링(25)의 탄성력으로 흡수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25)은 고정블럭(21)의 외측면과 제 2 가이드핀(26)의 단부에 제공된 와셔(2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 지지롤러(3,4)가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서 이탈되는 외측방향으로의 충격에 대해 탄성력을 고정블럭(21)에 작용함으로써, 측면 지지롤러(3,4)들이 가이드레일의 측면에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전면 지지롤러(5)는 직립 지지부재(2)에 형성된 개구부(29)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승강로의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접촉되게 브라켓(28)으로 직립 지지부재(2)에 고정된다.
양측면의 지지롤러(2,3)와 전면 지지롤러(5)가 장착된 직립 지지부재(2)가 수직절곡부(11)에 장착된 수평지지판(1)의 저면에는 "ㄷ"자 형태의 슬라이드부(12)들이 이격되어 제공되어 베이스판(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부(10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홈(102)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판(1) 저면에 제공된 슬라이드부(12)들이 상기 돌출부(101)의 홈(102)에 삽입되어서 수평지지판(1)이 베이스판(10)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지지판(1)의 상면에는 고정부(14)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10)의 전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단부(105)에는 홀(106)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판(1)을 베이스판(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볼트(107)의 헤드가 고정부(14)의 외측에 배치되어 고정부(14)를 관통한 장볼트(107)가 그 자유단부가 베이스판(10)의 단부(105)에 형성된 홀(106)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와셔와 너트로 베이스판(10)의 단부 외측에서 고정되며, 상기 장볼트(107)에는 동심원적 외측으로 스프링(108)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가이드롤러(3,4)들이 엘리베이터용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전면 롤러(5)가 가이드레일(30)의 전면에 접촉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양측 방향으로 충격이 작용될 때 측면 가이드롤러(3,4)들은 각각의 스프링(2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전면에 대하여 전면 가이드롤러(5)에 전후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에는, 상기 전면 가이드롤러(5)와 함께 측면 가이드롤러(3,4)들이 설치된 직립 지지부재(2)가 고정되어 있는 상기 수평지지판(1)이 베이스판(1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의 스프링(108)의 탄성력의 작용하에 슬라이드됨으로써, 전면 가이드롤러(5)의 전후방향의 충격력은 전체 가이들롤러들이 베이스판(10) 상에서 수평지지판(1)의 탄성적인 슬라이드 변위로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지지판(1)에 고정된 직립 지지부재(2)에 장착된 가이드롤러(3,4,5)들에 대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수평지지판(1)의 전후방향으로의 변위는 상기 스프링(108)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지지판(1)이 가이드롤러(3,4,5)들과 함께 베이스판(10)에 대해 스프링(108)의 탄성력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가이드롤러(3,4,5)들은 가이드레일(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되므로,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엘링베이터 카는 승강로의 양측벽에 제공된 가이드레일에 대해 카의 양측면에 제공된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롤러장치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되어 카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가이드롤러장치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승강로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롤러(3,4)들과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가이드롤러(5), 수평지지판(1)과, 그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지지롤러(3,4)들이 측부에 장착되고 전면 지지롤러(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직립 지지부재(2)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대해 전후방으로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3개의 지지롤러(3,4,5)들이 장착된 직립 지지부재(2)가 설치된 수평지지판(1)이 베이스판(10)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판(1)을 베이스판(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지지판(1)의 상면에는 고정부(14)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10)의 전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단부(105)에는 홀(106)이 형성되고, 장볼트(107)가 상기 고정부(14)와 베이스판(10)의 단부(105)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장볼트(107)에는 동심원적 외측으로 스프링(108)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지지부재(2)는 양측면이 절곡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립 지지부재(2)의 양측면에 고정블럭(21)이 각각 배치되고, 그 고정블럭(21)에 상기 측면 지지롤러(3,4)들이 고정볼트(22)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블럭(21)의 하부에는 고정볼트(23)로 수평지지판(1)의 일단부에서 직립되게 절곡된 수직절곡부(11)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블럭(21)들은 수직절곡부(11)에서 양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의 측방향의 충격에 의한 변위를 흡수하도록 상기 각각의 고정블럭(21)들은 수평방향으로 직립 지지부재(2)의 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 가이드핀(24)과, 스프링(25)이 장착된 제 2가이드핀(26)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지지롤러(5)는 직립 지지부재(2)에 형성된 개구부(29)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승강로의 가이드레일의 전면에 접촉되게 브라켓(28)으로 직립 지지부재(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지지부재(2)가 수직절곡부(11)에 장착된 수평지지판(1)의 저면에는 "ㄷ"자 형태의 슬라이드부(12)들이 이격되어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01)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12)들이 상기 돌출부(101)의 홈(102)에 삽입되어 수평지지판(1)이 베이스판(10)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6. 삭제
KR1020180062523A 2018-05-31 2018-05-31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KR10209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23A KR102090065B1 (ko) 2018-05-31 2018-05-31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23A KR102090065B1 (ko) 2018-05-31 2018-05-31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598A KR20190136598A (ko) 2019-12-10
KR102090065B1 true KR102090065B1 (ko) 2020-04-23

Family

ID=6900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23A KR102090065B1 (ko) 2018-05-31 2018-05-31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3336B2 (ja) * 2019-06-17 2022-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2225035B (zh) * 2020-10-15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背包式电梯的滚轮导靴及其安装调整方法、具有该滚轮导靴的背包式电梯
CN112919283B (zh) * 2021-02-01 2022-05-20 安徽九纲机电有限公司 一种滚轮导靴减震装置及其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263A (ja) * 1999-11-16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JP2006131385A (ja) * 2004-11-09 2006-05-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743B1 (ko) 1997-08-30 2000-04-01 이종수 엘리베이터의가이드롤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263A (ja) * 1999-11-16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JP2006131385A (ja) * 2004-11-09 2006-05-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598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065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KR100374659B1 (ko) 견인식 엘리베이터
JPH10194627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装置
US20180354750A1 (en) Rail clip for elevator systems
CN112623997B (zh) 一种防坠式升降机
JP2010047410A (ja) エレベータ
KR20210081130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롤러
EP1942071B1 (en) Flotation means for the correct wedging of a safety device for life
RU2646031C1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 частности, локомотив
JPH07144846A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シュー装置
JPH0585778U (ja) エレベーターの緩衝器
JP5554636B2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KR101856590B1 (ko)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JP4606858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102130225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KR102351808B1 (ko) 레일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KR101742856B1 (ko) 엘리베이터 완충기
CN108569305B (zh) 铁路车辆转向架摩擦瓦
WO2020202534A1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ス支持装置
JP5070938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JP2522044B2 (ja) エレベ―タの案内レ―ル支持装置
JP420847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JP2004224468A (ja) エレベーターかご
JP3056945B2 (ja) エレベーター
WO2019180935A1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