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225B1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225B1
KR102130225B1 KR1020180166302A KR20180166302A KR102130225B1 KR 102130225 B1 KR102130225 B1 KR 102130225B1 KR 1020180166302 A KR1020180166302 A KR 1020180166302A KR 20180166302 A KR20180166302 A KR 20180166302A KR 102130225 B1 KR102130225 B1 KR 10213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vertical center
coupled
spac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110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2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러 스페이서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스토퍼와 스프링 등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단순한 구조로 롤러 스페이서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탄성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탄성 러버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카에 전달되는 횡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스토퍼 홀을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편심 볼트를 통해 회전 링크에 결합함으로써,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 위치를 스토퍼 홀 영역 내부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 탄성 접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Guide Roller Assembly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러 스페이서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스토퍼와 스프링 등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단순한 구조로 롤러 스페이서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탄성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탄성 러버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카에 전달되는 횡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스토퍼 홀을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편심 볼트를 통해 회전 링크에 결합함으로써,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 위치를 스토퍼 홀 영역 내부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 탄성 접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 화물 등을 원하는 층까지 운반하는 장치로서, 그 개략적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의 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가이드레일(1)(1')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롤링되는 가이드 롤러장치(2)들이 구비된 승강차(3)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승강차(3)는 시이브(4)와 안내풀리(5)에 감겨진 메인로프(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그 메인로프(6)의 타단부에는 균형추(7)가 매달려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장치(2)는 가이드레일(1)(1')을 감싸도록 3개가 1조로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가이드 롤러장치(2)는 가이드레일(1)에 롤링될 수 있도록 롤러(11)가 지지설치되어 있고, 그 롤러(11)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토션러버(12)에 롤러 샤프트(13)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토션러버(12)는 하단부가 롤러핀조인트(14)로 롤러프레임(1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션러버(12)의 상, 하측에 관통됨과 아울러 좌측단부가 롤러프레임(15)에 고정되도록 상, 하부 안내봉(16)(16')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안내봉(16)의 후단부에는 코일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안내봉(16')의 우측단부에는 스토퍼(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차(3)에 승객 또는 화물이 승차하면 시이브(4)의 후방에 연결설치된 구동원에서 시이브(4)를 회전시키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시이브(4)에 감겨 있는 메인로프(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차(3)를 끌어올려서 원하는 높이로 승강차를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차(3)의 반대쪽에 매달려 있는 균형추(7)에 의하여 균형이 어느 정도 유지되어 일정힘으로 승강차(3)를 끌어올리게 되고, 그와 반대로 시이브(4)를 역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차(3)를 아래로 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승강차(3)가 승강로(8)의 내측에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가이드레일(1)의 바운스(BOUNCE,산)면 또는 단차에 의하여 승강차(3)에 횡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어 롤러(11)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롤러(11)에 연결된 토션러버(12)도 같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코일스프링(17)에 의하여 진동이 어느 정도 완충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장치에서는 롤러(11)가 가이드레일(1)의 바운스면 또는 단차를 지나면서 롤러(11)에 발생되는 외란을 코일스프링(17)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충하게 되나, 바운스면을 지나서 리바운드면을 지날 때 코일스프링(17)에 저장되었던 탄성에너지에 의하여 아무런 저항없이 자유진동을 하게 되어 승강차(3)에 횡진동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횡진동을 발생시키는 자유진동이 일정시간 지속되어 승강차(3)의 횡진동 감소에 의한 승차감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장치(2)의 설치시 승강차(3)의 발란스 불량, 설치불량, 가이드레일(1)의 폭, 코일스프링(17)의 초기예입 등을 고려하여 토션러버(12)를 가이드레일(1)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토션러버샤프트 조인트 반력방향이 가이드레일(1) 중심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 구속반력에 의하여 승강차(3)는 가이드레일(1) 중심에서 멀어지는 모멘트를 발생시켜서 승강차(3)의 횡진동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어 승차감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29588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러 스페이서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스토퍼와 스프링 등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단순한 구조로 롤러 스페이서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탄성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탄성 러버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카에 전달되는 횡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스토퍼 홀을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편심 볼트를 통해 회전 링크에 결합함으로써,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 위치를 스토퍼 홀 영역 내부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 탄성 접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에 롤링 접촉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에 있어서, 수직면을 이루는 수직 중심부와 상기 수직 중심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단 절곡부 및 하단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중심부를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좌우 분리 구획하도록 상기 수직 중심부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분리 격판이 배치되는 고정 브래킷; 각각의 회전축이 상기 수직 중심부의 제 1 및 제 2 영역을 수평 관통하며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 회전축이 상기 분리 격판을 수평 관통하며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제 2 롤러 스페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 1 탄성 모듈; 및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 2 탄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모듈 및 제 2 탄성 모듈은 각각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 및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 모듈은, 외측면이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단 절곡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탄성 러버가 충진되는 중공 다각 기둥 형태의 외부 케이스; 상기 탄성 러버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태의 코어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코어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수직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스토퍼 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링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홀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링크에 편심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 모듈은, 외측면이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하단 절곡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탄성 러버가 충진되는 중공 다각 기둥 형태의 외부 케이스; 상기 탄성 러버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태의 코어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코어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의 분리 격판에는 상기 회전축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스토퍼 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링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홀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링크에 편심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러 스페이서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스토퍼와 스프링 등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단순한 구조로 롤러 스페이서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탄성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탄성 러버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카에 전달되는 횡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스토퍼 홀을 통해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편심 볼트를 통해 회전 링크에 결합함으로써,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 위치를 스토퍼 홀 영역 내부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상태로 가이드 레일에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가이드 롤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모듈에 대한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생략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생략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모듈에 대한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생략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생략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에 롤링 접촉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치로서, 고정 브래킷(100)과,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와,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와, 제 1 탄성 모듈(400)과, 제 2 탄성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브래킷(100)은 수직면을 이루는 수직 중심부(110)와, 수직 중심부(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단 절곡부(120) 및 하단 절곡부(130)를 포함하고, 수직 중심부(110)의 내측면에는 수직 중심부(110)를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좌우 분리 구획하도록 분리 격판(140)이 배치된다.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210)는 각각의 회전축(211)이 수직 중심부(110)의 제 1 및 제 2 영역을 수평 관통하며 수직 중심부(110)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제 2 롤러 스페이서(300)는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축(310)이 분리 격판(140)을 수평 관통하며 가장자리 부분이 수직 중심부(110)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제 1 롤러 스페이서(210) 및 제 2 롤러 스페이서(300)가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에 롤링 접촉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 1 탄성 모듈(400)은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 브래킷(100)에 결합되며, 제 2 탄성 모듈(500)은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을 수직 중심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 브래킷(100)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탄성 모듈(400) 및 제 2 탄성 모듈(500)은 각각 탄성 러버(420,520)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제 1 롤러 스페이서(210) 및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210,310)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1 롤러 스페이서(210)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가이드 레일의 양면에 탄성 롤링 접촉하게 되고, 제 2 롤러 스페이서(300)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가이드 레일의 일면에 탄성 롤링 접촉하게 된다. 제 1 롤러 스페이서(210) 및 제 2 롤러 스페이서(300)가 가이드 레일에 탄성 접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가이드 레일의 굴곡이나 단차 등에 의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전달되는 횡진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횡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탄성 모듈(400)은, 외측면이 고정 브래킷(100)의 상단 절곡부(120)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탄성 러버(420)가 충진되는 중공 다각 기둥 형태의 외부 케이스(410)와, 탄성 러버(420)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태의 코어 부재(430)와, 일단이 코어 부재(4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에 결합되는 회전 링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 링크(440)가 코어 부재(43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코어 부재(430)의 회전 이동이 탄성 러버(420)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저지되는 방식으로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이 탄성 지지된다.
이때, 고정 브래킷(100)의 수직 중심부(110)에는 회전축(21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축(211)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 홀(111)이 형성되며,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은 이러한 스토퍼 홀(111)을 관통하여 회전 링크(440)의 타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별도의 스토퍼 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은 스토퍼 홀(111)에 의해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한편,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은 회전 링크(4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 홀(111)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 링크(440)에 편심 볼트(450)를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볼트(450)를 회전 조절하게 되면,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이 편심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211)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을 통해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제 1 탄성 모듈(400)에 의한 탄성 지지력은 동일하게 발생한다.
제 2 탄성 모듈(500) 또한 제 1 탄성 모듈(40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외측면이 고정 브래킷(100)의 하단 절곡부(130)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탄성 러버(520)가 충진되는 중공 다각 기둥 형태의 외부 케이스(510)와, 탄성 러버(520)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태의 코어 부재(530)와, 일단이 코어 부재(5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에 결합되는 회전 링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은 제 1 롤러 스페이서(210)의 회전축(211)과 마찬가지로 탄성 러버(520)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회전 링크(540)를 통해 회전축(310)으로 전달되어 회전축(310)이 탄성 지지된다.
고정 브래킷(100)의 분리 격판(140)에는 회전축(3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축(310)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 홀(141)이 형성되며,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은 스토퍼 홀(141)을 관통하여 회전 링크(540)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 또한 별도의 스토퍼 장치 없이 이동 범위를 스토퍼 홀(141) 영역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 또한 회전 링크(5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 홀(141)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 링크(540)에 편심 볼트(550)를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볼트(550)를 회전 조절하게 되면,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회전축(310)이 편심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310)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을 통해 제 2 롤러 스페이서(300)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제 2 탄성 모듈(500)에 의한 탄성 지지력은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브래킷
110: 수직 중심부
120: 상단 절곡부
130: 하단 절곡부
210: 제 1 롤러 스페이서
211: 회전축
300: 제 2 롤러 스페이서
310: 회전축
400: 제 1 탄성 모듈
500: 제 2 탄성 모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에 롤링 접촉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에 있어서,
    수직면을 이루는 수직 중심부와 상기 수직 중심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단 절곡부 및 하단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중심부를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좌우 분리 구획하도록 상기 수직 중심부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분리 격판이 배치되는 고정 브래킷;
    각각의 회전축이 상기 수직 중심부의 제 1 및 제 2 영역을 수평 관통하며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
    회전축이 상기 분리 격판을 수평 관통하며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제 2 롤러 스페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 1 탄성 모듈; 및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 2 탄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모듈 및 제 2 탄성 모듈은 각각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 및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 1 탄성 모듈은
    외측면이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단 절곡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탄성 러버가 충진되는 중공 다각 기둥 형태의 외부 케이스;
    상기 탄성 러버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태의 코어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코어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수직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스토퍼 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링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홀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링크에 편심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5. 삭제
  6.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에 롤링 접촉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에 있어서,
    수직면을 이루는 수직 중심부와 상기 수직 중심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단 절곡부 및 하단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중심부를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좌우 분리 구획하도록 상기 수직 중심부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분리 격판이 배치되는 고정 브래킷;
    각각의 회전축이 상기 수직 중심부의 제 1 및 제 2 영역을 수평 관통하며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
    회전축이 상기 분리 격판을 수평 관통하며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제 2 롤러 스페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 1 탄성 모듈; 및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상기 수직 중심부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 2 탄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모듈 및 제 2 탄성 모듈은 각각 탄성 러버의 비틀림 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롤러 스페이서 및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 2 탄성 모듈은
    외측면이 상기 고정 브래킷의 하단 절곡부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탄성 러버가 충진되는 중공 다각 기둥 형태의 외부 케이스;
    상기 탄성 러버의 중심부에 관통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태의 코어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코어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분리 격판에는 상기 회전축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스토퍼 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 스페이서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링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홀 영역 내에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링크에 편심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KR1020180166302A 2018-12-20 2018-12-20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KR10213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02A KR102130225B1 (ko) 2018-12-20 2018-12-20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02A KR102130225B1 (ko) 2018-12-20 2018-12-20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10A KR20200077110A (ko) 2020-06-30
KR102130225B1 true KR102130225B1 (ko) 2020-07-03

Family

ID=7112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02A KR102130225B1 (ko) 2018-12-20 2018-12-20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5035B (zh) * 2020-10-15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背包式电梯的滚轮导靴及其安装调整方法、具有该滚轮导靴的背包式电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1485A (ja) * 2011-06-15 2013-01-07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ローラガイドアッ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89B1 (ko) 1999-03-08 2001-07-12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롤러장치
KR101951310B1 (ko) * 2016-05-17 2019-02-22 주식회사 꼬레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1485A (ja) * 2011-06-15 2013-01-07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ローラガイドアッ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10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8975B1 (en) Elevator car mounting assembly
US20130048438A1 (en)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mitigation
JP5695022B2 (ja) エレベータの耐荷重部材の振動制御
JPH10194627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装置
KR102130225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US5984053A (en) Guide roller support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US10450168B2 (en) Double deck elevator system
KR102090065B1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JPH033884A (ja) 昇降機
JP4606858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2000238975A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装置
JP2002179355A (ja) エレベータ
KR100993003B1 (ko)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KR102497033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JP4762210B2 (ja) エレベータ
KR101959816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JP2012218897A (ja) エレベータ
JP5554636B2 (ja)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2007045547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設置構造
JP2002179356A (ja) エレベータ
JP5077014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4329316B2 (ja) 免震建築用エレベーター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JPH0753158A (ja) 高速エレベータ
KR100295889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롤러장치
WO2011033178A1 (en) People m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