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003B1 -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 Google Patents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003B1
KR100993003B1 KR1020080052191A KR20080052191A KR100993003B1 KR 100993003 B1 KR100993003 B1 KR 100993003B1 KR 1020080052191 A KR1020080052191 A KR 1020080052191A KR 20080052191 A KR20080052191 A KR 20080052191A KR 100993003 B1 KR100993003 B1 KR 10099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links
seat
adjust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045A (ko
Inventor
준 남궁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0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2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60N2/508Scissors-lik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 현가 장치는 차량 바닥에 깔린 로어 패널(1)과 시트 저부에 형성된 어퍼 패널(2)사이로 "X" 자 타입을 이루도록, 힌지 축(5,9)이 중앙에 체결된 제1·2 링크(6,10,7,11)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4,8)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양쪽 부위를 서로 근접시키거나 멀어지게 해 높이를 올리거나 낮추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링크(6,10,7,11)중 가이드레일(14,17)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링크(6,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가 설치됨에 따라, 시트 현가의 높이 조절이 "X" 자 타입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4,8)를 조작하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통해 구현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를 조작을 통해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 링크(6,10)의 거동 구속에 따른 높이 제한을 이용해,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보다 낮은 시트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높이 조절, 시트 현가, 스토퍼

Description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Seat suspension assembly having height restriction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은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과 충격이 큰 고출력 엔진 즉, 굴삭기나, 불도저, 지게차, 농사 차량과 같은 경우는, 진동과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시트 하부로 현가(Suspension)를 장착해 편안한 승차 감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를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시트 현가 장치는 통상, 시트의 아래쪽으로 시트를 이루는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연결하면서, 핀 축과 로드 축으로 유동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 높이 조절 장치가 시트 현가의 외측 상부 쪽으로 전/후 독립적으로 장착해,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높이를 조절해 시트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시트 현가 장치에는 높이 조절 장치가 핀 축과 로드 축으로 유동되게 연결된 구조를 갖음에 따라,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완화하지 못하고 오히려 진동파장이 확대 전달되는 측면이 있어, 상부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진동을 흡수·완충해주는 댐퍼(Damper)를 별도로 장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착석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도 흡수해주게 된다.
하지만,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시트 현가의 외측 상부 쪽에서 전/후 독립 식으로 높이 조절 장치가 설치된 구조에서는, 전/후 부위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되지만 복잡한 구조로 인해 중량과 비용 상승을 가져옴은 물론,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 착좌 높이를 보다 낮게 설정하는 데 많은 제약을 갖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트 현가 장치가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아래쪽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거동되어 시트 높이를 조절하는 "X"자형 링크가 설치되고, "X"자형 링크의 한쪽 부위에서는 필요에 따라 링크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도록 함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 조절 시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보다 낮은 상태로 시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현가 장치는 손으로 잡고 회전력을 발생해 밀거나 당기는 방식을 이용해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X"자형 링크를 이용함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운전자의 간단한 회전 작동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 증대와 함께 상품성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현가 장치가 차량 바닥에 깔린 로어 패널과 시트 저부에 형성된 어퍼 패널사이에서 서로 간격을 두도록 양쪽 부위로 각각 장착되면서, "X" 자 타입을 이루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중앙 부위를 결합한 힌지 축을 매개로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양 끝단 부위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져, 상기 어퍼 패널을 올리거나 낮추는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와;
상기 좌·우 엑스 링크사이로 위치되어진 조절 축의 회전 방향에 의해 제1·2 링크의 양 끝단 부위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센터 링크 조절기와, 일단이 상기 조절 축부위로 고정되어 탄성 복원 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 조작 정도를 인식하는 인디케이터 및 일단이 어퍼 프레임쪽에 고정되어 진동을 흡수·완충하는 댐퍼로 이루어진 시트 높이 어저스터 및;
상기 좌·우 엑스 링크를 이루는 제1 링크간을 서로 연결하면서 양쪽 끝단이 가이드 레일쪽에 결합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를 감싸 결합함에 따라, 높이가 상승되도록 양 끝단 부위가 서로 접근하는 상기 제1·2 링크의 이동 거리를 차단하도록 상측 지지 로드의 이동을 구속해, 상기 제1·2 링크의 접근에 의한 높이 상승을 제한하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 엑스 링크는 각각 "X" 자 타입을 이루도록 그 중앙 부위가 힌지 축으로 체결되어진 제1 링크와 제2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의 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힌지 고정되면서 제1 링크를 가 로지르는 후단 하측 지지 로드로 연결되는 반면, 상기 제1 링크의 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의 안쪽으로 위치된 제2 링크의 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힌지 고정되면서, 제2 링크를 가로지르는 후단 상측 지지 로드로 연결되는 반면, 상기 제2 링크의 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된 전단 하측 지지 로드로 연결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는 잡고 회전할 때,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해 들어가거나 빠져 나오는 연장 나사 로드를 구비한 조절 핸들과, 상기 조절 핸들에서 연장된 연장 나사 로드에 결합되어져, 조절 핸들의 이동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는 이송 핀, 상기 연장 나사 로드가 관통하고 이송 핀이 이동되는 가이드 채널을 형성한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조절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 핀과 함께 이동되어져, 좌·우 엑스 링크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가 관통되어진 장공 형상의 스트로크 채널이 뚫려진 스토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현가 장치가 밀거나 당기는 방식을 이용해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X"자형 링크를 구비해, 시트 높낮이 조절 시 사용자 편의성 증대와 함께 상품성도 동시에 향상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 링크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도록 해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보다 낮게 시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현가 장치는 손으로 잡고 회전력을 발생해 밀거나 당기는 방식을 이용해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X"자형 링크를 시트 중앙부위로 설치 해줌에 따라, 시트 현가 장치의 구성도 보다 간단해 져 전체적인 제조 비용도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가)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현가 앗세이는 차량 바닥에 깔린 로어 패널(1)과 시트 저부에 형성된 어퍼 패널(2)사이로 구비되어, 어퍼 패널(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X" 자 타입의 링크 프레임(3)과, 회전을 통해 축 방향 이동되어져, 상기 링크 프레임(3)을 밀거나 당겨 링크 프레임(3)이 갖는 높이를 낮추거나 높여 시트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완충하도록 링크 프레임(3)과 어퍼 패널(2)사이로 장착된 댐퍼(25) 및 높이가 상승되도록 전후 부위가 서로 접근하는 상기 링크 프레임(3)의 접근 경로를 차단해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링크 프레임(3)의 한쪽 부위로 설치된 시트 높이 구속 어 저스터(30)로 구성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링크 프레임(3)은 도 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패널(1)의 양쪽 부위에서 중앙 부위를 힌지 축(5,9)으로 결합한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4,8)가 위치되고,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가 형성하는 폭을 가로질러 좌·우 엑스 링크(4,8)의 전후 부위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 로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는 각각 "X" 자 타입을 이루도록 그 중앙 부위가 힌지 축(5,9)으로 체결되어진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7,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6,10)의 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힌지 고정되면서 제1 링크(6,10)를 가로지르는 후단 하측 지지 로드(12)로 연결되는 반면, 상기 제1 링크(6,10)의 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17)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로 연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에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가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링크(6,10)의 안쪽으로 위치된 제2 링크(7,11)의 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힌지 고정되면서, 제2 링크(7,11)를 가로지르는 후단 상측 지지 로드(15)로 연결되는 반면, 상기 제2 링크(7,11)의 전방 부위는 양 끝단 쪽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14)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된 전단 하측 지지 로드(13)로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전단 상·하 지지 로드(13,16)의 끝단 부위로는 롤러를 체결해 가이드 레일(14,17)을 따라 이동될 때, 마찰 저항을 줄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7,11)의 후방 부위가 고정되지만 전방 부위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시트 높이 어저스터(20)의 작동 시 전단 상·하 지지 로드(13,16)가 가이드 레일(14,17)을 통해 이동되어져,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7,11)가 서로 접근해 높이를 올려 주거나 멀어지면서 높이를 내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는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자 타입을 이루는 좌·우 엑스 링크(4,8)의 가운데 공간으로 설치되어진 센터 링크 조절기(21)와, 상기 센터 링크 조절기(21)를 전·후진시켜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7,11)의 양쪽 부위가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회전되는 조절 축(23) 및 상기 센터 링크 조절기(2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축(23)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고정되어진 한 쌍의 스프링(22)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시트 높이 어저스터(20)에는 센터 링크 조절기(21)의 작동 정도를 인식하는 인디케이터(24)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2 링크(7,1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어퍼 프레임(2)쪽에 고정되어져,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완충하도록 댐퍼(25)가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시트 높이 어저스터(20)의 구성은 "X" 링크 타입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용하는 시트 현가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는 "X" 링크 타입 좌·우 엑스 링크(4,8)의 한 쪽 부위에 장착되는데, 즉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 링크(6,10)의 전방에서 가이드 레일(17)쪽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쪽으로 결합되고, 작동 시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을 구속해 상기 제1 링크(6,10)가 제2 링크(7,11)에 대해 서로 접근되는 거리를 제한해 주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는 잡고 회전할 때,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해 들어가거나 빠져 나오는 연장 나사 로드(31a)를 구비한 조절 핸들(31)과, 상기 조절 핸들(31)에서 연장된 연장 나사 로드(31a)에 결합되어져, 조절 핸들(31)의 이동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는 이송 핀(32), 상기 연장 나사 로드(31a)가 관통하고 이송 핀(32)이 이동되는 가이드 채널(33a)을 형성한 가이드 블록(33) 및 상기 조절 핸들(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 핀(32)과 함께 이동되어져, 좌·우 엑스 링크(4,8)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34)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절 핸들(31)에서 연장된 연장 나사 로드(31a)는 어퍼 패널(2)을 관통해 어퍼 패널(2)을 통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어퍼 패널(2)쪽에 결합된 가이드 블록(33)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 면으로 나사를 형성함에 따라, 조절 핸들(31)이 회전될 때 연장 나사 로드(31a)가 고정된 가이드 블록(33)에 대해 전·후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핸들(31)에서 연장된 연장 나사 로드(31a)의 끝단 부위에는 부시(31b)를 결합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4)는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 링크(6,10)의 전방에서 가이드 레일(17)쪽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34)는 가이드 블록(33)에 결합되면 서 이송 핀(32)에 나사 체결된 구간을 이루는 고정 브라켓(35)이 형성되고,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트로크 채널(37)이 뚫려진 스토퍼 플레이트(36)가 상기 고정 브라켓(35)에서 연장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트로크 채널(37)은 스토퍼 플레이트(3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 형상으로 뚫려지는데, 이러한 상기 스트로크 채널(37)은 좌·우 엑스 링크(4,8)가 서로 다가가면서 높이를 상승시킬 때 즉, 좌·우 엑스 링크(4,8)를 구성하는 제1 링크(6,10)를 가로지르는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링크(6,10)가 제2 링크(7,11)에 대해 서로 접근되는 거리를 제한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현가는 차량 바닥에 깔린 로어 패널(1)과 시트 저부에 형성된 어퍼 패널(2)사이로 "X" 자 타입을 이루도록, 힌지 축(5,9)이 중앙에 체결된 제1·2 링크(6,10,7,11)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4,8)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양쪽 부위를 서로 근접시키거나 멀어지게 해 높이를 올리거나 낮추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링크(6,10,7,11)중 가이드레일(14,17)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링크(6,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가 함께 설치되어져, 전체적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을 이룰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시트 현가 장치는 시트 현가의 높이 조절이 "X" 자 타입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4,8)를 조작하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통해 구 현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를 조작을 통해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 링크(6,10)의 거동 구속에 따른 높이 제한을 이용해,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보다 낮은 시트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 현가는 도 1(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닥에 깔린 로어 패널(1)부위에서 가이드 레일(14,17)에 양 끝단 쪽이 결합되어져, 서로 좁혀지거나 멀어지는 한 쌍의 "X" 자 타입 좌·우 엑스 링크(4,8)로 구성된 링크 프레임(3)이 댐퍼(25)와 함께 시트를 이루는 어퍼 패널(2)을 지지하도록 장착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시트 현가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엑스 링크(4,8)를 당기거나 밀어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의 폭 사이로는 조절 축(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트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가 구비되며,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중 한쪽 부위로는 상기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통해 조절되는 좌·우 엑스 링크(4,8)의 높이를 제한하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가 더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현가는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이용해 시트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조절 축(23)의 회전(시트를 높이는 방향이라 가정함)으로 센터 링크 조절기(21)가 "X" 자 타입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2 링크(6,10,7,11)가 힌지 축(5,9)을 매개로 서로 접근하도록 당겨지게 되고, 이는 서로간의 양쪽 부위가 좁혀지면서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의 높이를 높여 시트를 올려주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 높이 어저스터(20)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프링(22)은 제1·2 링크(6,10,7,11)의 이동으로 압축된 후, 시트를 다시 낮출 때 제1·2 링크(6,10,7,11)의 초기 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부가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시, 상기 제1·2 링크(6,10,7,11)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후방 부위에 개해 전방 부위가 가이드 레일(14,17)을 따라 이동 즉, 제1·2 링크(6,10,7,11)의 전방 부위를 서로 연결한 전단 상·하측 지지 로드(16,13)가 가이드 레일(14,17)을 따라 이동되어 서로간의 양쪽 간격을 좁히게 되고, 이는 "X" 자 타입 좌·우 엑스 링크(4,8)의 높이를 높여 결국, 시트의 높이를 올려주도록 작용하며, 이러한 작용은 시트 현가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의 작동 시 일단이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2 링크(7,11)에 고정된 댐퍼(25)도 함께 작동되며, 이러한 댐퍼(25)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완충해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트 현가는 센터 링크 조절기(21)를 통해 구현되는 시트의 높이 상승을 제한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가 제1·2 링크(6,10,7,11)의 접근 간격이 일정 간격에서 더 진전되지 못하도록 구속해줌에 따라, 시트 높이 어저스터(20)의 조절 축(23)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해 좌·우 엑스 링크(4,8)의 높이 상승을 저지하여 구현되어진다.
즉,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핸들(31)에서 길게 연장된 연장 나사 로드(31a)가 최대한 들어간 위치를 이룸에 따라, 상기 연장 나사 로드(31a)에 나사 체결된 이송 핀(32)에 고정된 스토퍼(34)도 최대한 뒤로 이동된 상태에서 좌·우 엑스 링크(4,8)의 거동을 구속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 링크(6,10)의 전방에서 양 끝단 쪽에 결합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가 스토퍼(34)의 중앙에 근접된 위치에 놓여지기 때문에,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가 당겨지거나 벌어질 때 갖는 스트로크(Stroke)가 스토퍼(34)에 길이 방향으로 뚫려진 스트로크 채널(37)을 통해 충분히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시트의 높이 조절 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는, 조절 핸들(31)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핸들(31)와 함께 회전되는 연장 나사 로드(31a)에 나사 체결된 이송 핀(32)이 앞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핀(32)은 연장 나사 로드(31a)가 관통된 가이드 블록(33)의 길이 방향으로 뚫려진 가이드 채널(33a)내에서 이동되고, 이러한 가이드 채널(33a)은 이송 핀(32)의 직진 이동을 안내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 핀(32)의 전진 이동은 이송 핀(32)에 고정된 스토퍼(34)를 잡아 당겨줌에 따라, 상기 스토퍼(34)에 길이 방향으로 뚫려진 스트로크 채널(37)을 관통한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 거리를 줄여 주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34)의 당겨짐으로 인해 스트로크 채널(37)에 위치된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앞쪽 간격은 스토퍼(34)의 당겨진 이동길이 만큼 길어지는 반면, 뒤쪽 간격은 상대적으로 짧 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34)가 당겨져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가 스트로크 채널(37)에 대해 갖는 뒤쪽 간격이 짧아지도록 조정한 후, 시트 높이 어저스터(20)를 이루는 조절 축(23)을 시트를 높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조절 축(23)의 회전을 통해 센터 링크 조절기(21)가 "X" 자 타입 좌·우 엑스 링크(4,8)를 이루는 제1·2 링크(6,10,7,11)를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밀림 이동은 전방 부위가 가이드 레일(14,17)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힌지 축(5,9)을 매개로 제1·2 링크(6,10,7,11)의 양쪽 부위 간격을 좁혀 주면서 위로 올라가면서 시트를 올려 주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양쪽 부위 간격이 좁혀지는 정도는 스토퍼(34)를 통해 제지를 받게되는데, 이는 상기 스토퍼(34)의 스트로크 채널(37)에 대해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가 갖는 뒤쪽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스트로크 채널(37)을 따른 직선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 저지는 제1·2 링크(6,10,7,11)의 양쪽 부위 간격이 더 이상 좁혀지지 않도록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1·2 링크(6,10,7,11)가 위쪽으로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므로 시트의 높이 상승을 제한해 주게 된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의 구성도
도 2(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현가 앗세이의 높이 제한 조절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어 패널 2 : 어퍼 패널
3 : 링크 프레임 4,8 : 좌·우 엑스 링크
5,9 : 힌지 축 6,10 : 제1 링크
7,11 : 제2 링크 12,15 : 후단 상·하 지지 로드
13,16 : 전단 상·하 지지 로드
14,17 : 가이드 레일 20 : 시트 높이 어저스터
21 : 센터 링크 조절기 22 : 스프링
23 : 조절 축 24 : 인디케이터
25 : 댐퍼
30 :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
31 : 조절 핸들 31a : 연장 나사 로드
31b : 부시 32 : 이송 핀
33 : 가이드 블록 33a : 가이드 채널
34 : 스토퍼 35 : 고정 브라켓
36 : 스토퍼 플레이트 37 : 스트로크 채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X" 자 타입으로 이루어져 어퍼 패널(2)을 올리거나 낮추는 한 쌍의 좌·우 엑스 링크(4,8)와, 센터 링크 조절기(21)와 한 쌍의 스프링(22) 및 인디케이터(24)와 댐퍼(25)로 이루어진 시트 높이 어저스터(20)와,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이동 거리를 차단하도록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을 구속해, 상기 제1·2 링크(6,10,7,11)의 접근에 의한 높이 상승을 제한하는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로 구성된 시트 현가 앗세이에 있어서,
    상기 시트 높이 구속 어저스터(30)는 잡고 회전할 때,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해 들어가거나 빠져나오는 연장 나사 로드(31a)를 구비한 조절핸들(31)과;
    상기 조절 핸들(31)에서 연장된 상기 연장 나사 로드(31a)에 결합되어져, 상기 조절 핸들(31)의 이동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는 이송핀(32)과;
    상기 연장 나사 로드(31a)가 관통하고 상기 이송핀(32)이 이동되는 가이드 채널(33a)을 형성한 가이드 블록(33)과;
    상기 조절 핸들(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핀(32)과 함께 이동되어져 상기 좌·우 엑스 링크(4,8)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가 관통되어진 장공 형상의 스트로크 채널(37)이 뚫려진 스토퍼(34);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 핸들(31)에서 연장된 연장 나사 로드(31a)는 어퍼 패널(2)을 관통해 어퍼 패널(2)을 통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어퍼 패널(2)쪽에 결합된 가이드 블록(33)과 나사 결합되고, 끝단 부위에는 부시(31b)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4)는 가이드 블록(33)에 결합되면서 이송 핀(32)에 나사 체결된 구간을 이루는 고정 브라켓(35)이 형성되고, 전단 상측 지지 로드(16)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트로크 채널(37)이 뚫려진 스토퍼 플레이트(36)가 상기 고정 브라켓(35)에서 연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KR1020080052191A 2008-06-03 2008-06-03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KR10099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191A KR100993003B1 (ko) 2008-06-03 2008-06-03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191A KR100993003B1 (ko) 2008-06-03 2008-06-03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45A KR20090126045A (ko) 2009-12-08
KR100993003B1 true KR100993003B1 (ko) 2010-11-08

Family

ID=4168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191A KR100993003B1 (ko) 2008-06-03 2008-06-03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822B1 (ko) 2016-12-29 2017-05-19 한양전공주식회사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6584B (zh) * 2017-11-27 2020-04-07 洛阳理工学院 剪叉吊挂式电控升降座椅系统
KR102376416B1 (ko) * 2020-06-25 2022-03-21 (주)씨엠텍 차량 시트용 서스펜션장치
KR20230020153A (ko) * 2021-08-03 2023-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75Y1 (ko) 2002-09-19 2002-12-3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서스펜션 장치
JP3403789B2 (ja) 1993-12-27 2003-05-06 日本発条株式会社 シート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3789B2 (ja) 1993-12-27 2003-05-06 日本発条株式会社 シート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299175Y1 (ko) 2002-09-19 2002-12-3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서스펜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822B1 (ko) 2016-12-29 2017-05-19 한양전공주식회사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45A (ko)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894A (en) Automotive seat with suspension device
US83425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 spring suspension of a vehicle component
US5799922A (en) Low profile seat suspension
US20100102493A1 (en) Spring-mounted vibration system to reduce vibration
KR100993003B1 (ko)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US6186467B1 (en) Full seat adjustable suspension
CN110709278A (zh) 悬架机构
CN108099712B (zh) 汽车座椅减震器及汽车
US20150202994A1 (en) Vehicle seat stabilization assembly
KR100638418B1 (ko)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AU1479383A (en) Suspended seat assembly
JP4463758B2 (ja) 車両用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KR102130225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롤러 장치
KR10190119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및 이에 구비되는 댐핑력 조절 장치
JP4320595B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EP3974250B1 (en) Damper system for suspension of vehicle seat
KR101219936B1 (ko) 비선형 스프링 특성을 갖는 후륜 독립 현가장치
KR200299175Y1 (ko) 차량의 시트 서스펜션 장치
JP2007261388A (ja) 車両用シートの支持構造
KR102376416B1 (ko) 차량 시트용 서스펜션장치
KR100511391B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200293213Y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102415251B1 (ko)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KR102201633B1 (ko)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KR100541224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