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18B1 -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18B1
KR100638418B1 KR1020050025367A KR20050025367A KR100638418B1 KR 100638418 B1 KR100638418 B1 KR 100638418B1 KR 1020050025367 A KR1020050025367 A KR 1020050025367A KR 20050025367 A KR20050025367 A KR 20050025367A KR 100638418 B1 KR100638418 B1 KR 10063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spring
seat
magne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601A (ko
Inventor
나의전
김기전
구재광
임철록
서유원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1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n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프링과 영구자석의 힘에 의해 시트의 진동을 완화시키고,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 및 사용느낌을 향상시키며, 일정범위내에서 힘이 발생될 경우, 이를 어떠한 스트로크의 변화없이 흡수할 수 있는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상부프레임을 X형 링크부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과 X형 링크부의 일측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자석모듈부를 설치하며, 상기 자석모듈부의 스프링정수와 서로 다른 부호의 동일절대값을 구비하는 하중조절스프링부의 양끝단을 하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X형 링크부의 하단 링크가이드 파이프 및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연결하여, 자석모듈부와 하중조절스프링부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하중 및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높이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진동, 완충장치, 자석, 서스펜션, 자석모듈

Description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Suspension device vehicle seat}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자석모듈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변위선도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자석모듈부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체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프레임 (11) : 스프링 연결대
(12) : 가이드 (14) : 벨트가이드
(15) : 하강제한 완충부 (20) : 상부프레임
(23) : 가이드 (24) : 벨트가이드
(30) : X형 링크부 (31) : 내측링크
(32) : 외측링크 (33) : 힌지
(34a,34b,34c,34d) : 링크가이드파이프 (35) : 링크회전롤러
(36) : 링크가이드핀 (40) : 자석모듈부
(41) : 작동연결로드 (42) : 회전연결로드
(43) : 가이드 하우징 (44) : 제 1 보조스프링
(45) : 제 2 보조스프링 (46) : 영구자석
(50) : 하중조절스프링부 (60) : 상승제한 벨트
(70) : 완충기 (311) : 모듈연결핀
(411) : 회전힌지 (412) : 압축시트판
(431) : 고정캡
본 발명은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구자석과 스프링을 구비하는 자석모듈부와, 하중을 조절하는 하중조절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진동을 감쇠시켜 시트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의 진동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및 주 5일 근무의 영향에 의해 개인여가시간의 활용 및 생활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에 의해 자동차 문화가 급속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제 자동차 수의 급증은 우리가 이룬 경제성장의 과실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어 자동차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서 개인의 생활공간이라는 문화매개체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와 함께 하는 시간의 증대됨에 따라 차량내에서 활동하는 탑승자의 신체적 부담감이 가중되고, 특히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차체를 거쳐 인체에 전달되게 되며, 노면상태가 좋지 못한 지역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인체의 진동폭로에 의한 육체나 신경계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로, 두통, 어깨결림, 요통,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시트 서스펜션(seat suspension)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즉, 시트상의 인간의 승차감을 최대로 유지하면서 탑승자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트 서스펜션은 불균일한 도로를 주행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나 흔들림을 최소 및 흡수하고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시트 서스펜션은 상/하부프레임 사이에 "X"자형 링크, 오일댐퍼 및 스프링이 장착되어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설치되는 스프링은 착석자의 체중 즉, 의자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스프링의 압축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부하(착석자의 체중)에 따라 평형 점 즉,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진동을 일정하게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동을 완충시켜주기 위하여, 공기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공기스프링은 충격(진동)발생시 스트로크가 매우 커 착석자의 탑승감을 저하시키고, 시선의 변경, 몸의 흔들림, 이로 인한 페달조작의 곤란성을 초래하여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자동차의 진동을 완충/완화시켜줄 수 있는 진동모델이 연구되고 있으나,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감쇠력이 낮은 경우 고주파 영역의 진동특성은 양호하나 공진점의 진동전달율이 높아져서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며, 반대로 감쇠성이 높으면 공진점의 진동특성과 충격력의 흡수성은 개선되지만 고주파 영역의 진동특성은 나빠진다. 또한, 공진점을 저주파측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소프트한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진동전달율이 높아지게 되고, 진동전달율을 낮추기 위하여 댐퍼의 감쇠비를 크게 할 경우, 고주파의 전단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러한 여러가지 제약적 조건에 의해 종래의 진동모델로는 그 성능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프링과 영구자석의 힘에 의해 시트의 진동을 완화시키고,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 및 사용느낌을 향상시키며, 일정범위내에서 힘이 발생될 경우, 이를 어떠한 스트로크의 변화없이 흡수할 수 있는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자석모듈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변위선도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의 자석모듈부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의 전체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동구간에서의 자석모듈부(40)의 스프링정수와,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스프링정수를 서로 다른 부호를 구비하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하여, 통상의 작동구간에서 스프링 정수를 '0'에 근접되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입력되는 하중 및 외력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기준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0)과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상부프레임(20)을 X형 링크부(30)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일측과 X형 링크부(30)의 일측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자석모듈부(40)를 설치하며, 상기 자석모듈부(40)의 스프링정수와 서로 다른 부호의 동일절대값을 구비하는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양끝단을 하부프레임(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X형 링크부(30)의 하단 링크가이드 파이프 및 하부프레임(10)의 일측에 연결하여, 자석모듈부(40)와 하중조절스프링부(50)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하중 및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중간 하단에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끝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연결대(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단에 자석모듈부(40)의 끝단이 연결되는 모듈연결판(12)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0)의 내측에는 X형 링크부(30)의 끝단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13)를 구비하며, 모듈연결판(12)이 형성된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벨트가이드(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단 양측에는 상부프레임(20)의 하강시,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제한 완충부(15)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강제한 완충부(15)는 상부에 고무재질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대가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하부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는 핀 또는 볼트 구조의 결합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X형 링크부(30)에 의해 하부프레임(10)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측에 X형 링크부(30)의 끝단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23)를 구비하며, 하부프레임의 벨트가이드(14)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벨트가이드(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프레임(20,10)의 벨트가이드(24,14)에는 X형 링크부(30)에 의해 상부프레임(20)이 일정구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승제한 벨트(60)가 더 설치되어 있어, 상부프레임(20)이 상승하게 되면, 벨트(60)가 퍼지면서 설정구간 이상으로의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X형 링크부(30)는 상/하부프레임(20,10)을 연결하고, 하부프레임(10)을 중심으로 상부프레임(20)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내측링크(31)와 외측링크(32)가 힌지(33)에 의해 중간부분이 서로 결합되고, 상/하부프레임(20,1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양측에 각각 설치된 내측링크(31)들 및 양측에 각각 설치된 외측링크(32)들은 링크가이드 파이프(34a,34b,34c,34d))에 의해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0)과 연결되는 내측링크의 링크가이드 파이프(34a) 및 하부프레임(10)과 연결되는 외측링크의 링크가이드 파이프(34b)의 양끝단에는 링크회전롤러(3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회전롤러(35)는 상/하부프레임(20,1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13,23)내로 삽입되어 가이드(13,23)를 따라 이 동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연결되는 외측링크의 링크가이드 파이프(34c) 및 상부프레임(20)과 연결되는 외측링크의 링크가이드 파이프(34d)는 링크 가이드핀(36)에 의해 하/상부프레임(10,2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하부프레임(20,10)과 X형 링크부(30)는 일측단이 상/하부프레임(20,10)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하부프레임(20,10)의 가이드(23,13)를 따라 수평이동되는 X형 링크부(30)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을 중심으로 상부프레임(20)이 수직 이동된다.
또한, 내측링크(31)에는 각각 모듈연결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연결핀(311)은 X형 링크부(30)의 작동시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자석모듈부(4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의 모듈연결판(12)에 연결된 작동연결로드(41)와 내측링크의 모듈연결핀(311)에 연결된 회전연결로드(42)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우징(43)내에 두개의 보조스프링(44,45)이 각각 설치되고, 보조 스프링(44,45) 사이에 서로 동일극이 대향하도록 두개의 영구자석(4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자석모듈부(40)는 일측단에 내측 링크의 모듈연결핀(311)에 연결되는 회전힌지(411)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압축시트판(412)이 형성된 작동연결로드(41)와, 상기 작동연결로드의 압축시트판(412)이 내부에 위치하고 압축시트판(4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끝단에 고정캡(431)이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43)과, 상기 가이드하우징(43)의 또다른 끝단에 연결되고 하부프레임(10)의 모듈연결판(12)에 연결되는 회전연결로드(42)와, 상기 작동연결로드(41)의 압축시트판(412)과 고정캡(431)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우징(43)내에 설치되는 제 1 보조스프링(44)과, 상기 회전연결로드(42)에 끝단이 접촉되도록 가이드하우징(43)내에 설치되는 제 2 보조스프링(45)과, 상기 압축시트판(412)과 고정캡(431) 사이 및 압축시트판(412)과 제 2 보조스프링(45)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한 서로 동일한 극이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영구자석(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석모듈부(40)는 2개의 영구자석(46)이 극성을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하여 항상 미는 힘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 1,2 보조스프링(44,45)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중립위치에서는 초기 압축량을 갖고, 작동구간(외부 하중 및 힘의 전달시)내에서는 압축력이 "0"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0)의 모듈연결판(12)과 내측링크의 모듈연결핀(31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부 또는 하부프레임(10)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른 링크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자석모듈부의 작동연결로드(41)가 신장 또는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하우징(43)은 내부의 영구자석과 가이드하우징 사이에 당김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비자성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제 1 보조스프링(44)은 작동연결로드의 압축시트판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연결로드(41)가 움직일때 하중이 전달된다.
상기 제 1,2 보조스프링(44,45)은 자성이 전달되는 금속스프링을 사용하며, 영구자석(46)의 자성으로 인하여 영구자석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자석모듈부(40)의 작동원리를 도 4 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자석모듈스프링에 있어서 내부 작용력은,
시스템이 중립위치(B,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된 상태)에 있을 때,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지지하중과 자석모듈부(40)의 지지하중의 조합은 시스템에 가해지는 하중과 균형을 이루면서 일정한 높이에 다다르게 된다.
중립위치에서는 제 1 보조스프링의 압축력과 동일극끼리 마주보고 있는 영구자석의 반반력, 제 2 보조스프링의 압축력과 균형을 이룬 상태가 된다.
시스템이 상승할 때(A, 상부프레임이 상승할 때), 작동연결로드는 가이드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즉, 상승되는 상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제 1 보조스프링의 압축력은 초기 압축량보다 증가되고, 동일극끼리 마주보고 있는 영구자석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므로 영구자석의 반발력이 줄어들게 되며, 제 2 보조스프링을 압축하는 하중이 감소되면서 제 2 보조스프링의 스프링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때 제 1 보조스프링의 작용력이 제 2 보조스프링과 영구자석의 작용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작동연결로드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려는 작용력이 발생하게 된다.
시스템이 하강할 때(C, 상부프레임이 하강할 때), 작동연결로드가 자석모듈부 내부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제 1 보조스프링은 중립위치에서의 압축력보다 낮아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동일극끼리 마주보고 있는 영구자석의 간격은 가까워지게 되므로, 영구자석의 반발력은 증가되고, 제 2 보조스프링 또한 압축량이 증가되어 작용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제 2 보조스프링과 영구자석간의 작용력이 제 1 보조스프링의 작용력보다 높아지게 되므로, 작동연결로드를 밀어내는 작용력이 발생하여 원래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하중조절스프링부(50)는 초기하중(탑승자가 시트에 착석된 상태)을 받쳐주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하중 또는 변위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링크회전롤러(35)가 양끝단에 각각 설치된 외측링크의 링크가이드 파이프(34b)와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프링 연결대(11) 사이에 설치되어 하중변동에 따라 신장량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하중조절스프링부(50)는 하부의 하중 및 변위가 입력됨에 따라 상부프레임(20)의 자유고 높이가 변화되며, 이에 따라 X형 링크부(3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신장량의 변화에 따라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반발력은 상부프레임(20)의 상승 또는 하강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력이 발생하여 초기 설정된 자유고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초기하중(탑승자가 시트에 착석된 상태)을 받쳐주는 역할 및 하중변동에 따른 외력 감쇄역할을 하는 하중조절스프링부(50) 및 자석모듈부(40) 이외에 부가적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복귀성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X형 링크부(30)의 일측 내측링크(31)에 형성된 모듈연결핀(311)과,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모듈연결판(12)에 양측단이 연결되도록 완충기(7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X형 링크부(30)의 일측 내측링크의 모듈연결핀(311)에는 완충기(70)가 연결되고, 또다른 내측링크의 모듈연결핀(311)에는 자석모듈부(40)가 연결되며, 하부프 레임(10)의 일측단에는 완충기(70) 및 자석모듈부(40)와 연결되는 모듈열결판(12)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70)는 실린더를 이용한 공지의 기술수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변위선도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석모듈부(40)의 스프링정수는 제 1,2 보조스프링 또는 영구자석의 세기를 조절하여, 하중조절스프링 스프링정수와의 적절한 상관관계를 통해 설정한다.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선도와 자석모듈부(40)의 선도는 시스템 작동구간내에서 선형적인 거동을 나타내며, 각각의 하중조절스프링 선도의 기울기(kc)와 자석모듈부(40) 선도의 기울기(km)는 같은 크기의 상호 역의 관계(kc = - km)를 나타내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하중조절스프링부(50)와 자석모듈부(40)에 의해 작동구간 영역에서의 중첩한 조합스프링 선도는 P1∼P0∼P2 까지 기울기가 "0"이 된다. 즉, 외부에서 들어오는 변위 또는 하중에 대해서 항상 초기에 설정된 설정하중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초기의 설정하중은 가해지는 초기하중을 선정하고 이에 맞도록 하중조절스프링부(50)와 자석모듈부(40)의 초기 하중값을 선정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전체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초기하중(탑승자가 시트에 착석된 상태)이 가해져서 기존높이에 다 다를때를 중립위치(Y0: 초기높이)라 하면, 이때 하중조절스프링부(50)는 초기 인장력을, 자석모듈부(40)는 초기 압축력을 받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을 Y1 만큼 상승시키면, 하중조절스프링부(50)는 X1 만큼의 변위에 따른 인장력이 감소되며, 이로 인해 초기 인장력보다 작아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자석모듈부(40)의 작동연결로드(41)가 밀려나오면서 M1 으로 신장된다. 이때, 자석모듈부(40) 내부의 제 1,2 보조스프링(44,45) 작용은 하중조절스프링부(50)에서 감소된 인장력 만큼의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고,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작용력이 감소하는 만큼 자석모듈스프링의 복원력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상부프레임(20)이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부프레임(20)이 Y2 만큼 하강하게 되면, 하중조절스프링부(50)는 X2 만큼의 변위에 따른 인장력이 증가되고, 초기 인장력보다 더 큰 작용력이 발생되며, 이와 동시에 자석모듈부(40)의 작동연결로드가 밀려들어가면서 M2 으로 감소된다. 이때, 자석모듈부 제 1,2 보조스프링(44,45)의 스프링력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이 작용되며,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스프링력과 같이 상부프레임(20)의 상승력으로 작용되어 초기중립위치로 신속히 복귀될 수 있도록 힘이 작용한다. 중립위치로 복귀하면 하중조절스프링부(50)와 자석모듈부(40)의 작용력이 서로 상쇄되어 중립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M0 는 자석모듈부 스프링 초기 셋팅길이를, M1 은 자석모듈부 스프링 상승길이를, M2 는 자석모듈부 스프링 하강길이를, Y1 은 상부프레임 상승시 높이 변화량을 , Y2 는 상부프레임 하강시 높이 변화량을, X1 은 하중조절스프링부의 스프링 압출량을, X2 는 하중조절스프링부의 스프링 인장량을, km 은 자석모듈부의 스프링정수를, kc 는 하중조절스프링부의 스프링정수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작동구간을 자석모듈부(40)와 하중조절스프링부(50)의 하중특성 조합에 의해 스프링력이 "0"에 가까워지는 수평구간으로 설정하여 수평구간내의 힘(진동 및 충격)이 발생될 시 일정범위내에서는 어떠한 스트로크의 변화없이 하중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석모듈부내에 설치된 보조스프링 및 영구자석의 반발력과, 하중조절스프링부의 인장력에 의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상쇄되어 작은 스트로크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변위(진동)에 대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운전자에게 안정된 승차감을 제공하고, 안전운 전을 지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엑츄에이터, 각종센서 및 공압부품 등 복잡한 부품으로 이루어진 종래 서스펜션에 비하여 구성이 단순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에 하강제한완충부 및 상승제한 벨트가 더 설치되어 있어, 상부프레임의 상하 이동폭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및 마찰이 거의 없어 운전자에게 쾌적함을 줄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위치하고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하부프레임을 중심으로 상부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X형 링크부를 구비하는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과 X형 링크부의 일측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자석모듈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X형 링크부의 하단 링크가이드 파이프 및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프링 연결대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설치되도록 하중조절스프링부가 설치되되,
    상기 자석모듈부는 X형 링크부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에 압축시트판을 구비하는 작동연결로드와,
    상기 작동연결로드의 압축시트판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압축시트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캡이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또다른 끝단에 연결되고 하부프레임의 모듈연결판에 연결되는 회전연결로드와,
    상기 작동연결로드의 압축시트판과 고정캡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제 1 보조스프링과,
    상기 회전연결로드에 끝단이 접촉되도록 가이드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제 2 보조스프링과,
    상기 압축시트판과 고정캡 사이 및 압축시트판과 제 2 보조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한 서로 동일한 극이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중조절스프링부는 자석모듈부의 스프링정수와 서로 다른 부호의 동일절대값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는 X형 링크부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일정구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제한 벨트가 더 설치되고,
    하부프레임 일측에는 고무재질의 흡수대를 구비하는 하강제한 완충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과 X형 링크부의 또다른 일측에는 완충기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KR1020050025367A 2005-03-28 2005-03-28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KR10063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367A KR100638418B1 (ko) 2005-03-28 2005-03-28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367A KR100638418B1 (ko) 2005-03-28 2005-03-28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601A KR20060103601A (ko) 2006-10-04
KR100638418B1 true KR100638418B1 (ko) 2006-10-24

Family

ID=3762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67A KR100638418B1 (ko) 2005-03-28 2005-03-28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334B1 (ko) * 2007-05-04 2008-07-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장치
KR101402897B1 (ko) 2011-05-20 2014-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합금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금
KR101294108B1 (ko) * 2011-11-17 2013-08-08 자동차부품연구원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281796B1 (ko) * 2011-11-17 2013-07-04 자동차부품연구원 현가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880568B1 (ko) * 2017-07-25 2018-07-20 이보형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546A (ja) 1999-08-19 2001-03-06 Delta Tooling Co Ltd 除振装置及び磁気ダンパ機構
JP2004353770A (ja) 2003-05-29 2004-12-16 Delta Tooling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546A (ja) 1999-08-19 2001-03-06 Delta Tooling Co Ltd 除振装置及び磁気ダンパ機構
JP2004353770A (ja) 2003-05-29 2004-12-16 Delta Tooling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601A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717B1 (ko) 낮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 진동 절연 시스템
US5794911A (en) Adjustable vehicle seat suspension
EP3290244A1 (en) Combined spring compensation suspension device
US6336627B1 (en) Suspension unit having a magneto-spring
KR100638418B1 (ko)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JPH0124673B2 (ko)
KR20060082068A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완충장치
US20200070695A1 (en) Suspension
CN110709278A (zh) 悬架机构
WO2019049879A1 (ja) サスペンション機構及びシート構造
KR100576897B1 (ko) 시트의 진동완충장치
CN211308172U (zh) 一种汽车减震底盘悬架装置
US2101422A (en) Flexible seat support
KR20090064758A (ko) 건설중장비용 조종실시트 조립체
KR100993003B1 (ko)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KR950012263B1 (ko) 차량용 좌석완충장치
KR100508785B1 (ko)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KR20180028115A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및 이에 구비되는 댐핑력 조절 장치
KR100702322B1 (ko) 진동흡수기
JP2017210073A (ja) サスペンション
JPH06105727A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KR20100033350A (ko) 낮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 진동 절연 시스템
KR200276416Y1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JPH08230539A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21366703U (zh) 一种轻卡汽车座椅减震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