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785B1 -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785B1
KR100508785B1 KR10-2003-0031495A KR20030031495A KR100508785B1 KR 100508785 B1 KR100508785 B1 KR 100508785B1 KR 20030031495 A KR20030031495 A KR 20030031495A KR 100508785 B1 KR100508785 B1 KR 10050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as
shaft
gas cylind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902A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덕창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창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창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7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시 좌석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 등을 흡수하거나 완충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스 스프링과 가스 실린더를 적용하여 차량용 좌석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 등을 흡수하거나 완충하는 정도와 좌석의 높이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The shock absorber for seat of vehicles with a gas spring and a gas cylinder}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 버스 및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좌석 밑에 설치하는 좌석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첨부 도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통상의 가스스프링(11)과 가스실린더(12)를 적용하여 차량용 좌석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 등을 흡수하거나 완충하는 정도와 좌석의 높이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완충장치는 첨부한 도면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1)과 피스톤 실린더(2)를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하고 인장스프링(1)에 조절나사(3)를 연결하여 이를 회전 시켜 인장스프링(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완충력을 조절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완충장치는 인장스프링(1)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정숙한 주행환경을 요구하는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완충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나사(3)를 회전시켜야 하는 조작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좌석의 높이 조절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완충장치가 작동함에 있어서 작동 소음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완충력을 조절함에 있어서 조작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좌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숙하고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ㄷ"형태의 가이드레일(13)(14)이 구비된 하판(16)과 상판(15)으로 구성하고 이 상판(15)과 하판(16)은 그 사이에 "X"형으로 힌지(17) 결합된 지지링크(18)를 개재 연설하여 상호 연결하되 지지링크(18)의 전방 상하의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상판(15)과 하판(16)에 고정축(19)을 설치하고 후방 상하의 단부는 횡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축(33) 결합하여 자유회동 롤러(20)를 착설하고 상판(15)과 하판(16)의 "ㄷ"형태의 가이드 레일(13)(14) 상에 설치한다.
하판(16)의 후방 단부의 중앙에는 기존의 완충장치에 사용된 인장스프링(1)과 피스톤 실린더(2)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즉, 기계적인 마찰이 없고 압축 및 인장시 소음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가스스프링(11)과 이를 하판(16)과 축(21)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프랜지(22)를 하판(16)에 착설하여 결합한다.
상판(15)의 전방 단부의 중앙에는 기존의 완충장치에서 인장스프링(1)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3)를 대체 할 수 있는 즉, 로드(23)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이 구비된 가스실린더(12)와 이를 상판(15)과 축(25)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플랜지(26)를 상판(15)에 착설하여 결합한다. 이때 버튼(24)의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 레버(27)도 함께 축(25) 결합한다.
상기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와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 끝단에는 서로 간 축(29) 결합할 수 있는 플랜지(30)가 구비되고 그 플랜지(30) 안쪽에는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가 수평 지지될 수 있도록 롤러(31)를 축(29) 삽입한다. 이때 하판(16)에는 롤러(31)의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플레이트(32)는 롤러(31)의 운동경로부분이 튀어나와 롤러(31)와의 운동면(32a)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이며 레버(27)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가스실린더(12)의 버튼(24)을 작동시켜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게 되어있다. 이때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는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판(1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 상판(15)의 높이는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길이와 연관되어 결정되어지며 제 3도는 가스실린더(12) 로드(23)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 상판(15)의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길이가 일정 이상으로 늘어나면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가 줄어들어 가스스프링(11)의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길이가 일정 이상으로 줄어들면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가 늘어나 가스스프링(11)의 탄성력은 감소하게 되며 이로써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제 4도에서 보여진다.
상기와 같은 작동예를 응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조건에 맞게 완충장치의 완충력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충함에 있어서 완충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시에 레버(27)를 누르거나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좌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스스프링(11)의 작동 특성상 기계적인 마찰이 없어 압축이나 인장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인장스프링(1)을 사용하는 차량용 좌석완충장치보다 작동시 정숙한 장점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완충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실린더의 로드길이 변화에 따른 완충장치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
a도는 가스실린더의 로드길이 변화에 의해 완충장치의 높이가 최대가 된 상태.
b도는 가스실린더의 로드길이 변화에 의해 완충장치의 높이가 최소가 된 상태.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실린더의 로드길이 변화에 따른 가스스프링의 로드 길이 변화.
a도는 가스실린더의 로드길이 변화에 의해 가스스프링의 로드길이가 줄어들고 탄성력이 증가된 상태.
b도는 가스실린더의 로드길이 변화에 의해 가스스프링의 로드길이가 늘어나고 탄성력이 감소된 상태.
제 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실린더와 상판의 연결부의 상세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장스프링 2: 피스톤 실린더
3: 조절나사 11: 가스스프링
12: 가스실린더 13, 14: 가이드 레일
15: 상판 16: 하판
17: 힌지 18: 지지링크
19: 고정축 20, 31: 롤러
21, 25, 29, 33: 축 22, 26, 30: 플랜지
23, 28: 로드 24: 버튼
27: 레버 32: 플레이트
32a: 운동면

Claims (1)

  1. 상판(15)과 하판(16) 사이를 "X"형으로 힌지(17) 결합된 지지링크(18)로 연결한 차량용 좌석완충장치에 있어서,
    하판(16)의 후방 단부 중앙에는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가스스프링(11)을 축(21) 결합하고, 상판(15)의 전방 단부의 중앙에는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로드(23)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버튼(24)을 구비한 가스실린더(12)를 축(25) 결합하며, 가스스프링(11) 로드(28)의 단부와 가스실린더(12) 로드(23)의 단부를 롤러(31)와 축(29)으로 결합하고,
    완충장치의 완충력 조절과 높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 길이를 조절하는 버튼(24)을 제어하는 레버(27)가 부착되며,
    상기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와 가스실린더(12)의 로드(23) 끝단에는 서로간 축(29) 결합할 수 있는 플랜지(30)가 구비되고, 플랜지(30) 안쪽에는 가스스프링(11)의 로드(28)가 수평 지지될 수 있도록 롤러(31)를 축(29) 삽입하며, 하판(16)에는 롤러(31)의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32)가 설치되고, 플레이트(32)는 롤러(31)의 운동경로부분이 튀어나와 롤러(31)와의 운동면(32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완충장치.
KR10-2003-0031495A 2003-05-19 2003-05-19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KR10050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95A KR100508785B1 (ko) 2003-05-19 2003-05-19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95A KR100508785B1 (ko) 2003-05-19 2003-05-19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902A KR20030043902A (ko) 2003-06-02
KR100508785B1 true KR100508785B1 (ko) 2005-08-17

Family

ID=2957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495A KR100508785B1 (ko) 2003-05-19 2003-05-19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38B1 (ko) * 2007-07-13 2010-0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시트의 진동감쇄장치
KR101658791B1 (ko) 2015-05-28 2016-09-23 (주)파워엔텍 방진 성능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전기 통신 장비 지지 장치
CN108001303B (zh) * 2017-12-04 2019-11-05 杭州瑶天滑轨有限公司 一种组装车用座椅上滑轨的设备
KR102507655B1 (ko) * 2021-09-06 2023-03-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시트의 진동 방지에 벨로우즈 공압 스프링을 이용하는 부강성 메커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902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911A (en) Adjustable vehicle seat suspension
KR101554717B1 (ko) 낮은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 진동 절연 시스템
US20080001376A1 (en) Shock absorber
US6186467B1 (en) Full seat adjustable suspension
JPH0124673B2 (ko)
US20050082897A1 (en) Vehicle seat suspension force isolation apparatus
KR100508785B1 (ko)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CN110709278A (zh) 悬架机构
US5395089A (en) Seat with suspension unit for automotive vehicle
KR100638418B1 (ko)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US20070262604A1 (en) Vehicle Seat
KR100451657B1 (ko) 차량용 의자의 높이 조절식 충격 완화장치
JP6077950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式シート支持装置
KR100576897B1 (ko) 시트의 진동완충장치
CN201214382Y (zh) 一种减震座椅
KR10190119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및 이에 구비되는 댐핑력 조절 장치
KR101219936B1 (ko) 비선형 스프링 특성을 갖는 후륜 독립 현가장치
JP2005125884A (ja) 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
JP2566678Y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JP2569437Y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KR100511391B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JP2566708Y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JP2005067561A (ja) バネ弾力可変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KR200293213Y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JP2006168419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