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391B1 -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391B1
KR100511391B1 KR10-2003-0063157A KR20030063157A KR100511391B1 KR 100511391 B1 KR100511391 B1 KR 100511391B1 KR 20030063157 A KR20030063157 A KR 20030063157A KR 100511391 B1 KR100511391 B1 KR 10051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chair
lever
damping forc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418A (ko
Inventor
강성모
Original Assignee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characterised by damp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60N2/508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5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us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구비된 에어스프링과 연동되면서 주행중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해주는 쇽업소버의 감쇠력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쇽업소버 내부의 밸브 열림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핀을 의자 밑에 구비된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하여 레버의 조작으로 쇽업소버의 감쇠력이 편리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임의로 조절하여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를 받쳐주는 상,하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들 프레임은 X자형 링크로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이들 사이에 에어스프링과 에어스프링의 완충력을 제어하는 쇽업소버가 구비되어 의자로 전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쇽업소버의 로드에 내장되어 쇽업소버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하는 유량조절핀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를 당겨주는 레버가 구비되며, 레버에는 원호형의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부프레임에는 걸림홈이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핀이 구비되어 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라 유량조절핀이 회전되면서 쇽업소버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되고 감쇠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a chair absorb control apparatus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하부에 구비된 쇽업소버(Shok Absorber)의 감쇠력을 노면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의자의 한쪽에 조절용 레버와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쇽업소버 내부의 감쇠력이 제어되어 운전자의 취향 또는 노면 상태에 따라 의자의 완충성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의자의 하부에 장착된 완충장치는 노면 상태가 고르지 못한 길을 주행할 때 의자로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고 또한 운전자의 체중에 관계없이 의자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해주는 것이다. 도 1은 운전석을 나타낸 측면도로써, 좌석(1)을 자체에 고정시키는 상,하부프레임(2)(3)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해 주는 X자형 링크(4)와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스프링(5)과 쇽업소버(6)가 장착된다.
쇽업소버(6)는 에어스프링(5)의 급격한 상하 운동을 억제하여 충격이 감쇠되도록 해주고 타이어 접지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횟수와 진동의 폭을 줄여준다. 쇽업소버(6)는 실린더 안에 오일이나 가스를 밀봉시킨 형태이며 실린더 안의 오일이 충격에 따라 밸브를 통해 이동되고 이때 생기는 저항을 이용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쇽업소버(6)는 의자의 무게와 운전자의 체중을 평균적으로 산출하여 그 감쇠력이 항상 일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노면이 불규칙한 비포장 도로 등을 달릴 때 승차감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구비된 에어스프링과 연동되면서 주행중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해주는 쇽업소버의 감쇠력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쇽업소버 내부의 밸브 열림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핀을 의자 밑에 구비된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하여 레버의 조작으로 쇽업소버의 감쇠력이 편리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임의로 조절하여 에어스프링의 진동 폭을 제어하고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를 받쳐주는 상,하부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들 프레임은 X자형 링크로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이들 사이에 에어스프링과 에어스프링의 완충력을 제어하는 쇽업소버가 구비되어 의자로 전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쇽업소버의 로드에 내장되어 쇽업소버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하는 유량조절핀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를 당겨주는 레버가 구비되며, 레버에는 원호형의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부프레임에는 걸림홈이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핀이 구비되어 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라 유량조절핀이 회전되면서 쇽업소버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되고 감쇠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감쇠력 조절장치의 쇽업소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감쇠력 조절장치는 상,하부프레임(2)(3)과 이들을 연결하는 X자형 링크(4)로 구성되며 이들 프레임의 사이에 에어스프링(5)과 쇽업소버(6)가 설치된다. 에어스프링은 상부프레임(2)에 놓인 의자의 하중을 받쳐주는 것이며 쇽업소버(6)는 에어스프링의 진동폭을 완화시켜 의자가 출렁거리지 않고 부드럽게 자리를 잡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쇽업소버(6)는 실린더 내부에 오일 또는 가스가 충진된 것으로 내부에 밸브가 내장되어 이들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며 실린더의 전방으로 돌출된 로드(7)가 상부프레임(2)과 쇽업소버브래킷(6a)을 통하여 결합된다.
로드(7)는 중공상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유량조절핀(8)이 내장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와 연결된다. 그리고 유량조절핀(8)의 일부가 로드(7)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스프링(9b)을 갖는 와이어(9)가 연결된다. 와이어(9)의 선단은 와이어브래킷(9a)을 통하여 상부프레임(2)의 상단에 고정되고, 와이어(9)의 후단은 레버(10)에 연결된다.
레버(10)는 상부프레임(2)의 측면에 체결되는 브래킷(11)에 레버축(12)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버(10)에는 원호상의 걸림홈(13)이 다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브래킷(11)에는 걸림홈(13)이 단계적으로 걸리도록 걸림핀(14)이 구비되며 이 걸림핀(14)은 레버축(12)과 연결된 스프링(15)으로 당겨져 걸림홈(13)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10)를 돌리면 걸림핀(14)이 걸림홈(13)에 탄성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레버(1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원하는 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레버(10)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와이어(9)가 당겨지면서 쇽업소버(6)의 유량조절핀(8)이 함께 회동되고 이때 쇽업소버(6)에 내장된 밸브가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쪽으로 조절되어 감쇠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쇽업소버(6)가 경직되고 에어스프링(5)의 상하 진동 폭이 작아지면서 완충성이 떨어짐으로 포장도로를 주행할 때 주로 이용된다.
레버(1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와이어(9)가 풀리면서 유량조절핀(8)이 함께 회동되고 이때 쇽업소버(6)에 내장된 밸브가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지는 쪽으로 조절되어 감쇠력이 약화되고 부드럽게 된다. 따라서 에어스프링의 진동 폭이 넓게 유지됨으로 차량이 비포장 도로 등을 주행할 때 에어스프링(5)에서 완충되고 쇽업소버(6)의 감쇠력으로 의자의 놓인 상태가 빠르게 안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놓인 에어스프링의 진동 폭을 제한하여 의자의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해 쇽업소버에 내장된 유량조절핀을 와이어로 연결하고 와이어의 단부에 레버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레버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쇽업소버의 감쇠력이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됨으로 비포장도로 등을 달릴 때 쇽업소버를 부드럽게 조절하여 완충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감쇠력 조절장치의 쇽업소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감쇠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좌석 2 : 상부프레임
3 : 하부프레임 4 : 링크
5 : 에어스프링 6 : 쇽업소버
6a : 쇽업소버브래킷 7 : 로드
8 : 유량조절핀 9 : 와이어
9a : 와이어브래킷 9b : 스프링
10 : 레버 11 : 브래킷
12 : 레버축 13 : 걸림홈
14 : 걸림핀 15 : 스프링

Claims (1)

  1. 의자를 받쳐주는 상,하부프레임(2)(3)이 구비되고 이들 프레임은 X자형 링크(4)로 승강되도록 연결되며 이들 사이에 에어스프링(5)과 에어스프링의 완충력을 제어하는 쇽업소버(6)가 구비되어 의자로 전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쇽업소버(6)의 로드(7)에 내장되어 쇽업소버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하는 유량조절핀(8)과 연결되는 와이어(9)가 구비되고,
    상부프레임(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9)를 당겨주는 레버(10)가 구비되며,
    레버(10)에는 원호형의 걸림홈(13)이 구비되고 상부프레임(2)에는 걸림홈(13)이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핀(14)이 구비되어 레버(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유량조절핀(8)이 회전되면서 쇽업소버(6)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제어되고 감쇠력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10-2003-0063157A 2003-09-09 2003-09-09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10051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157A KR100511391B1 (ko) 2003-09-09 2003-09-09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157A KR100511391B1 (ko) 2003-09-09 2003-09-09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78U Division KR200293213Y1 (ko) 2002-07-22 2002-07-22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18A KR20040010418A (ko) 2004-01-31
KR100511391B1 true KR100511391B1 (ko) 2005-08-30

Family

ID=3731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157A KR100511391B1 (ko) 2003-09-09 2003-09-09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8748A (zh) * 2011-06-17 2013-03-06 韩一理化株式会社 车辆用座椅的下降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6774B (zh) * 2019-10-18 2024-03-12 安路普(北京)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调节阻尼力和高度的装置、座椅和车辆悬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8748A (zh) * 2011-06-17 2013-03-06 韩一理化株式会社 车辆用座椅的下降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18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4206A (en) Vehicle seat mounting structure
US5094325A (en) Vehicle shock absorber assembly
TWI542503B (zh) 自行車車架
JPH1025984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H06221365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装置
KR101919297B1 (ko) 자전거 리어 서스펜션 프레임
KR100511391B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200293213Y1 (ko) 차량용 의자의 감쇠력 조절장치
KR100451657B1 (ko) 차량용 의자의 높이 조절식 충격 완화장치
KR100638418B1 (ko)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KR100993003B1 (ko) 높이 제한 조절 기능을 갖춘 시트 현가 앗세이
KR101219936B1 (ko) 비선형 스프링 특성을 갖는 후륜 독립 현가장치
KR10190119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및 이에 구비되는 댐핑력 조절 장치
KR100508785B1 (ko)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KR101901107B1 (ko) 자전거 리어 서스펜션 프레임
JPH0739705Y2 (ja) 車両用シートの減衰力可変機能付き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276416Y1 (ko) 자전거의 안장 완충장치
KR101942232B1 (ko) 자전거 리어 서스펜션 프레임
CN117621959B (zh) 一种可体重调节的小尺寸座椅减震装置
JP3234105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調機構
JP5380251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式シート支持装置
KR950000896Y1 (ko) 완충장치의 감쇠력 조정장치
KR100242933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200217274Y1 (ko) 차량시트용 공기스프링의 공기압조절장치
KR200256440Y1 (ko)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자동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