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568B1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0568B1 KR101880568B1 KR1020170094110A KR20170094110A KR101880568B1 KR 101880568 B1 KR101880568 B1 KR 101880568B1 KR 1020170094110 A KR1020170094110 A KR 1020170094110A KR 20170094110 A KR20170094110 A KR 20170094110A KR 101880568 B1 KR101880568 B1 KR 101880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shock absorber
- vehicle seat
- lower frame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4—Compression or ten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켜 승차감을 개선시킬 수 있고, 제1, 2 지지부들이 자력을 띠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기 설치되어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불필요한 비용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연동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비용소모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고, 제1, 2 지지부의 몸체의 외측에 보호체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몸체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충격완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차량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보급률이 증가하고, 자동차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자동차 문화가 급속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보급률 증가는 경제성장의 과실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차량 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어 차량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서 개인의 생활공간이라는 문화매개체가 되고 있다.
특히 운송 및 운수에 사용되는 트럭의 운전사의 경우, 장거리 이동 및 운전이 많아 트럭 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과도하게 높은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를 거쳐 운전자에게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 및 충격은 신체의 진동폭로에 의한 육체나 신경계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로, 두통, 어깨 결림, 요통.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특히 트럭)의 운전자(또는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638418호(발명의 명칭 :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에 개시된 진동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진동 완충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3), X형 링크부(105), 자석모듈부(107), 하중조절스프링부(109)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자석모듈부(107)의 스프링정수와, 하중조절스프링부(109)의 스프링정수를 서로 다른 부호로 이루어지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하여, 통상의 작동구간에서 스프링 정수를 '0'에 근접되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입력되는 하중 및 외력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기준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03)과 시트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01)을 X형 링크부(105)에 의해 연결하고, 하부프레임(103)의 일측과 X형 링크부(105)의 일측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자석모듈부(107)를 설치하며, 자석모듈부(107)의 스프링정수와 서로 다른 부호의 동일절대값을 구비하는 하중조절스프링부(109)의 양끝단을 하부프레임(10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X형 링크부(105)의 하단 링크가이드 파이프 및 하부프레임(103)의 일측에 연결하여, 자석모듈부(107)와 하중조절스프링부(109)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하중 및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프레임(101)은 차량 시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프레임(103)은 차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스프링과 영구자석의 힘에 의해 시트의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일정 범위 내에서 힘이 발생될 경우, 스트로크의 변화 없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스프링 및 영구자석의 힘에 의하여 진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진동 및 충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스프링의 압축복원력 및 자력이 상실되어 장비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져야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각종 다양한 구성수단들이 복잡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부프레임(101)이 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프레임(103)이 차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가 번거롭고 복잡하며, 비용소모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켜 승차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1, 2 지지부들이 자력을 띄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휴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연동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제1, 2 지지부의 몸체의 외측에 보호체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몸체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차량 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자력을 띄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탈부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자력을 띄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돌출부들은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보호체와,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체는 중앙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며, 내경이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체는 상기 몸체와 결합될 때, 상기 지지판의 내면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접되고, 상기 수직판의 내면이 상기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보호체의 상기 수직판의 내면과 상기 몸체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으로 주입되어 상기 수직판 및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단부 사이의 길이(L)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의 대향면들 사이의 간격(d)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간격(d)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됨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켜 승차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2 지지부들이 자력을 띠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불필요한 비용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연동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비용소모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2 지지부의 몸체의 외측에 보호체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몸체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638418호(발명의 명칭 :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에 개시된 진동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시트용 서스펜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시트용 서스펜션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a)의 상태에서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시트용 서스펜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시트용 서스펜션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a)의 상태에서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시트용 서스펜션은 차량(특히 트럭) 시트의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충격흡수장치를 의미하며, 전술하였던 도 1의 종래기술(100)도 시트용 서스펜션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로 예를 들어 시트용 서스펜션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시트용 서스펜션의 형상 및 구성은 도 2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조사, 차종 등에 따라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가 설치되는 시트용 서스펜션(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03)과, 하부프레임(203)의 상부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01)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용 서스펜션(200)은 하부프레임(203)에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부프레임(201)에 링크이동가이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부프레임(201), (203)에 수직운동을 부여하는 링크부(205)와, 하부프레임(20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부(205)에 타측이 연결되는 완충부(207)를 포함한다.
또한 시트용 서스펜션(200)은 상부프레임(201)에 극성이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수평 설치되는 상부 마그네틱모듈(208)과, 상부 마그네틱모듈(208)과 상이한 극성을 구비하고 상부 마그네틱모듈(208)의 하부에 위치하며 극성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부프레임(203)에 수평 설치되는 하부 마그네틱모듈(209)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프레임(201) 및 하부프레임(203)은 스틸 등과 같이 자석(Magnetic)이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 재질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트용 서스펜션(200)은 금속스프링의 선형적인 특성과 마그네틱 스프링의 특성을 조합하여 통상의 사용영역에서 선형적인 특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스트로크의 변화로 진동 및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1)차량(특히 트럭)의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어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키되, 2)기 설치된 차량의 시트용 서스펜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3)휴대가 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연동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3)와, 제2 지지부(5), 스프링(S)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차량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 2의 시트용 서스펜션(200)(또는 종래기술(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시트용 서스펜션이 구비된 차량 시트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8의 제1 지지부(3)는 설치 시 시트용 서스펜션(200)의 상부 프레임(201) 또는 하부프레임(20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지지부(3)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313)가 형성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체(33)와, 몸체(31) 및 보호체(33)의 대접면들 사이로 삽입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접착부재(35)로 이루어진다.
몸체(31)는 자력(Magnetic Force)을 띠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 지지부(3)는 몸체(31)가 자력을 띠는 재질임과 동시에 시트용 서스펜션(200)의 상부프레임(201) 및 하부프레임(203)이 스틸 등의 자성체로 제작됨에 따라 시스용 서스펜션(200)에 설치될 때 제1 지지부(3)의 몸체(31)가 상부프레임(201) 또는 하부프레임(203)과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몸체(31) 및 프레임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힘을 가하여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를 시트용 서스펜션(200)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3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부(311)와, 원판부(311)의 일면(3111)에 수직 돌출되는 돌출부(313)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31)는 보호체(33)와 결합될 때, 외측면(3113) 및 돌출부(313) 형성되는 일면(3111)이 보호체(33)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313)가 형성되지 않은 타면(이하 대접면이라고 함)(3117)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몸체(31)의 대접면(3117)이 자력에 의하여 시트용 서스펜션(200)의 상부프레임(201) 또는 하부프레임(203)과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313)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판부(311)의 일면(3111)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보호체(33)와 조립 시 보호체(33)의 중공(33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또한 몸체(31)는 일면(3111) 및 외측면(3113)이 연결되는 부위가 곡면부(3115)로 형성됨으로써 시트용 서스펜션(200)에 부착될 때 다른 구조물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한다.
보호체(33)는 원판 형상의 지지판(331)과, 지지판(33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수직판(3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판(331) 및 수직판(333)이 연결되는 영역은 몸체(31)의 곡면부(3115)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지지판(331)은 중공(3311)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31)와 조립 시 중공(3311)으로 몸체(31)의 돌출부(313)가 관통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331)은 몸체(31)와 조립될 때, 내면이 몸체(31)의 일면(3111)에 대접되게 된다.
수직판(333)은 지지판(33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수직판(333)은 내경이 몸체(31)의 외경 보다 소정 크게 형성됨으로써 몸체(31)와 조립될 때, 내면과 몸체(31)의 외측면(3113)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호체(33)는 지지판(331)이 몸체(31)의 일면(3111)의 외측에 대접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수직판(333)이 몸체(31)의 외측면(3113)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자석인 몸체(3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몸체(31)의 대접면(3117)은 보호체(33)의 개구부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트용 서스펜션(200)의 상부프레임(201) 또는 하부프레임(203)에 자력을 통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접착수단(35)은 몸체(31) 및 보호체(33) 조립 시 몸체(31)의 외측면(3113) 및 보호체(3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틈) 사이로 주입되어 이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제2 지지부(5)는 제1 지지부(3)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3 내지 5로 돌아가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를 살펴보면, 도 3 내지 5의 스프링(7)은 통상의 고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프링(7)은 양단부에 제1 지지부(3) 및 제2 지지부(5)가 설치, 상세하게로는 일측 단부의 내부 공간으로 제1 지지부(3)의 몸체(31)의 돌출부(313)가 삽입되고, 타측 단부의 내부 공간으로 제2 지지부(5)의 몸체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스프링(7)은 제1, 2 지지부(3), (5)의 돌출부(313)들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스프링(7)의 양단부는 제1, 2 지지부(3), (5)의 보호체(33)들의 지지판(331)들의 외면에 각각 대접된다.
즉 스프링(7)은 제1 지지부(3) 및 제2 지지부(5)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제1 지지부(3) 및 제2 지지부(5)의 돌출부(313)들 및 지지판(331)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탈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제1 지지부(3), 제2 지지부(5) 및 스프링(7)이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된 것이 아니라, 사용 시에만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이들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차량 시트 또는 차량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시트용 서스펜션(2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이 높으며, 연동성이 증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량 시트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의 동작 및 설치 원리에 대해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이 시트용 서스펜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01) 및 하부프레임(203)이 스틸로 이루어지는 시트용 서스펜션(200)에 탈부착 된다.
이때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제1, 2 지지부(3), (5)들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길이)(L)가 상부프레임(201) 및 하부프레임(203) 사이의 간격(d) 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제1, 2 지지부(3), (5)들이 소정 압축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201) 및 하부프레임(203) 사이의 간격(d)으로 억지끼움 된다. 이때 제1, 2 지지부(3), (5)의 몸체(31)들은 자력을 띠는 재질임과 동시에 몸체(31)들의 대접면(3117)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하부프레임(201), (203)들에 대접됨에 따라 제1, 2 지지부(3), (5)들은 자력에 의하여 상하부프레임(201), (203)들 각각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자력보다 강한 힘을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로 가하게 되면,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의 이동하여 작업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자력 및 억지끼움을 이용하여 시트용 서스펜션(200)과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시트용 서스펜션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a)의 상태에서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용 서스펜션(200)의 상하부프레임(201), (203)들 사이로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 또는 차체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스프링(7)이 압축됨에 따라 발생된 진동 및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킴으로써 차량 시트에 안착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7)을 포함함으로써 스프링(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시트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켜 승차감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제1, 2 지지부(3), (5)들이 자력을 띄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기 설치되어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불필요한 비용소모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연동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비용소모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1)는 제1, 2 지지부(3), (5)의 몸체(31)의 외측에 보호체(33)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몸체(31)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장비수명을 연장하여 장비점검 및 교체주기를 높일 수 있다.
1: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3:제1 지지부 5:제2 지지부
7:스프링 31:몸체 33:보호체
35:접착수단 311:원판부 313:돌출부
331:지지판 333:수직판 3111:일면
3113:외측면 3115:곡면부 3117:대접면
100:제1 시트용 서스펜션 101:상부프레임 103:하부프레임
200:제2 시트용 서스펜션 201:상부프레임 203:하부프레임
7:스프링 31:몸체 33:보호체
35:접착수단 311:원판부 313:돌출부
331:지지판 333:수직판 3111:일면
3113:외측면 3115:곡면부 3117:대접면
100:제1 시트용 서스펜션 101:상부프레임 103:하부프레임
200:제2 시트용 서스펜션 201:상부프레임 203:하부프레임
Claims (7)
- 차량 시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하부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자력을 띄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자력을 띄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돌출부들은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보호체와,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체는
중앙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며, 내경이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체는 상기 몸체와 결합될 때, 상기 지지판의 내면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접되고, 상기 수직판의 내면이 상기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보호체의 상기 수직판의 내면과 상기 몸체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으로 주입되어 상기 수직판 및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단부 사이의 길이(L)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의 대향면들 사이의 간격(d)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간격(d)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됨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110A KR101880568B1 (ko) | 2017-07-25 | 2017-07-25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PCT/KR2018/007589 WO2019022405A1 (ko) | 2017-07-25 | 2018-07-04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4110A KR101880568B1 (ko) | 2017-07-25 | 2017-07-25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0568B1 true KR101880568B1 (ko) | 2018-07-20 |
Family
ID=6310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4110A KR101880568B1 (ko) | 2017-07-25 | 2017-07-25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0568B1 (ko) |
WO (1) | WO201902240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25196A (zh) * | 2020-04-14 | 2021-10-22 | Dsc 有限公司-东滩 | 座椅用升降装置 |
CN116252690A (zh) * | 2023-03-01 | 2023-06-13 | 江西五十铃汽车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减震器及汽车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7743A (ja) * | 2001-10-22 | 2003-05-08 | Bridgestone Corp | 自動車用シート構造 |
CN1613690A (zh) * | 2004-11-19 | 2005-05-11 | 陈振越 | 磁力式汽车防撞减震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4953A (ko) * | 1999-02-02 | 2000-09-05 | 정몽규 | 자동차용 시트의 서스펜션 구조 |
KR100576897B1 (ko) * | 2004-07-23 | 2006-05-03 | 대원강업주식회사 | 시트의 진동완충장치 |
KR100638418B1 (ko) * | 2005-03-28 | 2006-10-24 | 대원강업주식회사 | 시트의 진동 완충장치 |
KR200483515Y1 (ko) * | 2016-02-12 | 2017-05-24 | 이은영 |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
-
2017
- 2017-07-25 KR KR1020170094110A patent/KR1018805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7-04 WO PCT/KR2018/007589 patent/WO201902240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7743A (ja) * | 2001-10-22 | 2003-05-08 | Bridgestone Corp | 自動車用シート構造 |
CN1613690A (zh) * | 2004-11-19 | 2005-05-11 | 陈振越 | 磁力式汽车防撞减震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25196A (zh) * | 2020-04-14 | 2021-10-22 | Dsc 有限公司-东滩 | 座椅用升降装置 |
CN113525196B (zh) * | 2020-04-14 | 2024-02-20 | Dsc 有限公司-东滩 | 座椅用升降装置 |
CN116252690A (zh) * | 2023-03-01 | 2023-06-13 | 江西五十铃汽车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减震器及汽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22405A1 (ko) | 2019-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0568B1 (ko) |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 |
KR20120023993A (ko) | 차량의 롤로드 구조 | |
KR102522291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CN109795316B (zh) | 用于变速器安装架的止动件 | |
US7530585B2 (en) | Rear suspension structure for large vehicles | |
KR20060082068A (ko)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완충장치 | |
US10723369B2 (en) | Bogie with a motor mount for a linear induction motor | |
US20100327548A1 (en) | Structur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 |
KR20190013298A (ko) | 분할된 세그먼트를 가지는 비공기입타이어 | |
CN103386869B (zh) | 用于工程车辆的悬架减振结构 | |
CA2396602A1 (en) | Air cushion suspension assembly for use with over the road trucks | |
CN107627802B (zh) | 用于车辆的悬架系统缓冲装置及具有其的车辆 | |
EP1382468B1 (en) | Suspension system | |
CN108757801B (zh) | 减震装置 | |
KR101786090B1 (ko) | 차량의 현가장치용 횡치 리프 스프링 | |
EP3527464A1 (en) | Vehicle body connecting base and suspension system having same | |
KR101371733B1 (ko) |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 |
KR200153096Y1 (ko) |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 |
CN209843199U (zh) | 一种车载广告机 | |
CN219133778U (zh) | 磁悬浮减震车辆 | |
CN211765828U (zh) | 一种具有减震功能的方向盘 | |
CN221075083U (zh) | 一种带限位弹簧垫的减震器 | |
CN214057152U (zh) | 一种半挂车电控悬架装置 | |
KR101402770B1 (ko) | 대륙철도차량용 차체의 충격흡수 구조 | |
CN219838554U (zh) | 转向架及轨道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