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633B1 -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633B1
KR102201633B1 KR1020190137536A KR20190137536A KR102201633B1 KR 102201633 B1 KR102201633 B1 KR 102201633B1 KR 1020190137536 A KR1020190137536 A KR 1020190137536A KR 20190137536 A KR20190137536 A KR 20190137536A KR 102201633 B1 KR102201633 B1 KR 10220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frame
torsion bar
lower seat
b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우
최세화
서동학
이태경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 시트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체중과 연계한 일정한 진동 특성 발현으로 장시간의 진동 피폭으로부터 운전자의 피로도가 저감되도록 하고 안장 중앙부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착좌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작동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지게차 시트 서스펜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시트프레임; 상기 하부시트프레임들의 전방측에서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링크부; 상기 하부시트프레임들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링크부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후방링크부; 상기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시트 쿠션이 설치되는 상부시트프레임; 상기 하부시트프레임 중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 측면에 결합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부를 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펌핑 디바이스;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를 각각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상기 이송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 회전축과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를 받쳐주는 작동점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반발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전방 토션바 스프링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Suspension of forklift seat}
본 발명은 지게차 시트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체중과 연계한 일정한 진동 특성 발현으로 장시간의 진동 피폭으로부터 운전자의 피로도가 저감되도록 하고 안장 중앙부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착좌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작동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지게차 시트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용 차량에서 운전자가 장시간 진동 조건에 노출될 경우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동적 하중에 대한 진동 및 충격을 저감시켜 운전자가 중장비를 운전하는 과정에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트에 서스펜션이 설치된다.
상기 서스펜션은 일반적으로 링크 시스템에 스프링과 댐퍼의 적용으로 진동 저감을 구현하고 있으며, 체중 조절장치를 통해 운전자의 몸무게 변화에 따라 서스펜션의 반발력도 적절히 변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양한 중량의 사용자에 대해 동일하게 우수한 진동 흡수 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체중에 따라 일정한 공진 주파수가 유지되도록 서스펜션의 기구 설계 및 스프링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때 고유진동수
Figure 112019111682957-pat00001
으로 운전자 체중(m)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일정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체중이 증가하면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k)도 증가해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중장비 차량 시트의 서스펜션은 하중 조절의 증가에 따라 스프링상수를 변화시키는 시스템은 설계되지 않아 저체중의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에는 하드하게 느껴지고 상대적으로 고체중의 사용자가 착석할 경우에는 소프트한 특성을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장비 차량의 서스펜션 좌석의 경우 서스펜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안장의 두께 및 안락 형상 구현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중장비 차량에 구비된 무게 조절장치는 인장 스프링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나사 방식의 회전식 손잡이를 이용함에 따라 작동 편의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0847334호 등록특허번호 제10-119870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체중과 연계한 일정한 진동 특성 발현으로 장시간의 진동 피폭으로부터 운전자의 피로도가 저감되도록 하고 안장 중앙부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착좌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작동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지게차 시트 서스펜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시트프레임; 상기 하부시트프레임들의 전방측에서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링크부; 상기 하부시트프레임들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링크부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후방링크부; 상기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시트 쿠션이 설치되는 상부시트프레임; 상기 하부시트프레임 중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 측면에 결합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부를 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펌핑 디바이스;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를 각각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상기 이송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 회전축과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를 받쳐주는 작동점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반발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전방 토션바 스프링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링크부는, 상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단부에는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1링크;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서 상기 제1링크와 마주보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부에 상기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전방결합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링크부는, 상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후방 토션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단부에는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3링크;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서 상기 제3링크와 마주보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부에 상기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4링크; 상기 제3링크와 제4링크의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후방결합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일측 하부시트프레임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상기 펌핑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펌핑 디바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이 전, 후방에 각각 연결되며 펌핑 디바이스의 작동에 연동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토션바 스프링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의 작동점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펌핑 디바이스의 작동시 맞물려 연동될 수 있도록 내경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슬롯;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이 결합되는 전방 스프링 끼움홈;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토션바 스프링이 결합되는 후방 스프링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은,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걸려지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일측단에서 수평바와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상기 수평바와 마주보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로 연장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바의 연장방향을 향해 연장바와 직교되도록 형성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연장된 끝단에서 상기 연장바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전방링크부 또는 후방링크부를 받쳐주는 받침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바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링크부 또는 후방링크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전방링크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되는 보조 토션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체중에 맞도록 서스펜션의 스프링상수가 선형적으로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서스펜션의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탑승자에 대해 동일하게 우수한 진동 흡수 능력을 갖게 되어 장시간의 진동 피폭으로부터 탑승자의 피로를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링크부의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후방링크부의 제3링크 및 제4링크가 4절 링크 형태로 구성되고 상호 이격된 하부시트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시트의 중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시트쿠션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작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착좌 안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버의 조작을 통한 펌핑디바이스의 간단한 작동을 통해 전방 토션 스프링과 후방 토션 스프링의 가압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작동 편의성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상부시트프레임을 제거하여 토션바 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토션바 스프링을 통해 링크부를 받쳐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이송부를 이동시켜 토션바 스프링의 받침 위치를 회전축과 인접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이송부를 이동시켜 토션바 스프링의 받침 위치를 회전축과 멀어지게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상부시트프레임을 제거하여 토션바 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의 폭 방향을 향해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시트프레임(100a)(100b)과, 상기 하부시트프레임(100a)(100b)들의 전방측에서 시트의 높이 방향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링크부(300)와, 상기 하부시트프레임(100a)(100b)들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링크부(300)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후방링크부(400)와, 상기 전방링크부(300)와 후방링크부(4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시트쿠션(도시없음) 설치되는 상부시트프레임(200)과,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 측면에 결합되고 시트의 전, 후방향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500)와, 상기 이송부(50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레버(720)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부(500)를 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펌핑 디바이스(700)와,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b)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이송부(500)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링크부(300) 및 후방링크부(400)를 각각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상기 이송부(500)의 구동시 연동되어 전방링크부(300) 및 후방링크부(400) 회전축과 전방링크부(300) 및 후방링크부(400)를 받쳐주는 작동점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반발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시트프레임(100a)(100b)은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며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1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에는 후술되는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수평바(610)가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홈(130)이 형성된다.
또한 측판(120)에는 연장바(630)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끼움홈(1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링크부(300)는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단이 상부시트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타측단은 연결링크(800)를 통해 후방링크부(400)와 연결되는 제1링크(310a)와,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단이 상부시트프레임(200)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연결링크(800)를 통해 후방링크부(400)와 연결되는 제2링크(310b)와, 상기 제1링크(310a)와 제2링크(310b)의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전방결합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310a)는 일측 하부시트프레임(100a)의 측판(120)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에 지지되고 상부시트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311)와 상기 수평부(31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연결링크(800)를 통해 후방링크부(400)와 연결되는 수직부(312)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310b)는 타측 하부시트프레임(100b)의 측판(120)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시트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311)와 상기 수평부(31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연결링크(800)를 통해 후방링크부(400)와 연결되는 수직부(312)로 구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링크부(400)는, 상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단이 상부시트프레임(2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타측단은 연결링크(800)를 통해 전방링크부(300)와 연결되는 제3링크(410a)와,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단이 상부시트프레임(2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연결링크(800)를 통해 전방링크부(300)와 연결되는 제4링크(410b)와, 상기 제3링크(410a)와 제4링크(410b)의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후방결합축(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링크(410a)는 타측 하부시트프레임(100b)의 측판(120)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시트프레임(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411)와 상기 수평부(41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연결링크(800)를 통해 후방링크부(400)와 연결되는 수직부(412)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전방링크부(300)의 제1링크(310a)와 후방링크부(400)의 제3링크(410a)의 수직부(312) 및 제2링크(310b)와 제4링크(410b)의 수직부(412)는 연결링크(800)를 통해 연결되고 수평부(311)(411)에는 상부시트프레임(200)이 연결되어 전방링크부(300)와 후방링크부(40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링크(310a)와 제3링크(410a)의 수평부(311)(411)의 연장된 끝단에서 하부시트프레임(100a)(100b)과 결합되는 회전축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313)(41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이송부(500)의 작동에 의해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이 연동될 경우 제1링크(310a)와 제3링크(410a)를 받쳐주는 작동점의 위치가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부시트프레임(200)은 상기 전방링크부(300)와 제1링크(310a) 및 제2링크(310b)의 수평부(311)와, 후방링크부(400)의 제3링크(410a) 및 제4링크(410b)의 수평부(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전방링크부(300)와 후방링크부(4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부에는 시트쿠션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500)는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펌핑 디바이스(700)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설치되고 상기 펌핑 디바이스(7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이 전, 후방에 각각 연결되어 펌핑 디바이스(700)의 작동에 연동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작동점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이송프레임(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브래킷을 통해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펌핑 디바이스(700)가 삽입되어 고정프레임(510)에 결합된다.
상기 이송프레임(520)은 고정프레임(51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521)와, 상기 몸체부(521)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펌핑 디바이스(700)의 작동시 펌핑 디바이스(700)에 맞물려 연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기어(523)가 형성되어 있는 슬롯(522)과, 상기 몸체부(521)의 일측단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이 연결되는 전방 스프링 끼움홈(524)과, 상기 몸체부(521)의 타측단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이 연결되는 후방 스프링 끼움홈(5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롯(522)에 형성되는 기어는 랙기어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랙기어에 펌핑 디바이스(700)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710)가 맞물려 펌핑 디바이스(700)의 작동시 이송프레임(520)이 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은,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b)에 걸려지는 수평바(610)와, 상기 수평바(610)의 일측단에서 수평바와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수직바(620)와, 상기 수직바(620)에서 상기 수평바(610)와 마주보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이송부(500)에 연결된 상태로 연장되는 연장바(630)와, 상기 연장바(630)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바(620)의 연장방향을 향해 연장바(630)와 직교되도록 형성되는 수직바(640)와, 상기 수직바(640)의 연장된 끝단에서 상기 연장바(630)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전방링크부(300) 또는 후방링크부(400)를 받쳐주는 받침바(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바(610)는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b)에 형성된 안착홈(130)에 삽입되어 하부시트프레임(100b) 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연장바(630)는 이송부(500)의 이송프레임의 전방 스프링 끼움홈(524) 과 후방 스프링 끼움홈(525)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100a)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의 받침바(650)는 전방링크부(300)의 제1링크(310a)의 수평부(311)를 탄력적으로 받쳐 지지해주고,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받침바(650)는 후방링크부(400)의 제3링크(410a)의 수평부(411)를 탄력적으로 받쳐 지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바(650)에는 상기 가이드부(660)를 더 형성하여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이 제1링크(310a)와 제3링크(41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은 상기 전방링크부(300)와 후방링크부(400)를 상부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탑승자의 착좌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송부(500)의 고정프레임(51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전방링크부(300)의 제2링크(310b)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보조 토션바 스프링(600c)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토션바 스프링(600c)은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고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추가적인 반발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착좌 안락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토션바 스프링을 통해 링크부를 받쳐주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이송부를 이동시켜 토션바 스프링의 받침 위치를 회전축과 인접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에서 이송부를 이동시켜 토션바 스프링의 받침 위치를 회전축과 멀어지게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서스펜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이 제1링크(310a)와 제2링크(310b)의 수평부(311)(411)의 중심부분에 받쳐진 상태로 셋팅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최초 셋팅된 상태에서 탑승한 탑승자의 몸무게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몸무게의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할 경우, 탑승자는 레버(720)를 작동하여 펌핑 디바이스(700)를 구동시켜 주게 된다.
상기 펌핑 디바이스(700)는 레버(720)와 구동축(730)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레버(720)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710)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7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이송부(500)의 이송프레임(520)이 도 6 에서와 같이 시트의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프레임(520)이 시트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프레임(520)에 연결된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이 뒤틀리면서 받침바(650)의 받침점 위치가 제1링크(310a)와 제3링크(410a)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받침점과 회전축의 위치가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에서부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가압위치가 가까워지면서 서스펜션의 체중 작용량이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가 변화되어 운전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서스펜션의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이전 탑승자 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몸무게의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할 경우에는 레버(720)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펌핑 디바이스(700)를 구동시켜주고 펌핑 디바이스(700)에 연결된 이송프레임(520)이 도 7 에서와 같이 시트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프레임(520)이 시트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프레임(520)에 연결된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받침바의 받침점 위치가 회전축에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에서부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가압위치가 멀어지게 되면서 서스펜션의 체중 작용량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서스펜션의 스프링 상수가 변화되어 운전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서스펜션의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서스펜션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방링크부(300)의 제1링크(310a)와 후방링크부(400)의 제3링크(410a)의 회전축으로부터 전방 토션바 스프링(600a)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600b)의 가입 위치를 변화시켜 줌으로써 서스펜션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하여 스프링 상수를 변화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중에 맞도록 서스펜션의 스프링상수가 선형적으로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서스펜션의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탑승자에 대해 동일하게 우수한 진동 흡수 능력을 갖게 되어 장시간의 진동 피폭으로부터 탑승자의 피로를 감소시켜주게 된다.
또한 전방링크부(300)의 제1링크(310a) 및 제2링크(310b)와 후방링크부(400)의 제3링크(410a) 및 제4링크(410b)가 4절 링크 형태로 구성되고 상호 이격된 하부시트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시트의 중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시트쿠션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제작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착좌 안락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버(720)의 조작을 통한 펌핑 디바이스(700)의 간단한 작동을 통해 전방 토션 스프링과 후방 토션 스프링의 가압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작동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a)(100b) : 하부시트프레임 (110) : 바닥판
(120) : 측판 (130) : 안착홈
(140) : 끼움홈 (200) : 상부시트프레임
(300) : 전방링크부 (310a) : 제1링크
(310b) : 제2링크 (311) : 수평부
(312) : 수직부 (313) : 경사면
(320) : 전방결합축 (400) : 후방링크부
(410a) : 제3링크 (410b) : 제4링크
(411) : 수평부 (412) : 수직부
(413) : 경사면 (420) : 후방결합축
(500) : 이송부 (510) : 고정프레임
(520) : 이송프레임 (521) : 몸체부
(522) : 슬롯 (523) : 기어
(524) : 전방 스프링 끼움홈 (525) : 후방 스프링 끼움홈
(600a) : 전방 토션바 스프링 (600b) : 후방 토션바 스프링
(600c) : 보조 토션바 스프링 (610) : 수평바
(620) : 수직바 (630) : 연장바
(640) : 수직바 (650) : 받침바
(660) : 가이드부 (700) : 펌핑 디바이스
(710) : 피니언기어 (720) : 레버
(730) : 구동축 (800) : 연결링크

Claims (8)

  1.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시트프레임;
    상기 하부시트프레임들의 전방측에서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링크부;
    상기 하부시트프레임들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시트의 높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링크부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후방링크부;
    상기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시트 쿠션이 설치되는 상부시트프레임;
    상기 하부시트프레임 중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 측면에 결합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레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부를 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펌핑 디바이스;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를 각각 탄력적으로 받쳐주며, 상기 이송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 회전축과 전방링크부 및 후방링크부를 받쳐주는 작동점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반발력이 변화되도록 하는 전방 토션바 스프링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부는,
    상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단부에는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1링크;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서 상기 제1링크와 마주보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부에 상기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전방결합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링크부는
    상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후방 토션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단부에는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3링크;
    상기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서 상기 제3링크와 마주보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단부에 상기 상부시트프레임이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전방링크부와 연결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4링크;
    상기 제3링크와 제4링크의 회전축을 연결해주는 후방결합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일측 하부시트프레임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상기 펌핑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펌핑 디바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이 전, 후방에 각각 연결되며 펌핑 디바이스의 작동에 연동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토션바 스프링과 후방 토션바 스프링의 작동점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펌핑 디바이스의 작동시 맞물려 연동될 수 있도록 내경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슬롯;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이 결합되는 전방 스프링 끼움홈;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토션바 스프링이 결합되는 후방 스프링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토션바 스프링 및 후방 토션바 스프링은,
    타측의 하부시트프레임에 걸려지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일측단에서 수평바와 직교되도록 연장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상기 수평바와 마주보며 일측의 하부시트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로 연장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바의 연장방향을 향해 연장바와 직교되도록 형성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연장된 끝단에서 상기 연장바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전방링크부 또는 후방링크부를 받쳐주는 받침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바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링크부 또는 후방링크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방링크부와 후방링크부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전방링크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되는 보조 토션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KR1020190137536A 2019-10-31 2019-10-31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KR102201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536A KR102201633B1 (ko) 2019-10-31 2019-10-31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536A KR102201633B1 (ko) 2019-10-31 2019-10-31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633B1 true KR102201633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536A KR102201633B1 (ko) 2019-10-31 2019-10-31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6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698A (ja) * 1999-07-07 2001-01-23 Isuzu Motors Ltd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30083144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서스펜션 구조
JP2003320884A (ja) * 2002-04-26 2003-11-11 Delta Tooling Co Ltd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の平衡点調節装置
KR100847334B1 (ko) 2007-05-04 2008-07-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장치
KR101198707B1 (ko) 2010-09-16 2012-11-12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시트 높이조절장치
KR20170062021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698A (ja) * 1999-07-07 2001-01-23 Isuzu Motors Ltd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30083144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서스펜션 구조
JP2003320884A (ja) * 2002-04-26 2003-11-11 Delta Tooling Co Ltd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の平衡点調節装置
KR100847334B1 (ko) 2007-05-04 2008-07-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장치
KR101198707B1 (ko) 2010-09-16 2012-11-12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시트 높이조절장치
KR20170062021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04707T2 (de) Fahrzeugsitz.
EP2810820B1 (de)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Federn zweier relativ zueinander verlagerbarer Federungsteile
JP4159477B2 (ja) 座席用サスペンション
US6866236B2 (en) Vehicle seating system with improved vibration isolation
DE102006015785B4 (de) Stufenlos einstellbare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e Fahrzeugsitzanordnung
KR101326904B1 (ko) 자동차 시트용 하부 프레임
EP1631474B1 (en) Low profile seat suspension
US3599232A (en) Vehicle seat suspension system
JP2005520739A5 (ko)
DE69926482T2 (de) Verstellbare Abfederung des ganzen Sitzes
EP2463146A2 (de) Fahrzeugschwingungsvorrichtung für Fahrzeugsitze oder Fahrzeugkabinen
CN102216117A (zh) 车辆座椅特别是商用车辆座椅
WO2014077389A1 (ja) 操作レバー、シート装置及び操作部構造
US20170166100A1 (en) Suspension device
US20180001805A1 (en) Suspension device
EP1462303A1 (en) Fram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JP6680159B2 (ja) 乗物用シート
US89606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mper adjustments for a horizontal suspension
KR20080093276A (ko)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KR102201633B1 (ko)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JP7206173B2 (ja) 作業車
CN110816372B (zh) 一种卡车座椅减震器、卡车座椅以及卡车
JP2001010378A (ja) 車両用座席
KR20080030228A (ko) 비선형 스프링 특성을 갖는 후륜 독립 현가장치
CN213442202U (zh) 一种座椅的复合减震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