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95U -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95U
KR20180000095U KR2020160003782U KR20160003782U KR20180000095U KR 20180000095 U KR20180000095 U KR 20180000095U KR 2020160003782 U KR2020160003782 U KR 2020160003782U KR 20160003782 U KR20160003782 U KR 20160003782U KR 20180000095 U KR20180000095 U KR 20180000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haft
rail guide
elevator
b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083Y1 (ko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덕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규 김 filed Critical 덕 규 김
Priority to KR2020160003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8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동과 소음이 엘리베이터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레일 가이드의 마모가 발생될 때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품의 내구성과 심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카의 외벽에 고정부착되는 플레이트(10)와, 이 플레이트(10)에 수곳에서 볼트(55)와 너트(56)들에 의해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며 축공(21)들이 뚫어지는 브라켓트(20)와, 이 브라켓트(20)의 수직면에 직각되게 고정 부착되고 축구멍(31)이 뚫어지는 서브 브라켓트(30)와, 상기 브라켓트(20) 및 서브 브라켓트(30)의 축공(21)과 축구멍(31)에 설치되는 축볼트(41)들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는 로울러(40)들이 레일가이드(G)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0)의 볼트(55) 설치위치로 조립구멍(22)들을 뚫고, 단턱(51)이 형성되는 한쌍의 방진패드(50)들을 이 조립구멍(22)의 양쪽에서 각각 끼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Rail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동과 소음이 엘리베이터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레일 가이드의 마모가 발생될 때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로도 불리는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의 견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시키는 것으로, 그 편리함으로 인하여 각종 건물에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는 저면 양측에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레일 가이드장치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카의 외측에는 가이드레일이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고, 주로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양쪽에 이 가이드레일에 접촉한 상태로 원활한 수직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0)에 브라켓트(20)를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시키고, 이 브라켓트(20)에 레일가이드(G)과 접촉된 상태로 구름 운동하기 위한 3개의 로울러(40)들이 회전 자유롭게 축 설치된다.
이 로울러(40)들은 레일가이드(G)의 좌우 양쪽면과 끝면에 3방향으로 각각 접촉되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유동 방지한 상태로 주로 수직하게 승강 작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국내 실용신안 등록 20-0326832호(등록일자2003년9월13일) 특허문헌 1 : 국내 실용신안 공고 20-1995-4100호(공고일자1995년6월20일)
종래, 플레이트(10)와 브라켓트(20)는 볼트로 체결한 상태에서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탄력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은 장시간 시간이 경과되면 피로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되면서 진동 흡수력이 저하되고,
또한, 코일스프링과 플레이트(10) 및 브라켓트(20)가 모두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진동이 발생할 때 마다 금속 소음이 발생되어 탑승 이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로울러(40)들은 브라켓트(20)의 3면에서 축볼트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조립된 후 풀림방지 너트 등에 의해 이미 브라켓트(20)에 파여진 축구멍의 위치로 정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반복되는 사용으로 로울러(40)의 둘레는 물론, 레일가이드(G)가 마모되는 경우 틈새가 발생되어 유격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하고 정숙한 주행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도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플레이트와 브라켓트 사이에 방진패드를 설치하여 소음과 진동 전달을 차단하여 정숙 운전이 가능하도록 된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로울러와 레일가이드 사이에 유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의 외벽에 고정부착되는 플레이트(10)와,
이 플레이트(10)에 수곳에서 볼트(55)와 너트(56)들에 의해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며 축공(21)들이 뚫어지는 브라켓트(20)와,
이 브라켓트(20)에 직각되게 고정 부착되고 축구멍(31)이 뚫어지는 서브 브라켓트(30)와,
상기 브라켓트(20) 및 서브 브라켓트(30)의 축공(21)과 축구멍(31)에 설치되는 축볼트(41)들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는 로울러(40)들이 레일가이드(G)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0)의 볼트(55) 설치위치로 조립구멍(22)들을 뚫고, 단턱(51)이 형성되는 한쌍의 방진패드(50)들을 이 조립구멍(22)의 양쪽에서 각각 끼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진패드(50)들의 내경과 볼트(55) 사이에는 스프링핀(52)을 더 끼워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20)에 뚫어지는 축공(21)과 서브 브라켓트(30)에 뚫어지는 축구멍(31)은 경사지게 장홀로 성형하여 로울러(40)들이 레일 가이드(G)에 접촉되는 유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20) 양쪽에 각각 뚫어지는 축공(21)은 서로 대칭되게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재로 된 방진패드가 브라켓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므로 소음과 진동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로울러와 레일가이드 사이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접촉 상태를 수시로 점검, 보수가 가능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최적의 상태로 정숙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브라켓트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 6은 브라켓트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일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는 레일 가이드(G)의 안내로 승강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주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 부착되는 플레이트(10)와 브라켓트(20) 및 서브 브라켓트(30)에 구름 자유롭게 각각 설치되는 로울러(40)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일정 두께의 금속판재로 엘리베이터 카의 외벽에 고정부착되기 위해 고정구멍(11)들이 다수개 뚫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플레이트(10)에 수곳에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볼트(55)와 너트(56)들에 이탈은 방지되고, 후술하는 진동 및 소음 방지수단이 구비되어 로울러(40)들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현격하게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 브라켓트(20)에는 양쪽에 축공(21)들이 뚫어져 축볼트(41)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축볼트(41)에는 로울러(40)들이 회전 자유롭게 조립된 된다.
또, 이 브라켓트(20)는 "ㄷ" 형상으로 상하부가 절곡된 상태로, 수직면에 직각되게 축구멍(31)이 뚫어지는 서브 브라켓트(30)가 주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 축구멍(31)에는 로울러(40)가 회전 자유롭게 조립된 축볼트(41)가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구조로 된 이 축볼트(41)는 로울러(40)가 베어링(42)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끼워진 상태에서 사각와셔(43)와, 풀림방지와셔(45)를 나사부 방향으로 조립한 후 너트(46)를 체결하여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로울러(40)들의 둘레에는 레일 가이드(G)와 구름 접촉될 때 소음을 방지하도록 고무나 실리콘재의 패드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트(20)의 정면 양쪽에는 축공(21)이, 서브 브라켓트(30)에 뚫어진 축구멍(31)으로 축볼트(41)를 끼워 설치하고, 이 축볼트(41)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는 로울러(40)들은 레일 가이드(G)의 3면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레일 가이드(G)에 로울러(40)들이 구름 접촉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되므로 전후, 좌우 3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미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데, 이를 흡수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방진, 방음 수단이 브라켓트(20)와 플레이트(10) 사이에 설치된다.
즉, 브라켓트(20)의 하단 절곡부가 플레이트(10)로부터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55)와 너트(56)들이 수곳에서 체결된 상태에서, 브라켓트(20)에는 볼트(55)의 설치위치로 조립구멍(22)이 볼트(55)보다 큰 직경으로 뚫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조립구멍(22)에는 상, 하 양쪽 방향에서 단턱(51)이 형성된 한쌍의 방진패드(50)들을 각각 끼워 설치하게 된다.
이 방진패드(50)는 유연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외측으로는 단턱(51)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볼트(55)가 관통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한쌍으로 된 방진패드(50)들을 조립구멍(22)에 끼운 다음 볼트(55)의 나사부에 너트(56)를 체결하게 되면 플레이트(10)와 브라켓트(20) 사이에는 방진패드(50)가 개재되므로 로울러(40)들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엘리베이터 카의 외벽에 부착된 플레이트(10)로 전달되지 못하고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진패드(50)들의 내경과 볼트(55) 사이에는 스프링핀(52)을 더 끼워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너트(56)와 방진패드(50) 사이에는 플레이트와셔(54)가 설치되어 안정된 조임상태를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20)에 뚫어지는 축공(21)과 서브 브라켓트(30)에 뚫어지는 축구멍(31)은 경사지게 장홀로 성형하여 로울러(40)들이 레일 가이드(G)에 접촉되는 유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도 2 및 도 3)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20) 양쪽에 각각 경사지게 뚫어지는 축공(21)은 서로 대칭되게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축공(21)과 축구멍(31)이 경사지게 성형되면 최초 로울러(40)를 설치하는 과정은 물론, 반복되는 사용으로 로울러(40) 또는 레일 가이드(G)의 마모로 유격이 발생되면 점검 및 보수 작업에 의해 축볼트(41)를 장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유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로울러(40)들이 레일 가이드(G)에 적합한 접촉 상태를 갖도록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축공(21)과 축구멍(31)이 경사지게 장홀로 성형하게 되므로 사각와셔(43)와, 풀림방지와셔(45)를 각각 나사부 방향으로 조립한 후 너트(46)를 체결하여서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주행중 소음 및 진동 전달을 차단하고 로울러와 레일 가이드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기술에 적용된다.
10 - 플레이트 20 - 브라켓트
21 - 축공 22 - 조립구멍
30 - 서브 브라켓트 31 - 축구멍
40 - 로울러 41 - 축볼트
50 - 방진패드 51 - 단턱
55 - 볼트 56 - 너트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의 외벽에 고정부착되는 플레이트(10)와,
    이 플레이트(10)에 수곳에서 볼트(55)와 너트(56)들에 의해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며 축공(21)들이 뚫어지는 브라켓트(20)와,
    이 브라켓트(20)의 수직면에 직각되게 고정 부착되고 축구멍(31)이 뚫어지는 서브 브라켓트(30)와,
    상기 브라켓트(20) 및 서브 브라켓트(30)의 축공(21)과 축구멍(31)에 설치되는 축볼트(41)들에 회전 자유롭게 조립되는 로울러(40)들이 레일가이드(G)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0)의 볼트(55) 설치위치로 조립구멍(22)들을 뚫고, 단턱(51)이 형성되는 한쌍의 방진패드(50)들을 이 조립구멍(22)의 양쪽에서 각각 끼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50)들의 내경과 볼트(55) 사이에는 스프링핀(52)을 더 끼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0)에 뚫어지는 축공(21)과, 서브 브라켓트(30)에 뚫어지는 축구멍(31)은 각각 경사지게 장홀로 성형하여 로울러(40)들이 레일 가이드(G)에 접촉되는 유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20) 양쪽에 각각 뚫어지는 축공(21)은 서로 대칭되게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KR2020160003782U 2016-06-29 2016-06-29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KR200487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82U KR200487083Y1 (ko) 2016-06-29 2016-06-29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82U KR200487083Y1 (ko) 2016-06-29 2016-06-29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95U true KR20180000095U (ko) 2018-01-08
KR200487083Y1 KR200487083Y1 (ko) 2018-08-01

Family

ID=6127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82U KR200487083Y1 (ko) 2016-06-29 2016-06-29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8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276U (ko) * 1984-12-21 1986-07-09
JPH05246653A (ja) * 1991-12-18 1993-09-24 Kone Elevator Gmbh エレベータの箱用のガイドシート
KR950004100Y1 (ko) 1992-10-13 1995-06-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보상프로의 편심하중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반력상쇄장치
JPH0940321A (ja) * 1995-08-02 1997-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用案内手段
JPH1059651A (ja) * 1996-08-22 1998-03-03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276U (ko) * 1984-12-21 1986-07-09
JPH05246653A (ja) * 1991-12-18 1993-09-24 Kone Elevator Gmbh エレベータの箱用のガイドシート
KR950004100Y1 (ko) 1992-10-13 1995-06-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보상프로의 편심하중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반력상쇄장치
JPH0940321A (ja) * 1995-08-02 1997-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用案内手段
JPH1059651A (ja) * 1996-08-22 1998-03-03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83Y1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176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589962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JP201315133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5078021A (ja) 乗客コンベア
JP5411931B2 (ja) つり下げ式エレベータかご構造
US20180354750A1 (en) Rail clip for elevator systems
JP4871976B2 (ja) 建設機械用スリップ防止装置
JP2012126509A (ja) エレベータ
EP3122681B1 (en) Lateral damping and intermediate support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in seismic events
CN106829698B (zh) 用于抑制振动的电梯轿厢装置和方法
KR200487083Y1 (ko) 엘리베이터용 레일 가이드장치
US20030102613A1 (en) Elevator noise and vibration isolation system
CN102616624B (zh) 导轨隔振结构
CN108290718B (zh) 用于电梯系统的机械安装结构
CN108591021B (zh) 减振结构及压缩机
KR200494723Y1 (ko)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JP2019104575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KR102368156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WO2021070362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調整装置及び巻上機据付方法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JP2008214076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制振装置
JP2680978B2 (ja) エレベータの箱用のガイドシート
KR10207571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용 전도 방지장치
CN216863334U (zh) 一种无机房主机底座
JP4484494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