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56B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56B1
KR102368156B1 KR1020190152210A KR20190152210A KR102368156B1 KR 102368156 B1 KR102368156 B1 KR 102368156B1 KR 1020190152210 A KR1020190152210 A KR 1020190152210A KR 20190152210 A KR20190152210 A KR 20190152210A KR 102368156 B1 KR102368156 B1 KR 10236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all prevention
proof rubber
support frame
trac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736A (ko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방진 고무 체결 부재 이외에 별도의 추가 체결 부재 없이 단순히 하나의 전도 방지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방진 고무를 권상기에 고정 결합함과 동시에 권상기에 대한 전도 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체결 부재의 종류 및 개수 감소로 인해 부품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 위험이 감소되고, 전도 방지 볼트의 헤드부 상면이 지지 프레임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방진 고무에 의한 진동 완화 기능을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상하 진동에 따른 전도 방지 볼트와 지지 프레임의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스토퍼 스페이서를 통해 수평 이동 구속력을 보완 강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Down of Elevator Traction Machin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방진 고무 체결 부재 이외에 별도의 추가 체결 부재 없이 단순히 하나의 전도 방지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방진 고무를 권상기에 고정 결합함과 동시에 권상기에 대한 전도 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체결 부재의 종류 및 개수 감소로 인해 부품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 위험이 감소되고, 전도 방지 볼트의 헤드부 상면이 지지 프레임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방진 고무에 의한 진동 완화 기능을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상하 진동에 따른 전도 방지 볼트와 지지 프레임의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스토퍼 스페이서를 통해 수평 이동 구속력을 보완 강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지어진 건물에서 사람이나 사물 등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권상기를 설치하거나 또는 승강로의 내부에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설치한 후, 권상기의 메인시브에 권취된 메인로프가 선택적 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를 행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상하방향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근래에는 기계실을 제거함으로서 건물의 건축시에 별도의 기계실을 설계 및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더불어, 건물의 증축 및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는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와 다르게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는 권상기 설치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권상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한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회전 모멘트 및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로 인해 권상기에 대한 전도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특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권상기의 전도가 발생한 경우, 권상기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므로, 그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로 권상기의 현장 설치 과정에서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가 추가로 적용되며, 일반적인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는 전도방지용 형강 및 볼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권상기(10)는 그 하부에 별도의 지지판(11)이 결합되며, 지지판(11)의 하부에 방진 고무(20)가 결합된 상태로 지지 프레임(60)에 안착 결합된다.
방진 고무(20)는 권상기(10)의 지지판(11)과 지지 프레임(60) 사이에 배치되며, 방진 고무(20)를 상부에서 관통하는 상부 결합 볼트(30)를 통해 지지판(11)에 결합되고, 방진 고무(20)를 하부에서 관통하는 하부 결합 볼트(40)를 통해 지지 프레임(60)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진 고무(20)는 권상기(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승강로의 지지 프레임(6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권상기(10)의 전도 방지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므로, 권상기(10)의 전도 방지를 위해 별도의 전도 방지 볼트(50)가 지지판(11)과 지지 프레임(60)에 관통 결합하는 형태로 추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권상기의 설치 과정에서, 방진 고무(20)를 권상기(10)의 지지판(11)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결합 볼트(30)를 체결하고, 권상기(10)의 지지판(11)에 결합된 방진 고무(20)를 다시 지지 프레임(60)에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결합 볼트(40)를 체결하며, 이후, 별도의 전도 방지 볼트(50)를 추가로 체결해야 한다.
방진 고무(20)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권상기(10)에 4개 이상이 결합되는데, 각각의 방진 고무(20)마다 상부 결합 볼트(30), 하부 결합 볼트(40) 및 전도 방지 볼트(50)를 체결해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체결 부재가 많아 작업 과정에서 체결 부재를 떨어뜨리는 등의 사고로 인해 하부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이 되거나 부품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2032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방진 고무 체결 부재 이외에 별도의 추가 체결 부재 없이 단순히 하나의 전도 방지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방진 고무를 권상기에 고정 결합함과 동시에 권상기에 대한 전도 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체결 부재의 종류 및 개수 감소로 인해 부품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 위험이 감소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도 방지 볼트의 헤드부 상면이 지지 프레임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권상기의 작동시 기준치 범위 이내에서 방진 고무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방진 고무에 의한 진동 완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권상기의 진동 전달이 방지되어 엘리베이터의 주행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방진 고무의 변형 구속에 따른 방진 고무의 기능 저하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하 진동에 따른 전도 방지 볼트와 지지 프레임의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도 방지 볼트의 몸체부에 별도의 스토퍼 스페이서를 삽입함으로써, 권상기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수평 이동 구속력을 보완 강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에 안착 결합되는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방진 고무 모듈;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방진 고무 모듈과 동시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하나의 지지판;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을 상기 지지판에 고정 결합시키는 방진 고무 체결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통과하여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을 상향 관통한 후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에 상향 돌출되게 관통 결합되는 전도 방지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권상기가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시 상기 전도 방지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맞물림되어 상기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은,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 하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방진 고무; 및 상기 방진 고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보강판 및 하부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보강판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체결부가 상기 방진 고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보강판에는 상기 방진 고무의 관통홀과 동심축을 이루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판은 상기 전도 방지 체결 부재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판, 상기 방진 고무의 상부 보강판 및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에는 상기 방진 고무의 관통홀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상하 방향의 전도 방지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 방지 체결 부재는, 상기 전도 방지 체결홀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진 고무의 상부 보강판 하면에 용접 결합되는 용접 너트;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도 방지 체결홀을 통과하여 중간 부분이 상기 용접 너트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 상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전도 방지 볼트; 및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의 상면에 마찰 접촉하도록 상기 전도 방지 볼트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상단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 방지 볼트는 헤드부의 상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시 상기 헤드부의 상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에 맞물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 방지 볼트의 몸체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의 전도 방지 체결홀을 관통하는 구간에 상기 전도 방지 볼트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스페이서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스페이서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전도 방지 체결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접촉 충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방진 고무 체결 부재 이외에 별도의 추가 체결 부재 없이 단순히 하나의 전도 방지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방진 고무를 권상기에 고정 결합함과 동시에 권상기에 대한 전도 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체결 부재의 종류 및 개수 감소로 인해 부품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 위험이 감소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도 방지 볼트의 헤드부 상면이 지지 프레임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권상기의 작동시 기준치 범위 이내에서 방진 고무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방진 고무에 의한 진동 완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권상기의 진동 전달이 방지되어 엘리베이터의 주행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방진 고무의 변형 구속에 따른 방진 고무의 기능 저하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하 진동에 따른 전도 방지 볼트와 지지 프레임의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도 방지 볼트의 몸체부에 별도의 스토퍼 스페이서를 삽입함으로써, 권상기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수평 이동 구속력을 보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 전도 방지 장치는 별도의 지지 프레임(600)에 안착 결합되는 권상기(10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방진 고무 모듈(200)과, 지지판(300)과, 방진 고무 체결 부재(400)와,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진 고무 모듈(200)은 복수개 구비되어 권상기(100)의 안착을 위해 복수개 형성된 권상기(100)의 안착부(110)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판(300)은 방진 고무 모듈(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방진 고무 모듈(200)과 동시에 결합하도록 하나의 일체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방진 고무 체결 부재(400)는 방진 고무 모듈(200)을 지지판(300)에 고정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진 고무 모듈(200)은, 권상기(100)의 안착부(110) 하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방진 고무(210)와, 방진 고무(2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보강판(220) 및 하부 보강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보강판(2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 체결부(231)가 형성되고, 연장 체결부(231)가 방진 고무 체결 부재(400)에 의해 지지판(300)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으로 방진 고무 모듈(200)이 지지판(300)에 고정 결합된다.
하부 보강판(230)에는 방진 고무(210)의 관통홀(211)과 동심축을 이루는 관통홀(211)이 형성되고, 상부 보강판(220)은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방진 고무 모듈(200)은 별도의 방진 고무 체결 부재(400)에 의해 지지판(300)에 고정 결합되고,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에 의해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와 결합된다.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는 권상기(100)의 전도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인데, 이를 통해 방진 고무 모듈(200)을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에 고정 결합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적인 체결 부재 없이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의 체결시 방진 고무 모듈(200)을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권상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체결 부재의 종류 및 개수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는 지지 프레임(600)으로부터 지지판(300)을 통과하여 방진 고무 모듈(200)을 상향 관통한후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에 상향 돌출되게 관통 결합된다. 이때,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는 권상기(100)의 상하 방향 미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권상기(100)가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시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가 지지 프레임(600)에 맞물림되어 권상기(100)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지지 프레임(600), 지지판(300), 방진 고무(210)의 상부 보강판(220) 및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에는 방진 고무(210)의 관통홀(211)과 동심축을 이루는 상하 방향의 전도 방지 체결홀(501)이 형성되고,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는 이러한 전도 방지 체결홀(501)에 관통 결합하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때, 전도 방지 체결홀(501)은 방진 고무(210)의 관통홀(211)보다는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는, 전도 방지 체결홀(501)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방진 고무(210)의 상부 보강판(220) 하면에 용접 결합되는 용접 너트(510)와, 지지 프레임(600)으로부터 전도 방지 체결홀(501)을 통과하여 중간 부분이 용접 너트(510)에 체결된 상태로 권상기(100)의 안착부(110) 상부에 돌출되게 결합하는 전도 방지 볼트(520)와,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의 상면에 마찰 접촉하도록 전도 방지 볼트(52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상단 너트(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도 방지 볼트(520)는 헤드부(521)의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결합되어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시 헤드부(521)의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에 맞물림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도 방지 볼트(520)가 전도 방지 체결홀(501)을 통과하여 용접 너트(510) 및 상단 너트(530)와 체결됨으로써, 권상기(1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며, 이때, 전도 방지 볼트(520)의 헤드부(521)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체결됨으로써, 권상기(100)가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하면, 전도 방지 볼트(520)의 헤드부(521)가 지지 프레임(600)에 맞물림되어 권상기(100)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권상기(100)의 전도를 방지한다.
또한, 전도 방지 볼트(520)의 헤드부(521)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권상기(100)의 작동시 방진 고무(210)의 변형에 의한 기준치 범위 이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방진 고무(210)의 탄성 변형에 의한 진동 완화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어 권상기(100)의 진동이 지지 프레임(60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주행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방진 고무(210)의 기준치 범위 이내의 탄성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 결합 볼트에 의한 방진 고무(210)의 변형 구속에 따라 방진 고무(210)의 기능 저하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상기(1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상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도 방지 볼트(520)와 지지 프레임(600)의 접촉 소음(권상기(100)의 상하 진동에 따른 전도 방지 볼트(520)의 상하 진동시 지지 프레임(600)과 부딪히며 발생하는 소음)이 방지된다. 이는 전도 방지 볼트(520)의 헤드부(521)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과 일정 간격(d)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전도 방지 볼트(520)의 상하 진동시에도 전도 방지 볼트(520)의 헤드부(521)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 방지 체결홀(50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접촉 충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소음 방지 부재(502)가 장착될 수도 있다. 소음 방지 부재(502)는 러버 패드 또는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는 별도의 추가 체결 부재 없이 전도 방지 체결 부재(500)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방진 고무 모듈(200)을 권상기(100)의 안착부(110)에 고정 결합함과 동시에 권상기(100)에 대한 전도 방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체결 부재의 종류 및 개수 감소로 인해 부품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 위험이 감소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전도 방지 볼트(520)의 몸체부(522)에는 지지 프레임(600)과 지지판(300)에 형성된 전도 방지 체결홀(501)을 관통하는 구간에 전도 방지 볼트(520)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스페이서(5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스페이서(54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 방지 볼트(520)의 헤드부(521) 상면이 지지 프레임(600)의 하면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볼트 체결시 발생하는 볼트 헤드부(521)의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권상기(100)의 수평 방향 이동에 대한 구속력이 약할 수 있다. 스토퍼 스페이서(540)는 전도 방지 체결홀(501)의 내측면과 간섭 접촉할 수 있도록 전도 방지 볼트(520)의 몸체부(522)에 삽입됨으로써, 권상기(100)의 수평 방향 이동을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권상기
110: 안착부
200: 방진 고무 모듈
210: 방진 고무
220: 상부 보강판
230: 하부 보강판
231: 연장 체결부
300: 지지판
400: 방진 고무 체결 부재
500: 전도 방지 체결 부재
501: 전도 방지 체결홀
502: 소음 방지 부재
510: 용접 너트
520: 전도 방지 볼트
530: 상단 너트
540: 스토퍼 스페이서
600: 지지 프레임

Claims (7)

  1. 별도의 지지 프레임에 안착 결합되는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방진 고무 모듈;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방진 고무 모듈과 동시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하나의 지지판;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을 상기 지지판에 고정 결합시키는 방진 고무 체결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통과하여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을 상향 관통한 후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에 상향 돌출되게 관통 결합되는 전도 방지 체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권상기가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시 상기 전도 방지 체결 부재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맞물림되어 상기 권상기의 전도를 방지하고,
    상기 방진 고무 모듈은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 하부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방진 고무; 및
    상기 방진 고무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보강판 및 하부 보강판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판, 상기 방진 고무의 상부 보강판 및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에는 상기 방진 고무의 관통홀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상하 방향의 전도 방지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 방지 체결 부재는
    상기 전도 방지 체결홀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방진 고무의 상부 보강판 하면에 용접 결합되는 용접 너트;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도 방지 체결홀을 통과하여 중간 부분이 상기 용접 너트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 상부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전도 방지 볼트; 및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의 상면에 마찰 접촉하도록 상기 전도 방지 볼트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상단 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 방지 볼트는 헤드부의 상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기준치 이상 상향 이동시 상기 헤드부의 상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에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강판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체결부가 상기 방진 고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강판에는 상기 방진 고무의 관통홀과 동심축을 이루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판은 상기 전도 방지 체결 부재에 의해 관통 체결되어 상기 권상기의 안착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방지 볼트의 몸체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의 전도 방지 체결홀을 관통하는 구간에 상기 전도 방지 볼트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스페이서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스페이서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전도 방지 체결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접촉 충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KR1020190152210A 2019-11-25 2019-11-2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KR10236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10A KR102368156B1 (ko) 2019-11-25 2019-11-2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10A KR102368156B1 (ko) 2019-11-25 2019-11-2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36A KR20210063736A (ko) 2021-06-02
KR102368156B1 true KR102368156B1 (ko) 2022-03-02

Family

ID=7637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10A KR102368156B1 (ko) 2019-11-25 2019-11-25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6290B (zh) * 2022-04-29 2023-11-21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一种支撑力可调的无机房减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385A (ja) * 1990-06-04 1992-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耐震装置
KR20050120323A (ko) 2004-06-18 2005-12-22 티센크루프 동양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36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8438A1 (en)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mitigation
US10589962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JP5411931B2 (ja) つり下げ式エレベータかご構造
EP3121142A1 (en) A limiting mechanism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rope tensioning pulley, an elevator compensation apparatus, and an elevator system
JP2010047410A (ja) エレベータ
JP201315133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368156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JP5142465B2 (ja) エレベータのためのプーリ装置
WO2011155109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
CN203715020U (zh) 一种电梯双轿顶轮减震装置
JP6704612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0315517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JP5930813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2009509893A (ja) 昇降路内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破断可能な緩衝器
CN204852161U (zh) 一种用于曳引机的减震装置
KR102022057B1 (ko)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WO2007142081A1 (ja) エレベータの防振装置
CN110577138B (zh) 电梯及其曳引机
JP6696467B2 (ja) ロープ振れ抑制ユニット
JP7405193B1 (ja) エレベータ
JP7134335B2 (ja) 緩衝器のばね支持台、及びエレベータ緩衝器
KR20000009934A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CN220011784U (zh) 电梯旋转绳头板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