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57B1 -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57B1
KR102022057B1 KR1020180021007A KR20180021007A KR102022057B1 KR 102022057 B1 KR102022057 B1 KR 102022057B1 KR 1020180021007 A KR1020180021007 A KR 1020180021007A KR 20180021007 A KR20180021007 A KR 20180021007A KR 102022057 B1 KR102022057 B1 KR 10202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xing member
chain
collision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073A (ko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보상체인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보상체인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COMPENSATION CHAIN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제한하여 충돌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한 승강차를 고층 건물 등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상기 승객을 이송하는 장치로써, 모터로 견인되는 다수의 로우프에 연결되어 승, 하강 된다.
특히, 고층건물 등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에는 트랙션비를 작게 하고 주로프와 제어 케이블에 의한 구동시브와의 로프 인장력에 대한 불균형을 최소화하여 승강차의 위치에 상관없이 구동시브와 모터에 작고 일정한 부하를 줄 수 있도록 보상체인(compensation chain)이 사용된다. 보상체인은 승강차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피트를 경유하여 무게추의 하단의 주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운행 도중에 승강차의 유동이 발생하여 보상체인에 흔들림이 발생하면서, 그 흔들림이 승강차로 다시 전달되거나 주변 부품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으로 탑승자의 불안감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가이드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보상체인의 가이드가 도시된다. 도 1은 정지상태 중의 보상체인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운행 상태 중의 보상체인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는 카와 무게추(균형추) 사이에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보상체인 보상체인의 흔들림이 큰 경우 보상체인이 가이드에 충돌함으로써 보상체인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이드는 고정식이므로 보상체인이 가이드에 충돌하면 소음과 함께 가이드와 보상체인의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가이드는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유발하여 주변 부품 또는 승강로벽(1)과 2차 충돌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보상체인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보상체인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가이드롤러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 자체가 고정식이 아닌,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충돌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주행 및 승객의 승차감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보상체인의 가이드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상체인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100)는, 고정부재(300)와 롤러부(4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00)는,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10)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지지프레임(200)은 보상체인(10)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위치가 고정되는 부재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200)은 U 형으로 무게추 등에 매달린 보상체인(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200)은 균형추 스크린 또는 기타 고정용 브라켓일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절곡된 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프레임(200)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300)의 형상과 재질 및 고정방법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프레임(2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롤러부(400)는, 보상체인(10)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410)를 포함하고, 고정부재(300)에 연결되되, 보상체인(10)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고정부재(30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롤러부(400)는 고정부재(300)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410)는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보상체인(10)과 충돌하면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충돌 시의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롤러부(400)는 보상체인(10)과 충돌하면 고정부재(30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보상체인(10)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롤러부(400)의 회전 중, 가이드롤러(410)가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1 회전이라고 정의하고, 롤러부(400) 전체가 고정부재(30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2 회전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롤러부(400)와 보상체인(10)의 충돌 중,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충돌을 제1 충돌이라고 정의하고, 제1 충돌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충돌을 제2 충돌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400)는, 제1 충돌 시에는 제1 회전을 함으로써 충돌 시의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하고, 제2 충돌 시에는 가이드롤러(410)가 제1 회전을 함과 동시에, 롤러부(400) 전체가 제2 회전을 함으로써 충돌 시의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100)는, 가이드롤러(410)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400) 자체가 고정식이 아닌, 고정부재(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충돌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1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10)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주행 및 승객의 승차감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에너지 분산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롤러부(400)를 고정부재(300)에 연결하고, 보상체인(10)과 롤러부(400)의 충돌 시에 롤러부(400)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며, 충돌 이후에 롤러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보상체인(10)이 롤러부(400)와 충돌하면,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롤러부(400)를 회전시켜서 충돌 시의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롤러부(400)를 제2 회전 시킴으로써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운행 정지 중이거나 충돌이 없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롤러부(400)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롤러부(400)는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이 후 보상체인(10)과의 충돌에 대한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부재(300)는, 제1 고정파트(310)와 제2 고정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파트(310)는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파트(320)는 제1 고정파트(310)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에너지 분산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300)는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ㄴ 자 형강일 수 있고,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파트(310)와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결합되는 제2 고정파트(320)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고정파트(320)에는 에너지 분산부재(500)를 통해 롤러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파트(310)와 지지프레임(200) 및, 제2 고정파트(320)와 에너지 분산부재(500) 사이의 결합은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300)의 재질과 형상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제1 고정파트(310)와 지지프레임(200) 및, 제2 고정파트(320)와 에너지 분산부재(500) 사이의 체결방식은 상기한 볼트체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롤러부(400)는 롤러프레임(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430)은 가이드롤러(410)를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연결하고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프레임(430)은 본체(431)와 롤러지지대(4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프레임(430)은 걸림턱(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431)는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431)는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파트(3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한 상측은,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볼트체결될 수 있고, 하측에는 롤러지지대(433)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체(431)의 형상 및 체결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롤러지지대(433)는, 본체(431)에 결합되고, 가이드롤러(410)를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지지대(433)는 본체(431)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거동하며, 가이드롤러(410)의 롤러축(411)이 끼워지는 롤러홈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410)는 롤러홈에 롤러축(411)이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400)와 보상체인(10)이 접촉 또는 충돌하면 가이드롤러(410)는 롤러지지대(43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롤러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소음과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턱(435)은, 고정부재(300)와 접촉하여 롤러부(4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본체(431)에서 고정부재(300)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ㄴ 형상으로 구부려져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435)은 본체(431)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되 본체(431)의 상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 고정파트(320)에 접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걸림턱(435)은 제1 고정파트(310)(또는 지지프레임(20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400)가 보상체인(10)과 충돌하면 지지프레임(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회전하고, 충돌이 완료되면 에너지 분산부재(5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제2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에, 걸림턱(435)이 제2 고정파트(320)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상태에서의 위치가 일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걸림턱(435)의 형상과 형성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431)의 단부에 구비되어 롤러부(4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구체적으로 중심부(501)와 제1 연장부(510)와 제2 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01)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부분일 수 있고, 코일이 감겨진 횟수는 제한이 없다.
제1 연장부(510)는, 중심부(50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고정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520)는, 중심부(501)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롤러부(400)에 결합되며,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제1 연장부(510)와 이루는 각도가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510)는 제2 고정파트(320)에 볼트결합될 수 있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520)는 탄성스프링의 특성에 따라, 외력을 받으면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제1 연장부(5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제1 연장부(5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장부(510)와 제2 연장부(520)가 이루는 각도가 탄성적으로 가변된다.
제2 연장부(520)는 롤러프레임(4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프레임(430)은 제2 연장부(520)와 일체로 거동함으로써, 에너지 분산부재(500)의 중심부(501)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제2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중심부(501)와 제1 연장부(510) 및 제2 연장부(520)를 포함하는 비틀림 스프링(토션스프링)의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직선운동하는 코일 스프링에 비해, 충격완화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분산부재(500)는 보상체인(10)의 승, 하강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상체인(10)과 롤러부(400)의 충돌에 따른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롤러(410)는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롤러(410)는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롤러(410)는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브러시는 가이드롤러(410)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배치되고, 털실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브러시의 형태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상체인(10)과의 충돌 시에 소음과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는, 가이드롤러가 회전함과 동시에, 롤러부 자체가 고정식이 아닌,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충돌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주행 및 승객의 승차감 증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200: 지지프레임 300: 고정부재
310: 제1 고정파트 320: 제2 고정파트
400: 롤러부 410: 가이드롤러
411: 롤러축 430: 롤러프레임
431: 본체 433: 롤러지지대
435: 걸림턱 500: 에너지 분산부재
501: 중심부 510: 제1 연장부
520: 제2 연장부 10: 보상체인

Claims (9)

  1.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 및,
    상기 보상체인과 접촉 시에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보상체인과의 충돌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키도록 상기 보상체인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보상체인과 상기 롤러부의 충돌 시에 상기 롤러부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며, 충돌 이후에 상기 롤러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에너지 분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롤러를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연결하고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 ㄴ 형상으로 구부려져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롤러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연장부와 이루는 각도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파트; 및,
    상기 제1 고정파트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가 결합되는 제2 고정파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제1 충돌 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롤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을 하고, 상기 제1 충돌보다 강한 강도의 제2 충돌 시에 상기 제1 회전과 동시에, 상기 롤러프레임이 상기 에너지 분산부재에 구비된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을 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KR1020180021007A 2018-02-22 2018-02-22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KR10202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07A KR102022057B1 (ko) 2018-02-22 2018-02-22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07A KR102022057B1 (ko) 2018-02-22 2018-02-22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73A KR20190101073A (ko) 2019-08-30
KR102022057B1 true KR102022057B1 (ko) 2019-09-18

Family

ID=6777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007A KR102022057B1 (ko) 2018-02-22 2018-02-22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0168A1 (ja) * 2022-09-30 2024-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419415U (zh) * 2016-02-03 2016-08-0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补偿链导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06Y1 (ko) * 2007-03-28 2009-08-06 세이프테크 (주) 엘리베이터의 체인 지지용 브러시 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419415U (zh) * 2016-02-03 2016-08-0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补偿链导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73A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582B1 (ko) 로프 흔들림이 완화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329537B1 (ko) 엘리베이터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US72936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5161563B2 (ja) エレベータ
US4230205A (en) Elevator system
JP4975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3008318A1 (fr) Dispositif d'ascenseur
KR102022057B1 (ko) 엘리베이터 보상체인의 가이드장치
JP2006264862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JP201417733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1894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18373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制振装置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505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68156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도 방지 장치
JP46580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1222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24656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139718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2004059208A (ja) 屋外エレベータ
CN214141140U (zh) 一种用于抑制曳引机振动的防震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