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537B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537B1
KR100329537B1 KR1019990008307A KR19990008307A KR100329537B1 KR 100329537 B1 KR100329537 B1 KR 100329537B1 KR 1019990008307 A KR1019990008307 A KR 1019990008307A KR 19990008307 A KR19990008307 A KR 19990008307A KR 100329537 B1 KR100329537 B1 KR 10032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pe
linear portion
counterweigh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829A (ko
Inventor
오쓰까모또하루
고바야시히데히꼬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7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단이 승강함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 2 단이 평형추의 상부에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시브에 의해 안내되고 구동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로프가 승강함과 평형추 간에 현가된다. 평형 로프는 승강함 측의 제 1 선형부와, 평형추 측의 제 2 선형부와, 제 1 선형부와 제 2 선형부 사이에 위치한 만곡부(curved portion)를 포함하며, 시브의 승강함 측의 로프 부분과 시브의 평형추 측의 로프 부분 간의 중량의 불균형을 보상한다. 제 1 가이드가 제 1 선형부와 제 2 선형부를 안내하기 위해 배치되고, 제 2 가이드가 제 1 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평형 로프의 제 1 선형부와 평형 로프의 제 2 선형부의 연장선 간에 위치하여 평형 로프의 만곡부를 안내한다. 프레임이 승강로의 피트(pit)에 배치되어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평형 로프 가이드를 포함하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평형 로프의 스윙을 줄임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함의 불쾌한 소음과 진동을 막아서 탑승을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a는 널리 사용되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의 일반형의 측면도이다.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서 3개의 로프(3)(하나만 도시함)의 제 1 단에 승강함(1)의 상부가 부착되고, 제 2 단에 평형추(2)의 상부가 부착된다. 로프(3)는 승강로(4) 상부에 위치한 기계실(5)의 모터로 구동되는 편향 시브(6a) 및 시브(6)에 의해 안내된다. 로프(3)와 시브(6) 간의 마찰이 승강함(1)을 승강시켜 승객 및 하물을 운송한다.
그러나 승강 행정이 높은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서, 시브(6)의 승강함(1) 측의 로프(3) 부분과 시브(6)의 평형추(2) 측의 로프(3) 부분 간에 중량의 불균형이 존재하면, 로프(3)는 시브(6) 위를 미끄러질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 행정이 높은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서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승강함(1)의 저면에 평형 로프(7)의 제 1 단이 부착되고, 평형추(2)의 저면에 제 2 단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평형 로프(7)는 대략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3) 등의 와이어 로프(10)가 평형 로프(7)로서 사용된다. 둘째로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제(鋼製)의 체인(8)이 평형 로프(7)로서 사용된다. 세째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등의 피복(9)으로 덮인 체인(8)으로 된 피복 체인(13)이 평형 로프(7)로서 또한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와이어 로프(10), 체인(8) 및 피복 체인(13)을 총괄하여 평형 로프(7)로 칭하기로 한다.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0)는 고속 엘리베이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와이어 로프(10)를 인장하기 위해 텐션 풀리(11)가 보통 와이어 로프(10)의 만곡부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텐션 풀리(11)는 와이어 로프(10)의 진동을 낮추며 와이어 로프(10)를 궤도에 놓는다.
체인(8)은 보통 비교적 저속인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된다.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방식의 체인(8)은 자중이 장력으로 작용할 때는 도 12b의 와이어 로프(10)의 만곡부에 부착된 텐션 풀리(11)를 생략할 수 있고, 따라서 장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될 때 체인(8)은 소음을 일으키고, 도 12b의 텐션 풀리(11)의 자중이 더 가해지는 조건에 있는 와이어 로프(10)보다도 더 스윙한다. 자중만이 장력으로 작용할 때에는 체인(8)이 와이어 로프(10)만큼 스윙하지 않지만, 고속 엘리베이터에서는 체인(8)을 이용할 수 없다.
근년 와이어 로프(10)와 체인(8)을 구비한 피복 체인(13)이 채택되었다.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체인(13)은 소음을 줄이는 피복(9)으로 덮인 체인(8)을 포함한다. 또한 소형 롤러(14)로 된 가이드가 피복 체인(13)의 만곡부 상에 배치됨으로써 피복 체인(13)의 스윙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피복 체인(13)을 고속 엘리베이터에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풍이나 지진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빌딩이 흔들릴 때, 피복 체인(13)이 스윙하여 가이드의 강하하는 쪽에서 롤러(14)로부터 이탈하기 쉽다. 반면 가이드의 상승하는 쪽에서는 피복 체인(13)이 승강함(1)이나 평형추(2)에 이끌려서 그대로 진행한다. 따라서 피복 체인(13)이 롤러(14)와 롤러(14)를 예각으로 지지하는 앵글 브라킷(도시하지 않음)에 강하게 눌림으로써 피복 체인(13)은 피복 체인(13)과 롤러(14) 간의 저항으로 인해 불쾌한 소음을 방출한다. 또한 피복 체인(13)이 롤러(14)의 귀퉁이에 걸려서 롤러(14)의 회동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승강함(1)이 진동하기 시작하고, 진동은 승강함(1)의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 로프의 스윙을 줄일 수 있는 평형 로프 가이드를 포함하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불쾌한 소음의 방출과 엘리베이터 승강함의 진동을 막아서 승강함의 승차감을 해치는 것을 막는 데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평형 로프 가이드(compensating rope guide)를 포함하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선을 따른 평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가이드의 측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운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측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널리 사용되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의 일반형의 측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다양한 평형 로프 설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평형 로프의 운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단이 승강함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 2 단이 평형추의 상부에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시브에 의해 안내되고 구동되는 로프를 가진 엘리베이터로서, 승강함으로부터 평형추까지 현가되고, 승강함 측의 제 1 선형부와, 평형추 측의 제 2 선형부와, 제 1 선형부와 제 2 선형부 사이에 위치한 만곡부(curved portion)를 포함하며, 시브의 승강함 측의 로프 부분과 시브의 평형추 측의 로프 부분 간의 중량의 불균형을 보상하는 평형 로프를 구비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 1 가이드가 제 1 선형부와 제 2 선형부를 안내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 2 가이드가 제 1 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평형 로프의 제 1 선형부와 평형 로프의 제 2 선형부 사이에 위치하여 평형 로프의 만곡부를 안내한다. 프레임이 승강로의 피트(pit)에 배치되어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를 지지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이와 같은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명백하여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평형 로프 가이드를 포함하는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선을 따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로프(3)(1개만 도시함)의 제 1 단이 승강함(1)의 상부에 부착되고, 제 2 단이 평형추(2)의 상부에 부착된다. 로프(3)는 승강로(4) 상부에 위치한 기계실(5)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편향 시브(6a)와 시브(6)에 의해 안내된다. 2개의 평형 로프(35)가 승강함(1)으로부터 평형추(2)에 현가된다. 각 평형 로프(35)는 만곡부(30), 만곡부(30)의 승강함(1) 측의 제 1 선형부(31) 및 만곡부(30)의 평형추(2) 측의 제 2 선형부(32)를 가지고, 시브(6)의 승강함(1) 측의 로프 부분과 시브(6)의 평형추 측의 로프(3) 부분 간의 중량의 불균형을 보상한다. 제 1 가이드(33)는 최하층 아래에 위치한 피트(12)에 배치되어 피트(12)의 제 1 선형부(31) 및 제 2 선형부(32)를 안내한다. 제 2 가이드(34)는 제 1 가이드(33) 아래에 배치되고 평형 로프(35)의 제 1 선형부(31)과 평형 로프(35)의 제 2 선형부(32)의 연장선 사이에 위치하여 평형 로프(35)의 만곡부(30)를 안내한다. 도 12d의 피복 체인(13) 등의 평형 로프(35)는 제 1 가이드(33) 및 제 2 가이드(34)에 의해 안내된다.
제 1 가이드(33) 및 제 2 가이드(34)가 승강함(1)을 안내하는 1쌍의 승강함 가이드 레일(17)과 평형추(2)를 안내하는 1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18)에 고정된 프레임(19)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19)은 브라킷(19a~ 19d)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33)가 4 개의 회동 가이드 부재(15)로 구성됨으로써 평형 로프(35)를 평형 로프(35)의 이동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제 2 가이드(34)는 2개의 바(16)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제 1 가이드(33) 및 제 2 가이드(34)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회동 가이드 부재(15)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회동 가이드 부재(15)는 앵글 브라킷(21)에 지지되고 브라킷(19b)에 고정된 4개의 원통상 롤러(20)를 구비한다. 바(16)는 U자 볼트(24) 및 너트(22)가 달린 브라킷(19d)에 고정된다.
각 원통상 롤러(20)의 표면은 평형 로프(35)의 표면에 대해서 마찰 계수가 작은 저마찰 부재로 된다. 우레탄 고무, 바켈라이트, 알루미늄 합금 및 나일론이저마찰 부재로서 적절하며, 폴리에틸렌도 이용 가능하다.
본 두레박식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제 1 가이드(33)가 평형 로프(35)의 제 1 선형부(31)와 제 2 선형부(32)를 안내하고 제 2 가이드(34)가 평형 로프(35)의 만곡부(30)를 안내한다. 따라서 평형 로프(35)가 스윙하여 제 1 가이드(33)를 이탈하더라도 제 2 가이드(34)가 제 1 가이드(33) 너머로 평형 로프(35)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평형 로프(35)가 과도하게 스윙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승강함(1)의 승차감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한 본 두레박식 엘리베이터는 불쾌한 소음의 방출과 승강함(1)의 진동을 막아 주거나 및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원통상 롤러(20)의 표면이 평형 로프(35)의 표면에 대해 마찰 계수가 작은 저마찰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평형 로프(35)는 원통상 롤러(20)의 어느 귀퉁이(36)에 걸리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가이드(33)와 제 2 가이드(34)를 변경하였다. 도 2의 회동 가이드 부재(15) 대신 회동 가이드 부재(40)가 사용된다. 제 1 가이드는 도 6에 나타낸 4개의 회동 가이드 부재(40)로 된다. 각 회동 가이드 부재(40)는 도 3의 회동 가이드 부재(15)와 같이 앵글 브라킷(21)에 의해 지지된 4개의 원통상 롤러(20)로 된다. 각 원통상 롤러(20)는 사변형의 1변을 형성하고, 원통상 롤러(20)의 대향하는 2쌍은 서로 교차한다. 원통상 롤러(20)의 대향하는 1쌍은 다른 1쌍 위에 위치한다. 제 2 가이드(34)는 브라킷(19d)에 고정된 2개의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로 되어 평형 로프(35)가 이동할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의 각각은 바(16)와 바(16)의 표면을 회동 가능하게 덮는 원통상 커버(38)로 된다.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가 배치되어 평형 로프(35)가 정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스윙할 때 평형 로프(35)와 접촉하여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교차하는 2쌍의 원통상 롤러(20)는 1쌍 위에 다른 1쌍이 위치하므로, 평형 로프(35)가 원통상 롤러(20)의 귀퉁이를 건드리더라도 평형 로프(35)가 귀퉁이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원통상 롤러(20)의 회동이 장애를 받지 않으며 평형 로프(35)가 승강함(1)의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제 2 가이드(34)는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로 되어 있어 돌풍이나 지진으로 빌딩이 흔들려서 평형 로프(35)가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에 접촉할 때 평형 로프(35)가 이동할 방향으로 향하므로,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가 회동함으로써 제 2 가이드(34)와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 간의 마찰을 감쇠시켜 평형 로프(35)가 손상되는 것을 막게 된다. 또한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가 배치되어 평형 로프(35)가 소정의 거리로 스윙할 때 평형 로프(35)와 접촉하여 안내하므로, 평형 로프(35)는 돌풍이나 지진으로 인해 평형 로프(35)가 크게 스윙할 때를 제외하고는 정상 운전 중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 운전 중 평형 로프(35)와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37) 간의 간섭으로 인한 불쾌한 소음이 없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형 로프(35)가 큰 스윙으로인해 제 1 가이드(33)를 이탈하려고 해도, 제 2 가이드(34)가 평형 로프(35)의 운동을 제한함으로써 평형 로프(35)가 제 1 가이드(33)의 앵글 브라킷(21)에 예각으로 눌려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제 3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23)가 도 2의 회동 가이드 부재(15) 대신에 사용된다. 바(23)는 평형 로프(35)의 양 측의 승강로(4)의 벽(41) 측에 각각 배치되고 U자형 볼트(24) 및 너트가 달린 브라킷(19b)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가이드(33)가 평형 로프(35)의 양 측의 승강로(4)의 벽(41) 측에 각각 배치된 바(23)로 되고, 제 2 가이드(34)가 바(16)로 되어 있으므로 바(23)가 평형 로프(35)의 스윙을 제한하고, 바(16)가 평형 로프(35)가 제 1 가이드(33)의 바(2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평형 로프(35)는 크게 스윙하지 않아 승강함(1)의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는 평형 로프 가이드의 비용을 줄임으로써 염가의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의 회동 가이드 부재(40)가 도 2의 회동 가이드 부재(15) 대신에 사용된다. 제 5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제 2 가이드(34)가 생략되고, 2개의 종(鍾) 형상 가이드(25)가 평형 로프(35)의 선형부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33)의 회동 가이드 부재(40)의 상측 및 하측 모두에 부착된다. 종 형상 가이드(25)는 지지 부재(26)가 달린 회동 가이드 부재(4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 형상 가이드(25)는 평형 로프(35)의 궤도를 견고히 유지함으로써 평형 로프(35)가 앵글 브라킷(21)에 예각으로 밀리는 것을 막고 불쾌한 소음을 방지한다.
도 9는 제 6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회동 가이드 부재(42)가 도 2의 회동 가이드 부재(15) 대신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가이드 부재(42)가 회동 가이드 부재(15)와 같이 앵글 브라킷(21)에 의해 지지된 4개의 원통상 롤러(20)로 된다. 각 원통상 롤러(20)는 4변형의 1변을 형성하고 대향하는 2쌍의 원통상 롤러(20)는 서로 교차한다. 1쌍의 원통상 롤러(20)가 다른 1쌍 위에 배치된다. 또한 1쌍의 원통상 롤러(20)의 모서리가 다른 1쌍의 원통상 롤러(20)의 수평으로 뻗은 평면 내부로 겹쳐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1쌍의 원통상 롤러(20)의 모서리가 다른 1쌍의 원통상 롤러(20)의 수평으로 뻗은 평면의 내부로 겹쳐지므로, 평형 로프(35)가 원통상 롤러(20)의 귀퉁이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원통상 롤러(20)의 회동이 장애를 받지 않으며 평형 로프(35)가 승강함(1)의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10a는 제 7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1쌍의 회동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제 7 실시예의 평형 로프 가이드의 회동 가이드 부재 중 하나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회동 가이드 부재(42)가 도 2의 회동 가이드 부재(15) 대신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가이드 부재(42)는 평형 로프(35)의 경로에 대응하여 컷(43)이 형성된 앵글 브라킷(21)에 의해 지지된 4개의 원통상 롤러(20)로 된다. 각 원통상 롤러(20)는 4변형의 1변을 형성하고 원통상 롤러(20)의 대향하는 2쌍은 서로 교차한다. 1쌍의 원통상 롤러(20)는 다른 1쌍 위에 배치된다. 또한 1쌍의 원통상 롤러(20)의 모서리가 다른 1쌍의 원통상 롤러(20)의 모서리의 수평으로 뻗은 평면 내부로 겹쳐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통상 롤러(20)가 평형 로프(35)의 경로에 대응하여 컷(43)이 형성된 앵글 브라킷(21)에 의해 지지되므로, 큰 스윙으로 인해 평형 로프(35)가 원통상 롤러(20) 쪽으로 밀려도 평형 로프(35)는 단지 앵글 브라킷(21)과 접촉하는 데 그친다. 그 결과 평형 로프(35)는 불쾌한 소음을 내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제 2 가이드(34)가 피트(12)에 배치되어 있지만, 1개가 다른 1개 위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제 2 가이드(34)가 제 1 가이드(33)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형 로프의 스윙을 줄임으로써 불쾌한 소음의 방출과 엘리베이터 승강함의 진동을 막고, 이에 따라 승강함의 승차감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 평형 로프 가이드를 구비한 두레박식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 1 단이 승강함(1)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 2 단이 평형추(2)의 상부에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시브(6)에 의해 안내되고 구동되는 로프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함(1)으로부터 상기 평형추(2)까지 현가되고, 상기 승강함(1) 측의 제 1 선형부(31)와, 상기 평형추(2) 측의 제 2 선형부(32)와, 상기 제 1 선형부(31)와 상기 제 2 선형부(32) 사이에 위치한 만곡부(curved portion; 30)를 포함하는 평형 로프(35)와;
    상기 제 1 선형부(31)와 상기 제 2 선형부(32)를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4개의 회동 가이드 부재(15)를 갖는 제 1 가이드(33)와;
    상기 제 1 가이드(33)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형부(31)와 상기 제 2 선형부(32)의 연장선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만곡부(30)를 안내하며 2개의 바(bar)를 갖는 제 2 가이드(34); 및
    승강로(4)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33) 및 상기 제 2 가이드(34)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평형 로프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제 2 회동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평형 로프가 소정 거리로 스윙할 때 상기 평형 로프와 접촉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평형 로프로부터 떨어져서 승강로의 벽측에 배치된 복수의 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는 원통상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롤러의 각 표면은 상기 평형 로프의 표면에 대해 마찰 계수가 작은 저마찰 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롤러는 서로 교차하는 2쌍의 원통상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2쌍의 원통상 롤러는 1쌍이 다른 1쌍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롤러 중의 적어도 2개는 상기 평형 로프의 경로에 대응하여 컷이 형성된 앵글 브라킷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표면을 회동 가능하게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쌍의 롤러 중의 1쌍의 끝은 다른 1쌍의 롤러의 수평으로 뻗은 평면의 내부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1. 제 1 단이 승강함(1)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 2 단이 평형추(2)의 상부에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시브(6)에 의해 안내되고 구동되는 로프를 갖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함(1)으로부터 상기 평형추(2)까지 현가되고, 상기 승강함(1) 측의 제 1 선형부(31)와, 상기 평형추(2) 측의 제 2 선형부(32)와, 상기 제 1 선형부(31)와 상기 제 2 선형부(32) 사이에 위치한 만곡부(curved portion; 30)를 포함하는 평형 로프(35)와;
    상기 제 1 선형부(31)와 상기 제 2 선형부(32)를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측 및 하측의 모두에 부착되어 상기 평형 로프(2)를 안내하는 복수의 종 형상 가이드; 및
    승강로(4)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19990008307A 1998-03-12 1999-03-12 엘리베이터 KR100329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61194A JPH11255452A (ja) 1998-03-12 1998-03-12 エレベーターつり合ロープの案内装置
JP98-061194 1998-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829A KR19990077829A (ko) 1999-10-25
KR100329537B1 true KR100329537B1 (ko) 2002-03-23

Family

ID=1316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307A KR100329537B1 (ko) 1998-03-12 1999-03-12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488125B1 (ko)
JP (1) JPH11255452A (ko)
KR (1) KR100329537B1 (ko)
CN (1) CN1098802C (ko)
HK (1) HK1022293A1 (ko)
MY (1) MY123210A (ko)
TW (1) TW542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807B1 (ko) * 2002-08-06 2007-03-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U2003288770A1 (en) * 2003-01-11 2004-08-10 Jeong-Du Choi Apparatus for equalizing tension of main ropes of elevator
US7275622B2 (en) * 2003-05-15 2007-10-02 Reynolds & Reynolds Electronics, Inc. Traction elevator back-up power system with inverter timing
US7117978B2 (en) 2003-08-12 2006-10-10 Draka Elevator Products, Inc. Dam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JP2005263491A (ja) * 2004-03-17 2005-09-29 Inventio Ag 補正手段ガイド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
US7610994B2 (en) * 2005-05-13 2009-11-03 Draka Elevator Products Elevator compensating cable having a selected loop radius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BRPI0520808B1 (pt) * 2005-12-28 2018-02-14 Otis Elevator Company Roldana de elevador, sistema de elevador, e, método para fazer uma roldana para utilização em um sistema de elevador
JP2008007229A (ja) * 2006-06-27 2008-01-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CN101977835B (zh) * 2008-03-17 2014-09-10 奥蒂斯电梯公司 用于减轻摇摆的电梯调度控制
CN101575063B (zh) * 2009-03-31 2011-05-04 赵长飞 民用高层建筑无源势能控速逃生电梯
CN102471021B (zh) 2009-07-20 2015-05-27 奥的斯电梯公司 抗建筑物摇摆电梯出轨检测系统及方法
WO2011014165A1 (en) * 2009-07-29 2011-02-03 Otis Elelvator Company Rope sway mitigation via rope tension adjustment
FI122700B (fi) * 2010-03-25 2012-05-31 Kone Corp Järjestely hissikoriin kiinnitetyn köysimäisen elimen sivuttaisheilahtelujen vaimentamiseksi
CN103118966B (zh) * 2010-07-05 2015-07-08 通力股份公司 补偿装置和电梯
CN102092620A (zh) * 2011-02-21 2011-06-15 何建中 电梯的绳对重
EP2537791A1 (de) * 2011-06-22 2012-12-26 Inventio AG Aufzug mit Ausgleichsmitteln
BR112014004365A2 (pt) * 2011-08-31 2017-03-21 Inventio Ag elevador com meios de compensação
FI124242B (en) * 2013-02-12 2014-05-15 Kone Corp Arrangements for dampening lateral oscillations of a line-like equipment attached to a lift unit and elevator
US9434577B2 (en) * 2013-07-23 2016-09-06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emi-active feedback control of elevator rope sway
CN103693535A (zh) * 2013-12-17 2014-04-02 苏州久德机电科技有限公司 电梯曳引装置
EP3000759B1 (en) * 2014-09-25 2017-06-07 KONE Corporation Elevator
JP6305317B2 (ja) * 2014-11-10 2018-04-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アンバランス補償装置
CN104828680B (zh) * 2015-04-29 2017-02-01 优诺电梯股份有限公司 配重平衡电梯
US9676592B2 (en) * 2015-06-24 2017-06-13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Traction elevator rope movement sensor system
KR101632385B1 (ko) * 2015-10-20 2016-06-21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EP3176122A1 (de) * 2015-12-02 2017-06-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fördermaschine, fördermaschine sowie steuer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s antriebs einer fördermaschine
CN106219358B (zh) * 2016-08-09 2018-12-14 云南永昌铅锌股份有限公司 提升机的尾绳防扭装置
CN106044469A (zh) * 2016-08-15 2016-10-26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平衡补偿链导向装置
CN107879232B (zh) * 2016-09-30 2021-07-20 奥的斯电梯公司 补偿链稳定装置和方法,电梯井道以及电梯系统
US10669124B2 (en) 2017-04-07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protective hoistway liner assembly
US10669125B2 (en) * 2017-05-15 2020-06-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ope guide system
CN107089572B (zh) * 2017-06-30 2022-08-19 南通兴华达高实业有限公司 一种电梯平衡补偿链的导向装置
US20190177126A1 (en) * 2017-12-07 2019-06-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ope sway restriction device
JP6892835B2 (ja) * 2018-02-06 2021-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救出用器具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6777892B2 (ja) * 2018-03-26 2020-10-2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及び案内装置
EP3623335B1 (en) * 2018-09-12 2021-06-16 KONE Corporation A travelling cable support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velling cables of an elevator
CN111137799A (zh) * 2018-11-05 2020-05-12 珠海达理宇航科技有限公司 一种双侧滑轮
US11440774B2 (en) * 2020-05-09 2022-09-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oping sway damper assembly
CN116331993B (zh) * 2023-03-27 2023-11-21 江苏兴华胶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补偿链导向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7075A (en) * 1948-10-09 1951-01-09 Otis Elevator Co Compensating apparatus for elevator hoisting roping
BR7203809D0 (pt) 1972-06-14 1974-04-18 A Podcameni Sistema de seguranca para controle de partida de elevadores
US3810529A (en) * 1973-05-25 1974-05-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3882968A (en) * 1973-06-01 1975-05-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3896905A (en) * 1974-09-30 1975-07-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1112048A (en) * 1975-03-26 1976-10-04 Hitachi Ltd Sound proof device for balance compensating chain
US4230205A (en) * 1978-05-10 1980-10-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8148163A (ja) * 1982-02-24 1983-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つり合い鎖揺れ止め装置
JPH01118967A (ja) 1987-10-31 1989-05-11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
JP2504310B2 (ja) * 1990-08-31 1996-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移動ケ―ブルの揺動防止装置
JPH04217579A (ja) * 1990-12-13 1992-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ロープの横揺れ防止装置
JPH04260587A (ja) * 1991-02-18 1992-09-1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振れ止め装置
US5103937A (en) * 1991-03-28 1992-04-14 Robertson Leslie E Sway minimization system for elevator cables
JPH05178564A (ja) * 1991-12-10 1993-07-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用ケーブルの制振装置
JPH05310382A (ja) * 1992-05-08 1993-11-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42063B2 (ja) * 1992-07-17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JPH06211463A (ja) * 1993-01-18 1994-08-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H09175764A (ja) * 1995-12-26 1997-07-0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パネル装置
JPH09202565A (ja) * 1996-01-24 1997-08-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
JPH09278317A (ja) * 1996-04-10 1997-10-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
JPH09315728A (ja) * 1996-05-29 1997-12-09 Otis Elevator Co コンペチェーンの案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88125B1 (en) 2002-12-03
US6712183B2 (en) 2004-03-30
HK1022293A1 (en) 2000-08-04
US20030075389A1 (en) 2003-04-24
TW542821B (en) 2003-07-21
CN1098802C (zh) 2003-01-15
KR19990077829A (ko) 1999-10-25
MY123210A (en) 2006-05-31
JPH11255452A (ja) 1999-09-21
CN1232781A (zh) 199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37B1 (ko) 엘리베이터
JP4468823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製造
KR101107065B1 (ko) 승강기
JP4786121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357075B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EP1721859B1 (e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having a selected loop radius and associated method
BR0206109B1 (pt) elevador.
FI119769B (fi)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JP2000255933A5 (ko)
JP48821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042209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JP200104845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327596B1 (en) Elevator device
JP4809773B2 (ja) エレベータの懸垂装置
JP551651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505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26260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H08285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5087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729989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JP4949034B2 (ja) エレベータ
JP3726595B2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の支持装置
KR102414241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진동저감장치
JP2000038275A (ja) エレベーター主索の吊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