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385B1 -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385B1
KR101632385B1 KR1020150145941A KR20150145941A KR101632385B1 KR 101632385 B1 KR101632385 B1 KR 101632385B1 KR 1020150145941 A KR1020150145941 A KR 1020150145941A KR 20150145941 A KR20150145941 A KR 20150145941A KR 101632385 B1 KR101632385 B1 KR 10163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ble
sized
drying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5014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85B1/ko
Priority to RU2015153170A priority patent/RU2622435C1/ru
Priority to JP2015250401A priority patent/JP6296249B2/ja
Priority to US14/995,549 priority patent/US9878879B2/en
Priority to CN201610069846.XA priority patent/CN10658677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많은 작업자를 신속히 고소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테일 케이블이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 카(200) 및 카운터웨이트(230)는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중앙부분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설치부(110)에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설치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비상계단부(120)가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러그(130)가 구비되어, 크레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을 통째로 들어 운반할 수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 내측의 한쪽 측면에, 테일 케이블(910)이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풍부재(80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풍부재(800)는,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810)와, 상기 커버본체(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91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820)와, 상기 탑승 카(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820)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910)을 정션박스(900)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Super Sized Elevator Having Wind Protector of Cable for Manufacturing Large Vessel and Ocean Plant Equipment}
본 발명은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선소의 도크 등에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를 건조할 때 다수의 작업자를 한꺼번에 신속히 작업 현장에 배치함으로써, 작업 준비에 따르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화재나 안전사고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고소 작업장에 있는 다수의 작업자를 신속히 지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각종 자재 및 지게차와 같은 작업차량을 높은 곳으로 신속히 운반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탑승카, 비상계단 및 기계실을 일체형의 구조물로 제작함으로써 크레인으로 용이하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탑승 카와 함께 상승하는 테일 케이블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 선박이나 시추선 등의 해양 플랜트 구조물을 건조하는 경우,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또는 중,대형 크레인이 구비된 도크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도 1은 갠트리 크레인(G)을 이용하여 초대형 선박을 제조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G)(현장에서는 통상 '골리앗 크레인'이라 부른다)은, 한 쌍의 수직 빔과 수평 빔으로 구성되어 지상의 레일(R)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중,대형 크레인은 붐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지주식으로 구성되거나 지상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갠트리 크레인(G) 및 중,대형 크레인은, 부품 제조공장에서 1차로 제조된 부분품들을 들어올린 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을 건조한다.
한편 수십만 톤에 달하는 초대형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을 건조할 시에는 한꺼번에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의 작업자를 투입하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박(S)의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들을 고소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리프트(L) 또는 계단(도시 생략)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리프트(L)에 의하면, 한꺼번에 수많은 작업자를 고소 작업위치로 이송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리프트(L)는, 통상의 건축공사 현장에서 설치되는 소형의 리프트이기 때문에 한번에 수명의 작업자만 탑승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의 작업자가 고소 작업위치로 배치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제 작업 시간의 감소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들이 별도로 구비된 계단을 통해 오르내릴 경우, 비나 눈이 오게되면 미끄러짐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 이송 또는 계단을 이용하는 방식은, 출,퇴근 및 점심식사 시간을 전후하여 많은 시간이 허비된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대형 선박의 건조시 고소 작업 현장에 작업자들이 모두 배치되기까지는 1시간이 넘게 걸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프트(L)를 여러 대 설치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 경우 리프트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리프트를 몇 대 더 설치하는 것으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 이송방식에 의하면, 고소 작업 현장에서 화재나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작업자들을 신속히 지상으로 대피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 작업장에서 화재나 폭발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형 참사가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는 작업자만을 승강시킬 수 있을 뿐, 중량 자재나 지게차 등과 같은 작업차량을 승강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재의 중량이 리프트의 적재 용량(약 1톤)을 초과하게 되면 크레인을 사용하여 인양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지상작업자, 크레인 운전자 및 상부 작업자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람이 많이 불거나 악천후일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작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을 할 경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은 그 높이가 수십 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크레인의 운전자가 지상의 상황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크레인의 운전자는 지상에 있는 작업자와 무전기를 통해 크레인을 조작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L)는 기본적으로 가설부재이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리프트(L)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기계기구로 분류되어 있어, 건설현장에서의 리프트 운전시에는 반드시 안전요원이 탑승하여 리프트를 작동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 수많은 작업자 및 자재를 신속히 고소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작업자를 한꺼번에 신속히 고소 작업 현장에 배치함으로써, 작업 유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나 안전사고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초대형 엘리베이터 및 비상계단을 통해 고소 작업장에 있는 많은 작업자를 신속히 지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속 30 내지 50m/sec의 강풍이 불더라도 탑승 카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중량물 및 지게차와 같은 작업차량을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곳으로 신속히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대형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비상계단, 기계실 및 구조체를 일체형의 자립구조로 제작함으로써, 크레인으로 전체를 한번에 들어 간편하게 이동시킨 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로프 비상제동장치 및 탑승 카 레일 제동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추락, 과속 및 역전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이나 지게차가 탑재되더라도 탑승 카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게차와 같은 작업차량을 탑승 카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실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을 외장이 없는 노출형으로 제작하여 전체 중량 증가 및 풍압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을 전천후 방수형으로 제작하여 비나 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 구조물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사용 및 계단보행에 따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 카와, 상기 탑승 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탑승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우프와, 상기 와이어 로우프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 카 및 카운터웨이트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중앙부분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설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비상계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상부에는 다수의 러그가 구비되어, 크레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통째로 들어 운반할 수 있고, 편평한 바닥면에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 내측의 한쪽 측면에, 테일 케이블이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풍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풍부재는,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탑승 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을 정션박스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풍부재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에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휠 및 하부 휠은, 커버본체의 네 모서리를 타고 승강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테일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테일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홈의 개방폭은, 테일 케이블이 커버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일 케이블의 폭보다 작고,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홈으로부터 인출되는 테일 케이블을 탑승 카의 상부에 구비된 정션박스에 안내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 내부의 테일 케이블은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일측면에,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측면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발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 카의 추락, 과속 및 역전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비상제동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로프 비상제동장치는, 다수의 와이어 로우프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블럭과, 상기 제동 블럭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스프링 및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동 블럭, 압축 스프링 및 유압 실린더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유압 실린더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 장치와, 와이어 로우프 시브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시브의 과속 및 역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이상 검지에 의해 유압 실린더의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압력 해제밸브와, 상기 압력 해제밸브 및 주 제어반의 동력차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전시에 상기 로프 비상제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 카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에 탑승 카의 추락을 방지하는 이중 추락 방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 추락 방지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일측 내면에 다수의 경사면이 형성된 세이프티 블록과, 상기 다수의 경사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 스톱퍼와, 상기 다수의 롤러 스톱퍼와 연결되어, 탑승 카의 과속 하강시 상기 롤러 스톱퍼를 상방향으로 당겨 정지시키기 위한 트리핑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블록에 구비되는 다수의 경사면은, 위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 카의 하부면은 최대 하강시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일측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탑승대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대의 단부에 승강장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 카의 하부면과 대향하는 지면에, 작업 차량 등을 탑승 카에 탑재할 때 상기 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발판의 하부에, 탑승 카가 특정 층에 정차하였을 경우 탑승 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록킹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 카의 하부에, 상기 록킹 블록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대는,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경사판 및 하부 경사판과, 상기 상부 경사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대에, 엘리베이터의 운반 미 사용시 상기 하부 경사판을 접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는 다수의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는 전체 열림 및 일부 열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장에 인체 및 화물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사람만이 탑승할 경우 카 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 구조물 건조시에 수많은 작업자또는 화물을 신속히 고소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많은 작업자를 한꺼번에 신속히 고소 작업 현장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유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나 안전사고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초대형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비상계단을 통해 고소 작업장에 있는 많은 작업자를 신속히 지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중량물 및 지게차와 같은 작업차량을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높은 곳으로 신속히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대형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비상계단, 기계실 및 구조체를 일체형의 자립구조로 제작함으로써, 크레인으로 전체를 한번에 들어 간편하게 이동시킨 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 카와 함께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이 강풍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 비상제동장치 및 탑승 카 레일 제동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추락, 과속 및 역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량물이나 지게차가 탑재되더라도 탑승 카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대에 의해 지게차와 같은 작업차량을 탑승 카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상부에 구비된 러그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필요한 곳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실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을 외장이 없는 노출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전체 중량 증가 및 풍압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물을 전천후 방수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비나 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 발판에 의해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 구조물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설부재인 리프트의 사용 및 계단 보행에 따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별도의 피트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선박 건조설비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대형 선박을 건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조물을 A-A선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의 구조물을 B-B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로프 비상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이중 추락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 바닥의 탑승 카 처짐 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탑승 카 처짐 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탑승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방풍부재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방풍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풍부재의 평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풍부재의 정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 카(200)와, 상기 탑승 카(20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230)와, 상기 탑승 카(200)와 카운터웨이트(23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우프(220)와, 상기 와이어 로우프(220)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기(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탑승 카(200) 및 카운터웨이트(230)는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중앙부분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설치부(110)에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비상계단부(120)가 구비된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중앙에 탑승 카(20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230)가 구비되고, 그 한쪽 또는 양쪽에 비상계단부(120)가 구비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상부에는 기계실(15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계실(150)에는 탑승 카(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210)가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150)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은 외장재가 없는 옥외 노출형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구조물 전체의 중량 증가 및 풍압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옥외로 노출되는 모든 구조물은 방수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전천후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을 통째로 들어 운반하기 위한 다수의 러그(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선소의 도크에 구비된 갠트리 크레인(G) 또는 기타 초대형 크레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 전체를 들어 필요한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구조물(100) 내측의 한쪽 측면에, 테일 케이블(910)이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방풍부재(80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테일 케이블(Tail Cable)(91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기계실(150)에 설치된 제어반(도시 생략)과 탑승 카(200)의 상부에 구비된 정션박스(900)를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탑승 카(200)와 함께 "U"자형을 이루면서 승강한다.
상기 테일 케이블(9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D)과 두께(t)를 갖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수십 가닥의 전선이 구비되어 탑승 카(200)의 조명, 통신, 각종 안전장치 및 제어장치에 대한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풍부재(8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810)와, 상기 커버본체(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91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820)와, 상기 탑승 카(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820)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910)을 정션박스(900)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각통 형상으로 구비된 커버본체(810)의 내부에서 상기 테일 케이블(910)이 승강부재(820)와 함께 승강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테일 케이블(910)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재(82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 사이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910)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82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820)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82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824)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823)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8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휠(824) 및 하부 휠(825)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 및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에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휠(824) 및 하부 휠(825)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810)의 네 모서리를 타고 승강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승강부재(820)는 커버본체(81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가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820)의 상부 플레이트(822)의 양 측면에는, 테일 케이블(910)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는, 그 사이로 직사각형 형태의 테일 케이블(9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롤러(828)가 더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9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810)의 일측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케이블(910)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8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일 케이블((910)은 상기 수직홈(811) 통해 커버본체(8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승강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수직홈(811)의 개방폭(d)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케이블(810)의 폭(D)보다 작고,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테일 케이블(910)이 승강할 때 커버본체(8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카(200)의 상부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홈(811)으로부터 인출되는 테일 케이블(910)을 정션박스(900)에 안내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920)는 수직홈(811)의 개방폭(d)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브(823)를 통과한 직사각형 단면의 테일 케이블(910)은 상기 수직홈(811)을 통과하면서 수직 상태가 되고, 이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920)의 내부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종래의 옥외용 엘리베이터는 테일 케이블이 노출되어 있어, 초속 20 내지 30m/sec 정도의 강풍이 불 경우, 옥외용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테일 케이블(910)이 커버본체(81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본체(810)가 엘리베이터 구조물(100) 내측의 측면에 견고히 설치된다.
이에 따라 초속 50m/sec의 강풍이 불더라도 테일 케이블(910)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일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 또는 해양 구조물의 측면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발판(140a, 140b, 140c, 140d)이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갠트리 크레인(G) 또는 초대형 크레인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을 운반하여 지상에 내려놓은 후, 상기 연결발판((140a, 140b, 140c, 140d)를 선박(S) 또는 해양 구조물의 측면과 연결하면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선소 등에서 초대형 선박을 건조할 때 리프트(L)를 여러 대 설치할 필요가 없고, 리프트(L)를 설치할 때처럼 지면에 피트(Pit)를 형성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한꺼번에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의 작업자, 중량물 및 작업 차량 등을 고소 작업장으로 신속하게 배치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 유휴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대형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를 건조하는 경우에는, 한꺼번에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의 근로자를 고소 작업 현장으로 배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프트(L) 이송방식에 의하면, 한번에 수명의 작업자만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배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작업자들이 점심 식사를 위해 지상으로 내려오고, 점심 식사 후 다시 고소 작업위치로 올라가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리프트를 설치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 경우 설치 및 해체에 따르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작업자가 수 백명 내지 수천명에 이를 때에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의 작업자, 각종 중량물 및 작업 차량을 한꺼번에 고소 작업위치로 신속히 배치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준비시간 및 유휴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고, 점심 식사 후에도 바로 작업에 착수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리프트 이송방식에 의하면,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 구조물에서 사고 발생시, 작업자들이 신속히 지상으로 대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초대형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양측에 구비된 비상계단에 의해 수많은 작업자들을 한꺼번에 신속히 대피시킬 수가 있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발판이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 발판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크기도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프 비상제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비상제동장치(500)는, 탑승 카(200)의 추락, 과속 및 역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와이어 로우프(220)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블록(510)과, 상기 제동 블록(5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스프링 (512) 및 유압 실린더(520)와, 상기 제동 블록(510)과 압축 스프링(512) 및 유압 실린더(52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570)과, 상기 유압 실린더(5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 장치(530)와, 와이어 로우프 시브(Wire Rope Sheave)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시브의 과속 및 역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560)와, 상기 센서(560)의 이상 검지에 의해 유압 실린더(520)의 압력을 해제하여 압축 스프링(512)을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560)는 3개가 설치되어 시브의 이상 속도를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압 장치(530)는, 유압 탱크(590)와, 유압 펌프(P)와, 모터(M)와 압력 해제 밸브(5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컨트롤러(5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520)를 구동시킨다.
또한, 로프 제동장치(500)는 충전식 배터리(5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540)는 정전시에도 상기 로프 제동장치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로프 비상제동장치(5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유압 실린더(520)의 상부에 유압을 공급하여 압축 스프링(512)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압력 해제밸브(58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압 펌프(P)가 유압 실린더(520)의 상부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또한 체크 밸브(580a)에 의해 작동유는 유압펌프(P) 쪽으로는 흐르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동 블록(510)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 와이어 로우프(22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만일 와이어 로우프의 시브 측면에 구비된 센서(560)가 정상속도의 120% 이상이 되는 상태를 감지하면, 메인 모터(도시 생략)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주 제어반에 신호를 보내 메인 브레이크(도시 생략)를 작동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정상속도의 140%를 초과하기 전에 컨트롤러(550)에 신호를 보내 유압 실린더(520)의 압력해제 밸브(58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유압 실린더(520)의 상부에 있던 작동유가 유압 탱크(590)로 배출되면서 압축 스프링(512)을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하부에 표시된 제동 블록(510)이 압축 스프링(51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에 표시된 제동 블록(510)을 향해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우프(220)를 제동시킨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서(560)에 의해 시브의 역전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컨트롤러(550)에 보내 유압 실린더(520)의 압력 해제밸브(58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메인 모터(도시 생략)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유압 실린더(520)의 압력 해제밸브(580)의 작동 전원은 충전식 배터리(540)에 의해 공급되므로, 정전시 또는 역전시에도 상기 유압 실린더(520)를 작동시켜 탑승 카(200)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탑승 카 이중 추락 방지장치(6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이중 추락 방지장치(600)는, 탑승 카(200)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8) 상에 구비되어, 탑승 카(200) 자체의 추락이나 과속 상승 등 제어할 수 없는 돌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중 추락 방지장치(6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08)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일측 내면에 다수의 경사면(612)이 형성된 세이프티 블록(Safety Block)(610)과, 상기 다수의 경사면(612)에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 스톱퍼(Roller Stopper)(640)와, 상기 다수의 롤러 스톱퍼(640)와 연결되어, 탑승 카(200)의 과속 하강시 상기 롤러 스톱퍼(640)를 상방향으로 당겨 정지시키기 위한 트리핑 로드(Tripping Rod)(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이프티 블록(610)은, 탑승 카(200)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어 탑승 카(200)를 양쪽에서 제동시킨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블록(610)에 구비되는 다수의 경사면(61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탑승 카(200)가 추락할 경우, 상기 트리핑 로드(630)를 위로 당겨 다수의 롤러 스톱퍼(640)가 세이프티 블록(610) 사이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이프티 블록(610) 사이에 끼워지는 롤러 스톱퍼(640)의 쐐기 작용에 의해 탑승 카(200)의 추락을 방지한다.
상기 롤러 스톱퍼(640)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강성이 아주 높은 재질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세이프티 블록(61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너얼링(Knurling)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롤러 스톱퍼(640)가 다수 개 구비되므로 초대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도 탑승 카(2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는 상기 롤러 스톱퍼(640)가 3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롤러 스톱퍼(640)의 개수는 탑승 카(200)의 중량에 따라 증가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이중 추락 방지장치(6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상부 기계실(150)에는 과속 가버너 머신(Governor Machine)(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버너 머신은 트리핑 로드(630)와 연결되어 있다.
만일 탑승 카의 속도가 정상 속도의 120%를 초과하면, 메인 모터(도시 생략)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주 제어반에 신호를 보내 메인 브레이크(도시 생략)를 작동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정상 속도의 140%를 초과하기 전에 상기 가버너 머신이 작동하여 트리핑 로드(630)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핑 로드(630)에 연결된 다수의 롤러 스톱퍼(640) 들이 세이프티 블록(610) 사이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 스톱퍼(640) 들의 쐐기 작용에 의해, 탑승 카(200)는 더 이상 아래로 하강하지 않는다.
탑승 카(200)의 추락 원인을 제거한 후, 운전자가 구동 모터로 탑승 카(200)를 상승시키면, 상기한 롤러 스톱퍼(640)가 쐐기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즉, 추락 방지장치의 작동시, 상기 롤러 스톱퍼(640) 및 경사면(612)의 구조에 의해 탑승 카(200)가 아래로는 하강 할 수 없지만, 위로는 상승할 수가 있다.
이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탑승 카(200)의 처짐 방지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탑승 카(200)의 하부면은 최대 하강시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일측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탑승대(4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승대(400)의 단부에는 승강장 도어(300)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탑승 카(200)의 하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므로, 상기 탑승 카(200)의 하부면과 대향하는 지면에는 탑승 카(200)를 지지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710)가 구비된다.
상기 탑승 카(200)가 지면에서 일정거리(예컨대 1200mm) 이격된 정지 레벨에 멈추게 되면, 제어 유닛(730)에 의해 유압 실린더(710)를 상승시켜 상기 탑승 카(200)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각종 부품 및 지게차 등의 작업 차량을 탑승 카(200)에 탑재하여 고소 작업 위치로 신속히 운반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유압 실린더(710)는 4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탑승 카(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710)의 설치 대수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탑승 카(200)가 지상이 아닌 곳에 정차할 경우에는(도 6 참조), 탑승 카(20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 아암(720)이 연결 발판(140b, 140c, 140d)의 하부에 구비된 록킹 블록(740)에 걸리도록 하여 탑승 카(200)를 지지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발판(140b, 140c, 140d)의 하부에는, 탑승 카(200)가 특정 위치에 정차할 경우, 상기 탑승 카(2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록킹 블록(740)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 블록(740)은 승강장 도어 씰(320)의 하부와 구조물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지지 아암(72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아암(720)은, 아암 고정 브라켓(280)에 의해 탑승 카(200)의 바닥 과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710)는, 실린더 고정 브라켓(270)에 의해 탑승 카(200)의 바닥과 연결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 아암(720)을 회전시킨다.
상기 지지 아암(720)은, 카 도어 씰(260) 및 로킹 블록(740)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 아암(720) 및 록킹 블록(740)은 좌우에 2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조에서 탑승 카(200)가 특정 층에 도착하게 되면, 유압 실린더(710)로 지지 아암(720)을 펼쳐 상기 지지아암(720)이 록킹 블록(74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게차 등과 같은 중량물이 탑재되더라도 탑승 카(200)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자나 작업차량의 승하차가 완료되어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710)를 작동시켜 지지 아암(720)을 원래의 위치로 접는다.
상기 지지 아암(720)을 펼치고 접는 유압 실린더(710)는, 주 제어반에서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의 개폐와 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아암(720)에 의해 탑승 카(200)의 승강작용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탑승대(4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탑승 카(200)가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정차되기 때문에(도 6 참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하부 일측에 탑승대(4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대(4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경사판(420) 및 하부 경사판(410)과, 상기 상부 경사판(4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계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경사판(420) 및 하부 경사판(410)은 지게차 등의 작업 차량을 탑승 카(200)에 용이하게 싣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들은 상기 탑승대(400)의 양측에 구비된 계단(440)을 통해 탑승 카(200)에 탑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대(400)의 양 측면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경사판(420)을 접기 위한 유압 실린더(4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을 갠트리 크레인으로 운반하거나 엘리베이터를 가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하부 경사판(420)을 접어 상부 경사판(410)의 상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크의 사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보행자나 차량의 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엘리베이터는 그 크기가 통상의 엘리베이터에 비해 약 10배에 달하므로, 다수의 도어가 구비된다.
도 17에는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가 각각 6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도어의 수는 더 증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는, 전체 열림 및 일부 열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만이 탑승하거나 탑승자가 소수일 경우에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 전체를 모두 개방하게 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사람만이 탑승할 경우에는, 상기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를 전부 개방하지 않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탑승 카(210)의 내부 조작부에는 전체열림 버튼 및 일부 열림버튼(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의 상부에 인체 및 작업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여, 작업자만이 탑승할 경우 자동으로 도어가 일부, 예컨대 1/2만 열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외부의 냉기 및 열기가 탑승 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탑승 카(200) 내부의 온도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리프트를 사용하여 작업자들을 고소 작업위치에 배치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많은 작업자들을 한꺼번에 신속히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의 작업자, 중량물 및 작업차량 등을 한꺼번에 신속히 작업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특히 작업자들의 출,퇴근 시간 및 식사를 위해 오르내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 중 화재나 폭발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여 다수의 작업자들을 지상으로 대피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초대형의 엘리베이터 및 비상계단에 의해 많은 작업자들을 한꺼번에 신속히 지상으로 대피시킬 수가 있다.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차량을 인양하는 종래의 방식은, 와이어의 고정 및 인양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중량물의 인양 작업시 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지게차와 같은 작업 차량을 직접 탑승 카에 적재하여 높은 곳으로 신속히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초대형 인/화물용 엘리베이터, 비상계단, 기계실 및 구조체가 일체형의 자립구조로 제작되므로, 크레인으로 전체를 한번에 들어 간편하게 이동시킨 후 계속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기계실을 제외한 모든 구조물을 외장이 없는 노출형으로 제작되므로 중량 증가 및 풍압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탑승 카와 함께 승강되는 테일 케이블을 강풍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초속 30 내지 50m/sec의 강풍이 불더라도 테일 케이블이 강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이 전천후 방수형으로 제작되므로 옥외에 설치되더라도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리프트를 설치하기 위해 도크의 바닥에 피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바닥이 편평한 곳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즉, 바닥면에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안착시킨 후 전원만 공급하면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엘리베이터 구조물 110: 엘리베이터 설치부
120: 비상계단부 130: 러그(Lug)
140a, 140b, 140c, 140d: 연결 발판 150: 기계실
200: 탑승 카 202: 상부 프레임
204: 측면 프레임 206: 하부 프레임
208: 가이드레일(Guide Rail) 210: 권상기
215: 권상기 시브(Sheave) 220: 와이어 로우프(Wire Rope)
23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232: 카운터웨이트 시브
240: 카 도어(Car Door) 250: 카 시브(Car Sheave)
260: 카 도어 씰(Door Sill) 270: 실린더 고정 브라켓(Bracket)
280: 아암 고정 브라켓 300: 승강장 도어
310: 감지 스위치 320: 승강장 도어 씰
400: 탑승대 410: 하부 경사판
420: 상부 경사판 430: 유압 실린더
440: 계단 500: 로프 비상제동장치
510: 제동 블럭 512: 압축 스프링(Return Spring)
520: 유압 실린더 530: 유압 장치
540: 충전식 배터리 550: 컨트롤러(Controller)
560: 센서(Sensor) 570: 프레임(Frame)
580: 압력 해제밸브 590: 유압탱크
600: 이중 추락 방지장치 610: 세이프티 블록(Safety Block)
612: 경사면 630: 트리핑 로드(Tripping Rod)
640: 롤러 스톱퍼(Roller Stopper) 700: 탑승 카 지지장치
710: 유압 실린더 720: 지지 아암(Arm)
730: 제어 유닛 740: 록킹 블록(Locking Block)
800: 방풍부재 810: 커버본체
811: 수직홈 820: 승강부재
821: 수직 플레이트(Plate) 822: 상부 플레이트
823: 하부 플레이트 824: 상부 휠(Wheel)
825: 하부 휠 826: 시브(Sheave)
827: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828: 측면 가이드 롤러
900: 정션박스(Junction Box) 910: 테일 케이블(Tail Cable)
920: 수평 가이드부재

Claims (22)

  1.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 카(200)와, 상기 탑승 카(20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230)와, 상기 탑승 카(200)와 카운터웨이트(23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우프(220)와, 상기 와이어 로우프(220)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기(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 카(200) 및 카운터웨이트(230)는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중앙부분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설치부(110)에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비상계단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러그(130)가 구비되어,
    크레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을 통째로 들어 운반할 수 있고, 편평한 바닥면에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 내측의 한쪽 측면에, 테일 케이블(910)이 강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풍부재(80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풍부재(800)는,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한쪽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커버본체(810)와,
    상기 커버본체(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91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820)와,
    상기 탑승 카(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820)를 따라 승강하는 테일 케이블(910)을 정션박스(900)에 가이드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820)는,
    중앙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821) 사이에 구비되어 테일 케이블(910)이 감기도록 하는 시브(826)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82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상부 휠(824)과,
    상기 수직 플레이트(82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823)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하부 휠(8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휠(824) 및 하부 휠(825)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 및 하부 플레이트(823)의 네 모서리에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휠(824) 및 하부 휠(825)은,
    커버본체(810)의 네 모서리를 타고 승강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822)의 양 측면에, 테일 케이블(910)이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827)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롤러(82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810)의 일측에, 테일 케이블(910)이 인출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홈(8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811)의 개방폭(d)은, 테일 케이블(910)이 커버본체(8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일 케이블(910)의 폭(D)보다 작고,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811)으로부터 인출되는 테일 케이블(910)을 탑승 카의 상부에 구비된 정션박스(900)에 안내하기 위한 수평 가이드부재(9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재(920) 내부의 테일 케이블(910)은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일측면에,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측면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발판(140a, 140b, 140c, 140d)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카(200)의 추락, 과속 및 역전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비상제동장치(5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로프 비상제동장치(500)는,
    다수의 와이어 로우프(220)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블록(510)과,
    상기 제동 블록(5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스프링(512) 및 유압 실린더(520)와,
    상기 제동 블록(510)과 압축 스프링(512)과 유압 실린더(52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570)과,
    상기 유압 실린더(520)에 스프링 압축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 장치(530)와,
    와이어 로우프 시브(Wire Rope Sheave)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시브의 과속 및 역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560)와,
    상기 센서(560)의 이상 검지에 의해 유압 실린더(520)의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압력 해제밸브(580)와,
    상기 압력 해제밸브(580) 및 주 제어반의 동력차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정전시에 로프 비상제동장치(500)를 구동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5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탑승 카(200)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8) 상에 탑승 카(200)의 추락을 방지하는 이중 추락 방지장치(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추락 방지장치(600)는,
    상기 가이드 레일(208)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일측 내면에 다수의 경사면(612)이 형성된 세이프티 블록(Safety Block)(610)과,
    상기 다수의 경사면(612)에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 스톱퍼(Roller Stopper) (640)와,
    상기 다수의 롤러 스톱퍼(640)와 연결되어, 탑승 카(200)의 과속 하강시 상기 롤러 스톱퍼(640)를 상방향으로 당겨 정지시키기 위한 트리핑 로드(Tripping Rod)(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블록(610)에 구비되는 다수의 경사면(612)은, 위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카(200)의 하부면은 최대 하강시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조물(100)의 일측면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탑승대(400)가 구비되며,
    상기 탑승대(400)의 단부에 승강장 도어(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카(200)의 하부면과 대향하는 지면에, 작업 차량 등을 탑승 카(200)에 탑재할 때 상기 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7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연결 발판의 하부에, 탑승 카(200)가 특정 층에 정차하였을 경우 탑승 카(2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록킹 블록(740)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 카(200)의 하부에, 상기 록킹 블록(740)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아암(720)과 상기 지지아암(720)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7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400)는,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경사판(420) 및 하부 경사판(410)과,
    상기 상부 경사판(4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계단(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400)에, 엘리베이터의 운반 미 사용시 하부 경사판(410)을 접기 위한 유압 실린더(4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21. 제 1 항에 있어서,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는 다수의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는 전체 열림 및 일부 열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승강장에 인체 및 화물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사람만이 탑승할 경우 카 도어(240) 및 승강장 도어(300)가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KR1020150145941A 2015-10-20 2015-10-20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KR10163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41A KR101632385B1 (ko) 2015-10-20 2015-10-20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RU2015153170A RU2622435C1 (ru) 2015-10-20 2015-12-11 Крупнотоннажный погрузчик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большого корабля или морской установки
JP2015250401A JP6296249B2 (ja) 2015-10-20 2015-12-22 大型船舶と海洋プラント建造用超大型エレベーター
US14/995,549 US9878879B2 (en) 2015-10-20 2016-01-14 Supersized elevator for use in building large ship or offshore plant
CN201610069846.XA CN106586774B (zh) 2015-10-20 2016-02-01 用于在建造大型船舶或离岸工厂中使用的超大型升降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41A KR101632385B1 (ko) 2015-10-20 2015-10-20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385B1 true KR101632385B1 (ko) 2016-06-21

Family

ID=5635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941A KR101632385B1 (ko) 2015-10-20 2015-10-20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78879B2 (ko)
JP (1) JP6296249B2 (ko)
KR (1) KR101632385B1 (ko)
CN (1) CN106586774B (ko)
RU (1) RU2622435C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924B1 (ko) * 2018-02-02 2018-11-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KR101923925B1 (ko) * 2018-02-02 2018-11-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23060B1 (ko) * 2019-04-23 2019-11-04 김기영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옥외 전천후형 인화물용 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335B1 (en) * 2018-09-12 2021-06-16 KONE Corporation A travelling cable support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velling cables of an elevator
US10483740B1 (en) * 2018-10-12 2019-11-19 Kone Corporation Floor board junction box
CN110217352B (zh) * 2019-07-02 2024-04-12 上海雄程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型海上登靠步桥
CN110255331A (zh) * 2019-07-08 2019-09-20 广州逸安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试验台
IT201900024153A1 (it) 2019-12-16 2021-06-16 Manitou Italia Srl Veicolo operatore con dispositivo di centraggio assistito.
CN111252642B (zh) * 2020-03-04 2020-11-03 内蒙古大中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多绳摩擦式提升机尾绳保护装置及方法
CN111606239A (zh) * 2020-06-28 2020-09-01 河南卫华特种车辆有限公司 一种具有导向与锁定功能的重型提升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448A (ja) * 2004-12-07 2006-06-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テールコード飛び出し防止装置
KR101556911B1 (ko) * 2015-02-03 2015-10-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63A (en) * 1892-11-01 Gearing for elevators
US719852A (en) * 1902-05-24 1903-02-03 John E Ortner Dumb-waiter.
US3241634A (en) * 1965-02-01 1966-03-22 Clyde W Prosser Portable scaffolds
US3882968A (en) * 1973-06-01 1975-05-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7188770U (ko) * 1981-05-27 1982-11-30
CA1211100A (en) * 1985-02-25 1986-09-09 Ralph H. Hoyeck Air water cranes
JPH0624668A (ja) * 1992-07-10 1994-02-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用テールコードの振止装置
US5861084A (en) * 1997-04-02 1999-01-19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horizontal vibration of elevator compensating ropes
JPH11255452A (ja) * 1998-03-12 1999-09-21 Toshiba Fa Syst Eng Corp エレベーターつり合ロープの案内装置
US6182791B1 (en) * 1998-06-19 2001-02-06 James L. Cope Adjustable scaffolding and lift carriage and support member therefor
CA2317987A1 (en) * 2000-09-11 2002-03-11 Jean G. Robillard Improved self-raising platform assembly
ATE281395T1 (de) * 2001-02-27 2004-11-15 Brugg Drahtseil Ag Anordnung für gewichtsausgleichselemente
US20030136062A1 (en) * 2002-01-23 2003-07-24 Ray Gunthardt Rapid deployment methodology
US7117978B2 (en) * 2003-08-12 2006-10-10 Draka Elevator Products, Inc. Dam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JP2005263491A (ja) * 2004-03-17 2005-09-29 Inventio Ag 補正手段ガイド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
DE102004054415A1 (de) * 2004-11-11 2006-05-18 ThyssenKrupp Fördertechnik GmbH Vorrichtung zur Offshore-Schiffsbeladung oder -Entladung
DE202007015008U1 (de) * 2007-10-29 2008-02-07 Geda-Dechentreit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ammeln eines Schleppkabels
CN201321316Y (zh) * 2008-11-06 2009-10-07 杭州新马电梯有限公司 露天观光电梯随行电缆系统
FI122700B (fi) * 2010-03-25 2012-05-31 Kone Corp Järjestely hissikoriin kiinnitetyn köysimäisen elimen sivuttaisheilahtelujen vaimentamiseksi
MX2012011928A (es) * 2010-04-14 2013-05-09 Jon Khachaturian Aparato marino de elevacion.
CN102275799B (zh) * 2011-07-08 2013-01-16 中国矿业大学 一种矿用电梯
CN104176595B (zh) * 2013-05-23 2016-08-1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及其控制方法
CN203593491U (zh) * 2013-12-07 2014-05-14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随行电缆防偏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448A (ja) * 2004-12-07 2006-06-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テールコード飛び出し防止装置
KR101556911B1 (ko) * 2015-02-03 2015-10-0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924B1 (ko) * 2018-02-02 2018-11-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KR101923925B1 (ko) * 2018-02-02 2018-11-30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23060B1 (ko) * 2019-04-23 2019-11-04 김기영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옥외 전천후형 인화물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22435C1 (ru) 2017-06-15
CN106586774B (zh) 2018-10-19
JP6296249B2 (ja) 2018-03-20
US20170107081A1 (en) 2017-04-20
JP2017077967A (ja) 2017-04-27
US9878879B2 (en) 2018-01-30
CN106586774A (zh) 2017-04-26
RU2015153170A (ru)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385B1 (ko) 케이블 방풍부재를 구비한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KR101923924B1 (ko)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CA3081409A1 (en) Hoist platform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 construction
WO2014051424A1 (en) A suspendable vehicle
CN103193137B (zh) 高空全自动升降机及其使用方法
KR101556911B1 (ko) 대형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건조용 초대형 엘리베이터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EP2679531B1 (en) Elevator with moveable rope suspension point
CN106348121B (zh) 货梯防坠方法及实施该方法的货梯防坠落装置
CN212533725U (zh) 一种悬索桥主缆和吊索检测维护用行星式行走小车
KR101704610B1 (ko) 다기능 하이브리드 호이스트 리프트 장치
KR20130004700A (ko) 고가 사다리차
JP2001097648A (ja) エレベータの乗客救出方法
KR20100018007A (ko) 승강로 속 추락방지용 그물망
JP200523180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CN203903863U (zh) 提升绞车系统
CN216190184U (zh) 电梯平层调整装置
CN218754359U (zh) 一种电梯轿厢安全辅助装置
CN219078798U (zh) 一种电梯轿厢过载保护装置
RU277482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ива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при разгрузке-погрузке металлопроката из (в) вагон
JP6970552B2 (ja) 作業用防護装置
CN206447450U (zh) 一种楼层之间自动转运升降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