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723Y1 -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723Y1
KR200494723Y1 KR2020190005038U KR20190005038U KR200494723Y1 KR 200494723 Y1 KR200494723 Y1 KR 200494723Y1 KR 2020190005038 U KR2020190005038 U KR 2020190005038U KR 20190005038 U KR20190005038 U KR 20190005038U KR 200494723 Y1 KR200494723 Y1 KR 200494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roller
vibrat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396U (ko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김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규 filed Critical 김덕규
Priority to KR2020190005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2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방진부가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엘리베이터 카의 승차감을 높이고, 지지플레이트의 상판이 방진부의 상부에 절곡형성되므로 방진부를 보호하며 지지플레이트의 하판이 제1 로울러의 하부에 절곡형성되므로 제1 로울러를 보호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Roller guide device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방진부가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엘리베이터 카의 승차감을 높이고, 지지플레이트의 상판이 방진부의 상부에 절곡형성되므로 방진부를 보호하며 지지플레이트의 하판이 제1 로울러의 하부에 절곡형성되므로 제1 로울러를 보호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주거용 또는 업무용 등으로 건축된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을 찾는 승객을 소정 행선층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로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 내에서 가이드레일을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는 승객의 탑승 및 하차를 위해 개폐되는 카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측에 해당하는 승강로의 상부 측에는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장치는 승객의 버튼 조작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시키게 된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메인로프((main rope)를 감았다가 풀었다가 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도록 회전하는 메인시브((main sheave) 등이 구비되며, 이때 상기 메인로프의 일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고 타단은 승·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매개로 한 주행시 일정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951310호로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 상기 상판(3)과 평행을 이루는 하판(5)을 연결하는 직립판(7), 및 상기 직립판(7)에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판(5)에 수직으로 직립 고정된 직각판(9)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1); 서로 90°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직립판(7) 및 직각판(9)에 각각 설치되는 3개의 가이드 롤러(15); 및 상기 상판(3)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편심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서 나일론 또는 탄소섬유로 되어 있는 가이드슈(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 등록 발명은, 3개의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점은 있으나, 엘리베이터 카의 최적의 정숙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진구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고속으로 승·하강할 때, 진동 및 소음이 베이스프레임으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승차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951310호(2019.02.18.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방진부가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엘리베이터 카의 승차감을 높이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플레이트의 상판이 방진부의 상부에 절곡형성되므로 방진부를 보호하며 지지플레이트의 하판이 제1 로울러의 하부에 절곡형성되므로 제1 로울러를 보호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제1,2 로울러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로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편에 결합되는 제2 로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승차감을 높이는 방진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지지플레이트의 결합편이 결합되는 결합통공; 상기 결합통공의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제1 로울러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공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 상기 상판 및 하판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의 결합통공으로 결합되며 제2 로울러가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로울러가 결합되도록 결합장공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판은 방진부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방진부를 보호하고, 하판은 제1 로울러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제1 로울러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방진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수직판에 형성되는 결합안내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지지판에 형성되는 고정공; 상기 결합안내홀에 장착되는 방진부재;
상기 방진부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와셔; 상기 고정공을 통해 방진부재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방진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너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방진부는 지지플레이트의 지지판 상·하부 양측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진부재는 2개 1조로 분리 형성되며, 일측은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표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결합안내홀에 절반만 결합되도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방진부재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방진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고정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관이 더 구비된다.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따르면, 고정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방진부가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엘리베이터 카의 승차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의 상판이 방진부의 상부에 절곡형성되므로 방진부를 보호하며 지지플레이트의 하판이 제1 로울러의 하부에 절곡형성되므로 제1 로울러를 보호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로울러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로울러 가이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로울러 가이드 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는, 크게 고정플레이트(100), 지지플레이트(200), 제1 로울러(300), 제2 로울러(400), 방진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는 엘리베이터에 고정되도록 바닥판(110)과 수직판(120)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10)이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스크류 또는 볼트/너트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수직판(120)의 중앙부에는 지지플레이트(20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편(240)이 결합되도록 결합통공(13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결합통공(130) 양측의 수직판(120)에는 제1 로울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안내공(140)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안내공(140)은 제1 로울러(300)를 고정하는 너트부재(3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일측에 방진부(50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한 쌍의 제1 로울러(300) 및 제2 로울러(400)가 결합된다.
상,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210)과 하판(220)을 지지판(230)이 연결하며, 상기 지지판(230)의 일측에는 고정플레이트(100)의 결합통공(130)으로 결합되어 제2 로울러(400)가 고정되는 결합편(24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판(210)은 방진부(5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방진부(5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하판(220)은 한 쌍의 제1 로울러(3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제1 로울러(3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판(210)과 하판(2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형성되기 때문에 지지플레이트(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결합편(240)의 양측에는 제1 로울러(30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장공(250)이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장공(250)은 제1 로울러(300)의 간격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장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울러(300)는 지지플레이트(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제1 로울러(300)를 각각 위치시킨 후, 볼트부재(310)를 제1 로울러(300) 외측에서 결합장공(250)으로 결합하여 고정플레이트(100)의 결합안내공(140)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결합안내공(140)으로 돌출된 볼트부재(310)에 너트부재(320)를 체결하게 되면 제1 로울러(300)가 지지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부재(310)와 너트부재(320)를 통해 제1 로울러(300)를 고정할 때, 상기 제1 로울러(300)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한 쌍의 제1 로울러(300) 간의 간격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00)의 결합통공(130)으로 결합되어 돌출된 결합편(240)에는 제2 로울러(4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결합편(240)에는 결합공(24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제2 로울러(400)를 결합편(240)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볼트부재(410)와 너트부재(420)를 고정하여 제2 로울러(400)를 고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00)의 지지편(230)과 결합편(240)에 고정되는 제1 로울러(300) 및 제2 로울러(400)는 가이드 레일(30)의 3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고속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진부(500)는 고정플레이트(100)에 장착되어 지지플레이트(200)와 밀착되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엘리베이터 카의 승차감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방진부(500)는 크게 결합안내홀(510), 고정공(520), 방진부재(530), 와셔(540), 고정볼트(550), 고정너트(56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안내홀(510)은 고정플레이트(100)의 결합안내공(140) 상·하부에 관통형성되고, 고정공(520)은 지지플레이트(200)의 결합장공(250) 상·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결합안내홀(510)과 고정공(520)은 동일선상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부재(530)는 연질(軟質)로 이루어지며 2개 1조로 분리 형성된다.
상기 방진부재(530)의 일측은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200)의 표면에 밀착되며, 타측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결합안내홀(510)에 절반만 결합되며, 2개의 방진부재(530)가 결합안내홀(510)로 결합되면 수직판(12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하게 결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와셔(540)는 방진부재(530)의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볼트(550) 및 고정너트(56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는 지지플레이트(200)에 관통형성된 고정공(520)으로 결합되어 방진부재(530)의 관통공(531)을 관통하여 와셔(54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고정너트(560)는 와셔(54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550)에 체결되어 방진부재(53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방진부재(530)의 관통공(531)에 결합되어 방진부재(53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고정볼트(5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관(5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에 방진부(500)를 장착함으로써, 엘레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진동 및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고정플레이트 110: 바닥판
120: 수직판 130: 결합통공
140: 결합안내공
200: 지지플레이트 210: 상판
220: 하판 230: 지지판
240: 결합편 250: 결합장공
300: 제1 로울러 400: 제2 로울러
500: 방진부 510: 결합안내홀
520: 고정공 530: 방진부재
540: 와셔 550: 고정볼트
560: 고정너트 570: 안내관

Claims (8)

  1.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승·하강하는 로울러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00);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는 엘리베이터에 고정되는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110)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는 수직판(120);
    상기 수직판(120)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지지플레이트(200)의 결합편(240)이 결합되는 결합통공(130);
    상기 결합통공(130)의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제1 로울러(300)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공(140)이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제1,2 로울러(300)(400)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지지판(2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로울러(3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결합편(240)에 결합되는 제2 로울러(400);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200) 사이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승차감을 높이는 방진부(5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플레이트(20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판(210) 및 하판(220);
    상기 상판(210) 및 하판(220)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지지판(230);
    상기 지지판(23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100)의 결합통공(130)으로 결합되며 제2 로울러(400)가 결합되도록 결합공(241)이 형성되는 결합편(240);
    상기 결합편(2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로울러(300)가 결합되도록 결합장공(2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상판(210)은 방진부(50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방진부(500)를 보호하고, 하판(220)은 제1 로울러(300)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제1 로울러(300)를 보호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진부(5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수직판에 형성되는 결합안내홀(51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지지판(230)에 형성되는 고정공(520);
    상기 결합안내홀(510)에 장착되는 방진부재(530);
    상기 방진부재(530)의 표면에 밀착되는 와셔(540);
    상기 고정공(520)을 통해 방진부재(530)의 관통공(531)으로 결합되는 고정볼트(550);
    상기 고정볼트(550)에 체결되어 방진부재(53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5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500)는 지지플레이트(200)의 지지판(230) 상·하부 양측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530)는 2개 1조로 분리 형성되며, 일측은 고정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200)의 표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결합안내홀(510)에 절반만 결합되도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530)의 관통공(531)에 결합되어 방진부재(53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고정볼트(5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관(5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KR2020190005038U 2019-12-13 2019-12-13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KR200494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38U KR200494723Y1 (ko) 2019-12-13 2019-12-13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38U KR200494723Y1 (ko) 2019-12-13 2019-12-13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96U KR20210001396U (ko) 2021-06-23
KR200494723Y1 true KR200494723Y1 (ko) 2021-12-06

Family

ID=7660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038U KR200494723Y1 (ko) 2019-12-13 2019-12-13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977A (ko) 2022-08-29 2024-03-07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로울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93863A1 (en) * 2016-09-30 2018-04-05 Kone Corporation Roller guide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10B1 (ko) 2016-05-17 2019-02-22 주식회사 꼬레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93863A1 (en) * 2016-09-30 2018-04-05 Kone Corporation Roller guide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977A (ko) 2022-08-29 2024-03-07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로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96U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659B1 (ko) 견인식 엘리베이터
US9580277B2 (en) Elevator car suspension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JP20065155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三角形状支持構造
KR200494723Y1 (ko) 엘리베이터용 로울러 가이드장치
CN1167599C (zh) 电梯装置
WO200403770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6576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00101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933484A (zh) 电梯的轿厢
KR20100009390U (ko) 엘리베이터 균형체인 가이드 브러쉬
US7178636B2 (en) Elevator system
CN214003743U (zh) 一种多重减震的无机房电梯
KR101819901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방진 구조
KR100860935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00086126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JP2003221177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装置
CN110683445A (zh) 无机房后对重承重结构
JP4528017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ロープの制振装置
KR102414241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진동저감장치
CN213569008U (zh) 一种无机房电梯主机布置结构
TWI222954B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control room
CN218145252U (zh) 一种无机房乘客电梯曳引机系统
KR20240033820A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로울러 장치
KR20240029977A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로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