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99U -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99U
KR20180001599U KR2020160006771U KR20160006771U KR20180001599U KR 20180001599 U KR20180001599 U KR 20180001599U KR 2020160006771 U KR2020160006771 U KR 2020160006771U KR 20160006771 U KR20160006771 U KR 20160006771U KR 20180001599 U KR20180001599 U KR 201800015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s
rear guide
elevator
wed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덕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규 김 filed Critical 덕 규 김
Priority to KR2020160006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599U/ko
Publication of KR20180001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에 일체로 스토퍼를 형성하므로 웨지의 작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고하중 및 고속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줄이고 제품을 크기를 콤팩트하게 줄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플레이트(20)의 저면에 전방이 트여지는 함체 형상으로 양 사이드플레이트(32)의 하부에 하부플레이트(31)가 고정 부착되는 하우징(30)과,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50)과, 가이드블록(50)에 설치되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와, 이 가이드플레이트(60)(61)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웨지(80)와,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단부에 스토퍼(S)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S)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 일체로 각각 걸림편(62)(63)들을 절곡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에 일체로 스토퍼를 형성하므로 웨지의 작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고하중 및 고속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줄이고 제품을 크기를 콤팩트하게 줄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승강기로도 불리는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의 견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직으로 승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시키는 것으로, 그 편리함으로 인하여 각종 건물에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에 의해 승하강되는 특성상 로프의 파손이나 모터의 고장, 또는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등의 결함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급 승하강 또는 추락하여 커다란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에 카의 저면 양측에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크게 상부플레이트(20), 하우징(30), U형 판스프링(40), 가이드블록(5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 웨지(8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플레이트(20)는 하우징(30)과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저면 전방부 양측에 가이드블록(50)의 상부와 결합된다.
하우징(30)은 전방이 트여진 상태로 하부플레이트(31), 양 사이드플레이트(32)를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 후방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S"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브라켓트(45)에 의해 상기한 판스프링(40)을 지지하고 있다.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는 웨지(80)의 하부 이송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가 구비되어 있다.
U형의 판스프링(40)은 가이드블록(50)의 좌우 이송을 탄성 지지하여 비상정 지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가이드블록(50)은 웨지(80)의 상부 이송시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는 상기한 가이드블록(50)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한 웨지(80)를 가이드 하게 된다.
웨지(80)는 상기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를 따라 상방 이송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로드(90)와의 연결을 위하여 저면에 볼트(81)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비상시 로드(90)에 의해 웨지(80)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면, 웨지(80)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안내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게 된다.
특허문헌 : 국내 실용신안 등록 20-0326832호(등록일자2003년09월13일)
종래,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 웨지(80)의 하부 이송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토퍼(S)가 별도의 볼트 또는 핀으로 체결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볼트나 핀과 같은 별도의 부품을 체결 고정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수와 부품수 증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 별도로 설치되는 스토퍼(S)에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웨지(80)가 제동을 위한 작동거리가 짧아져서 제동력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어 고하중 및 고속 제동력을 만족시킬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스토퍼기능을 갖는 부품의 설치 공간을 마련해야 하고, 웨지(80)의 충분한 작동 거리 확보를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하우징(30)의 크기를 크게 설계해야 하므로, 전체 제품의 크기가 커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에 일체로 스토퍼를 형성하므로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줄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의 길이를 줄여 웨지의 충분한 작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제동력이 우수하고 고하중 및 고속제동에 적합하도록 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을 포함한 제품의 전체 크기를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어 상품성과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플레이트(20)의 저면에 전방이 트여지는 함체 형상으로 양 사이드플레이트(32)의 하부에 하부플레이트(31)가 고정 부착되는 하우징(30)과,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50)과,
가이드블록(50)에 설치되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와,
이 가이드플레이트(60)(61)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웨지(80)와,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단부에 스토퍼(S)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S)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 일체로 각각 걸림편(62)(63)들을 절곡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에 일체로 스토퍼 기능을 갖는 걸림편들을 절곡 성형하게 되므로 부품수와 조립 공정수를 줄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또,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의 길이를 줄여 웨지의 충분한 작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제동력이 우수하고 고하중 및 고속제동에 적합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을 포함한 제품의 전체 크기를 콤팩트하게 줄일 수 있어 상품성과 신뢰성이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의 정면상태 반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7는 도 6의 평면에서 본 반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이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는 크게 상부플레이트(20), 하우징(30), U형상인 판스프링(40), 가이드블록(5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 웨지(80)로 구성된다.
상부플레이트(20)는 도 4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것으로, 저면으로는 좌우 양측에 가이드블록(50)의 상부가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양 사이드플레이트(32)의 하부에 하부플레이트(31)가 고정 부착되는 밴딩 가공에 의해 대략 '∪' 형의 단면으로 전방이 트여져 그 내부로 상기한 U형의 판스프링(40), 가이드블록(5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 웨지(80), 로드(90) 등을 수용하게 된다.
양쪽 가이드블록(50)의 전면과 후면에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가 각각 경사방향으로 체결 고정되어 웨지(80)가 승강 작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U형의 판스프링(40)은 가이드블록(50)의 좌우 이송을 탄성 지지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U형의 판스프링(40)은 하우징(30)의 양 사이드플레이트(31)에 관통 설치된 가이드볼트(41)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블록(50)은 웨지(80)의 상부 이송시 U형 판스프링(40)을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블록(50)의 양 측면은 하우징(30)의 양 사이드플레이트(31)에 각각 설치된 볼트(41) 및 가이드볼트(42)와 체결된다.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는 웨지(80)의 상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한 2개의 가이드블록(5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웨지(80)는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안내로 승강될 수 있도록 조립되어, 로드(90)에 의해 웨지(80)들이 승강 작동되면서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여 제동시키는 것이다.
로드(90)의 하단부는 브라켓트가 웨지(80)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구멍(85)을 통해 볼트가 체결되어 로드(90)와 웨지(80)는 함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비상 상황에 따라 로드(90)가 상방향으로 당겨지면, 웨지(80)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안정된 가이드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하므로 엘리베이터 카는 정지된다.
따라서, 정상 운행중인 엘리베이터 카는 메인 제동장치의 고장 등에 의하여 추락하거나 비정상적인 과속으로 운행되는 경우, 비상 정지장치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는 웨지(80)의 하부 이송을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S)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 스토퍼(S)를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 일체로 각각 웨지(80)의 하부면을 향해 걸림편(62)(63)들을 절곡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 걸림편(62)(63)들은 가이드플레이트(60)(61)에 직각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이 웨지(8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강도유지 효과면에서 좋다.
따라서, 별도의 스토퍼용 핀이나 볼트를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에 체결하지 않고,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에 일체로 걸림편(62)(63)들을 절곡 성형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부품을 추가하거나, 조립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또,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웨지(30)가 제동을 위한 이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제동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30)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높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제품의 콤팩트한 설계로 상품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상정지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제동력이 향상되고 고하중, 고속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기술에 적용된다.
20 - 상부플레이트 30 - 하우징
40 - 판스프링 50 - 가이드블록
60,61 -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 62,63 - 걸림편
80 - 웨지 85 - 체결구멍
90 - 로드 S - 스토퍼

Claims (2)

  1. 상부플레이트(20)의 저면에 전방이 트여지는 함체 형상으로 양 사이드플레이트(32)의 하부에 하부플레이트(31)가 고정 부착되는 하우징(30)과,
    판스프링(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우징(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50)과,
    가이드블록(50)에 설치되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와,
    이 가이드플레이트(60)(61)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웨지(80)와,
    상기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단부에 스토퍼(S)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S)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61)의 하단부에 일체로 각각 걸림편(62)(63)들을 절곡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62)(63)들은 가이드플레이트(60)(61)에 직각으로 절곡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20160006771U 2016-11-21 2016-11-21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1800015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71U KR20180001599U (ko) 2016-11-21 2016-11-21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71U KR20180001599U (ko) 2016-11-21 2016-11-21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99U true KR20180001599U (ko) 2018-05-30

Family

ID=6229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71U KR20180001599U (ko) 2016-11-21 2016-11-21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59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32Y1 (ko) 2003-06-26 2003-09-13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97617A (zh) 汽车的车门构造及其组装方法
CN103171954B (zh) 电梯出入口装置
KR20170130987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JP6118123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CN210139199U (zh) 一种电梯导轨切割工装
JP2010047410A (ja) エレベータ
KR20180001599U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KR200326832Y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장치
US20210060634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at-shaped cross-section component
EP3380425B1 (en)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JP2008137589A (ja) 車体トンネル部構造
JPWO2014199757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08168979A (ja) エレベータ装置
EP3023322A1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CN205906857U (zh) 一种电梯防剪切坠落装置
JP2008162717A (ja) かご吊車取付装置及び綱止装置
JPWO2006048928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209259444U (zh) 一种便于检修安装的电梯轿厢
CN208561377U (zh) 重载电梯轿厢架结构
KR20230001332U (ko) 엘리베이터용 추락 방지 안전장치
CN208234356U (zh) 轿厢门锁啮合深度验证开关浮动装置
US20230083306A1 (en) Vehicle side structure
CN210485241U (zh) 用于汽车后悬弹簧压缩的安全保护治具
JP3340395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
JP477176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