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772Y1 -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772Y1
KR200312772Y1 KR20-2003-0003368U KR20030003368U KR200312772Y1 KR 200312772 Y1 KR200312772 Y1 KR 200312772Y1 KR 20030003368 U KR20030003368 U KR 20030003368U KR 200312772 Y1 KR200312772 Y1 KR 200312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opening
rotating body
foundation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원인섭
Original Assignee
조영철
원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원인섭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20-2003-0003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 상에 고정되는 교좌장치와 같은 설치대상물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여 주는데 이용될 수 있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개구를 갖는 설치대상물의 고정부, 제 1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중심을 갖는 제 2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회동체 및 제 2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체결용 구멍을 갖는 제 2회동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기초너트나 기초볼트 등의 위치가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설치대상물의 고정부에 형성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대상물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어 기초너트나 기초볼트 등의 설치 오차의 수정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bolting hall}
본 고안은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각에 설치된 기초볼트나 너트를 통해 교각 상에 고정되는 교좌장치와 같은 설치대상물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여 주는데 이용될 수 있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좌장치는 교각에 설치된 기초볼트 또는 기초너트를 통해 교각 상에 고정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교좌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교각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 상에는 교량의 상판(12)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교좌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교좌장치(20)는 교각(10)을 만들 때 설치해 둔 기초너트(14)에 볼트(16)를 통해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초너트(14) 대신에 기초볼트가 설치되고, 상측에서 너트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즉, 교좌장치(20)의 하판(22)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24)으로 볼트(16)를 삽입하여 기초너트(14)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교좌장치(20)를 교각(10) 상에 고정한다.
기초너트(14) 등을 통해 교좌장치(20)를 교각(10) 상에 고정하고자하는 경우, 하판(22)에 형성된 볼트구멍(24)들과 교각(10)에 심어져있는 기초너트(14)들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될 수 있어야 된다. 일반적으로는 교량의 설계 시 시공과정에서 사용될 교좌장치(20)가 먼저 정해지기 때문에 교각(10)에 설치되는 기초너트(14)는 교좌장치(20)의 하판(22)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24)들의 위치와 나머지 여건들을 고려하여 그 기준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나 교각(10)의 시공과정에서 기초너트(14) 등이 고정되는 철근 등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받아변형되는 관계로, 기초너트(14)가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기초너트(14) 등의 위치가 바뀌었다 하더라도 교좌장치(20)의 설치위치가 바뀔 수는 없다. 교좌장치(20)는 설계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각(10)에 설치된 기초너트(14) 등의 위치에 맞추어 하판(22)에 볼트구멍(24)을 다시 형성하든지, 교각(10)의 콘크리트를 깨어내고 다시 기초너트(14)를 설치하든지 하여야 하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교량의 안전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이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교좌장치의 설치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교좌장치의 설치형태와 유사한 과정으로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의 설치과정에서 설치대상물에 형성된 구멍과 구조물 등에 설치된 체결요소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아 곤란을 겪는 경우도 많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대상물에 형성되는 구멍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대상물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교좌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교각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 예를 나타낸 교좌장치 하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고정부 112 : 제 1개구
120 : 제 1회동체 122 : 제 2개구
124 : 제 1테두리 130 : 제 2회동체
132 : 체결용 구멍 134 : 제 2테두리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구를 이용해 설치대상물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 1개구를 갖는 설치대상물의 고정부, 제 1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중심을 갖는 제 2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회동체 및 제 2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체결용 구멍을 갖는 제 2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제 1회동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고정부의 상면을 눌러주는 제 1테두리가 형성되고, 제 2회동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1회동체의 상면을 눌러주는 제 2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개구, 제 1회동체, 제 2개구 및 제 2회동체는 원형의 모양을 하고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회동체 또는 제 2회동체는 초승달 모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테두리 대신에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의 상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제 1개구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가압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구를 이용해 설치대상물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개구를 갖는 설치대상물의 고정부, 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중심을 갖는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용 구멍은 볼트 등 구멍으로 삽입되는 체결구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시 회동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부의 상면을 가압하여 줄 수 있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적용 예를 나타낸 교좌장치 하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의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100)는 교좌장치의 하판(22)과 같은 설치대상물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 1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10)를 구비한다. 제 1개구(112)의 크기는 기초너트 등의 설치 오차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는 제 1회동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회동체(120)는 제 1개구(112)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제 1개구(112)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된다. 물론, 제 1회동체(120)는 제 1개구(112)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될 수 있어야 하므로, 제 1개구(112)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회동체(120)에는 제 2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개구(122)는 제 1회동체(12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중심을 갖는다. 즉, 제 2개구(122)는 제 1회동체(120)의 편심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개구(120)의 편심 정도는 기초너트나 기초볼트 등의 설치오차를 감안하여 정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100)는 제 2회동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회동체(130)는 제 2개구(122)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제 2개구(122)와 비슷한 크기로 만들어진다. 이 제 2회동체(130)에는 제 2회동체(13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중심을 갖는 체결용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회동체(130)에는 편심 된 위치에 체결용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용 구멍(132)은 기초너트 등에 결합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100)의 위치 조절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에서 고정부(110)의 제 1개구(112)에 결합된 제 1회동체(120)의 회전중심은 C1이고, 제 2개구(122)에 결합된 제 2회동체(130)의 회전중심은 C2이고, 체결용 구멍(132)의 중심은 C3이다. 이 상태에서 기초너트 등의 중심이 P라면 체결용 구멍의 중심 C3를 P로 이동시켜주어야 한다. 이 경우 C2를 중심으로 제 2회동체(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체결용 구멍(132)의 중심 C3는 C1에 점점 가까워진다. C1과 C3 사이의 거리가 C1과 P 사이의 거리와 같아지면 제 2회동체(130)의 회동을 멈춘다. 그런 다음 체결용 구멍(132)의 중심 C3가 P와 일치될 때까지 C1을 중심으로 제 1회동체(12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C3와 P가 일치하면 제 1회동체(120)의 동작을 멈추고 볼트 등의 체결구를 체결용 구멍(132)으로 삽입하여 기초너트 등에 결합하면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에는 제 1개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제 1개구(112)에는 제 1테두리(124)를 갖는 제 1회동체(120)가 결합되어 있다. 제 1테두리(124)는 고정부(110)의 상면을 가압하여 주어 고정부(110)가 설치되는 교좌장치 등 설치대상물이 위쪽으로 부발력을 받더라도 고정부(110)가 위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회동체(120)의 편심위치에 제 2개구(122)가형성되어 있다.
제 2개구(122)에는 제 2회동체(130)가 결합되어 있다. 제 2회동체(13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2테두리(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테두리(134)는 제 1회동체(120)의 상면을 가압하여 제 1회동체(120)가 부발력을 받아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2회동체(130)의 편심위치에 체결용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16)는 체결용 구멍(132)으로 삽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a)에 심어져 있는 기초너트(14)에 결합되어 있다.
즉, 설치대상물이 부발력을 받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1회동체(120, 130)에 테두리(124, 134)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제 2회동체(120, 130)의 위쪽으로 제 1개구(112)의 직경보다 큰 별도의 가압체(140)를 더 설치하여 교각두부(10b)에 설치되는 기초너트(14)에 체결되는 볼트(16)에 의해 가압 되도록 하여 고정부(110)가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교각두부(10b)의 상단부에는 몰탈(18)이 채워지고 교좌장치(20) 하부에 높이조절용 볼트(19)가 설치되어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회동체(120)와 제 2회동체(130)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승달 모양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회동체(120)에 형성되는 제 2개구(122)와 제 2회동체(130)에 형성되는 체결용 구멍(132)은 측면으로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많은 면적에 걸쳐서 서로 겹쳐진다.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100)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체결용 구멍(132)을 정원으로 맞추기는 어려우나 제 1회동체(120)와 제 2회동체(130)를 필요한 각도로 회동시켜 체결용 구멍(132)의 위치와 모양을 어느 정도는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가압체(14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편심위치에 체결용 구멍(132)이 형성된 하나의 회동체(130a)만을 이용해 체결용 구멍(13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용 구멍(132)의 위치 조정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따르지만 체결용 구멍(132)의 크기를 볼트(16) 등 체결구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경우 위치 조정범위를 어느 정도 넓힐 수 있다. 나머지는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는 교량 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 건축분야 외에도 기계조립분야 등 체결용 구멍의 위치를 조정해야될 필요가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분야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또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기초너트나 기초볼트 등의 위치가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설치대상물의 고정부에 형성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대상물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어 기초너트나 기초볼트 등의 설치 오차의 수정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9)

  1. 체결구를 이용해 설치대상물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 1개구를 갖는 설치대상물의 고정부;
    상기 제 1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중심을 갖는 제 2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 1회동체; 및
    상기 제 2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상기 체결용 구멍을 갖는 제 2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동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눌러주는 제 1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회동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제 1회동체의 상면을 눌러주는 제 2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구, 제 1회동체, 제 2개구 및 제 2회동체는 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회동체는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제 2회동체는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회동체는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제 1개구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가압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8. 체결구를 이용해 설치대상물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개구를 갖는 설치대상물의 고정부;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동 가능하고 편심위치에 중심을 갖는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가압하여 줄 수 있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KR20-2003-0003368U 2003-02-05 2003-02-05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KR200312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68U KR200312772Y1 (ko) 2003-02-05 2003-02-05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68U KR200312772Y1 (ko) 2003-02-05 2003-02-05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772Y1 true KR200312772Y1 (ko) 2003-05-13

Family

ID=4933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368U KR200312772Y1 (ko) 2003-02-05 2003-02-05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7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45B1 (ko) * 2019-04-24 2020-07-16 구동길 교량 받침 및 이의 설치 방법
CN114016369A (zh) * 2021-12-03 2022-02-08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纠偏装置及梁体结构
KR102598169B1 (ko) * 2023-04-10 2023-11-0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45B1 (ko) * 2019-04-24 2020-07-16 구동길 교량 받침 및 이의 설치 방법
CN114016369A (zh) * 2021-12-03 2022-02-08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纠偏装置及梁体结构
CN114016369B (zh) * 2021-12-03 2024-03-12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纠偏装置及梁体结构
KR102598169B1 (ko) * 2023-04-10 2023-11-0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11689A (ja) 構造の支持のために構造要素を支持するブラケット
JPH0635761B2 (ja) 破砕機における旋回調整装置
KR200312772Y1 (ko) 체결용 구멍의 위치 조절장치
JP2002227810A (ja) 固着装置及び転てつ機類据付装置
KR20170094822A (ko) 가변형 앵커소켓이 구비된 하부 교량받침대
JP2003213752A (ja) 流水部材の固定装置
JP3457304B1 (ja) 杭の接続構造
JP2000110238A (ja) 剪断力支持装置
KR100663730B1 (ko) 기둥용 유로폼의 고정장치
JPH0726731A (ja) 鉄骨の柱の接合部の調整用治具
KR101821725B1 (ko)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JPH0639839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支持装置及び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JP429780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位置決め治具および位置決め方法
KR20000053938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장치
JP3504747B2 (ja) アンカーボルト用フランジ付ナット
JPH1088656A (ja) 柱固定用金具
JP2004132063A (ja) 覆工板の締結装置
JP3529315B2 (ja) 被固定物の壁材への固定具
JP3234289U (ja) クランプ装置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KR20031172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부재
JP2001090335A (ja) 緊結部付足場の緊結構造
WO2021240856A1 (ja) 支保工
JPH11158828A (ja) 支柱と横パイプと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US5971349A (en) Machinery mount anchor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