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25B1 -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25B1
KR101821725B1 KR1020170059394A KR20170059394A KR101821725B1 KR 101821725 B1 KR101821725 B1 KR 101821725B1 KR 1020170059394 A KR1020170059394 A KR 1020170059394A KR 20170059394 A KR20170059394 A KR 20170059394A KR 101821725 B1 KR101821725 B1 KR 10182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ail
horizontal bar
support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구
현정환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엘 filed Critical (주)디에스엘
Priority to KR102017005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 간 이격을 공장에서 프리세팅하여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프리세팅된 레일 간 이격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이격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좌편과 우편에 위치하는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과;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설치될 때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을 사전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프리세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세팅 모듈은, 하부가 상기 제1고정레일에 결합된 제1지지부재와; 하부가 상기 제2고정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는 상부끼리 교차한 태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시키면서 상기 제1고정레일과 상기 제2고정레일 간 이격이 조절되도록 유도하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RAIL-TYPE EXPANSION JOINT WITH PRE-SETTING MODULE CAPABLE OF ADJUSTING SPACING}
본 발명은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 간 이격을 공장에서 프리세팅하여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프리세팅된 레일 간 이격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온도변화, 그 크리프(creep) 및 건조수축(shrinkage), 시공오차, 재하 하중, 지진 및 지반의 침하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한 변형 응력이 작용하여 만약 해당 응력이 해소되지 않고 구속된다면 구조물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파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일정구간마다 유격되는 틈새인 이음틈새부를 두고 있으며, 이 이음틈새부에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동적거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교량은 다수의 교각과 이 교각의 상부에 안착되어 도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판으로 구성되며, 그 상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양쪽 상판의 동적거동을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유격 폭으로 이음틈새부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이음장치는 이러한 이음틈새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상부에서 차량이 원활히 주행 가능하도록 해주고, 빗물이나 각종 이물질이 해당 이음틈새부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신축이음장치에는 그 형태에 따라 대표적으로 레일(rail)형, 핑거(finger)형, 모노셀(mono cell)형 등이 있는데, 이 중 레일형은 상대적으로 이음틈새부의 유격 간격이 넓어서 허용 신축량이 커야 하는 경우, 예컨대 규모가 큰 장대교량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레일형 신축이음장치(200)는 서로 대향되는 구조물(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틈새부(201)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음틈새부(201) 대향측 상부 모서리부에 먼저 장방형의 무수축콘크리트(또는, 일반콘크리트)부(202)가 구비되고, 이 양측의 무수축콘크리트부(202)의 상부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레일(204)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 고정레일(204)은 지지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강재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무수축콘크리트부(202)의 상부 모서리측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수평부와 수직부를 일체로 갖는 "ㄱ"자 형상의 것으로, 그 외측면측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다수개의 앵커볼트(2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 앵커볼트들(204b)은 상기 무수축콘크리트부(202)내에 매설된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나아가, 각 고정레일(204)의 서로 대향되는 수직부 내측면상에는 삽입고정홈(20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삽입고정홈(204a)에 대해 그 양단부가 각각 억지끼움된 신축씰(seal)(206)이 설치되어 이음틈새부(201)을 수평방향으로 밀폐하여 누수 및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신축씰(206)은 신축 가능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통상 그 단면형상은 "V"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보다 유연하게 수평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고, 그 양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레일(204)상의 삽입고정홈(204a)에 억지끼움되어 걸림 고정되게 되는 삽입돌기부(20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200)의 경우 첨부된 도 2의 사진과 같이 현장설치를 위해 한 쌍의 고정레일(204) 간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해주는 프리세팅 부재(205)의 제작시에 용접된 형태로 추가된다. 이같은 프리세팅 부재(205)는 역 U자형 또는 V자형의 부재로서 한 쌍의 고정레일(204)을 적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프리세팅하여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현장 설치시 일일이 고정레일(204) 간 이격을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된다는 장점이 있었다. 참고로, 한 쌍의 고정레일(204)에 대한 현장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프리세팅 부재(205)가 고정레일(204)로부터 산소절단기 등의 도구에 의해 절단되어 제거된다.
그러나 프리세팅 부재(205)에 의한 프리세팅 기술은 실제 현장에서 이음틈새부(201) 대향측의 간격이 프리세팅된 이격보다 허용치 이상으로 크거나 좁은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경우에는 현장에서 프리세팅 부재(205)를 고정레일(204)로부터 절단하여 제거한 후에 이음틈새부(201) 대향측 간격에 맞게 고정레일(204) 간 이격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상기 프리세팅 부재(205)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오히려 공사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8579호(2006.06.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 간 이격을 공장에서 프리세팅하여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프리세팅된 레일 간 이격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이음틈새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동적거동을 수용하면서 신축씰에 의해 이음틈새부를 폐쇄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좌편과 우편에 위치하는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과;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설치될 때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을 사전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프리세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세팅 모듈은, 하부가 상기 제1고정레일에 결합된 제1지지부재와; 하부가 상기 제2고정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는 상부끼리 교차한 태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시키면서 상기 제1고정레일과 상기 제2고정레일 간 이격이 조절되도록 유도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고정레일과 하단부가 결합된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 쪽으로 연장된 제1수평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고정레일과 하단부가 결합된 제2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평바와 교차하는 제2수평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교차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수평바의 중앙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제1슬라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바의 중앙부에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바의 제1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바의 제1슬라이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수평바에 대하여 상기 제1수평바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변위를 안내하는 제1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바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 장공을 중심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제2볼트공과 제3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바의 제2볼트공과 제3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제2볼트 및 제3볼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수평바의 전면에서 상기 제1볼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캠부재의 중심공 좌편에는 상기 제2볼트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제1회전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장공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부재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2볼트가 좌측방향으로 밀려 멀어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이 커지고, 상기 캠부재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2볼트가 우측방향으로 당겨져 가까워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이격이 작아지며, 상기 캠부재의 중심공 우편에는 상기 제3볼트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제2회전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회전장공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부재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3볼트가 좌측방향으로 당겨져 가까워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이 커지고, 상기 캠부재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3볼트가 우측방향으로 밀려 멀어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이격이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평바에서 상기 제1볼트공을 중심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제2슬라이드 장공과 제3슬라이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바의 제2볼트공 및 제3볼트공에 체결된 제2볼트 및 제3볼트는 상기 제2수평바의 제2슬라이드 장공과 제3슬라이드 장공을 각각 관통한 상태가 되어 상기 제2수평바에 대하여 상기 제1수평바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변위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하는 중심공, 상기 제1회전장공 및 제2회전장공이 형성된 동그란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레일 간 이격을 공장에서 프리세팅하여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프리세팅된 레일 간 이격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캠부재가 회전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캠부재가 초기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초기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캠부재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따른 제1고정레일과 제2고정레일 간 이격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캠부재가 회전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캠부재가 초기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초기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캠부재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따른 제1고정레일과 제2고정레일 간 이격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에 더해,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의 이격을 프리세팅하기 위한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캠부재를 포함하는 프리세팅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는 프리세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을 공장에서 프리세팅한 상태로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프리세팅된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을 보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즉석에서 프리세팅 모듈의 캠부재(130)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간단히 보정을 행하여 상기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을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리세팅 모듈의 경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자리를 완전히 잡은 후에는 절단기로 절단되어 제거됨)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은 기존의 고정레일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좌편과 우편에 위치한다. 상기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의 마주하는 면에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진 신축씰(미도시됨)의 단부가 끼워지는 제1고정홈(111a) 및 제2고정홈(111b)이 형성된다. 상기 신축씰의 경우 통상 단면형상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교량의 이음틈새부 이격이 변할 때마다 유연하게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누수 및 각종 이물질의 교량의 이음틈새부를 통해 직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의 외측면에는 앵커볼트(112a,112b)가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20a)는 상기 제1고정레일(110a)과 용접에 의해 하단부가 결합된 제1수직바(121a)와, 상기 제1수직바(121a)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120b) 쪽으로 연장된 제1수평바(122a)로 이루어진 ㄱ자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제2지지부재(120b)는 상기 제2고정레일(110b)과 용접에 의해 하단부가 결합된 제2수직바(121b)와, 상기 제2수직바(121b)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120a) 쪽으로 연장된 제2수평바(122b)로 이루어진 ㄱ자형의 부재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120a)와 제2지지부재(120b)는 좌편과 우편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면서 제1수평바(122a)와 제2수평바(122b)가 교차한 상태로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120b)의 제2수평바(122b)와 상기 제1지지부재(120a)의 제1수평바(122a)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중앙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제1슬라이드 장공(1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바(122b)의 중앙부에는 제1볼트(126a)공(123b)이 형성되어 제1볼트(126a)가 체결되되, 상기 제1볼트(126a)는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제1슬라이드 장공(123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2수평바(122b)에 대하여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변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볼트(126a)가 제1수평바(122a)를 안내해준다.
또한, 상기 제1수평바(122a)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 장공(123a)을 중심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제2볼트(126b)공(124a)과 제3볼트(126c)공(125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제2볼트(126b)공(124a)과 제3볼트(126c)공(125a)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제2볼트(126b) 및 제3볼트(126c)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수평바(122b)에서 상기 제1볼트(126a)공(123b)을 중심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제2슬라이드 장공(124b)과 제3슬라이드 장공(125b)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제2볼트(126b)공(124a) 및 제3볼트(126c)공(125a)에 체결된 제2볼트(126b) 및 제3볼트(126c)는 상기 제2수평바(122b)의 제2슬라이드 장공(124b)과 제3슬라이드 장공(125b)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2수평바(122b)에 대하여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변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볼트(126b)와 제3볼트(126c)가 제1수평바(122a)를 안내해준다.
상기 캠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수평바(122a)의 전면에서 상기 제1볼트(126a)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공(131a)을 구비하여 상기 제1볼트(126a)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캠부재(130)의 중심공(131a) 좌편에는 상기 제2볼트(126b)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제1회전장공(131b)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장공(131b)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126a)공(123b)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126a)공(123b)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5a 및 도 5b에서 도 6a 및 도 6b처럼 상기 캠부재(130)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지지부재(120b)의 제2수평바(122b)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126a)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120a)의 제1수평바(122a)에 체결된 제2볼트(126b)가 좌측방향으로 밀려 멀어지면서 제2고정레일(110b)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110a)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이 커지게 된다. 반면, 도 5a 및 도 5b에서 도 7a 및 도 7b처럼 상기 캠부재(13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120b)의 제2수평바(122b)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126a)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120a)의 제1수평바(122a)에 체결된 제2볼트(126b)가 우측방향으로 당겨져 가까워지면서 제2고정레일(110b)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110a)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이격이 작아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캠부재(130)의 중심공(131a) 우편에는 상기 제3볼트(126c)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제2회전장공(131c)이 형성되되, 상기 제2회전장공(131c)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126a)공(123b)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126a)공(123b)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5a 및 도 5b에서 도 6a 및 도 6b처럼 상기 캠부재(130)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120b)의 제2수평바(122b)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126a)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120a)의 제1수평바(122a)에 체결된 제3볼트(126c)가 좌측방향으로 당겨져 가까워지면서 제2고정레일(110b)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110a)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이 커진다. 반면, 도 5a 및 도 5b에서 도 7a 및 도 7b처럼 상기 캠부재(13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120b)의 제2수평바(122b)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126a)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120a)의 제1수평바(122a)에 체결된 제3볼트(126c)가 우측방향으로 밀려 멀어지면서 제2고정레일(110b)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110a)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이격이 작아진다.
상기 중심공, 제1슬라이드 장공(123a), 제2슬라이드 장공(124b)을 관통하여 캠부재(130)의 전면으로 돌출된 제1볼트(126a), 제2볼트(126b), 제3볼트(126c)의 끝단에는 제1너트(127a), 제2너트(127b), 제3너트(127c)가 체결되어 평상시 캠부재(130)를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고 있다가, 상기 제1고정레일(110a)과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을 조절해야 할 경우 상기 캠부재(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1너트(127a), 제2너트(127b), 제3너트(127c)를 느슨하게 풀어주어 캠부재(13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캠부재(130)는, 상기 제1볼트(126a)가 관통하는 중심공, 상기 제1회전장공(131b) 및 제2회전장공(131c)이 형성된 동그란 형상의 본체부(131)와, 상기 본체부(131)의 상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132)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32)의 단부를 잡고 본체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지렛대의 원리가 작용하여 강한 힘으로 캠부재(1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를 후측에서 바라본 것으로, 캠부재(130)를 회전시키는 방향 및 각도변화에 따라 제1고정레일(110a) 및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이 작아지기도 하고 커지기도 하는 연속적인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C)의 초기상태에서 캠부재(130)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L1), (L2), (L3)와 같이 제1고정레일(110a)과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되며, 캠부재(130)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R1), (R2), (R3)와 같이 제1고정레일(110a)과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이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고정레일(110a)과 제2고정레일(110b) 간 이격이 최소 10mm까지 작아질 수 있고 최대 70mm까지 커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a : 제1고정레일 110b : 제2고정레일
120a : 제1지지부재 120b : 제2지지부재
121a : 제1수직바 122a : 제1수평바
121b : 제2수직바 122b : 제2수평바
130 : 캠부재 131 : 본체부
132 : 손잡이부

Claims (6)

  1. 교량의 이음틈새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동적거동을 수용하면서 신축씰에 의해 이음틈새부를 폐쇄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좌편과 우편에 위치하는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과;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교량의 이음틈새부 대향측 상단부에 설치될 때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레일 및 제2고정레일을 사전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프리세팅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세팅 모듈은,
    하부가 상기 제1고정레일에 결합된 제1지지부재와;
    하부가 상기 제2고정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는 상부끼리 교차한 태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시키면서 상기 제1고정레일과 상기 제2고정레일 간 이격이 조절되도록 유도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고정레일과 하단부가 결합된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 쪽으로 연장된 제1수평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고정레일과 하단부가 결합된 제2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수평바와 교차하는 제2수평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교차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수평바의 중앙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제1슬라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바의 중앙부에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바의 제1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바의 제1슬라이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수평바에 대하여 상기 제1수평바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변위를 안내하는 제1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바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 장공을 중심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제2볼트공과 제3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바의 제2볼트공과 제3볼트공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제2볼트 및 제3볼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수평바의 전면에서 상기 제1볼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볼트가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캠부재의 중심공 좌편에는 상기 제2볼트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제1회전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장공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부재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2볼트가 좌측방향으로 밀려 멀어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이 커지고, 상기 캠부재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2볼트가 우측방향으로 당겨져 가까워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이격이 작아지며,
    상기 캠부재의 중심공 우편에는 상기 제3볼트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제2회전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회전장공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볼트공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부재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3볼트가 좌측방향으로 당겨져 가까워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격이 커지고, 상기 캠부재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지지부재의 제2수평바에 체결된 상기 제1볼트에 대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바에 체결된 제3볼트가 우측방향으로 밀려 멀어지면서 제2고정레일에 대하여 제1고정레일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이격이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바에서 상기 제1볼트공을 중심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제2슬라이드 장공과 제3슬라이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바의 제2볼트공 및 제3볼트공에 체결된 제2볼트 및 제3볼트는 상기 제2수평바의 제2슬라이드 장공과 제3슬라이드 장공을 각각 관통한 상태가 되어 상기 제2수평바에 대하여 상기 제1수평바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변위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제1볼트가 관통하는 중심공, 상기 제1회전장공 및 제2회전장공이 형성된 동그란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20170059394A 2017-05-12 2017-05-12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182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94A KR101821725B1 (ko) 2017-05-12 2017-05-12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394A KR101821725B1 (ko) 2017-05-12 2017-05-12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725B1 true KR101821725B1 (ko) 2018-01-24

Family

ID=6102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394A KR101821725B1 (ko) 2017-05-12 2017-05-12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138A (zh) * 2021-01-18 2021-06-01 杨文丽 公路伸缩缝快速密封加固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138A (zh) * 2021-01-18 2021-06-01 杨文丽 公路伸缩缝快速密封加固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463B2 (en)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RU24822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ов
KR101821725B1 (ko)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1953595B1 (ko) 모듈형 버팀보 보강 장치
JP2006233498A (ja) 落橋防止装置
KR102085928B1 (ko)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0396917A (zh) 一种立交桥拼接式墩柱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KR102020600B1 (ko) 힌지형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55034B1 (ko) 지지부와의 수평 결합력이 증대되고 시공이 용이한 교량 받침
KR101962665B1 (ko)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101535260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EP1870534A2 (de) Aussteifungsstruktur, Befestig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Aussteifung einer Stützen aufweisenden Unterstellung einer Deckenschalung
KR102206890B1 (ko)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1931989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지지형 외팔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JP4285669B2 (ja) 非溶接型の係止金具を備えた弾性支承装置
US20060115322A1 (en) Steel beam coupling device
KR101953013B1 (ko) 교좌장치의 변위 보정장치
JPH0726731A (ja) 鉄骨の柱の接合部の調整用治具
KR20090010565A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101942023B1 (ko) 탈착 가능한 클램프를 이용한 기둥철골 사다리구조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KR20210009571A (ko) 레일형 신축 이음 장치 및 이의 보수방법
JP2003293315A (ja) 支承位置調整方法およびその調整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