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665B1 -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665B1
KR101962665B1 KR1020180058222A KR20180058222A KR101962665B1 KR 101962665 B1 KR101962665 B1 KR 101962665B1 KR 1020180058222 A KR1020180058222 A KR 1020180058222A KR 20180058222 A KR20180058222 A KR 20180058222A KR 101962665 B1 KR101962665 B1 KR 101962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guide
plate
upper plate
brid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화
Original Assignee
진형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형건설(주) filed Critical 진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8005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Abstract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는, 교량 받침 및 프리셋팅 장치를 포함한다. 교량 받침은, 탄성 패드가 미리 설정된 전단 변형을 갖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수평 변위를 갖는다.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교량 받침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 패드의 전단 변형을 유지한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된 베이스 체결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 유지 부재 및, 상기 변위 유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 유지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단턱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체결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모서리를 수용하는 형상의 단턱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PRESET BRIDGE SUPPORTER ASSEMBLY}
본 발명은 교량 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수용하고, 계절의 기온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수평으로 작용하는 전단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교량 받침이 형성된다. 상기 교량 받침은 교량의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내구성, 시공성, 유지보수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교량구조물은 건축구조물과는 달리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 계절의 온도변화 및 일교차에 의한 교량상판의 온도신축이 심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뚜렷한 사계절을 갖고 있어 온도변화폭이 큰 경우에는 교량상판의 온도신축을 수용할 수 없으면 온도응력에 의해 교량구조물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교량 받침은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형 및 하중을 무리없이 교각, 교대 등의 교량하부구조물에 전달하고, 하부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영향이 가능한 한 상부구조물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교량 받침에는 탄성받침과, 고감쇠고무받침, 납면진받침(LRB ;Lead Rubber Bearing) 등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한편, 교량의 시공시, 약간의 전단변형과 설치시점의 온도차에 의한 전단변형의 발생이 불가피하며, 또한, 시공 후에도 온도 및 건조수축, 장기 크리이프, 이상 거동 등에 의해 신축량이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방향으로 허용 신장량 및 수축량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교량 받침에 미리 전단변형을 발생시키는 프리셋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프리셋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상부구조물을 인상하여 탄성받침에 상부구조로 인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교량 받침 주위에 프리셋팅장치를 설치하여 프리셋팅을 수행하는 현장 프리셋팅 방식과, 공장에서 미리 교량 받침에 전단 변형을 주어 현장으로 운반해서 설치하는 공장 프리셋팅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장 프리셋팅 방식의 경우, 상부 구조물의 인상을 위한 작업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작업시 많은 인력 및 대형 장비가 소요된다. 또한, 현재 알려진 공장 프리셋팅 방식의 경우, 체결 기구의 크기가 크고 설치가 복잡하며, 전단 변형된 탄성 받침의 틸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며, 프리셋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는, 교량 받침 및 프리셋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교량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패드가 미리 설정된 전단 변형을 갖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수평 변위를 갖는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교량 받침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 패드의 전단 변형을 유지한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된 베이스 체결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 유지 부재 및, 상기 변위 유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 유지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단턱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체결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모서리를 수용하는 형상의 단턱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변위 유지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변위 유지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변위 유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평면도 상에서 수직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 변위 유지 부재 및 제2 변위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서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이며,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1 이탈 방지 가이드,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측면과 반대되는 제2 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방향과 평면도 상에서 수직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와 이격되는 제2 이탈 방지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베이스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가이드 체결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받침의 시공 현장에서 프리셋팅을 수행하지 않고, 공장 등에서 프리셋팅 장치에 의해 미리 프리셋팅된 어셈블리를 준비한 후, 현장에서는 통상의 시공을 통해 교량 받침을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프리셋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교량 받침의 전단 변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하고자 하는 전단 변형량의 조절이 간편하다.
따라서, 교량 받침의 프리셋팅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교량 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받침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 받침 어셈블리는, 교량 받침 및 상기 교량 받침에 결합된 프리셋팅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량 받침은 상부 플레이트(10),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플레이트(2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배치된 탄성 패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 예를 들어, 교각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상판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강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면도 상에서, 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패드(30)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32) 및 상기 탄성 부재(32)에 합입되는 보강 플레이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상기 탄성 부재(32) 내에서, 복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가황 고무 등과 같은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물질은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고분자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교량 받침에 수직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패드(30) 내부의 탄성 물질이 팽출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상기 탄성 물질의 팽출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수직 하중에 대해 상기 탄성 물질의 내하력을 증가시켜, 수직 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량 받침에 수평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30)는 전단 변형하여 변위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패드(30)는 전단 변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프리셋팅 장치에 의해 전단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대하여 제1 방향(D1)으로 시프트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패드(30)는 이에 대응하여, 상단부가 제1 방향(D2)으로 이동하여 전단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4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베이스 체결부(41)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2 방향(D2)으로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 유지 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는, 베이스 체결 부재(42)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 및 측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42)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핀일 수 있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 및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상기 연결부(43)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상기 연결부(43)와 결합되기 위하여, 변위 유지 체결공(45)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유지 체결 부재(46)가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의 변위 유지 체결공(45)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43)에 삽입되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위 유지 체결 부재(46)는 볼트 또는 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위 유지 체결공(45)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와 상기 연결부(43)를 결합할 때, 상기 변위 유지 체결 부재(46)가 삽입되는 변위 유지 체결공(4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탄성 패드(30)의 프리셋팅을 위한 전단 변형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상기 연결부(43)의 양 측면에 쌍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43)의 제1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변위 유지 부재(44a) 및 상기 연결부의 제2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변위 유지 부재(44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변위 유지 부재(44a) 및 상기 제2 변위 유지 부재(44b)는, 상기 제1 방향(D1)과 평면 상에서 수직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제1 변위 유지 부재(44a) 및 상기 제2 변위 유지 부재(44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일 모서리에 얼라인되도록, 단턱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하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모서리(12)에 얼라인되도록, 상기 제1 모서리(12)를 수용하는 형상의 단턱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하면 및 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의 상면의 높이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상면보다 높을 경우, 상기 교량 받침의 설치시 작업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일 모서리에 얼라인되도록, 단턱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0)의 상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모서리(22)에 얼라인되도록, 상기 제2 모서리(22)를 수용하는 형상의 단턱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 및 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의 하면의 높이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면의 높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의 하면의 높이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면보다 낮을 경우, 상기 교량 받침의 설치시 작업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패드(30)의 전단 변형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에는 수평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0)의 틸팅, 이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체결부(41) 및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얼라인되도록 함으로써, 프리셋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교량 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상기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는, 교량 하부 구조물(60) 및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량 하부 구조물(60) 상에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안착하고,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량 받침의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는 각각 상부 결합 앵커(52) 및 하부 결합 앵커(62)에 의해,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50)과 상기 교량 하부 구조물(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교량 받침이 설치된 후, 상기 프리셋팅 장치(40)는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량 받침의 하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된 베이스 체결 부재(42)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프리셋팅 장치(40)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설치가 종료된 후, 상기 교량 받침은, 미리 설정된 변위(PS)에 따른 전단 변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받침의 시공 현장에서 프리셋팅을 수행하지 않고, 공장 등에서 프리셋팅 장치에 의해 미리 프리셋팅된 어셈블리를 준비한 후, 현장에서는 통상의 시공을 통해 교량 받침을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프리셋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교량 받침의 전단 변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하고자 하는 전단 변형량의 조절이 간편하다.
따라서, 교량 받침의 프리셋팅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교량 받침 어셈블리는, 교량 받침 및 상기 교량 받침에 결합된 프리셋팅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40)는, 교량 받침의 하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베이스 체결부(41)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고정되며, 교량 받침의 상부 플레이트(10)와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변위가 발생한 방향(D1)과 반대되는 제2 방향(D2)으로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 유지 부재(44a, 44b)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는, 베이스 체결 부재(42)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 및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a, 44b)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a, 44b)는, 상기 연결부(43)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a, 44b)는, 상기 변위 유지 부재(44a, 44b)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43)에 삽입되는 변위 유지 체결 부재(4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리셋팅 장치(40)는, 이탈 방지 가이드를 더 포한한다. 상기 이탈 방지 가이드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 방지 가이드는, 제1 이탈 방지 가이드(47) 및 제2 이탈 방지 가이드(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47) 및 상기 제2 이탈 방지 가이드(48)는, 제1 방향(D1)과 평면도 상에서 수직하는 제3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47)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47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47b)는 제1 가이드 고정부(47a)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체결 부재(42)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와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는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42)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가이드 체결공(47c)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가이드 체결공(47c)은 상기 제3 방향(D2)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42)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체결공(47c)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탈 방지 가이들 사이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셋팅 장치(40)는 다양한 크기의 교량 받침의 프리셋팅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는, 상기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47b)는,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 고정부(47a)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이탈 방지 가이드(48)은, 상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47)과 유사한 구성을 자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탈 방지 가이드(48)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제1 측면과 반대되는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48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48b)는 제2 가이드 고정부(48a)와 연결된다. 상기 제2 가이드 고정부(48a)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 고정부(48a)는 상기 베이스 체결부(41)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체결 부재(42)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체결부(4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고정부(48a)는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42)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가이드 체결공(48c)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가이드 체결공(48c)은 상기 제3 방향(D2)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셋팅 기구는, 이탈 방지 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전단 변형이 일어나지 않은 방향에 대하여 상부 플레이트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받침 어셈블리는, 다양한 구조의 교량의 시공 및 보수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패드가 미리 설정된 전단 변형을 갖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수평 변위를 갖는 교량 받침; 및
    상기 교량 받침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 패드의 전단 변형을 유지하는 프리셋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셋팅 장치는,
    상기 탄성 패드의 일 측에서만,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된 베이스 체결부;
    상기 베이스 체결부가 배치된 상기 탄성 패드의 일 측에서만,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 유지 부재;
    상기 변위 유지 부재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1 이탈 방지 가이드;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측면과 반대되는 제2 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방향과 평면도 상에서 수직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와 이격되는 제2 이탈 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 유지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모서리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단턱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체결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2 모서리를 수용하는 형상의 단턱부를 갖고,
    상기 변위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변위 유지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변위 유지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변위 유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변위 유지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변위 유지 체결공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탄성 패드의 전단 변형량을 조절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탈 방지 가이드는, 각각,
    상기 베이스 체결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탈 방지 가이드는, 각각, 상기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베이스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체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는,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 체결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 체결공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이탈 방지 가이드 사이의 폭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이며, 상기 제2 모서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과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58222A 2018-05-23 2018-05-23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10196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22A KR101962665B1 (ko) 2018-05-23 2018-05-23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22A KR101962665B1 (ko) 2018-05-23 2018-05-23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665B1 true KR101962665B1 (ko) 2019-07-31

Family

ID=6747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22A KR101962665B1 (ko) 2018-05-23 2018-05-23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2290A (zh) * 2022-01-29 2022-05-1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预纠偏隔震支座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276A (ja) * 2002-08-01 2004-03-04 Nitta Ind Corp 予備剪断変形保持具付きのゴム支承装置
KR20090006961A (ko) * 2007-07-13 2009-01-16 조한진 일체형 탄성받침 거동량 보정장치
KR101705765B1 (ko) * 2015-02-12 2017-02-1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276A (ja) * 2002-08-01 2004-03-04 Nitta Ind Corp 予備剪断変形保持具付きのゴム支承装置
KR20090006961A (ko) * 2007-07-13 2009-01-16 조한진 일체형 탄성받침 거동량 보정장치
KR101705765B1 (ko) * 2015-02-12 2017-02-1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2290A (zh) * 2022-01-29 2022-05-1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预纠偏隔震支座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3221B2 (ja) 構造部材のためのカバーアセンブリ
KR102111779B1 (ko)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EP1905898B1 (en) Device for equipping an expansion joint between concrete slabs
KR101566918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 또는 안전점검을 위한 구조물 인상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교좌장치 교체방법
KR101284238B1 (ko) 교량 면진받침의 변형량조절장치
KR101668465B1 (ko) 유지보수가 가능한 회전형 앵커시스템을 포함하는 교좌장치
KR101962665B1 (ko)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101564721B1 (ko)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KR101093573B1 (ko) 유지 보수형 스페리컬 교좌장치
KR10073234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2179116B1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탄성받침 및 교체방법
KR100722220B1 (ko) 교량 포트받침용 내진 보강장치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KR101555034B1 (ko) 지지부와의 수평 결합력이 증대되고 시공이 용이한 교량 받침
KR10196266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 받침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101821725B1 (ko) 이격 조절이 가능한 프리세팅 모듈을 구비한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1705765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KR100742974B1 (ko) 교량의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와 그 설치 및 분리 방법
KR102250263B1 (ko) 연속화 공법을 위한 교좌장치의 임시 서포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거더의 연속화 공법
KR102467773B1 (ko) 프리로딩을 위한 교량받침의 임시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보정방법
KR101256559B1 (ko) 프리셋팅 가능한 고무받침
KR100741440B1 (ko) 교량용 탄성받침
CN210238274U (zh) 一种桥梁钢盖板伸缩装置
JP2002294631A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