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440B1 - 교량용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교량용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440B1
KR100741440B1 KR1020060014357A KR20060014357A KR100741440B1 KR 100741440 B1 KR100741440 B1 KR 100741440B1 KR 1020060014357 A KR1020060014357 A KR 1020060014357A KR 20060014357 A KR20060014357 A KR 20060014357A KR 100741440 B1 KR100741440 B1 KR 100741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wedge
elastic suppor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592A (ko
Inventor
정기만
Original Assignee
(주)서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해이앤씨 filed Critical (주)서해이앤씨
Priority to KR102006001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4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형성되어 있는 측량 기준선에 의해 정밀시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부구조물을 상부판에 얹질때 상부판(슈)이 정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처짐에 따른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교각에 설치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상양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판의 상부쐐기의 개선으로 일방향 가동단과 고정단을 각기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의 사이에 시공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 및 신축(수축, 팽창), 회전등의 교축방향 변형(수평력)을 흡수해 주는 탄성받침을 가지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측량 위치를 확인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측량(센터)기준선(12)(22)이 상,하부판(20)(10) 각각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시공후 검측이 가능한 검측센터점(22a)이 상부판(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몰탈에 대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앵커소켓(11)의 외주면에 나사형 요철(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판(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가 가설되어지고, 상부판(20)의 상부쐐기(23)가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 교량용 탄성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교량용 탄성받침, 하부판, 앵커소켓, 나사형 요철, 탄성받침, 측량기준선, 하부쐐기, 상부판, 상부쐐기, 검측센터점, 스테인레스판,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 슬롯홀

Description

교량용 탄성받침{A elasticity support for brid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탄성받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탄성받침의 일시예로써, 고정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2의 상부판에 상부쐐기를 조립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탄성받침의 다른 실시예로써, 일방향 가동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교각에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탄성받침에 상부구조물을 얹혀 놓은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탄성받침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한 후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하부판 11 : 앵커소켓
11a : 나사형 요철 12,22 : 측량기준선
13 : 하부쐐기 20 : 상부판
22a : 검측센터점 23 : 상부쐐기
24 : 상부판저침방지볼트 30 : 탄성고무패드
40 :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 41 : 슬롯홀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형성되어 있는 측량 기준선에 의해 정밀시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부구조물을 상부판에 얹질때 상부판(슈)이 정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처짐에 따른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교각에 설치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상양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판의 상부쐐기의 개선으로 일방향 가동단과 고정단을 각기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탄성받침은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시공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받아줌과 동시에 이동 및 회전에 의한 수평력을 정적으로 흡수하여 교량의 내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계절의 온도변화, 바람, 지진 등의 충격에 따른 신축작용(수축, 팽창)을 원활하게 받아주어 교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 사용되어지는 교량용 탄성받침은 앵커볼트가 교각의 몰탈에 매설되는 하부판과, 상부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수직 하중 및 신축(수축, 팽창), 회전등의 교축방향 변형(수평력)을 흡수해주는 탄성고무패드가 하부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고, 상기 탄성고무패드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부구조물이 설치되는 상부판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탄성받침은 하부판에 형성되어지는 하부쐐기와 상기 하부쐐기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상부판의 상부쐐기의 구조에 따라 고정단과 가동단으로 대분되어지게 되는데, 고정단은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받아줌과 동시에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좌,우 수평력을 받아주는 것이고, 가동단은 상부구조물이 계절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수축, 팽창에 의한 신축작용을 받아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교량용 탄성받침은, 교량에 혼합 시공되어져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과, 좌,우 수평력 및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구조물의 신축(수축, 팽창)을 받아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구조물로부터 상기의 현상이 나타나면,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설치되어진 탄성고무패드가 신축 변형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탄성고무패드는 상,하부판에 스틸판이 부착되어 있어 탄성고무패드와 상,하부판의 접촉면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게 상기와 같이 부식이 발생할 경우 탄성고무패드의 보수 교체가 어렵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교량에 시공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교량용 탄성받침은 교각에 시공할 때 시공 위치를 측량사가 측량하여 시공위치를 선정(표시)해 주면 작업자가 교각 상면에 먹줄을 이용하여 센터기준점을 표시한 후, 측량에 의해 선정(표시)된 위치에 교량용 탄성받침을 위치시켜 시공하게 되는데, 종래의 교량용 탄성받침에는 센터기준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센터기준점을 교각에 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밀시공을 위해서는 측량기사가 교량용 탄성받침의 시공위치를 제차 측량해야 하는 시공상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교량용 탄성받침은 렌지볼트를 매개로 하부판에 설치되어지는 앵커소켓의 외주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앵커소켓이 타설 되는 몰탈에 대하여 견고하게 응결되어지지 않아 시공된 교량용 탄성받침에 상양력(위로들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교각에 시공되어진 교량용 탄성받침의 상부판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부판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할 때 상부판이 하부판에 대하여 정점에 위치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교량 건설 현장에서는 상부판 정점 유지를 위한 별도의 수단을 강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구조물을 상부판에 얹혀 놓기 때문에 상부구조물에 의한 상부판의 처짐으로 인한 변형이 일어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상부판의 정점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버팀부재를 개재시켜 상부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상,하부판에 개재되는 버팀부재는 상부구조물을 설치할 때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의 버팀부재가 사용되어짐에 따라 상부구조물을 교량용 탄성받침에 얹혀진 상태에서 버팀부재를 제거하는 작업이 어렵고 제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한 것이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상부판에 어느정도 이상 전달되면, 그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파손되어질 수 있도록 한 플라 스틱임시고정볼트를 적용한 교량용 탄성받침이 실용신안등록 제381208호로 선등록바 있다.
상기의 플라스틱임시고정볼트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상부판에 균등하게 전달되어지면서 설치될 때에는 상부판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불균형하게 전달되어진 상태에서는 상부판의 처짐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기존의 교량용 탄성받침은 고정단과 가동단의 구조가 판이하여 각각 제작해야 하고, 그로 인한 제작비 상승이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종래 교량용 탄성받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량용 탄성받침을 구성하는 하부판의 측면과 상부판의 측면은 물론 상면에 측량(센터)기준선을 형성하여 교각에 교량용 탄성받침을 설치할 때 측량 기준선을 먹줄로 표시하지 않고도 정밀 시공이 가능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설치상태의 검측 확인이 용이하고, 하부판과 상부판을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부판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함에 따라 상부판의 처침 현상과 변형(휘어짐)등을 방지하였으며, 앵커소켓의 외주면에 나사산형의 요철을 주어 상양력을 예방할 수 있는 교량용 탄성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부판의 상부쐐기를 디귿자형으로 개선함에 따라 하부판의 하부쐐기로부터 상기의 상부쐐기가 벗어나지 않아 상부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판에 설치되는 하부쐐기의 길이에 따라 고정단에서 가동단으로의 대체가 가능하여 교량용 탄성받침 제작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부쐐기가 볼트체결됨에 따라 수평력에 견디는 힘을 향상시킨 교량용 탄성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의 사이에 시공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 및 신축(수축, 팽창), 회전등의 교축방향 변형(수평력)을 흡수해 주는 탄성받침을 가지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측량 위치를 확인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측량(센터)기준선(12)(22)이 상,하부판(20)(10) 각각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시공후 검측이 가능한 검측센터점(22a)이 상부판(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몰탈에 대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앵커소켓(11)의 외주면에 나사형 요철(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판(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가 가설되어지고, 상부판(20)의 상부쐐기(23)가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내지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교량용 탄성받침은, 교각(1)에 매설되어지는 하부판(10)과, 상기 하부판(10)에 얹혀지는 탄성고무패드(30)와, 상기 탄성고무패드(30)에 얹혀 짐과 동시에 상부구조물(2)이 얹혀지는 상부판(20)과, 상기 하부판(10)과 상부판(20)을 연결하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판(10)은 교각(1)에 매설되는 앵커소켓(11)이 렌치볼트(11b)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앵커소켓(11)은 그 외주면에 몰탈과 견고하게 응결(접착)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나사형 요철(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소켓(11)의 나사형 요철(11a)에는 와셔(11d)를 더 설치하여 몰탈과의 결속력을 상향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하부판(10)의 측면에는 교각(1)에 먹줄로 측량(센터)기준선(측량기준점이라고도 함)을 표시하지 않고 교량용 탄성받침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 기준선(12))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에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14)이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양쪽으로 하부쐐기(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쐐기(13)는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상기 하부판(10)에 형성되는 하부쐐기(13)의 길이에 따라 교량용 탄성받침의 타입이 고정단 또는 가동단으로 결정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10)의 상면으로 얹혀지는 탄성고무패드(30)는 상부구조물(2)의 수직 하중 및 신축(수축, 팽창), 회전등의 교축방향 변형(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탄성고무패드(30)에 얹혀 짐과 동시에 상부구조물(2)이 얹혀지는 상부판(20)은 저면에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가 내부로 위치하는 상부쐐기(23)가 볼트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쐐기(23)는 하부쐐기(13)가 벗어나지 못하도록 디귿자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20)의 측면에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측량위치를 확인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센턴)기준선(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윗면)에는 시공 후 교량용 탄성받침의 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측센터점(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에는 하부판(10)에 설치되어지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의 슬롯홀(41)에서 상,하 이동되어지는 상부판저침방지볼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는, 하부판(10)의 측면으로 형성된 볼트구멍(14)으로 체결되는 볼트(43)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에는 상부판(20)의 측면에 설치된 상부판저침방지볼트(24)가 상,하로 안내되는 슬롯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홀(41)은 상부판처짐방지볼트(24)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20)의 상면 네 개소에는 상부구조물(2)에 고정되는 스터트볼트(25)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교량용 탄성받침은 앵커소켓(11)과 하부쐐기(13)가 설치되어진 하부판(10)의 상면에 탄성고무패드(30)를 얹혀 놓은 다음 그 위에 상부판(20)을 올려 논는다.
상기의 탄성고무패드(30)는 상,하부판(20)(10)에 형성된 스텐레스판(15)(26)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고무패드(30)에 얹혀져 하부판(10)의 상부로 위치하는 상부 판(20)의 저면에 볼트(23a)에 의해 설치되어진 상부쐐기(23)의 내측에는 하부판(10)의 상면 양쪽으로 형성된 하부쐐기(13)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진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측량기준선(12)(22)이 일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판(10)과 상부판(20)을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판(10)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구멍(14)에 볼트(43)를 체결하여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를 설치한다.
상기 하부판(10)에 설치되어진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의 슬롯홀(41)을 관통시켜 상부판처짐방지볼트(24)를 상부판(20)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구멍(24a)에 체결한다.
싱기와 같이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에 의해 상부판(20)과 하부판(10)이 연결된 본 발명의 교량용 탄성받침을 교각(1)에 설치할 때에는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량 기준선(12)(22)을 이용하여 측량위치를 확인해 가면서 시공을 하게 된다.
교각(1)에 본 발명의 교량용 탄성받침을 시공할 때에는 작업자가 교각(1)의 임의의 위치에 교량용 탄성받침을 위치시키게 되고,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여진 교량용 탄성받침을 구성하는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측면(옆면)에 형성된 측량 기준선(12)(22)을 통해 측량위치를 확인하여 정위치에 교량용 탄성받침을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교량용 탄성받침은 상부판(20)의 상면(위면)에 형성된 검측센터점(22a)을 통해 설치된 위치를 확인하고 교량용 탄성받침의 배치 순서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각(1)에 정위치 된 교량용 탄성받침은 충진 되는 몰탈에 의해 하부판(10)의 앵커소켓(11)이 매설되어 몰탈의 양생과정을 거침에 따라 시공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몰탈에 매설되어지는 앵커소켓(11)은 그 외주면에 나사형 요철(11a)이 형성되어 있어 몰탈에 대하여 견고하게 응결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앵커소켓(11)의 나사형 요철(11a)에는 와셔(11d)를 더 설치하여 앵커소켓(11)이 몰탈에 대하여 더욱더 견고하게 응결되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도5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교각(1)에 설치되어진 교량용 탄성받침의 상부판(20)에 상부구조물(2)을 시공하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교각(1)에 설치되어진 교량용 탄성받침의 상부판(20)에 도6에서와 같이 상부구조물(2)을 얹게 되면, 상부구조물(2)의 중량에 의해 상부판(20)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판(20)은 상기의 상부판(20) 측면(옆면)에 설치되어진 상부판저침방지볼트(24)가 하부판(10)에 고정 설치되어진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의 슬롯홀(41)을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이동되어져 상부판(20)의 처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부판(20)의 정점 설치가 가능해 진다.
상기 상부판(20)에 상부구조물(2)의 설치가 완료되어지면, 도 7에서와 같이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를 분리해 냄으로써 교량용 탄성받침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교량용 탄성받침은 도3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단과 가동단이 혼합 설치되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교량용 탄성받침은 상부구조물(2)(슬리브 및 빔)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과, 좌,우 수평력 및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구조물(2)의 신축(수축, 팽창)을 받아주게 된다.
즉, 고정단은 상부구조물(2)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받아주고, 차량 이동으로 발생하는 좌,우 수평력을 받아주게 된다.
반면, 일방향 가동단은 상부구조물(2)이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되어지는 상부구조물의 신축작용을 받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구조물(2)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수평력 및 계절의 온도 변화로 발생하는 신축작용을 받아줄 수 있는 것은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사이에 설치되어진 탄성고무패드(30)가 신축 변형되어 짐과 동시에 상,하부판(20)(10)에 스텐레스판(15)(26)이 부착되어 있어 탄성고무패드(30)와 상,하부판(20)(10)의 접촉면의 부식을 방지하여 탄성고무패드(30)의 수명을 유지시켜주며, 탄성고무패드(30)의 보수 교체시 탄성고무패드(30)와 상,하부판(20)(10)의 접촉에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교체시 어려움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은
첫째, 하부판(10)의 측면과 상부판(20)의 측면에 측량(센터)기준선(12)(22) 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교각(1)에 교량용 탄성받침을 시공할 때 교각(1)에 측량 기준선을 먹줄로 표시하지 않고도 하부판(10)과 상부판(20)에 형성된 측량 기준선(12)(22)을 통한 측량 위치 확인으로 정밀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상부판(20)의 상면에 형성된 검측센터점(22a)을 통해 시공 상태의 검측이 가능한 것이고;
둘째, 하부판(10)과 상부판(20)을 측면으로 볼트 고정되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부판(20)에 상부구조물(2)을 설치함에 따라 상부판(20) 처침에 의한 변형(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판(20)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를 상부구조물(2)시공 후 쉽게 해체할 수 있게 하였으며;
셋째, 앵커소켓(11)의 외주면에 나사형의 요철(11a))을 형성함에 따라 교각(1)에 시공 후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인 상양력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상부판(20)의 상부쐐기(23)를 디귿자형으로 개선함에 따라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로부터 상기의 상부쐐기(23)가 벗어나지 않아 상부판(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판(10)에 설치되는 하부쐐기(12)의 길이에 따라 고정단에서 가동단으로의 대체가 용이하여 교량용 탄성받침 제작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부쐐기(23)가 볼트체결 됨에 따라 수평력에 견디는 힘을 향상시시킨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교각과 상부구조물의 사이에 시공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 및 신축(수축, 팽창), 회전등의 교축방향 변형(수평력)을 흡수해 주는 교량용 탄성받침에 있어서,
    측량 위치를 확인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측량(센터)기준선(12)(22)이 상,하부판(20)(10) 각각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시공후 검측이 가능한 검측 센터점(22a)이 상부판(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몰탈에 대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앵커소켓(11)의 외주면에 나사형 요철(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판(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가 가설되어지고, 상부판(20)의 상부쐐기(23)가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탄성받침은 교각(1)에 매설시 상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주면에 나사형 요철(11a)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소켓(11)이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 측량 기준선(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부판(20)의 상부쐐기(23))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하부쐐기(13)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10)과;
    저면에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가 내측으로 위치하는 디귿자형의 상부쐐기(23)가 볼트(23a)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 측량 기준선(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검측 센터점(22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20)과;
    상기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부판(20)(10)에 설치된 스텐레판(15)(26)에 접촉되는 탄성고무패드(30)와;
    상기 하부판(10)의 측면으로 형성된 볼트구멍(14)에 체결되는 볼트(43)에 의해 설치되고, 상부판(20)에 설치된 볼트(24)가 끼워져 탄성고무패드(30)의 변위에 따라 상기 상부판(20)이 하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슬롯홀(41)을 포함하는 상,하부판연결플레이트(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탄성받침은 상부판(20)의 디귿자형 상부쐐기(23)에 위치하는 하부판(10)의 하부쐐기(13) 길이를 길하여 상부쐐기(23)의 내측 길이와 대응되게 하고, 상기 하부쐐기(13)의 길이를 상부쐐기(23)의 내측 길이보다 짧게함에 따라 고정단과, 가동단으로 대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탄성받침.
KR1020060014357A 2006-02-14 2006-02-14 교량용 탄성받침 KR10074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357A KR100741440B1 (ko) 2006-02-14 2006-02-14 교량용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357A KR100741440B1 (ko) 2006-02-14 2006-02-14 교량용 탄성받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54U Division KR200415214Y1 (ko) 2006-02-14 2006-02-14 교량용 탄성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592A KR20060023592A (ko) 2006-03-14
KR100741440B1 true KR100741440B1 (ko) 2007-08-02

Family

ID=3712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357A KR100741440B1 (ko) 2006-02-14 2006-02-14 교량용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11-07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11-07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592A (ko)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0948359B1 (ko)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566665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보수용 가시설
KR100995820B1 (ko) 종방향 변위 및 활하중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가설교량시공방법
KR101668465B1 (ko) 유지보수가 가능한 회전형 앵커시스템을 포함하는 교좌장치
KR101284238B1 (ko) 교량 면진받침의 변형량조절장치
KR101564721B1 (ko) 하부구조물의 손상 없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공법
KR100666704B1 (ko) 강관거더를 이용한 일체식 교대
KR100741440B1 (ko) 교량용 탄성받침
KR20070115813A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2271533B1 (ko)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KR200415214Y1 (ko) 교량용 탄성받침
JP6320500B1 (ja) 橋梁の主桁、該主桁を備えた橋梁及び該橋梁の施工方法
KR100944007B1 (ko)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KR100303287B1 (ko) 무교좌및무신축이음형교대구조
KR100731788B1 (ko) 자석 키를 가진 일체형 탄성받침
KR200422408Y1 (ko) 포트 타입의 교량받침
JP6030873B2 (ja) 杭基礎構造体
KR101002423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962665B1 (ko)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101922218B1 (ko)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구조
KR101168911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고정구조
KR20100023214A (ko) 다경간 단순교의 바닥판 연속부
CN213951930U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KR102467773B1 (ko) 프리로딩을 위한 교량받침의 임시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