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33B1 -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33B1
KR102271533B1 KR1020200185728A KR20200185728A KR102271533B1 KR 102271533 B1 KR102271533 B1 KR 102271533B1 KR 1020200185728 A KR1020200185728 A KR 1020200185728A KR 20200185728 A KR20200185728 A KR 20200185728A KR 102271533 B1 KR102271533 B1 KR 10227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astening
socke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군
송주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Priority to KR102020018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받침; 및 상기 교량받침을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구조에 매설되는 앵커소켓;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소켓에 결합하는 체결구조;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받침에 변위측정기를 설치하여 교량의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 및 회전각을 동시에 용이하게 측정하여 파악할 수 있고, 변위측정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Bridge bearing structure with improved stability}
본 발명은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위측정기를 교량받침에 설치하여 교량의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 및 회전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판, 거더 등의 상부구조와 교각, 교대, 벽체 등의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 등을 지지할 뿐 아니라, 온도 변화에 따른 상부구조의 신축 등을 수용하는 장치이다.
상기 교량받침은 하중을 지지하고, 온도변화, 바람, 지진 등에 의한 변위를 흡수하여 교량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교량받침의 일반적인 구성으로는 교량의 상부구조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교량의 하부구조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 등을 포함하고, 또한, 하부구조에 매설되는 앵커소켓과 상기 앵커소켓에 결합되는 앵커볼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온도 변화 등에 의한 교량 상판의 신축과 차량의 진동 등이 반복됨에 따라 앵커볼트가 풀리는 문제점, 과도한 수평력에 대해 앵커볼트가 잘 저항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앵커볼트가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한편, 표준시방서 'KCS 24 40 05 : 2018 교량받침'의 '1.3 용어의 정의'에 의하면,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필요시 회전, 활동 등에 적절히 대응하고 하중을 하부구조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회전 수용이 교량받침의 필수 기능중 하나임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KS 교량 지지용 탄성 받침 KS F 4420 : 2018'의 '3.3.5 표준 탄성 받침'에 표준 치수의 탄성 받침에 적용될 수 있는 최대 회전은 표 4에 나타낸다고 기재되어 있고, 회전각이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KS 교량 지지용 포트 받침 KS F 4424 : 2016'의 '5.5 고무판 (2) 포트 받침의 회전'에 수평축에 대한 포트 받침의 회전은 설계 하중에서 고무판의 원둘레면에 발생하는 수직 병형률이 0.15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 내용들은, 수평축에 대한 교량받침의 회전 즉, 교량의 상부구조의 회전은 적절한 범위에서 제한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종래의 기술들에는 교량받침의 변형에 따른 회전각 즉, 온도변화에 의한 교량상판의 수평이동에 따른 교량받침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으나, 교량받침의 회전각 즉, 교량의 상부구조인 교량상판이나 거더의 처짐 등으로 인한 회전각을 측정하는 기술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20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위측정기를 교량받침에 설치하여 교량의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뿐 아니라 교량의 상부구조의 회전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변위측정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앵커볼트의 풀림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는, 교량의 상부구조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받침; 및 상기 교량받침을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구조에 매설되는 앵커소켓;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소켓에 결합하는 체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앵커소켓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소켓과, 상기 체결소켓을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제1체결공, 제2체결공 및 제3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공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앵커소켓의 상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는 제1체결소켓과, 상기 제3체결공에 삽입되는 제2체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볼트는 하부는 상기 앵커소켓에 나사 결합되고, 중부는 상기 제1체결소켓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는 제2체결소켓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의 하부와 상부는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2체결소켓은 보조볼트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과 상기 변형부재의 변형에 의한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의 회전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측정기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상부구조의 수평이동이나 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각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측정부는 상기 축에서 좌우로 연장되면서 좌측 방향으로 상향인 좌상향선과, 상기 축에서 좌우로 연장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상향인 우상향선을 포함하고, 상기 좌상향선과 우상향선에 의해 구분되는 좌우영역인 안전영역과 상하영역인 위험영역으로 구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표시되어 수직바의 수평이동량을 측정하는 수평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위측정기를 교량받침에 설치하여 교량의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뿐 아니라 교량의 상부구조의 회전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변위측정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앵커볼트의 상하 나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공용중 원천적으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의 상부구조의 변위량에 따라 안전영역과 위험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교량의 안전성 확보 및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 구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받침 구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100)는, 교량의 상부구조(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111)와, 교량의 하부구조(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112),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11)와 하부플레이트(112)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113)를 포함하는 교량받침(110)과, 상기 교량받침(110)을 교량의 하부구조에 고정하는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10)는 교량 상판, 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11)는 교량의 상부구조(10) 하측에 용접,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구조(20)는 교각, 교대, 벽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12)는 교량의 하부구조(20) 상측에 용접, 볼트 등으로 결합되거나,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에 타설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변형부재(113)는 상부플레이트(111)와 하부플레이트(112) 사이에 구비되어 하중, 진동, 변형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변형부재(113)는 고무와, 고무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철판이 다수 개 이격 배치되며, 교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과 온도 변화와 같은 외부 영향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교량의 상부구조(10)와 하부구조(20)의 내구 수명을 연장하고 내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철판은 사각형상의 철판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철판은 2개로 분리되거나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에 추가의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은 교량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큰 하중을 지지할 뿐 아니라 온도변화 등에 의한 교량의 상부구조(10)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113)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탄성받침과 같이 고무와 철판이 교차로 적층되어 형성된 변형부재 외에, 포트받침이나 스페리컬받침, 마찰진자형 면진받침 등의 변형부재도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상기 교량받침(110)을 하부구조(20)에 고정하는 것으로, 앵커소켓(130), 체결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소켓(130)은 하부구조(20)에 매설되고, 체결구조(14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1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앵커소켓(130)은 통상 하부플레이트(112)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데, 필요한 경우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앵커소켓(130)은 하부구조(2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전단부재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거나, 하부구조인 교각, 교대 등의 철근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에 타설되어 정착될 수 있다.
체결구조(140)는 하부플레이트(112)를 앵커소켓(130)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체결공(141), 체결소켓(142), 체결볼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공(141)은 하부플레이트(112)의 상면에서부터 앵커소켓(130)의 상부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체결공(141)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제1체결공(141a), 제2체결공(141b) 및 제3체결공(14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공(141a)은 앵커소켓(13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공(141b)은 제1체결공(141a)과 연이어서 앵커소켓(130)의 상부와 하부플레이트(112)의 하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공(141c)은 제2체결공(141b)과 연이이서 하부플레이트(11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소켓(142)은 체결공(141)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체결소켓(142a), 제2체결소켓(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소켓(142a)은 제2체결공(141b)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1체결소켓(142a)은 온도변화,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체결볼트(143)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체결볼트(143) 만으로 앵커소켓(130)과 결합되는 경우에 교량의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전단력을 체결볼트가 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발생하는 수평 전단지지력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2체결소켓(142b)은 제3체결공(141c)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보조볼트(144)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12)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볼트(143)는 하부는 제1체결공(141a)에 나사 결합되고, 중부는 제1체결소켓(142a)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는 제2체결소켓(142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볼트(143)는 하부플레이트(112)를 앵커소켓(130)에 결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교량받침(110)을 하부구조(20)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볼트(143)가 앵커소켓(130)에 결합되는 나사와 제2체결소켓(142b)에 결합되는 나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체결볼트(143)의 하부는 오른 나사이고, 상부는 왼 나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체결볼트(143)를 결합한 후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11)에 결합되어 교량의 상부구조(10)의 수평이동량과 상부구조(10)의 회전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위측정기(150)는 수평바(151), 수직바(15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바(151)는 상부플레이트(111)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될 수 있다.
수직바(152)는 수평바(15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바(152)는 상부구조(10)의 수평이동이나 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교량의 상부구조(10)만 회전하거나, 상부구조(10)가 회전과 동시에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도 수직바(152)는 항상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1)에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111)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각측정부(160)를 더 포함하고, 각측정부(160)는 좌상향선, 우상향선을 포함할 수 있다.
좌상향선은 상기 축에서 좌우로 연장되면서 좌측 방향으로 상향일 수 있다.
우상향선은 상기 축에서 좌우로 연장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상향일 수 있다.
좌상향선과 우상향선에 의해 구분되는 좌우영역인 안전영역과 상하역역인 위험영역으로 구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데, 안전영역은 초록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위험영역은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112)에 구비되어 수직바(152)의 수평이동량 즉, 교량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을 측정하는 수평측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측정부(170)는 수직바(152)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수평측정부(170)의 중앙 부분은 안전영역으로 초록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양측 단부 부분은 위험영역으로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안전영역과 위험영역에는 3M테이프, 반사지 등을 부착할 수 있다. 이는 떨어진 거리에서도 교량 상부구조의 회전각과 수평이동량이 안전한 범위에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교량받침의 제작과 이의 시공과정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플레이트(112)와 변형부재(113) 및 상부플레이트(111)를 포함하는 교량받침(11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바(151)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좌상향선과 우상향선이 표시된 각측정부(160)를 상부플레이트(111)에 설치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110)의 상부플레이트(111)에 변위측정기(150)를 설치할 수 있다. 변위측정기(150)는 'T'자 형상으로 상부플레이트(111)에 수평바(151)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수평바(151)에서 하측으로 수직바(15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측정부(160)는 상부플레이트(111)에 표시할 수도 있고, 좌상향선과 우상향선이 표시된 표시부재를 상부플레이트(11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량받침(110)의 하부플레이트(112)에 수직바(152)의 수평이동량을 측정하는 수평측정부(170)를 설치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측정부(170)는 하부플레이트(112)에 눈금을 표시할 수도 있고, 눈금이 표시된 표시부재를 하부플레이트(112)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측정기(150)와, 각측정부(160) 및 수평측정부(170)는 교량받침(110)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교량받침(110)을 하부구조(20)에 먼저 설치한 후, 교량받침(110)에 변위측정기(150)와, 각측정부(160) 및 수평측정부(17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교량받침(110)을 교량의 하부구조(20)에 설치하기 전에, 시공도면에 따라 상기 하부구조(20) 상면에 앵커소켓(130)을 설치하면서 하부구조(20)의 철근과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앵커소켓(130)이 설치되면, 상기 앵커소켓(130)과 하부구조(20)에 교량받침(1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교량받침(110)의 하부플레이트(112)에 관통된 제2,제3체결공(141b)(141c) 중심과 앵커소켓(130)에 형성된 제1체결공(141a)의 중심은 수직 선상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3체결공(141c)을 경유하여 제2체결공(141b)에 제1체결소켓(142a)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143)의 상부에 제2체결소켓(142b)에 체결하고, 상기 체결볼트(143)의 하부와 중부를 제1체결소켓(142a)에 결합하는데, 상기 체결볼트(143)의 하부는 중부보다 직경이 작아 제1체결소켓(142a)의 관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관통공은 체결볼트(143)의 중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아 체결볼트(143)의 중부가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소켓(142a)의 관통공을 통과한 체결볼트(143)의 하부는 체결볼트(143)의 회전에 따라 제1체결공(141a)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동시에 체결볼트(143)의 중부는 제1체결소켓(142a) 관통공 내부에서 공회전하여 체결볼트 하부의 체결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체결볼트(143)의 상부에 체결된 제2체결소켓(142b)은 제3체결공(141c)에 공회전 결합되고, 동시에 제2체결소켓(142b)의 하부가 제1체결소켓(142a)의 상부를 가압하여 제1체결소켓(142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공(141c)에 결합된 제2체결소켓(142b)은 보조볼트(144)에 의해 제2체결소켓(142b)과 하부플레이트(112)를 고정하면서 본 발명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볼트(143)의 하부와 상부는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와 상부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141a)의 나사산과 제2체결소켓(142b)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체결볼트(143)의 회전을 방지하여 체결볼트(143)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하부구조(20)에 복수의 교량받침(110)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교량받침에 교량의 상부구조(10)를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구조(10)와 상부플레이트(111)를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여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교량의 상부구조(10)는 수평이동이나 회전이 전혀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교량의 상부구조(10)는 수평이동 없이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측 도면은 반시계 방향으로, 하측 도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10)는 자중, 차량 하중 등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10)가 회전하는 경우 그 하측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111)와 상부플레이트(111)에 결합된 각측정부(160)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의 정도는 수평바(151)와의 회전각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수평바(151)가 안전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회전의 정도가 심하지 아니하여 안전한 상태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교량의 상부구조(10)는 회전 없이 수평 방향으로 신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측 도면은 우측 방향으로, 하측 도면은 좌측 방향으로 신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10)는 온도 하중 등에 의해 신축할 수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10)가 신축하는 경우 그 하측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111)와 상부플레이트(111)에 결합된 변위측정기(150)가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의 정도는 수직바(152)와 수평측정부(170)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수직바(152)가 수평측정부(170)의 안전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신축의 정도가 심하지 아니하여 안전한 상태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교량의 상부구조(10)는 수평이동과 동시에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측 도면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한 것이고, 하측 도면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교량의 상부구조(10)는 자중, 차량 하중 등에 의한 회전과 동시에, 온도 하중 등에 의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량받침 구조 110: 교량받침
111: 상부플레이트 112: 하부플레이트
113: 변형부재 120: 고정부
130: 앵커소켓 140: 체결구조
141: 체결공 142: 체결소켓
143: 체결볼트 144: 보조볼트
150: 변위측정기 151: 수평바
152: 수직바 160: 각측정부
170: 수평측정부

Claims (9)

  1. 교량의 상부구조의 하측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구조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를 포함하는 교량받침; 및
    상기 교량받침을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구조에 매설되는 앵커소켓;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소켓에 결합하는 체결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의 수평이동량과 상기 변형부재의 변형에 의한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의 회전각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측정기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상부구조의 수평이동이나 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각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측정부는 상기 축에서 좌우로 연장되면서 좌측 방향으로 상향인 좌상향선과, 상기 축에서 좌우로 연장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상향인 우상향선을 포함하고, 상기 좌상향선과 우상향선에 의해 구분되는 좌우영역인 안전영역과 상하영역인 위험영역으로 구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앵커소켓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소켓과, 상기 체결소켓을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제1체결공, 제2체결공 및 제3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공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앵커소켓의 상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는 제1체결소켓과, 상기 제3체결공에 삽입되는 제2체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볼트는 하부는 상기 앵커소켓에 나사 결합되고, 중부는 상기 제1체결소켓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는 제2체결소켓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하부와 상부는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소켓은 보조볼트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표시되어 수직바의 수평이동량을 측정하는 수평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KR1020200185728A 2020-12-29 2020-12-29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KR10227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28A KR102271533B1 (ko) 2020-12-29 2020-12-29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28A KR102271533B1 (ko) 2020-12-29 2020-12-29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533B1 true KR102271533B1 (ko) 2021-07-01

Family

ID=7686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728A KR102271533B1 (ko) 2020-12-29 2020-12-29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95B1 (ko) * 2021-07-19 2022-03-02 (주)광원아이앤디 수평력 저감형 앵커시스템
CN115772920A (zh) * 2023-02-13 2023-03-10 广州继善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基基础检测方法及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67B1 (ko) * 2008-07-23 2009-02-12 최동호 자기결착형 볼트 체결구조
KR101086868B1 (ko) * 2011-01-04 2011-11-24 영동이앤지(주)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572046B1 (ko) 2015-06-05 2015-11-25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교량받침구조
KR102129320B1 (ko) * 2019-09-10 2020-07-02 이태원 지면 경사 측정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67B1 (ko) * 2008-07-23 2009-02-12 최동호 자기결착형 볼트 체결구조
KR101086868B1 (ko) * 2011-01-04 2011-11-24 영동이앤지(주)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572046B1 (ko) 2015-06-05 2015-11-25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교량받침구조
KR102129320B1 (ko) * 2019-09-10 2020-07-02 이태원 지면 경사 측정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95B1 (ko) * 2021-07-19 2022-03-02 (주)광원아이앤디 수평력 저감형 앵커시스템
CN115772920A (zh) * 2023-02-13 2023-03-10 广州继善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基基础检测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533B1 (ko)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KR100585339B1 (ko) 교각수직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2156753B1 (ko) 다양한 콘크리트 계면 부착 강도 측정 장치
US4166997A (en) Load disc
JP2014088689A (ja) 複合補強地盤の載荷試験方法及び載荷試験装置
KR101202190B1 (ko) 변위 측정장치
US4549622A (en) Heavy duty weigh scale
Feng et al. Quasi-static and fatigue testing of earthquake-resilient steel joints with replaceable buckling-restrained links
Oehler Vibration susceptibilities of various highway bridge types
Lu et al. Self‐centering viscoelastic diagonal brace for the outrigger of supertall buildings: Development and experiment investigation
KR102167016B1 (ko) 회전변위 및 수평변위 식별이 용이한 탄성받침
KR20110136998A (ko) 경사계와 강선의 직진도를 활용하는 건축구조부재의 휨변형량 상시측정기술
JP4391011B2 (ja) 架設鋼材定着用治具
JP2008285931A (ja) 支承の高さ調整装置
KR100725059B1 (ko) 교각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562912B1 (ko) 구조물의 정밀 안전진단용 유동측정장치
KR100888385B1 (ko) 콘크리트 이축 인장강도 시험방법
CN111561985B (zh) 传感器安装机构
KR20110010844A (ko) 교좌장치
KR100489577B1 (ko) 수평조절 교좌장치
Dundu et al. Plastic and lateral-torsional buckling behavior of single cold-formed channels connected back-to-back
CN112229345B (zh) 一种不受振动影响的光纤光栅倾斜传感器
KR100850292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처짐각 측정장치
KR100466961B1 (ko) 회전 수평조절용 솔 플레이트
Turvey et al. Semi-rigid pultruded GRP frame connections: tests to determine static moment-rotation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