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20B1 - 지면 경사 측정 기구 - Google Patents

지면 경사 측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20B1
KR102129320B1 KR1020190112413A KR20190112413A KR102129320B1 KR 102129320 B1 KR102129320 B1 KR 102129320B1 KR 1020190112413 A KR1020190112413 A KR 1020190112413A KR 20190112413 A KR20190112413 A KR 20190112413A KR 102129320 B1 KR102129320 B1 KR 102129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horizontal
frame member
weigh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Original Assignee
이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원 filed Critical 이태원
Priority to KR102019011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경사 측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 퍼팅 시와 같이 지면의 경사를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무게추의 하중에 의한 수평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한 사용 조작으로 지면 경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지면 경사 측정 기구 {Device for measuring the slope of ground}
본 발명은 지면 경사 측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 퍼팅 시와 같이 지면의 경사를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무게추의 하중에 의한 수평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한 사용 조작으로 지면 경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경기 중에 지면 경사의 측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골프 경기 중 골프공이 그린(Green) 위에 안착하면, 플레이어는 퍼터로 골프공을 굴려서 홀 안에 넣어 최종적으로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그린의 지면 경사에 따라 골프공의 이동 경로가 영향을 받게 되므로, 플레이어는 통상적으로 육안을 통해 그린의 지면 경사 정도를 관찰하고 이를 고려하여 퍼팅을 하게 된다.
그런데, 플레이어의 육안을 통해 그린의 지면 경사 정도를 관찰하는 것은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09731(2018년01월29일 공개)는 퍼팅실력을 향상시키는 자동수평표시기능을 가진 골프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퍼팅 성공율을 높이기 위한 자동수평표시기능을 가진 안경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안경 형태로 구성되므로, 렌즈 내에 형성되는 수평선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에 적합한 촛점 거리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실제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퍼팅 시에는 안경을 착용하고 그 이외의 플레이 시에는 안경을 다시 벗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41689(2004년02월02일 등록)는 골프장 그린경사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경사측정선을 표시하고, 상기 케이스에 투명체로 이루어져 각도눈금이 구비된 각도원판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며, 상기 각도원판의 중앙 하부에 균형을 유지하는 추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입구를 투시창으로 덮으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각도원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톱부재를 설치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각도눈금이 구비된 각도원판을 케이스 내에 설치한 구조이므로, 투명체로 이뤄진 케이스, 각도원판, 케이스의 입구를 덮는 투시창 등 여러 요소가 겹쳐진 층을 관통하여 사용자가 측정기 반대편을 육안 관찰해야 하므로, 케이스, 각도원판, 투시창 등의 각각의 요소를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경우 이들 요소를 광학적으로 정밀 제작하지 않는 경우 선명한 시야 상태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09731(2018년01월2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41689(2004년02월02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골프 퍼팅 시와 같이 지면의 경사를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무게추의 하중에 의한 수평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한 사용 조작으로 지면 경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및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 부재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의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투명판 및 제2 투명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를 통과하는 각도 기준선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 기준선이 형성된 투명판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를 통과하며 상기 각도 기준선과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투명판 및 제2 투명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나의 위치를 각도 측정 기준점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각도 위치 표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1 투명판 또는 제2 투명판의 외측면에 구비된 자성체 부재;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 부재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자성체 착탈 부재를 구비하며, 탄성 변형에 의해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한 클립을 구비한 클립 부재;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 부재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자성체 착탈 부재를 구비하며, 개폐 조작이 가능한 걸림 고리를 구비한 걸림 결합 부재;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체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테두리의 외측 일지점에 구비되며, 골프 퍼터의 손잡이 상단부에 마련된 퍼터 자성체 부재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퍼터 결합용 자성체 부재;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매달림 상태를 생성하여 상기 힌지축이 중력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방향 생성 기구;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 방향 생성 기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클립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립과 상기 프레임 부재의 중간부에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립이 접힌 상태와, 지면 경사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립이 펴진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클립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립이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프레임 부재와 클립을 통과하는 상태로 지면 경사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형상은 원형 또는 정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나의 위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형상을 구성하는 도형의 무게 중심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시와 같이 지면의 경사를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무게추의 하중에 의한 수평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한 사용 조작으로 지면 경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용 상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용 상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힌지축(140)과, 상기 힌지축(140)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110)와, 상기 힌지축(1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120)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130)를 포함한다. 힌지축(140)과 수평선 부재(110)와 수직선 부재(120)는 측정부 본체(100)를 구성한다. 측정부 본체(100)는 예를 들어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예로, 힌지축(140)은 도 1과 같이 수평선 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미끄럼을 수반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프레임 부재(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예로, 힌지축(140)은 도 2와 같이 수평선 부재(110)에 형성된 관통홀(110a)에 미끄럼을 수반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 설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프레임 부재(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H는 힌지축선, A1, A2는 수평선 부재(110)의 회동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힌지축(14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13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1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110)가 지면(G)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힌지축(14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110) 및 무게추(130)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110)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부재(200)는 예를 들어, 광학적 특성이 좋은 투명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200)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투명판(210)과, 상기 제1 투명판(210)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2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투명판(220)과, 상기 제1 투명판(210)과 제2 투명판(220)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측면부(260)를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투명판(210)은 원형 또는 정다각형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1 투명판(210)이 원형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3은 프레임 부재(20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도 4는 정다각형 중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힌지축(14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210)의 하나의 위치(CP)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14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220)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CP)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위치(CP)는 각도 측정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중심점(각도 기준선 및 각도 측정선의 교차점, 또는 복수의 각도 위치 표시의 중앙점)을 나타낸다. 일예로, 제1 투명판(210)이 원형 또는 정다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도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하나의 위치(CP)는 해당 도형의 무게 중심이 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능이 제공될 수 있는 조건이라면 반드시 무게 중심이 아니고 그 인근의 임의의 위치가 될 수도 있다.
힌지축(14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프레임 부재(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부(230)에 일부가 삽입되어 미끄럼을 수반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일예로, 지지부(230)는 미끄럼 베어링의 기능을 제공하는 요홈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투명판(210) 및 제2 투명판(22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CP)를 통과하는 각도 기준선(SL)이 형성된다.
일예로, 도 18에 예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경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면(G)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면(G)의 외곽선에 각도 기준선(SL)을 일치시키면, 수평선 부재(110)를 통해 인식되는 수평선과 각도 기준선(SL)과의 각도 차이가 측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한 지면(G)의 경사 각도값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VL은 사용자의 시선, 부호 H는 골프홀이다.
상기 각도 기준선(SL)이 형성된 투명판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CP)를 통과하며 상기 각도 기준선(SL)과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선(AL)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A1 또는 A2 방향으로 자전시켜서, 지면(G)의 외곽선에 각도 기준선(SL)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평선 부재(110)를 통해 인식되는 수평선과 각도 기준선(SL)과의 각도 차이를 지면(G)의 경사 각도값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수평선 부재(110)를 통해 인식되는 수평선과 각도 기준선(SL)과의 각도 차이를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인식하여 대략적인 지면의 경사 각도를 측정하고 퍼팅을 할 수도 있지만, 더욱 정확한 각도값을 인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선(AL)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이를 이용하여 경사 측정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도 있다.
일예로, 다수의 각도 측정선(AL)이 3도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경우,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면(G)의 외곽선에 각도 기준선(SL)을 일치시킨 상태가 이뤄진다면, 지면(G)은 수평선 부재(110)를 통해 인식되는 수평선(AL3와 겹쳐진 상태)을 기준으로 3 도만큼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다른예로, 다수의 각도 측정선(AL)이 3도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경우,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경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면(G)의 외곽선에 각도 기준선(SL)을 일치시킨 상태가 이뤄진다면, 지면(G)은 수평선 부재(110)를 통해 인식되는 수평선(AL5와 겹쳐진 상태)을 기준으로 6 도만큼 우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지면(G)의 경사도 및 경사 방향을 알게 되면, 골프 플레이어는 퍼팅 시에 경사도 및 경사 방향을 고려하여 골프공을 굴리는 방향과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도 기준선(SL)과 각도 측정선(AL)은 인쇄 등의 방법으로 투명판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의 변형예로서, 지면 경사 측정 기구에 각도 위치 표시(AP)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 투명판(210) 및 제2 투명판(22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나의 위치(CP)를 각도 측정 기준점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각도 위치 표시(AP)가 형성된다.
앞서의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각도 측정선(AL)이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 시야에 복잡함을 느낄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투명판의 중간 영역을 선명하게 통과하여 볼 수 있도록, 투명판의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짧은 선 또는 점의 형태로 복수의 각도 위치 표시(AP)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각도 위치 표시(AP)는 인쇄 등의 방법으로 투명판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골프 플레이어가 더욱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상기 제1 투명판(210) 또는 제2 투명판(220)의 외측면에 자성체 부재(250)가 구비된다. 자성체 부재(250)는 자석 또는 자력으로 자석에 부착이 가능한 금속 소재가 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자성체 부재(250)는,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테두리를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취하면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중간 영역을 자성체가 가리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중간 영역에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또한, 상기 자성체 부재(250)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자성체 착탈 부재(330)를 구비하며, 탄성 변형에 의해 판상체(예, 모자 챙, 의류 주머니, 골프백 주머니 등)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한 클립(320)을 구비한 클립 부재(300)가 구비된다.
자성체 착탈 부재(330)는 자성체 부재(250)와 자력으로 착탈이 가능한 자석 또는 금속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자성체 부재(25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립(320)은 "U"자형으로 절곡된 금속재의 클립으로서 원판 형태의 기저부(310)에 일체로 결합 형성될 수 있으며, 원판 형태의 기저부(310)의 일측면에 상기 자성체 착탈 부재(330)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자 챙, 의류 주머니, 골프백 주머니 등의 판상체에 클립 부재(300)를 압입하여 끼운 상태로 플레이를 할 수 있으며, 퍼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자성체 부재(250)를 통해 자성체 착탈 부재(330)에 부착된 상태인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분리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지면 경사 측정을 할 수 있다.
지면 경사 측정이 완료된 후, 다시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자성체 부재(250)를 통해 자성체 착탈 부재(330)에 부착하고 다음 플레이를 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자성체 부재(250')는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중심부에 작은 면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면 중간 영역의 일부를 자성체가 가릴 수도 있지만, 테두리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전체적으로는 넓은 시야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코인 사이즈 정도로 작게 만드는 경우, 퍼팅용 볼 마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자성체 부재(250)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자성체 착탈 부재(1330)를 구비하며, 개폐 조작이 가능한 걸림 고리(1320)를 구비한 걸림 결합 부재(1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골프 가방의 고리, 바지의 허리띠 고리 등에 걸림 고리(1320)를 끼운 상태로 플레이를 할 수 있으며, 퍼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자성체 부재(250)를 통해 자성체 착탈 부재(1330)에 부착된 상태인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분리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지면 경사 측정을 할 수 있다.
상기 걸림 고리(1320)는 상품명으로 가방 고리 또는 개고리라고 불리우는 것으로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골프 가방의 고리, 바지의 허리띠 고리 등에 착탈식 삽입 결합이 가능한 고리이며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설명 부호 1310은 기저부이며, 상술한 기저부와 유사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테두리의 외측 일지점에 구비되며, 골프 퍼터(2000)의 손잡이 상단부에 마련된 퍼터 자성체 부재(2002)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퍼터 결합용 자성체 부재(23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퍼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퍼터 결합용 자성체 부재(2320)를 통해 퍼터 자성체 부재(2002)에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부착하고 퍼터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술한 방식으로 지면 경사 측정을 할 수 있다.
골프 퍼터(2000)의 손잡이 상단부에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부착하고 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경우,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경사 측정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 부재(200)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매달림 상태를 생성하여 상기 힌지축(140)이 중력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방향 생성 기구(29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방향 생성 기구(290)는,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일측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292)와, 상기 와이어(292)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2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 부재(294)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면 경사 측정 기구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여 지면 경사를 측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의 파지 상태에 따라 전후 방향의 기울기가 의도하지 않게 발생할 수도 있다. 수평 방향 생성 기구(290)를 이용하여 지면 경사 측정 기구가 와이어(292)에 매달린 상태로 만들게 되면, 지면 경사 측정 기구가 사용자의 손의 파지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일예로, 도 14와 같이, 와이어(292)의 단부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측면부 또는 손잡이 부재(294)에 형성된 연결부(220a 또는 294a)에 걸림, 묶임 등의 방식으로 자유로운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예로, 도 15와 같이, 와이어(292)의 단부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측면부에 형성된 연결부(220a')에 적어도 일방향의 자유로운 흔들림이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292)는 지면 측정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에 적당히 감아서 보관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클립(3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200)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클립(320)과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중간부에 힌지부(370)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립(320)이 접힌 상태와, 지면 경사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립(320)이 펴진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320'은 클립 부재(300)의 기저부(310)에 결합된 힌지 연결부재이다. 본 실시예의 기저부(310)는 상기 클립(320)이 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투명한 원판 형태 또는 투명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320)은 힌지부(370)를 중심으로 힌지 연결부재(320')와 도 16과 같이 접힌 상태를 이루거나 180도로 펴진 상태(지면 경사 측정용 사용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면, 시야를 가리는 자성체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200)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하는 상태로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면 경사 측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 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클립(3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200)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면 경사 측정 기구는, 상기 클립(320)이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프레임 부재(200)와 클립(320)을 통과하는 상태로 지면 경사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저부(310)는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투명한 원판 형태 또는 투명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면, 시야를 가리는 자성체를 설치하거나 구조가 복잡한 힌지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프레임 부재(200)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하는 상태로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측정부 본체
110: 수평선 부재
120: 수직선 부재
130: 무게추
140: 힌지축
200: 프레임 부재
210: 제1 투명판
220: 제2 투명판
250: 자성체 부재
260: 측면부
290: 수평 방향 생성 기구
292: 와이어
294: 손잡이 부재
300: 클립 부재
320: 클립
330: 자성체 착탈 부재
370: 힌지부
1300: 걸림 결합 부재
1320: 걸림 고리
2320: 퍼터 결합용 자성체 부재
SL: 각도 기준선
AL: 각도 측정선
AP: 각도 위치 표시
CP: 하나의 위치

Claims (16)

  1.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1 투명판 또는 제2 투명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중간 영역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자성체 부재; 및
    상기 자성체 부재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자성체 착탈 부재를 구비하며, 탄성 변형에 의해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한 클립을 구비한 클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의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
  2.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1 투명판 또는 제2 투명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중간 영역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자성체 부재; 및
    상기 자성체 부재와 자력에 의한 착탈 결합이 가능한 자성체 착탈 부재를 구비하며, 개폐 조작이 가능한 걸림 고리를 구비한 걸림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의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
  3.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제1 투명판 또는 제2 투명판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중간 영역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자성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의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
  4.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며, 파지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프레임 부재의 매달림 상태를 생성하여 상기 힌지축이 중력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방향 생성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
  5.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 및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의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클립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립과 상기 프레임 부재의 중간부에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립이 접힌 상태와, 지면 경사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립이 펴진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
  6.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수평선 부재;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부재를 통해 연결된 무게추; 및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지지하되, 상기 수평선 부재 및 무게추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수평선 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는 제1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제1 투명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투명판과, 상기 제1 투명판과 제2 투명판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테두리판을 포함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투명판의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며,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투명판의 또다른 하나의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클립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를 판상체에 삽입식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립이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프레임 부재와 클립을 통과하는 상태로 지면 경사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선 부재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평선 부재가 지면과 대비되는 수평선의 위치를 사용자의 육안에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면 경사 측정 기구.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판 및 제2 투명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를 통과하는 각도 기준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기준선이 형성된 투명판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를 통과하며 상기 각도 기준선과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각도 측정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판 및 제2 투명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나의 위치를 각도 측정 기준점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각도 위치 표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 생성 기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
  11.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형상은 원형 또는 정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하나의 위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형상을 구성하는 도형의 무게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경사 측정 기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112413A 2019-09-10 2019-09-10 지면 경사 측정 기구 KR10212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13A KR102129320B1 (ko) 2019-09-10 2019-09-10 지면 경사 측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13A KR102129320B1 (ko) 2019-09-10 2019-09-10 지면 경사 측정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320B1 true KR102129320B1 (ko) 2020-07-02

Family

ID=7159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13A KR102129320B1 (ko) 2019-09-10 2019-09-10 지면 경사 측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533B1 (ko) * 2020-12-29 2021-07-01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53U (ja) * 2003-03-13 2003-09-19 一 井口 ゴルフのボールマーカー用ホルダ
KR200341689Y1 (ko) 2003-11-19 2004-02-11 백정기 골프장 그린경사도 측정기
KR20090075330A (ko) * 2008-01-04 2009-07-08 노익환 착용식 경사 감지 기구
KR20120074991A (ko) * 2010-12-28 2012-07-06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경사각 및 높낮이 측정장치
KR101211534B1 (ko) * 2011-10-11 2012-12-12 김석순 골프공 홀더
KR20180009731A (ko) 2017-11-17 2018-01-29 심영보 퍼팅실력을 향상시키는 자동수평표시기능을 가진 골프안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53U (ja) * 2003-03-13 2003-09-19 一 井口 ゴルフのボールマーカー用ホルダ
KR200341689Y1 (ko) 2003-11-19 2004-02-11 백정기 골프장 그린경사도 측정기
KR20090075330A (ko) * 2008-01-04 2009-07-08 노익환 착용식 경사 감지 기구
KR20120074991A (ko) * 2010-12-28 2012-07-06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경사각 및 높낮이 측정장치
KR101211534B1 (ko) * 2011-10-11 2012-12-12 김석순 골프공 홀더
KR20180009731A (ko) 2017-11-17 2018-01-29 심영보 퍼팅실력을 향상시키는 자동수평표시기능을 가진 골프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533B1 (ko) * 2020-12-29 2021-07-01 주식회사 두드림테크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598B1 (en) Golf club with slope indicator
US9227116B2 (en) Golf putter
KR102129320B1 (ko) 지면 경사 측정 기구
US5492322A (en) Green reader device
JP7010338B2 (ja)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5662535A (en) Green reader device
KR101253866B1 (ko) 골프장 그린의 경사각 및 높낮이 측정장치
CN206482554U (zh) 一种简易视力矫正测试仪
US20110045449A1 (en) Sports Training Device for Head and Neck Movement
KR102129318B1 (ko) 지면 경사 측정 기구
KR101484550B1 (ko) 골프 퍼팅용 방향 지시장치
KR101576254B1 (ko) 골프 스마트 마커
US7063625B2 (en) Putting aid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716109B1 (en) Putting aid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487839Y1 (ko) 그린의 경사측정 기능이 구비된 볼마커
US201803036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neal marking
JP3202909U (ja) スマートフォン付ゴルフパター
KR102414443B1 (ko) 지면 경사 측정 기구
US4788774A (en) Golf club measuring apparatus
KR20110042041A (ko) 골프장 그린 경사 측정기
KR200488297Y1 (ko) 볼 마커 겸용 골프 볼 라이너
KR200273218Y1 (ko)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200494796Y1 (ko) 골프용 볼마커
KR20050082995A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US2724898A (en) Visual level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