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534B1 - 골프공 홀더 - Google Patents

골프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534B1
KR101211534B1 KR1020110103468A KR20110103468A KR101211534B1 KR 101211534 B1 KR101211534 B1 KR 101211534B1 KR 1020110103468 A KR1020110103468 A KR 1020110103468A KR 20110103468 A KR20110103468 A KR 20110103468A KR 101211534 B1 KR101211534 B1 KR 101211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olf ball
locking
elastic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순
Original Assignee
김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순 filed Critical 김석순
Priority to KR102011010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Markers with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을 간편하게 홀딩하고 퍼팅라인을 정확히 표시하며 볼마커를 부착할 수 있는 골프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골프공을 홀딩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골프공의 둘레를 양측에서 감싸서 홀딩하도록 일측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호 접촉되는 결합단부를 갖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결합단부에 외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를 따라 슬라이딩되게 연결되어 걸림요부를 갖는 잠금노브, 상기 잠금노브의 탄력적인 슬라이딩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잠금노브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걸이홈에 걸리도록 제2 홀더의 결합단부에 구비된 걸림철부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공 홀더{GOLF BALL HOLDER}
본 발명은 골프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공을 간편하게 홀딩하고 퍼팅라인을 정확히 표시하며 볼마커를 부착할 수 있는 골프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골프는 일정한 장소에서 골프채로 공을 쳐서 가장 적은 타수로 홀에 넣는 운동 경기이다.
이러한 골프에서 골퍼는 적어도 하나의 골프공을 휴대하는데, 예전에는 바지 주머니에 넣어서 휴대하였으나, 근래에는 골프공 홀더에 보관하여 휴대하는 경향이 주를 이룬다.
종래의 골프공 홀더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359322호 ‘골프공용 홀더’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골프 클럽의 그립에 착탈되는 기둥편이 구비되어 휴대가 불편하고, 기둥편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홀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골퍼는 그린에서 골프공을 홀컵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골프공에 퍼팅중심선을 표시하는데, 종래 기술에는 이러한 퍼팅중심선을 정확히 직선으로 표시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공을 간편히 홀딩하며 골프공에 퍼팅중심선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는 골프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프공을 홀딩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골프공의 둘레를 양측에서 감싸서 홀딩하도록 일측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호 접촉되는 결합단부를 갖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결합단부에 외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를 따라 슬라이딩되게 연결되어 걸림요부를 갖는 잠금노브, 상기 잠금노브의 탄력적인 슬라이딩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잠금노브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걸이홈에 걸리도록 제2 홀더의 결합단부에 구비된 걸림철부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홀더 또는 제2 홀더의 양측으로 노출된 골프공의 외면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어느 한 홀더에 구비된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서포터에는 금속재의 볼마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이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홀더에는 골프공의 외면에 퍼팅중심선을 표시를 안내하도록 선안내공이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잠금노브는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지지판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외측 단부에는 밸런스판이 고정되어 지지판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런스판과 지지판에는 코일스프링이 내측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밸런스판은 관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노브의 외측 단부 내경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면서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걸림요부는 제2 홀더에 인접된 잠금노브의 단부 내측에 형성하되, 상기 걸림철부의 외측 모서리에는 완만히 만곡된 만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철부의 만곡면이 접촉되는 잠금노브의 단부 모서리에는 완만히 만곡된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안착된 골프공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편리하게 홀딩상태가 유지되고 간편히 분리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딩된 골프공에 퍼팅중심선을 정확히 직성으로 표시하여 정확한 퍼팅을 도모하며, 서포터에 볼마커가 부착되어 별도로 볼마커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축으로 슬라이딩되는 잠금노브가 밸런스판에 의해 슬라이딩작동 시 상하 밸런스가 조절되어 작동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걸림철부의 만곡면이 잠금노브의 안내면에 의해 부드럽게 안내되어 부드러운 작동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제2 홀더를 축핀으로 회전시킨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프공 홀더는, 골프공(1)의 둘레를 양측에서 감싸서 홀딩하도록 일측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호 접촉되는 결합단부(11)(21)를 갖는 제1 홀더(10) 및 제2 홀더(20), 제1 홀더(10)의 결합단부(11)에 외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축(30), 가이드축(3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홀(42) 및 걸림요부(43)를 갖는 잠금노브(40), 잠금노브(40)의 탄력적인 슬라이딩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부재(50), 탄성부재(50)에 의해 지지된 잠금노브(40)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걸림요부(43)에 걸리도록 제2 홀더(20)의 결합단부(11)(21)에 구비된 걸림철부(60)를 포함한다.
제1 홀더(10) 및 제2 홀더(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환형(半環刑)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둥근 고리모양을 이루는데,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의 일측 단부는 축핀(P)으로 연결되어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호 접촉되어 결합되는 결합단부(11)(21)를 각각 갖는다. 그리고 제1 홀더(10) 및 제2 홀더(20)는 골프공(1)의 둘레를 양측에서 감싸서 홀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내면은 골프공(1)의 곡면에 부합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표시장공(12)(22)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각각 천공되어 펜을 넣어서 골프공(1)의 외면에 퍼팅중심선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홀더의 결합단부에는 제2 홀더와 함께 고리모양을 이루는 중심축의 직교방향을 따라 수직의 가이드축(30)이 외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가이드축의 외측 단부-도 4의 상단부에 해당-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R)가 체인(C) 또는 와이어 등으로 연결된 밸런스판(70)이 볼트(71)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축(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밸런스판(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노브(40)의 내경이 슬라이딩가능토록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되는 잠금노브(40)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며, 그 저면에는 상부 가이드보스(7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50)로 구현되는 코일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압축되거나 늘어날 때 그 상부가 내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제1 홀더(10)의 중간 지점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13)가 구비되어 제1 홀더(10)의 양측으로 노출된 골프공(1)의 외면을 지지하고, 이에 의해 골프공(1)은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홀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의 우측 하부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도면은 서포터(13)의 평단면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로서, 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13)에는 자석(14)이 매립되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볼마커(15)가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은 자석(14)을 가리는 동시에 광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광고판이다.
제2 홀더(20)의 결합단부(21)에는 가이드축(30)의 길이보다 짧은 걸림철부(60)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걸림철부(60)의 외측 단부-도 4의 우측 단부-에는 완만히 만곡된 안내면(61)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축(30)은 제1 홀더(10)의 결합단부(11)에, 걸림철부(60)는 제2 홀더(20)의 결합단부(2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잠금노브(40)는 가이드축(3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 홀더(20)의 걸림철부(60)의 잠금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잠금노브(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형의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고, 잠금노브(40)의 내경 하부에는 슬라이딩홀(42)이 천공된 지지판(41)이 구비되며, 지지판(41)의 상면에는 하부 가이드보스(41a)가 형성되어 탄성부재(50)로 구현되는 코일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압축되거나 늘어날 때 그 하부가 내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서, 잠금노브(40)의 상단과 지지판(41) 사이에는 탄성부재(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노브(40)의 하단부 내경과 지지판(41) 사이에는 걸림요부(43)가 형성되어 걸림철부(60)가 걸리며, 하단 외측 모서리는 그 둘레를 따라 완만히 만곡된 안내면(44)이 형성된다.
탄성부재(50)는 잠금노브(40)의 탄력적인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탄성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판스프링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폼(fo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는 잠금노브(40)의 수용공간(S)으로 삽입되어 상단은 밸런스판(70)에 지지되고 하단은 지지판(41)에 지지되어 잠금노브(40)가 항상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방향을 향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가 분리되는 작용을 살펴본다.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잠금노브(40)를 슬라이딩시키면, 탄성부재(50)가 압축되어 가이드축(30)를 따라 슬라이딩홀(42)이 슬라이딩되고, 이에 의해 걸림요부(43)는 걸림철부(60)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어서,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 홀더(20)를 밀면, 제2 홀더(20)는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 홀딩된 골프공(1)이 빠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 골프공(1)을 홀딩시키는 작용을 살펴본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가 분리된 상태에서, 골프공(1)의 반쪽 둘레를 제1 홀더(10)에 놓고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 홀더(20)를 축핀(P)으로 회전시키면, 걸림철부(60)의 만곡면(44)이 잠금노브(40)의 안내면(44)에 접촉되어 잠금노브(40)를 상부로 슬라이딩시킨 후, 걸림철부(60)는 걸림요부(43)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골프공(1)의 반대쪽 둘레는 제2 홀더(20)에 의해 감싸진다.
이때, 탄성부재(50)는 잠금노브(40)를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방향으로 가압하여 걸림철부(60)가 걸림요부(43)에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력적으로 작용하므로, 골프공(1)의 한쪽 둘레는 제1 홀더(10)에 의해 홀딩상태를 유지하고 반대쪽 둘레는 제2 홀더(20)에 의해 홀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 홀더(10)에 의해 홀딩되는 골프공(1)의 외면 부분은 서포터(13)에 의해 지지되므로, 골프공(1)은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서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홀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홀딩된 골프공(1)에 퍼팅중심선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서 골프공(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선표시공(12)(22)으로 펜을 넣어서 선을 그으면 퍼팅중심선이 골프공(1)에 표시된다. 필요에 따라, 골퍼는 퍼팅중심선을 직선으로 짧게 또는 길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골퍼는 골프 경기 중 서포터(13)에 부착된 볼마커(15)를 떼어내어 자신의 골프공(1) 위치에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홀더(10)를 제2 홀더(20)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 골프공(1)을 이른바 원터치 방식으로 편리하게 홀딩시키며, 잠금노브(40)를 슬라이딩시키는 것만으로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 홀딩된 골프공(1)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선표시장공(12)(22)으로 펜을 넣어서 그리면 제1 홀더(10)와 제2 홀더(20) 사이에 홀딩된 골프공(1)의 표면에 퍼팅중심선이 정확히 직선으로 표시되고, 볼마커(15)를 서포터(13)에 간편히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 : 골프공 10 : 제1 홀더
20 : 제2 홀더 30 : 가이드축
40 : 잠금노브 41 : 지지판
42 : 슬라이딩홀 50 : 탄성부재
60 : 걸림철부 70 : 밸런스판
P : 축핀 R : 연결고리

Claims (8)

  1. 골프공을 홀딩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골프공의 둘레를 양측에서 감싸서 홀딩하도록 일측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호 접촉되는 결합단부를 갖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결합단부에 외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를 따라 슬라이딩되게 연결되어 걸림요부를 갖는 잠금노브,
    상기 잠금노브의 탄력적인 슬라이딩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잠금노브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걸이홈에 걸리도록 제2 홀더의 결합단부에 구비된 걸림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또는 제2 홀더의 양측으로 노출된 골프공의 외면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어느 한 홀더에 구비된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는 금속재의 볼마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자석이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홀더에는 골프공의 외면에 퍼팅중심선을 표시를 안내하도록 선안내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노브는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지지판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외측 단부에는 밸런스판이 고정되어 지지판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런스판과 지지판에는 코일스프링이 내측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판은 관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노브의 외측 단부 내경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면서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요부는 제2 홀더에 인접된 잠금노브의 단부 내측에 형성하되, 상기 걸림철부의 외측 모서리에는 완만히 만곡된 만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철부의 만곡면이 접촉되는 잠금노브의 단부 모서리에는 완만히 만곡된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KR1020110103468A 2011-10-11 2011-10-11 골프공 홀더 KR10121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68A KR101211534B1 (ko) 2011-10-11 2011-10-11 골프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68A KR101211534B1 (ko) 2011-10-11 2011-10-11 골프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534B1 true KR101211534B1 (ko) 2012-12-12

Family

ID=4790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468A KR101211534B1 (ko) 2011-10-11 2011-10-11 골프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5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941A (ko) 2015-04-17 2016-10-26 김민규 악력기능을 갖는 골프공 홀더
KR102081638B1 (ko) * 2018-10-18 2020-02-26 이영훈 소지품받침 홀더
KR102129320B1 (ko) * 2019-09-10 2020-07-02 이태원 지면 경사 측정 기구
KR102129318B1 (ko) * 2019-09-10 2020-07-02 이태원 지면 경사 측정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983Y1 (ko) 2001-08-20 2001-12-01 임병모 골프공 가이드 라인 표시 도구
JP2003175132A (ja) 2001-12-10 2003-06-24 Isao Shimada ゴルフボール用ピックアップ補助具
KR200359322Y1 (ko) 2004-05-06 2004-08-21 김석헌 골프공용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983Y1 (ko) 2001-08-20 2001-12-01 임병모 골프공 가이드 라인 표시 도구
JP2003175132A (ja) 2001-12-10 2003-06-24 Isao Shimada ゴルフボール用ピックアップ補助具
KR200359322Y1 (ko) 2004-05-06 2004-08-21 김석헌 골프공용 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941A (ko) 2015-04-17 2016-10-26 김민규 악력기능을 갖는 골프공 홀더
KR102081638B1 (ko) * 2018-10-18 2020-02-26 이영훈 소지품받침 홀더
KR102129320B1 (ko) * 2019-09-10 2020-07-02 이태원 지면 경사 측정 기구
KR102129318B1 (ko) * 2019-09-10 2020-07-02 이태원 지면 경사 측정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534B1 (ko) 골프공 홀더
US3415518A (en) Golfer's aid
US20150209644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KR200486405Y1 (ko) 휴대용 골프공 마킹기구
US20110215013A1 (en) Lightweight carrier for golf clubs
WO2013177033A1 (en) Magnetically attached golf tee
US20110312447A1 (en) Combination Divot Tool
KR200491920Y1 (ko) 골프용 멀티 홀더
KR200469576Y1 (ko) 볼마커 및 골프티 보관용 클립
KR101320547B1 (ko) 회전형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KR20180002784U (ko) 볼마커 및 골프티 보관용 기구
KR101828468B1 (ko) 클립부를 갖는 골프공마커
KR20090013082U (ko) 골프백 착탈식 골프채 홀더
KR101339914B1 (ko)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US11850485B2 (en) Golf tee holder
KR20050122185A (ko) 골프 티
KR200469205Y1 (ko)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KR200494317Y1 (ko) 다기능 릴 홀더
KR101303927B1 (ko) 골프용품 휴대 기구
KR200466912Y1 (ko) 골프 티
KR200478458Y1 (ko) 골프공용 라인 마커
KR20100001572U (ko) 골프티 및 볼 마커용 휴대용구
KR200310791Y1 (ko) 골프공 홀더
KR102307915B1 (ko) 골프 티꽂이
JP3160709U (ja) ゴルフテ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