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915B1 - 골프 티꽂이 - Google Patents

골프 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915B1
KR102307915B1 KR1020190138024A KR20190138024A KR102307915B1 KR 102307915 B1 KR102307915 B1 KR 102307915B1 KR 1020190138024 A KR1020190138024 A KR 1020190138024A KR 20190138024 A KR20190138024 A KR 20190138024A KR 102307915 B1 KR102307915 B1 KR 10230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late
golf tee
lower plate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014A (ko
Inventor
김순희
Original Assignee
김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희 filed Critical 김순희
Priority to KR102019013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3Te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63B2057/0018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18Carrier for golf tee or mark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골프 티꽂이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는 하면에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된 상판; 상판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면에 제2돌기가 다수 형성된 하판; 하판에 형성되어 대상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제1돌기와 제2돌기는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이에 따르면, 골프 경기 중 골프용 티를 꽂아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를 꽂아 수납할 수 있으며 골프용 티를 제거한 후에도 결합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자국이 남지않음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 티꽂이{Golf tee Holder}
개시되는 내용은 골프에서 사용되는 티를 꽂아 보관하는 골프 티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골프티는 티샷을 할때 공을 올려놓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뾰족한 선단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에는 공을 올려놓는 평평한 받침부가 형성된 것으로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골퍼들이 티를 보관할 시는 별도의 주머니에 담아 보관하다가 골프를 칠때에 하나씩 꺼내어 사용한다.
따라서 골프 티의 보관이 불편하고, 분실이 잦았으며, 휴대하고 다니기에도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출원 20-20010-000463호
개시되는 내용은 골프 티를 꽂아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를 수납하되 간편하게 골프 티를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티꽂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하면에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된 상판; 상판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면에 제2돌기가 다수 형성된 하판; 하판에 형성되어 대상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제1돌기와 제2돌기는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골프 티꽂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엇갈리게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기는 끝단이 하판에 근접하되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끝단이 상판에 근접하되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2돌기 각각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 경기 중 골프용 티를 꽂아 보관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를 꽂아 수납할 수 있으며 골프용 티를 제거한 후에도 결합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자국이 남지않음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분해하여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분해하여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분해하여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를 분해하여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의 사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꽂이는, 하면에 다수의 제1돌기(140)가 형성된 상판(100); 상판(100)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결합되며, 상면에 제2돌기(240)가 다수 형성된 하판(200); 하판(200)에 형성되어 대상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
제1돌기(140)와 제2돌기(240)는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판(100)과 하판(200)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마주보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판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판(100)의 저면 중앙에 보스(120)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하판(200)의 중앙에 보스결합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판(100)의 보스(120)가 하판(200)의 보스결합부(220)에 끼움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상판(100)과 하판(200)이 각기 기울어진 후 복원될 수 있어 약간의 탄성을 갖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과 하판(200)에 각기 형성되는 제1돌기(140)와 제2돌기(240)는 서로 엇갈리게 배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돌기(140) 및 제2돌기(240)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휘어짐 및 복원성이 뛰어나서 항상 수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수개의 제1돌기(140) 및 제2돌기(240)가 밀집된 상태이므로 이들 사이에 골프 티(600)를 끼워넣음으로써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골프 티(600)가 제1돌기(140) 및 제2돌기(240)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이들 제1돌기(140) 및 제2돌기(240)는 약간 휘어진 상태에서 골프 티(600)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골프 티(600)를 측방향으로 밀어 분리하여 빼낼 수 있고, 골프 티(600)가 분리된 후 제1돌기(140) 및 제2돌기(240)가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제1돌기(140)는 끝단이 하판(200)에 근접하되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2돌기(240)는 끝단이 상판에 근접하되 이격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2돌기(140,240) 각각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즉 제1,2돌기(140,240) 각각은 원봉 형상이되 끝단을 포함하는 일부분은 상기 상판(100) 및 하판(200)에 각각 연결된 나머지 일부분 보다 직경이 작은 원봉 형태로 형성되어 환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선단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제1,2돌기(140,240) 각각은 뾰족한 침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에는 볼마커(500)가 부착되는 볼마커 고정부(400);가 형성된다.
볼마커(500)는 경기 도중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대개 원판형상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자착이 가능하도록 철(Fe) 재질로 이루어진다.
볼마커 고정부(400)는 상판(100)의 반원형태의 상면 일부분이 상판(100)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돌출부(105)들 사이에 다수 형성되는 슬릿(170)과, 상판(100)의 상면에 매립된 자석(420) 및 상기 자석(420)을 덮는 커버(440)로 구성된다.
슬릿(170)을 통해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손끝을 볼마커(500) 밑으로 밀어넣을 수 있어 볼마커(500)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볼마커(500)는 자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1개 또는 다수개를 자착 수납할 수 있다.
한편 하판(200)은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2돌기(24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오목하게 요입되어 삽입홈(260)이 형성되며, 삽입홈(260)의 일측에는 고정클립(340)이 삽입되는 클립홈(262)이 형성된다.
고정클립(340)은 하판(200)의 삽입홈(260)에 끼워지는 지지판(300)과, 지지판(300)의 하부에 호형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여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 및 고정클립(340)의 개구부쪽에 해당되는 지지판(30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하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면돌출부(3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300)의 상부에 끼움축(320)이 돌출 형성되고, 이 끼움축(320)이 하판(200)의 중심에 끼움결합되고, 지지판(300)의 외주연이 하판(200)의 삽입홈(260)으로 끼워져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클립(340)은 클립홈(262)에 삽입됨으로써 하판(200)과 고정클립(340)을 결합시켰을때 전체적인 높이가 줄어들 수 있어 보다 슬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후 고정클립(340)을 모자챙이나 벨트에 꽂아 고정시킬 수 있고, 겹쳐져 배열된 제1,2돌기(140,240) 사이에 골프 티(600)를 꽂아 수납할 수 있다.
이후 골프 티(6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당기면 제1,2돌기(140,240)가 휘어지면서 골프 티(600)가 분리될 수 있다.
골프 티(600)를 분리한 후 제1,2돌기(140,240)는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고, 다른 골프 티(600)를 꽂아 수납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상판 120 : 보스
140 : 제1돌기 170 : 슬릿
200 : 하판 220 ; 보스결합부
240 : 제2돌기 300 : 지지판
320 : 끼움축 340 : 고정클립
400 : 볼마커 고정구 420 : 자석
440 : 덮개 500 : 볼마커
600 : 골프 티

Claims (5)

  1. 골프 티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면에 다수의 제1돌기가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결합되며, 상면에 제2돌기가 다수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에 형성되어 대상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고,
    상기 제1돌기는 끝단이 하판에 근접하되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끝단이 상판에 근접하되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엇갈리게 배열되어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서 각각의 끝단을 포함하는 일부분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2돌기 각각은 원봉 형상이되 끝단을 포함하는 일부분은 상기 상판 및 하판에 각각 연결된 나머지 일부분 보다 직경이 작은 원봉 형태로 형성되어 환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선단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휘어짐 및 복원성을 가지며,
    골프 티가 제1돌기 및 제2돌기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골프 티를 측방향으로 밀어 분리하여 빼낼 수 있고,
    상기 골프 티가 분리된 후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상판에는 볼마커가 부착되는 볼마커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반원형태의 상면 일부분이 상기 상판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돌출부들 사이에 다수의 슬릿들이 형성되고,
    상기 볼마커 고정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매립된 자석 및 상기 자석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저면 중앙에 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중앙에 보스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하판이 이격되어 마주보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부에 끼움축이 돌출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호형으로 절곡된 부분 및 상기 고정클립의 개구부쪽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면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의 하면에는 오목하게 요입되어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측면돌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클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꽂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38024A 2019-10-31 2019-10-31 골프 티꽂이 KR10230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24A KR102307915B1 (ko) 2019-10-31 2019-10-31 골프 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24A KR102307915B1 (ko) 2019-10-31 2019-10-31 골프 티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14A KR20210052014A (ko) 2021-05-10
KR102307915B1 true KR102307915B1 (ko) 2021-10-05

Family

ID=7591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24A KR102307915B1 (ko) 2019-10-31 2019-10-31 골프 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9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899A (ja) * 2009-09-07 2011-03-24 Hoshipura:Kk ゴルフマーカーのクリップ
KR200482647Y1 (ko) * 2015-08-20 2017-02-16 김순희 볼마커 수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03991A (en) 2008-07-03 2010-01-16 jia-han Xie Package structure of LED and light bar using the same
KR20190000313U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트레졀콜렉션 휴대용 티 보관 주머니
KR200489480Y1 (ko) * 2017-11-28 2019-06-24 김순희 골프 티꽂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899A (ja) * 2009-09-07 2011-03-24 Hoshipura:Kk ゴルフマーカーのクリップ
KR200482647Y1 (ko) * 2015-08-20 2017-02-16 김순희 볼마커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14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955B1 (en) Magnetic golf ball marker and holder
US6030298A (en) Divot tool with ball marker and brush
US6050905A (en) Divot tool with ball marker
US5433436A (en) Tee and ball marker clip on holder
US9138624B2 (en) Golf glove magnetic attachment adaptor
KR102307915B1 (ko) 골프 티꽂이
KR200491920Y1 (ko) 골프용 멀티 홀더
KR200489480Y1 (ko) 골프 티꽂이
KR200482647Y1 (ko) 볼마커 수납장치
KR101985135B1 (ko) 골프공의 라인 마킹 세트
KR101251941B1 (ko) 볼 마커 겸용 골프티
KR20180002784U (ko) 볼마커 및 골프티 보관용 기구
US4241917A (en) Golf tee
US11850485B2 (en) Golf tee holder
KR20050122185A (ko) 골프 티
KR200441399Y1 (ko) 골프 볼 마커 보관용 팔찌
JP6433061B2 (ja) マーカーホルダー
JP3214700U (ja) ゴルフボールマーカー固定部品の構造
KR200333612Y1 (ko) 골프공 홀더
KR200167327Y1 (ko) 골프용 볼 마커-핀 휴대용구
KR200381171Y1 (ko) 볼마커 고정구조를 갖는 골프용 볼마커 케이스
KR200310791Y1 (ko) 골프공 홀더
KR200429943Y1 (ko) 골프티
KR200319956Y1 (ko) 골프공 홀더
JP2000051415A (ja) グラウンドゴルフ用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