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812B1 -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12B1
KR101198812B1 KR1020120050311A KR20120050311A KR101198812B1 KR 101198812 B1 KR101198812 B1 KR 101198812B1 KR 1020120050311 A KR1020120050311 A KR 1020120050311A KR 20120050311 A KR20120050311 A KR 20120050311A KR 101198812 B1 KR101198812 B1 KR 101198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omposite
steel bar
steel
prefl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기
정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05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콘크리트(20)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강재거더(11)를 단부에서 분절하지 않고 강선 정착판(14)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강재거더(11)에 프리플렉스 하중도입 중 강재거더(11)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복부판(12)에 수직 보강재(11a)를 부착한다. 강제거더(11)의 프리플렉스 하중에 의한 케이싱콘크리트(20)의 압축도입과 더불어 케이싱콘크리트(20)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추가적인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케이싱콘크리트(20) 내의 강선(30)을 1차 및 2차에 걸쳐 분할 긴장한다. 프리플렉스된 합성거더(10)를 받침장치(60, 65) 및 철근조립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미완성된 벽체(50, 55)상단에 고정단 받침장치(60)와 이동을 허용하는 롤러단 받침장치(65)을 설치하고,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거더(10)를 거치한다. 프리플렉스 합성거더(10) 위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고정단 받침장치(60)와 롤러단 받침장치(65) 및 일부 미완성된 벽체(50, 55)에 가장 나중에 타설함으로써 상기 합성거더(10) 단부에 시공하중에 대한 휨모멘트가 전달되지 않아 하부의 하중부담을 줄이고 장지간의 형성에 유리한 프리플렉스거더와 결합하여 경제적인 합성형 라멘교를 완성한다.

Description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본 발명은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경간이 가능한 합성형 라멘교를 시공함에 있어 케이싱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강선을 삽입하여 긴장하기 위한 케이싱콘크리트 단부정착판을 강재거더에 접착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분할 도입하고 시공중 하중에 의한 거더의 종방향 이동을 억제하면서 회전은 원할하게 하는 고정단을 벽체와 거더 단부사이에 도입하고, 벽체와 거더의 다른쪽 단부 사이에는 롤러단을 개재시켜 거더의 종방향 변형을 원활하게 하여 시공중 거더의 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멘교는 주교체에 라멘구조를 시공한 다리로서, 보통다리는 상부구조와 이를 떠받치는 하부구조로 되어 있으나, 라멘교는 이것을 하나로 묶어서 문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지점의 구조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몇개의 경간을 하나로 연결시킨 연속라멘교 등의 특수한 것도 있다.
기존의 일반철근 콘크리트 라멘교는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강결로 연결함으로써 전체구조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지간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하부구조에 부담하게 하는 공법이 적용된다. 하지만 일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는 장지간 형성(18m이상)에서는 지간내와 우각부 및 하부구조에 발생하는 단면력이 과다하여 실제 적용이 불가능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이 있으나 그 또한 시공중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 특허 10-07870574 : 거더를 거치하기 위한 둥근모양으로 된 받침장치 및 받침강형이 거더 단부 양측에 강봉으로 고정되어 거더 거치 후 시공중 온도하중이나 슬래브타설 하중, 거더의 종방향 편차로 인한 수평분력으로 받침강형에 전이되어 휨변형을 일으켜 구조 안전성을 저하시킨다.
- 특허 10-2009-0117592 : 거더를 거치하기 위한 원형통 강관을 벽체상단에 미리 매설하거나, 낮은 받침대를 벽체에 미리 매설되도록(절반정도)하고 탄성패드를 설치하는 것으로써, 원형통 강관을 이용할 시 거더에 작용되는 시공중 온도하중이나 슬래브타설하중, 거더의 종방향 편차로 인한 수평분력이 거더양단이 고정된 원형통 강관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원할한 거더의 종방향 변형을 억제하여, 거더에 부가적인 축응력이 추가될 수 있어 안전성을 저하시키며, 탄성패드를 설치할 경우는 상기의 거더 종방향 변형은 허용되어 거더에 부가적인 축응력은 제거되나 거더의 종방향 편차나 콘크리트 타설하중에 의한 수평분력으로 탄성패드가 시공중 거더가 탈락할 가능성이 많아 거더의 파손을 초래하는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멘교를 제작함에 있어서 하부구조인 벽체상단과 거더의 한쪽 단부 사이에 거더의 종방향 변형은 억제하는 고정단을 도입하고 하부구조인 벽체상단과 거더의 다른쪽 단부 사이에는 롤러단을 개재시켜 거더의 종방향 변형을 원활하게 하여 시공중 거더의 탈락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이도록 구성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를 제작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상단과 거더의 양쪽 단부 사이에 거더의 종방향 변형을 원활하게 하는 탄성패드를 사용하고 탄성패드의 양측면에 걸림턱을 설치하여 탄성패드의 미끌림을 억제함으로써 거더의 탈락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이 높아지도록 구성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를 제작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멘교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량의 양단부에 고정단 및 롤러단 이나 탄성패드를 개재시킴에 있어 받침장치에 회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시공중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우각부의 큰 부모멘트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정을 안전하게 하면서도 단순화하여 보다 저렴하게 합성 라멘교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를 제작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상단에 합성 거더를 거치시 강재 거더와 합성 거더를 볼트나 강봉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배제하여 거치 후 상부 작업시 온도변화에 의해 상부 거더에 발생하는 신?수축 변위를 구속시키지 않음으로써 보다 안전한 라멘 교량을 제작할 수 있는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를 제작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은 케이싱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강선을 긴장하기 위한 강선 정착판을 강재거더를 단부에서 분절하지 않고 끼워넣는 방식으로 제작된 강재거더에 프리플렉스 하중도입 중 강재거더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복부 임시 수직 강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강재거더의 프리플렉스 하중에 의한 상기 케이싱콘크리트의 압축도입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추가적인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상기 케이싱콘크리트 내의 강선을 1차 및 2차에 걸쳐 분할 긴장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플렉스된 합성거더를 받침장치 및 철근조립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미완성된 벽체상단에 시공중에 작용되는 온도에 의한 신축과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하중 및 프리플렉스 합성거더의 종방향 편차 하중에 의한 종방향 분산력으로 발생되는 종방향 프리플렉스 합성거더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단 받침장치와 신축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롤러단 받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플렉스 합성거더를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치된 프리플렉스 합성거더 위의 중앙부부터 단부측으로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와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와 롤러단 받침장치 및 일부 미완성된 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장 나중에 타설함으로써 상기 합성거더 단부에 휨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강선 정착판을 강재거더를 단부에서 분절하지 않고 끼워넣는 방식은 상기 하부플랜지를 강선정착판이 끼워질수 있는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복부판도 강선정착판의 세로높이의 1/2 만큼 강선정착판의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부분에 강선정착판을 끼우고 하부플랜지와 복부판이 밀착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강선정착판을 지탱해줄 정착브라켓을 하부플랜지의 윗면과 밑면에 다수개 용접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단의 받침장치는 좌측 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반원통상의 강봉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면은 상기 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강봉의 좌우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는 우측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롤러단 받침장치의 윗면에 강봉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의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곳에 이탈방지 돌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단의 받침장치는 좌측 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롤러단 받침장치의 윗면에 반원통상의 강봉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면은 상기 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강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로 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는 우측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는 그 윗면에 강봉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를 설치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오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단의 받침장치는 좌측 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원형 통상의 강봉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원형 양측에 해당하는 일정한 면은 상기 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봉강의 좌우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는 우측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롤러단 받침장치의 윗면에 강봉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의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곳에 이탈방지 돌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단의 받침장치는 좌측 벽체의 윗면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원형통상의 강봉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원형 양측에 해당하는 일정한 면은 상기 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봉강의 좌우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는 그 윗면에 강봉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를 설치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오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합성거더 양측의 받침장치는 좌,우 벽체의 윗면에 수평이동과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낮은 탄성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받침의 좌,우측에 낮은 탄성패드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합성거더 양측의 받침장치를 설치한 후 그 받침장치 측면과 합성거더 하부 플랜지에 삼각형상의 연결장치를 설치하여 합성거더 거치 및 슬래브타설시 합성거더의 횡방향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상단과 거더의 한쪽 단부 사이에 거더의 종방향 변형을 억제하면서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고정단을 도입하고 벽체상단과 거더의 다른쪽 단부 사이에는 롤러단을 개재시켜 거더의 종방향 변형과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시공중 거더의 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교량의 양단부에 회전을 허용하여 시공중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우각부 부모멘트를 제거함과 동시에 공정을 안전하게 하면서도 단순화하여 보다 저렴하게 합성 라멘교를 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h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강재거더에 끼워지는 강선정착판과 정착브라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해 반원통상의 강봉의 원주면이 받침장치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단의 받침장치의 실시예,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해 강봉이 롤러단의 받침장치 위에 자유롭게 놓여지고 강봉의 좌우로 일정간격 떨어져 이탈방지 돌기가 설치되는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롤러단의 받침장치 윗면에 자유롭게 놓여지는 강봉과강봉의 좌우로 밀착하여 설치되는 이탈방지 돌기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거더양단의 받침장치 윗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과 탄성받침 좌우측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고정돌기의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에 용접되고 고정단 받침장치의 윗면에 놓여지는 강봉과 좌우로 밀착하여 설치되는 이탈방지 돌기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합성라멘교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1h에 본 발명에 의한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가 도시된다.
제1 단계에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분절된 I형 강재거더(11)를 현장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I형 강재거더(11)에 프리플렉스 하중 도입중에 상기 I형 강재거더(11)가 좌굴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수직보강재(11a)를 부착한다.
제 2단계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랜지(13)에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20)를 제작하기 위해서 거푸집, 철근, PC강선(30)을 조립하고, 프리플렉스 하중(Pf)을 재하한 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20)를 제작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랜지(13)를 강선정착판(14)이 끼워질수 있는 폭(예를 들면, 50 mm)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복부판(12)도 강선정착판(14)의 세로높이의 1/2 만큼 강선정착판(14)의 폭(예를 들면, 50 mm)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된 부분에 강선정착판(14)을 끼우고 하부플랜지(13)와 복부판(12)이 밀착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강선정착판(14)을 지탱해줄 정착브라켓(15)을 하부플랜지(13)의 윗면과 밑면에 다수개(예를 들면, 복부판 플랜지(12)를 중심으로 좌우에 3개씩, 총13개)를 용접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PC강선(30)을 강선정착판(14a)의 조립공에 끼워 쐐기등으로 고정시킨다.
제 3단계에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플렉스 하중(Pf)을 제거하고, 임시수직 보강재(11a)를 제거하고, 제 4단계에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에 설치된 PC강선(30)을 유압잭(40)으로 잡아당겨 합성거더(10)에 1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제 5단계에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에 설치된 PC강선(30)을 유압잭(40)으로 다시 잡아당겨 합성거더(10)에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단부 정착부를 정리한다.
제6단계에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멘교가 설치될 현장의 지반(G)에 기초(45) 및 좌우벽체(50, 55)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이음부까지 제작하고, 상기 좌우벽체(50, 55) 윗면의 강결 연결부에 H형강으로 제작한 고정단 및 롤러단 받침장치(60, 65)를 앵커(51)로 상기 벽체(50, 55)의 윗면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다.
제 7단계에서,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거더(10)를 좌우 양쪽 벽체(50, 55)의 윗면에 설치된 고정단 및 롤러단 받침장치(60, 65)에 거치하고 횡방향 전도방지 보강판(70)의 직각을 이루는 2면을 각각 상기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와 받침장치(60)의 측면에 밀착하여 볼트(71)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하부플랜지(13)과 보강판 사이는 일정간격의 유격(20mm)를 두어 볼트로 체결한다.
제 8단계에서,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거더(10)와 좌우 벽체(50, 55)의 연결부위 및 바닥판에 동바리(16)와 거푸집(17)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제 9단계에서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동바리(16)와 거푸집(17)을 제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라멘교를 완성한다.
마지막 마감단계로서, 제 10단계에서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벽체(50, 55)의 뒷채움한 부분에 접속 슬래브(18)와 날개벽(19)을 시공하고, 연석시공 및 교면포장을 하여 교량을 완성한다.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 라멘교(100)는 케이싱 콘크리트(20)가 합성된 중앙부의 합성거더(10)와; 상기 합성거더(10)를 지지하는 좌우 벽체(50, 55)와; 상기 좌우 벽체(50, 55) 중 하나와 상기 합성거더(10)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단 받침장치(60)와; 상기 좌우 벽체(50, 55) 중 나머지와 상기 합성거더(10)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단 받침장치(65)와;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60) 및 롤러단 받침장치(65)의 측면과 상기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 사이에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합성거더(10)의 전도를 방지하는 횡방향 전도방지 보강판(7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단의 받침장치(6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벽체(50)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반원통상의 강봉(61)이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60)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면은 상기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강철 지지판(81a)을 개재해서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강봉(81)의 좌우로 걸림턱(82a, 82b)이 설치되어 상기 합성거더(10)의 종방향 변형을 억제하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시공하중에 대한 거더의 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단부의 부모멘트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단의 받침장치(6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단 받침장치(65)가 우측벽체(55)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거더의 신축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단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3)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3)의 좌우로 일정간격(예를 들면, 강봉(83) 지름의 1/2)으로 떨어진 곳에 이탈방지 돌기(84a, 84b)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고정단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상의 강봉(81)이 상기 받침장치(60) 위에 설치되고, 롤러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5)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5)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5a, 85b)를 설치하고 강봉(85)에는 오일을 도포하여 거더의 신축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양측단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장치(65)의 윗면에 낮은 탄성패드(87)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패드(87)의 좌,우측에 밀착하여 고정돌기(88a, 88b)를 설치하여 온도하중 및 종방향 편차하중에 의한 수평분산력 등에 대해 신축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고정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장치(60)는 좌측 벽체(50)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강봉(89)이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용접되고 받침장치(60)의 윗면에 놓여지고, 상기 강봉(89)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9a, 89b)를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롤러단의 받침장치(6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장치(65)가 우측벽체(55)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3)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3)의 좌우로 일정간격(예를 들면, 강봉(83) 지름의 1/2)으로 떨어진 곳에 이탈방지 돌기(84a, 84b)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고정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89)이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용접되고 받침장치(60)의 윗면에 놓여지고, 상기 강봉(89)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9a, 89b)를 설치되고, 롤러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5)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5)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6a, 86b)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합성거더 12: 복부판
13: 하부 플랜지 14: 강선정착판
15: 정착브라켓 16: 동바리
17: 거푸집 18: 접속슬래브
19: 날개벽 20: 케이싱 콘크리트
30: PC강선 40: 유압잭
45: 기초 50: 좌측벽체
55:우측 벽체 60: 고정단 받침장치
65: 롤러단 받침장치 70: 횡방향 전도방지 보강판

Claims (8)

  1. I형 강재 거더(11)의 하부플랜지(13)를 강선정착판(14)이 끼워질수 있는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복부판(12)도 강선정착판(14)의 세로높이의 1/2 만큼 강선정착판(14)의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부분에 강선정착판(14)을 끼우고 하부플랜지(13)와 복부판(12)이 밀착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강선정착판(14)을 지탱해줄 정착브라켓(15)을 하부플랜지(13)의 윗면과 밑면에 다수개 용접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하부플랜지(13)에 제작되는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의 내부에 PC강선(30)이 위치하도록 조립하여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I형 강재거더(11)에 프리플렉스 하중도입 중 상기 I형 강재거더(11)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부판(12)에 수직 보강재(11a)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I형 강재거더(11)의 프리플렉스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의 압축도입과 더불어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한 손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추가적인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 내의 PC 강선(30)을 1차 및 2차에 걸쳐 분할 긴장하는 단계와;
    상기 I형 강재거더(11)의 하부플랜지(13)에 하부 케이싱콘크리트(20)를 양생하여 프리플렉스된 합성거더(10)를 현장의 지반(G)에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제작된 좌우 벽체(50, 55) 상단에 고정단 받침장치(60)와 롤러단 받침장치(65)을 설치하고, 상기 합성거더(10)를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치된 합성거더(10) 위의 중앙부부터 단부측으로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와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60)와 롤러단 받침장치(65) 및 상기 좌우 벽체(50, 55)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장 나중에 타설함으로써 상기 합성거더(10) 단부에 휨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장치(60)는 좌측 벽체(50)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반원통상의 강봉(81)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60)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면은 상기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강철 지지판(81a)을 개재해서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강봉(8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로 걸림턱(82a, 82b)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65)는 우측벽체(55)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롤러단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3)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3)의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곳에 이탈방지 돌기(84a, 84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장치(60)는 좌측 벽체(50)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반원통상의 강봉(81)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60)의 윗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면은 상기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강철 지지판(81a)을 개재해서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강봉(81)의 좌우로 걸림턱(82a, 82b)이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65)는 그 윗면에 강봉(85)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5)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6a, 86b)를 설치하고 상기 강봉(85)에는 오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장치(60)는 좌측 벽체(50)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 윗면에 원형통상의 강봉(89)이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용접되고 상기 원형통상의 강봉(89)의 원주면이 상기 받침장치(60)의 윗면에 접하도록 놓여지고, 상기 강봉(89)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9a, 89b)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단의 받침장치(65)는 우측벽체(55)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3)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3)의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곳에 이탈방지 돌기(84a, 84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60)는 좌측 벽체(50)의 윗면에 앵커(51)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며 원통형상의 강봉(89)이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용접되고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60)의 윗면에 놓여지고, 상기 강봉(89)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9a, 89b)가 상기 고정단 받침장치(60)의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단 받침장치(65)의 윗면에 강봉(85)이 자유롭게 놓여지고 상기 강봉(85)의 좌우로 밀착하여 이탈방지 돌기(86a, 86b)를 설치하고 상기 강봉(85)에는 오일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받침장치(60, 65)는 그 윗면에 상기 강봉의 두께만큼 낮은 탄성패드(87)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패드(87)의 좌우측에 밀착하여 고정돌기(88a, 88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과 롤러단의 양측 받침장치(60, 65)를 설치한 후, 상기 양측 받침장치(60, 65)의 측면과 상기 상기 합성거더(10)의 하부플랜지(13)에 횡방향 전도방지 보강판(70)의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두 변에 해당하는 면이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합성거더(10)의 거치 및 슬래브 타설시 상기 합성거더(10)의 횡방향 전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거더를 이용한 합성형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20120050311A 2012-05-11 2012-05-11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Active KR101198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311A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05-11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311A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05-11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812B1 true KR101198812B1 (ko) 2012-11-07

Family

ID=4756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311A Active KR101198812B1 (ko) 2012-05-11 2012-05-11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1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81B1 (ko) * 2013-09-25 2014-07-09 주식회사 젬콘 부재별 연결구조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9900B1 (ko) * 2016-04-14 2016-09-26 디앤디건설 주식회사 높이조절 및 전도방지기능을 가진 힌지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1958915B1 (ko) 2018-10-17 2019-03-15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거더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및 거더 합성형 라멘교
KR102066355B1 (ko) * 2018-07-18 2020-01-14 (주) 승신건설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2153426B1 (ko) * 2020-02-12 2020-09-08 (주)지엔비테크 접속슬래브 일체형 및 기초크기를 최소화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268895B1 (ko) 2021-01-27 2021-06-24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KR20230030912A (ko) 2021-08-26 2023-03-07 김준영 라멘교용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40080308A (ko) 2022-11-29 2024-06-07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프리스트레스 스틸 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강거더의 제조방법
KR20240085296A (ko) 2022-12-07 2024-06-17 주식회사 광장엔지니어링 솟음이 있는 강거더와 H-Beam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거더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511B1 (ko) 1997-08-18 2000-05-15 장석윤 현장연결부를 갖는 단순 및 연속 복합 프리스트레스합성빔의 제조방법
KR100741440B1 (ko) 2006-02-14 2007-08-02 (주)서해이앤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1018956B1 (ko) 2010-10-11 2011-03-02 최영철 정모멘트 구간의 슬래브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롤러 처리한 라멘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511B1 (ko) 1997-08-18 2000-05-15 장석윤 현장연결부를 갖는 단순 및 연속 복합 프리스트레스합성빔의 제조방법
KR100741440B1 (ko) 2006-02-14 2007-08-02 (주)서해이앤씨 교량용 탄성받침
KR101018956B1 (ko) 2010-10-11 2011-03-02 최영철 정모멘트 구간의 슬래브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롤러 처리한 라멘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81B1 (ko) * 2013-09-25 2014-07-09 주식회사 젬콘 부재별 연결구조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9900B1 (ko) * 2016-04-14 2016-09-26 디앤디건설 주식회사 높이조절 및 전도방지기능을 가진 힌지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2066355B1 (ko) * 2018-07-18 2020-01-14 (주) 승신건설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1958915B1 (ko) 2018-10-17 2019-03-15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거더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및 거더 합성형 라멘교
KR102153426B1 (ko) * 2020-02-12 2020-09-08 (주)지엔비테크 접속슬래브 일체형 및 기초크기를 최소화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268895B1 (ko) 2021-01-27 2021-06-24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KR20230030912A (ko) 2021-08-26 2023-03-07 김준영 라멘교용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40080308A (ko) 2022-11-29 2024-06-07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프리스트레스 스틸 프리플렉스 빔을 이용한 강거더의 제조방법
KR20240085296A (ko) 2022-12-07 2024-06-17 주식회사 광장엔지니어링 솟음이 있는 강거더와 H-Beam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거더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12B1 (ko)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CN101080534B (zh) 制造预应力钢组合梁的方法
KR101394193B1 (ko)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강합성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KR101129698B1 (ko) 캔틸레버 시공용 행거식 가설재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JP5937898B2 (ja) 箱桁橋の構築法
KR101007708B1 (ko)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107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106087707A (zh) 一种防止既有桥梁横向倾覆的附加构造及其施工方法
KR101240409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보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1404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KR101693256B1 (ko)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KR101293838B1 (ko)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JP2007077630A (ja) プレキャスト主桁セグメントを使用した連続桁およびその架設方法
JP2014227754A (ja) 橋桁および橋桁の施工方法
JP3737475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178737B1 (ko) 중앙 하부의 형고를 변화시킨 단면에 직선강재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psc합성거더의 연속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316150B (zh) 斜拉桥主塔及钢锚梁的施工系统和施工方法
KR101426155B1 (ko)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JP6053417B2 (ja) 橋桁および橋桁の施工方法
KR101674725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JP6089096B2 (ja) プレキャスト桁のねじれ抑制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桁の接合方法
KR101714159B1 (ko)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휨모멘트 전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KR101576865B1 (ko) 역 t형 주형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의 무지보 시공 방법
JP4970061B2 (ja) 溝形部材を用いた床版または覆工板用の版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